KR100590187B1 - 괭이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괭이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187B1
KR100590187B1 KR1020050031292A KR20050031292A KR100590187B1 KR 100590187 B1 KR100590187 B1 KR 100590187B1 KR 1020050031292 A KR1020050031292 A KR 1020050031292A KR 20050031292 A KR20050031292 A KR 20050031292A KR 100590187 B1 KR100590187 B1 KR 10059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e
fugoidan
wire mesh
extrac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홍태
Original Assignee
권홍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홍태 filed Critical 권홍태
Priority to KR102005003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괭이모자반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다량의 추출액을 채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건강에 유익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모자반으로부터 점액성 추출물을 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자반으로부터 점액성 추출물을 채집하는 방법은 해변에서 생식기상이 성숙한 원조체인 괭이모자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집한 원조체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원조체를 철망위에 균일한 두께로 흩뜨려 놓는 단계; 상기 흩뜨려 놓은 괭이모자반에 50℃ 이상의 더운물을 균일하게 1분 이내의 시간동안 뿌리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1차적으로 추출되는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 상기 1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이 추출된 괭이모자반을 온도 20 ~ 25℃, 습도 70 ~ 80%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10~72시간 동안 양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양생된 원조체를 다시 철망위에 흩뜨려 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2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추출액 채집 장치는 원조체인 괭이모자반을 균일하게 흩뜨려 놓는 철망(11), 상기 철망(11)의 하부에 배치된 호퍼(13), 상기 호퍼(13)에서 유출되는 추출액을 담는 보관용기(15), 상기 철망(11)의 상부에 설치된 더운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7), 그리고 상기 물탱크(17)내의 물을 하부의 원조체에 균일하게 살포하는 살포기(19)를 포함한다.
모자반, 원조체, 점액성, 후고이단, 생식기상, 양생

Description

괭이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athering the sticky extraction liquid containing fucoidan from sargassum horneri}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생실에서 양생되는 원조체를 올려 넣는 양생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괭이모자반의 전체 형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괭이모자반의 부분 형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괭이모자반의 각 부분의 형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괭이모자반의 생식기상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실물크기의 괭이모자반의 부분 형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줄기 2: 가지
3a: 수(雄) 생식기상 3b: 암(雌) 생식기상
4: 기포체 5: 잎사귀체
10: 프레임 11: 철망
13: 호퍼 13a: 유출구
15: 보관용기 16: 프레임
17: 물탱크 18: 모터
19: 살포기 20: 양생선반
본 발명은 모자반으로부터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괭이모자반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다량의 추출액을 채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건강에 유익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모자반으로부터 점액성 추출물을 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인 미역, 모자반의 표면은 진득진득한 점액성 끈끈이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 끈끈이는 일종의 특수한 섬유로서 보통 섬유는 물에 녹지 않는데 비해 이 끈끈이는 물에 녹는다. 녹는다 해도 아주 녹아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미세한 작은 알갱이로 분해되어 보통 섬유와 같이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통 섬유와는 달리 진득진득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딴 물질에 달라붙거나 빨아들이는 힘이 강 하다. 따라서 이들 작은 알갱이들은 핏속의 불순물질을 철저히 포위해서 몸 밖으로 시원하게 몰아 내버리는 작용을 한다.
끈끈이라 불리는 진득진득한 점액성의 추출물이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은 추출물에 후고이단(fucoidan)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후고이단은 다당체 라고 불리우는 당의 일종인 식물섬유로서 미끌미끌한 성분이다. 후고이단의 구조로서는 기본적 구성 주성분은 [후고스], [유산화후고스] 라고 불리 우는 당이며, 그 외의 당으로 [기시로스], [우롱산], [만노스] 가 결합한 총칭이 “후고이단”이다.
'후고이단'은 피를 철저히 맑게 하고 잘 순환시키기 때문에 만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효능을 나타낸다.
특히 괭이모자반(학명으로는 'sargassum horneri', 제주사투리로는 '는재기 몰망'이라 함)에서 얻은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은 에이즈바이러스나 단순 헬베스바이러스 등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작용을 보이며, 항에이즈약으로 유명한 아지드찌미징(A-2T)은 내성 바이러스가 나와 문제가 되고 있으나 괭이모자반의 활성성분과 병용하면 에이스 바이러스에 대해 상승적인 증식효과를 보여 그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일본 후지야마 의약대학 생물화학부 발표).
