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017B1 - 이차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017B1
KR100590017B1 KR1020040099319A KR20040099319A KR100590017B1 KR 100590017 B1 KR100590017 B1 KR 100590017B1 KR 1020040099319 A KR1020040099319 A KR 1020040099319A KR 20040099319 A KR20040099319 A KR 20040099319A KR 100590017 B1 KR100590017 B1 KR 10059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cooling tube
secondary battery
unit
uni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816A (ko
Inventor
전윤철
김태용
이건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017B1/ko
Priority to US11/290,986 priority patent/US20060113965A1/en
Priority to CNB200510119176XA priority patent/CN100452517C/zh
Priority to JP2005346725A priority patent/JP2006156404A/ja
Publication of KR20060060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2Closed pipes transferring heat by thermal conductivity or phase transition,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전지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전지모듈로부터 단위 전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내부로 냉각매체가 유통되고 외측면에 상기 다수개의 단위 전지가 배열 설치되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다위 전지가 설치되는 삽입케이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전지는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케이스는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되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냉각관, 삽입케이스, 단위 전지, 수나사, 암나사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단위 전지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써,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 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통상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각 단자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지모듈은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단위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각 단위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차 전지 모듈의 열 방출 특성은 전지의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각 단위 전지간에 온도 편차가 발생 되어 충/방전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단위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지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어 결과적으로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지 모듈이 전동 청소기, 전동 스쿠터나 자동차용(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의 대용량 이차 전지로서 적용되는 경우 대전류로 충,방전되므로 사용 상태에 따라서 이차 전지의 내부 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상당한 온도까지 올라가게 되고, 이는 전지 특성에 영향을 주어 전지 고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열 방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단위 전지로 구성된 전지 모듈에 있어서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각 단위 전지가 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여 단위 전지 간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전지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전지모듈로부터 단위 전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단위 전지를 방열시키기 위한 냉각매체 유통로를 갖춘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가 냉각매체 유통로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은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내부로 냉각매체가 유통되고 외측면에 상기 다수개의 단위 전지가 배열 설치되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전지가 끼워지는 단위 전지 삽입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 전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관은 원통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 전지는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케이스는 원통형 단위 전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케이스에 원통형 단위 전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전지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케이스는 상기 단위 전지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가공되어 상호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과 삽입케이스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냉각관과 삽입케이스 사이에는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냉각관으로 유통되는 냉각매체는 냉각용 공기나 냉각수 등의 모 든 기체나 유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전지모듈의 냉각방식으로 공기를 이용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이 공기에 의한 냉각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매체로써 냉각수나 기타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전지모듈(10)을 살펴보면,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단위 전지(11)와, 상기 단위 전지(11)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용 공기가 유통되는 원통형 단면형태의 냉각관(12), 상기 냉각관(1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냉각관(1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단위전지(11)가 끼워지는 삽입케이스(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 전지(11)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케이스(13) 또한 상기 원통형 단위전지(11)와 대응되는 내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케이스(13)와 상기 단위 전지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전지(11)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외주면에 수나사(14)가 일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삽입케이스(13)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위 전지(11)의 수나사(14)와 대응되는 암나사(15)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케이스(13)에 상기 단위 전지(11)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단위전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4)가 삽입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5)에 나사체결되면서 삽입케이스(13)에 단위 전지(11)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케이스(13)는 양단이 개방되어 상기 삽입케이스(13)에 단위 전지(11)가 나사결합되었을 때 일측 선단으로는 단위 전지(11)의 양극 단자가 노출되고 타측 선단을 통해서는 단위 전지(11)의 음극단자가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관(12)을 따라 적층된 다수개의 단위 전지(11)가 노출된 각 단자를 매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냉각관(12)은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 냉각용 공기가 유통되고 외주면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케이스(13)가 부착설치된다.
상기 냉각관(12)의 크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냉각관(12)의 크기에 따라 그 외주면에 배열되는 단위전지(11)의 개수가 증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관(12)과 상기 삽입케이스(13)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이나 구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관(12)과 삽입케이스(13) 사이에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절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개재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냉각관(12)이 사각형 단면구조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전지 모듈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단위 전지(11)와, 사각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로 냉각용 공기가 유통되는 냉각관(12)과, 이 냉각관(12)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고 상기 단위 전지(11)가 끼워지는 삽입케이스(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 전지(11)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삽입케이스(13) 또한 원통형 단위 전지(11)와 대응되도록 원통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케이스(13)는 상기 냉각관(12)의 모서리를 제외한 전면에 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된다.