또한 상기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은 암세포 증식억제 작용을 보이며(2000 일본 나고야 약학회 제118차 강연요지집 P86), 임상의학현장에서의 보고에서도 암세포에 대하여 유효하다고 한다(다찌가와 다이스께 의학박사저, 일본 아오야마서적 「해조 후고이단」 참조).
그리고 상기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은 영양보조식품으로 뿐만 아 니라 생체기능개선작용을 갖는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도 가능하며, 화장품, 비누 등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방법 및 장치는 일본 특허공개 2000-344652호, 동 평11-1437호, 동 2002-220402호의 경우와 같이 매우 복잡하며, 건조, 염장(鹽藏), 분쇄, 끓임, 압축 또는 첨가물 첨가 등의 절차를 밟는 동안에 원조체(原藻體)는 파괴되어 버려 원료로서 재활용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0-239302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설비가 복잡하고, 산, 염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설비가 부식되어 추출액의 제조비용이 비싸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괭이모자반을 이용하여 추출 및 양생의 반복으로 간단하게 다량의 추출액을 채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후고이단을 함유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물을 채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게 다량의 추출액을 채집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괭이모자반을 이용하여 추출 및 양생의 반복으로 간단하게 다량의 추출액을 채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후고이단을 함유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물을 채집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물을 채집하는 방법은 생식기상이 성숙한 원조체인 괭이모자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집한 원조체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원조체를 철망위에 균일한 두께로 흩뜨려 놓는 단계; 상기 흩뜨려 놓은 괭이모자반에 50℃ 이상의 더운물을 균일하게 1분 이내의 시간동안 뿌리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1차적으로 추출되는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 상기 1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이 추출된 괭이모자반을 온도 20 ~ 25℃, 습도 70 ~ 80%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10~72시간 동안 양생하는 단계; 상기 양생된 원조체를 다시 철망위에 흩뜨려 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2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2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이 추출된 괭이모자반을 온도 20 ~ 25℃, 습도 70 ~ 80%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10~72시간 양생하고, 양생된 괭이모자반을 다시 철망에 흩뜨려 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물을 채집하는 장치는 원조체인 괭이모자반을 균일하게 흩뜨려 놓는 철망, 상기 철망의 하부에 배치된 호퍼, 상기 호퍼에서 유출되는 추출액을 담는 보관용기, 상기 철망의 상부에 더 운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그리고 상기 물탱크내의 물을 하부의 원조체에 균일하게 살포하는 살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살포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생실에서 양생되는 원조체를 올려 넣는 양생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괭이모자반의 전체 형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괭이모자반의 부분 형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괭이모자반의 각 부분의 형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괭이모자반의 생식기상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실물크기의 괭이모자반의 부분 형태도이다.
본 발명의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물을 채집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해변으로부터 생식기상(生殖器床)이 성숙한 원조체(原藻體)인 괭이모자반을 채취한다(단계S1).
도 4에는 높이가 3 내지 5m의 괭이모자반의 전체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괭이모자반은 하나의 줄기(1)에 다수의 가지(2)가 생성되어 그 가지(2)에 수(雄)생식기상(3a)과 암(雌)생식기상(3b)이 생성되어 있으며, 또한 기포체(4)와 잎사귀체(5) 가 생성된 형태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괭이모자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식기상이 성숙한 부분을 채취한다.
다음에 상기 채집한 괭이모자반의 원조체를 세척한다(단계S2). 이 단계에서는 원조체에 있는 모래, 협잡물 등을 먼저 해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에 담수를 이용하여 염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한 괭이모자반의 원조체를 후술하는 장치의 철망(11)에 흩뜨려 놓는다(단계 S3). 철망(11)위에 놓인 원조체는 대략적으로 두께가 5cm가 되도록 균일하게 놓는다.
다음에 상기 흩뜨려 놓은 원조체에 50℃ 이상의 더운물을 균일하게 1분이내의 시간동안 뿌린다(단계 S4).
흩뜨려진 원조체에 구석구석까지 더운물을 살포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살포기(19)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운물의 온도는 낮으면 원조체에 주는 자극이 적고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의 추출량이 적다. 사용하는 더운물의 온도는 50~100℃ 정도가 적당하며 90℃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운물의 양은 원조체 2Kg에 대하여 그 4배 중량인 8리터의 더운물을 뿌린다. 살포시간은 1분 이내가 바람직하다. 살포시간이 길면 길수록 생식기상을 손상할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하면 짧은 시간에 살포하는 것이 좋다.
이 과정에서 암수의 생식기상이 자극되어 후고이단을 함유하는 점액성 추출액이 추출되어 하부로 흐른다.
상기 더운물의 양은 원조체 중량의 4배에 반드시 구애될 필요가 없으며 생식 기상의 착상(着床)정도 또는 성숙도에 따라 다르다. 후고이단은 주로 암수 생식기상으로부터 삼출(渗出)된다. 만약 생식기상을 제거한 원조체에 대하여 동일한 추출작업을 하면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은 거의 추출되지 않는다.
괭이모자반은 해조류중에서도 생식기상이 현저하게 크므로 많은 양의 후고이단이 삼출된다.
상기 단계에서 1차적으로 추출되는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한다(단계 S5). 이 단계에서는 원조체에서 추출되는 추출액과 더운물을 함께 채집하는데 후술하는 장치의 호퍼(13)에 의해서 이들 물질들을 모아 그 하부에 있는 보관용기(15)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1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이 추출된 원조체를 회수하여(단계 S6), 온도 20 ~ 25℃, 습도 70 ~ 80%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10~72시간 양생한다(단계 S7).
1차적으로 추출작업이 완료된 원조체의 줄기, 잎사귀, 기포체, 가지는 뜨거운 물에 의해 녹색을 띄어 사멸을 나타내고 있으나 암수의 생식기상은 일부 선단이 흑색으로 변한 것 이외에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1차 추출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암수의 생식기상의 70% 이상은 살아 숨쉬고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양생선반(20)위에 놓고 양생실에서 보양(保養) 및 양생(養生)을 한다. 양생실에서는 원조체에 물을 살포하거나 습포를 덮어서 양생한다. 양생시간은 생식기상의 상태를 보면서 결정하나 최하 10시간, 최고 72시간 양생을 하여야 한다. 양생실은 공기조화기 및 분무시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술 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생된 원조체를 다시 추출장치의 철망(11)에 흩뜨려 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2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한다(단계 S3 내지 S5). 2차이후의 추출작업시에는 원조체 2Kg에 대하여 3배의 중량인 6리터의 더운물을 살포한다. 그 이외에는 전술한 1차 추출작업과 동일하게 행한다.
상기 2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이 추출된 원조체는 그 생식기상이 아직도 살아 있으므로 이를 다수 회수하여(단계 S6), 온도 20 ~ 25℃, 습도 70 ~ 80%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10~72시간 양생하고(단계 S7), 양생된 원조체를 다시 철망(11)에 흩뜨려 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S4 내지 S7)를 반복한다.
생식기상이 녹색으로 변하여 완전히 죽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원조체를 폐기한다(단계 S8).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괭이모자반 원조체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양생 및 추출공정을 거치면서 다량의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을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된 점액성 추출액의 점도는 사용목적에 따라 가열공정과 같은 후처리공정에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는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액 채집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조체 인 괭이모자반을 균일하게 흩뜨려 놓는 철망(11), 상기 철망(11)의 하부에 배치된 호퍼(13), 상기 호퍼(13)에서 유출되는 추출액을 담는 보관용기(15), 상기 철망(11)의 상부에 설치된 더운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7), 그리고 상기 물탱크(17)내의 물을 하부의 원조체에 균일하게 살포하는 살포기(19)를 포함한다.
상기 철망(11) 및 호퍼(13)는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수작업을 하기에 편리하도록 대략적으로 사람의 허리정도의 높이에 설치된다. 상기 호퍼(13)의 중앙에는 유출구(13a)를 구성하여 추출액이 하부의 보관용기(15)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물탱크(17)와 살포기(19)는 보다 높은 프레임(16)에 설치되는데 10리터 이상의 물을 넣을 수 있는 부피를 갖는다. 살포기(19)는 하부의 원조체에 균일하게 살포되도록 하면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기(19)를 모터(18)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넓은 범위의 원조체에 균일하게 더운물을 살포할 수 있다.
[실시예]
해변에서 생식기상이 성숙한 괭이모자반 원조체를 2Kg 채집하고 해수로 먼저 협잡물, 모래 등을 세척하고, 담수로 염분을 깨끗하게 세척하였다.
다음에 추출장치의 철망(11)위에 두께가 5cm 되도록 균일하게 흩뜨려 놓았다. 100℃의 물 8리터를 물탱크(17)에 넣고 모터(18)를 작동시켜 살포기(19)를 서서히 회전시켰다. 8리터의 물이 모두 살포되는 시간은 52초였다.
그리고 호퍼(13)의 유출구(13a)를 통해서 유출되는 물과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의 채집량은 8,130cc 이었다.
상기 1차 추출공정을 거친 원조체를 회수하여 양생선반(30)에 올려놓고 양생실에서 온도 23℃, 습도 75%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24시간 양생하였다. 양생후의 원조체는 암수 생식기상의 활동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끈적끈적한 점기(粘氣)를 띄었다. 이를 다시 추출장치의 철망(11) 위에 올려놓은 후 90℃의 물 6리터를 물탱크(17)에 넣어 살포기(19)를 서서히 회전시켜 원조체에 더운물을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6리터의 물이 모두 살포되는데 40초가 소요되었다. 그리고 호퍼(13)의 유출구(13a)를 통하여 보관용기(15)에 채집된 더운물 및 추출액의 양은 6,120cc 이었다. 원조체의 중량은 추출작업전에는 2,050g이고 추출작업후에는 1,930g 이었다.
상기 2차 추출공정을 거친 원조체를 다시 회수하여 다시 양생선반(30)에 올려놓고 양생실에서 온도 23℃, 습도 75%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24시간동안 다시 양생하였다. 양생후의 원조체는 암수 생식기상의 활동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다시 끈적끈적한 점기를 띄었다. 이를 다시 추출장치의 철망(11) 위에 올려놓은 후 90℃ 물 6리터를 물탱크(17)에 넣어 살포기(19)를 서서히 회전시켜 원조체에 더운물을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6리터의 물이 모두 살포되는데 39초가 소요되었다. 그리고 보관용기(15)에 채집된 더운물 및 추출액의 양은 6,150cc 이었다. 원조체의 중량은 추출작업전에는 2,130g이고 추출작업후에는 1,980g 이었다.
상기 3차 추출공정을 거친 원조체를 다시 회수하여 온도 23℃, 습도 75%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48시간동안 양생하였다. 양생후의 원조체는 암수 생식기상의 활동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다시 끈적끈적한 점기를 띄었다. 이를 다시 추출장치의 철망(11) 위에 올려놓은 후 90℃의 물 6리터를 물탱크(17)에 넣어 살포기(19)를 서서 히 회전시켜 원조체에 더운물을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6리터의 물이 모두 살포되는데 39초가 소요되었다. 그리고 보관용기(15)에 채집된 더운물 및 추출액의 양은 6,100cc 이었다. 원조체의 중량은 추출작업전에는 2,020g이고 추출작업후에는 1,930g 이었다.
4차 추출공정이후의 원조체는 암수 생식기상이 거의 녹색을 띄워 거의 사멸한 것으로 판단되어 폐기하였다.
상기 1차 추출공정에서 4차 추출공정에서 각각 채집된 추출액의 특성을 B형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구분 1차 2차 3차 4차
VPM(회전수) 60 30 16 12 60 30 16 12 60 30 16 12 60 30 16 12
CP(점도) 6 4.3 5.5 7 5 4 3 6 1.9 2.1 2.5 4 1.5 2.0 1.9 3.5
PH(농도) 5.7
채집량 8.130cc 6,120cc 6,150cc 6,100cc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공정을 거듭할수록 점도는 떨어지나 4차 추출공정에서도 상업성이 있을 정도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 추출액이 추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PH 농도는 공히 5.7로 동일하였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수 생식기상이 성숙한 괭이 모자반 원조체를 이용하여 추출, 양생과정을 반복하여 간단하게 다량의 후고이단을 함유한 추출액을 채집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후고이단을 함유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4)

  1. 해변에서 생식기상이 성숙한 원조체인 괭이모자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집한 원조체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원조체를 철망위에 균일한 두께로 흩뜨려 놓는 단계;
    상기 흩뜨려 놓은 괭이모자반에 50℃ 이상의 더운물을 균일하게 1분 이내의 시간동안 뿌리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1차적으로 추출되는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
    상기 1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이 추출된 괭이모자반을 온도 20 ~ 25℃, 습도 70 ~ 80%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10~72시간 동안 양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양생된 원조체를 다시 철망위에 흩뜨려 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2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적으로 후고이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이 추출된 괭이모자반을 온도 20 ~ 25℃, 습도 70 ~ 80% 분위기의 양생실에서 10~72시간 양생하고, 양생된 괭이모자반을 다시 철망에 흩뜨려 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후고이 단을 함유한 점액성의 추출액을 더운물과 함께 채집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방법.
  3. 원조체인 괭이모자반을 균일하게 흩뜨려 놓는 철망(11),
    상기 철망(11)의 하부에 배치된 호퍼(13),
    상기 호퍼(13)에서 유출되는 추출액을 담는 보관용기(15),
    상기 철망(11)의 상부에 설치된 더운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7), 그리고
    상기 물탱크(17)내의 물을 하부의 원조체에 균일하게 살포하는 살포기(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기(19)는 모터(18)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 채집하는 장치.
KR1020050031292A 2005-04-15 2005-04-15 괭이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59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292A KR100590187B1 (ko) 2005-04-15 2005-04-15 괭이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292A KR100590187B1 (ko) 2005-04-15 2005-04-15 괭이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0187B1 true KR100590187B1 (ko) 2006-06-19

Family

ID=3718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292A KR100590187B1 (ko) 2005-04-15 2005-04-15 괭이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1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301A (ja) 1999-02-17 2000-09-05 Okinawa Hakko Kagaku:Kk フコイダンの抽出方法
JP2002220402A (ja) 2001-01-26 2002-08-09 Space Shoji:Kk フコイダン含有抽出物の簡易な製造方法
JP2003155244A (ja) 2002-09-13 2003-05-27 Kyodo Milk Industry Co Ltd モズク由来のフコイダンを含む食品
KR20040008145A (ko) * 2001-04-18 2004-01-28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황산화 푸코글루쿠로노만난
KR20040105523A (ko) * 2003-06-07 2004-12-16 박응렬 갈조류로 부터 생리활성물질 연속추출 및 기능성 식품제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301A (ja) 1999-02-17 2000-09-05 Okinawa Hakko Kagaku:Kk フコイダンの抽出方法
JP2002220402A (ja) 2001-01-26 2002-08-09 Space Shoji:Kk フコイダン含有抽出物の簡易な製造方法
KR20040008145A (ko) * 2001-04-18 2004-01-28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황산화 푸코글루쿠로노만난
JP2003155244A (ja) 2002-09-13 2003-05-27 Kyodo Milk Industry Co Ltd モズク由来のフコイダンを含む食品
KR20040105523A (ko) * 2003-06-07 2004-12-16 박응렬 갈조류로 부터 생리활성물질 연속추출 및 기능성 식품제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82359B (zh) 一种中药农药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646233A (zh) 一种辣椒种子的处理方法
CN105360221A (zh) 一种具有预防冠心病功能的烧饼及其制备方法
CN107279923A (zh) 人参复合发酵营养粉及其制备方法
CN106262264A (zh) 一种泡椒的制备方法
KR101389390B1 (ko) 눈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0187B1 (ko) 괭이모자반으로부터 후고이단을 포함하는 점액성 추출액을채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4547056A (zh) 一种治疗小儿腹泻的外用脐部贴剂及其制备方法
CN107347519A (zh) 一种防治桃树褐腐病的方法
CN103961616A (zh) 一种治疗过敏性咳嗽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0998696A (zh) 一种治疗咽喉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932176A (zh) 一种具有辅助降血脂功能的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8542997A (zh) 一种烧烫伤消炎液及其生产工艺方法
CN108272710A (zh) 一种祛除宠物异味的清洁剂
AU2021101770A4 (en) Scented oint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08261463A (zh) 一种艾叶防风中药治皮肤瘙痒症泡腾片
CN102145065A (zh) 一种具有止痒功效的药酒
CN106038659A (zh) 治愈烫烧伤不留疤痕的外敷中药粉和配制方法及应用
CN105875672A (zh) 一种无公害芹菜病虫害防治的药剂
CN118078881A (zh) 一种用于鼻腔内的药膏及其制作方法
CN110846193A (zh) 一种龙蛇酒及其制作方法
CN104435938B (zh) 治疗湿疹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3316135B (zh) 治疗修复皮肤创伤形成瘢痕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KR101272174B1 (ko) 죽황토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143803A (zh) 一种祛痘液及其生产工艺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