물론 상기 냉각관(12)의 형태는 사각형 단면구조 이외에 오각형 또는 육각형 또는 그 이상의 면을 갖는 다각형 단면구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다격형 냉각관(12)의 각 면에 삽입케이스(13)가 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관(12)이 사각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위 전지와 삽입케이스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위 전지(11)의 외주면에 수나사(14)를 가공하고, 상기 삽입케이스(13)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15)를 가공하여 상호 나사결합으로 체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본 전지 모듈은 냉각관(12)이 하우징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다수개의 단위 전지(11)를 배열 고정함과 더불어 냉각용 공기를 유통시켜 단위 전지(11)의 열을 방출시키게 된다.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 전지(11)는 중앙의 냉각관(12)을 중심으로 냉각관(12)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단위 전지(11)는 외주면에 수나사(14)가 형성되어 있어서 냉각관(12)에 설치된 삽입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5)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단위 전지(11)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정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삽입케이스(13)에 단위 전지(11)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단위 전지(11)가 삽입케이스(13)로부터 용이하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냉각관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단위 전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관(12)을 통해 냉각용 공기가 유통시킴으로써 단위 전지(11)에서 발생되는 열을 고르게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각 단위 전지(11)가 고르게 냉각관(12)에 접하고 있기 때문으로 냉각관(12)을 지나는 냉각용 공기로부터 동일한 조건하에서 열 교환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각 단위 전지(11)는 냉각관(12)과 접하는 면적이 동일하다. 더불어 상기 냉각관(12)은 단위 전지(11)들의 중앙에 위치함에 따라 냉각관(12)을 통해 지나가 는 냉각용 공기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냉각관(12)에 설치된 전체 단위 전지(11)에 고르게 냉기를 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단위 전지(11)의 방열 조건이 동일하여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전지와 삽입케이스간의 체결력을 높여 단위 전지가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지 모듈의 냉각매체 유로와 각 단위 전지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인 단위 전지 냉각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냉각매체가 단위 전지 사이로 고르게 유통되므로 전지 모듈 전체에 있어서 국부적인 열적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내부로 냉각매체가 유통되고 외측면에 상기 다수개의 단위 전지가 배열 설치되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다위 전지가 설치되는 삽입케이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전지는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케이스는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되는 이차 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은 원통형 단면구조인 이차 전지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은 다각형 단면구조인 이차 전지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는 원통형인 이차 전지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케이스는 상기 단위 전지의 크기와 대응되어 단위 전지와 밀착되는 이차 전지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 또는 상기 외관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과 단위 전지 사이에 절연부재가 개재되는 이차 전지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케이스와 상기 냉각관 사이에 절연부재가 개재되는 이차 전지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은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모듈.
KR1020040099319A 2004-11-30 2004-11-30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19A KR100590017B1 (ko) 2004-11-30 2004-11-30 이차 전지 모듈
US11/290,986 US20060113965A1 (en) 2004-11-30 2005-11-29 Secondary battery module
CNB200510119176XA CN100452517C (zh) 2004-11-30 2005-11-30 二次电池模块
JP2005346725A JP2006156404A (ja) 2004-11-30 2005-11-30 二次電池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19A KR100590017B1 (ko) 2004-11-30 2004-11-30 이차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816A KR20060060816A (ko) 2006-06-05
KR100590017B1 true KR100590017B1 (ko) 2006-06-14

Family

ID=3684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319A KR100590017B1 (ko) 2004-11-30 2004-11-30 이차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0017B1 (ko)
CN (1) CN1004525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7457B2 (en) 2010-06-24 2016-05-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assembly with cooling
CN105870373A (zh) * 2016-05-18 2016-08-17 南京创源天地动力科技有限公司 圆柱电池组中用来放置圆柱电池的散热支架
CN214411310U (zh) * 2019-12-13 2021-10-15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电池包及包括电池包的电动工具系统和充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0425A1 (de) * 1983-11-09 1985-05-15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Hochtemperatur-speicherbatterie
JP4231127B2 (ja) * 1998-09-03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集積電池の温度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90976A (ja) * 1998-09-11 2000-03-31 Ngk Insulators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2001185240A (ja) * 1999-12-28 2001-07-06 Honda Motor Co Ltd 蓄電素子装置
JP4024021B2 (ja) * 2001-07-31 2007-12-1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JP4237452B2 (ja) * 2002-08-01 2009-03-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92625B2 (ja) * 2003-02-25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816A (ko) 2006-06-05
CN100452517C (zh) 2009-01-14
CN1808752A (zh)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4936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060102851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9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5862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48697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69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67943B1 (ko) 이차 전지 모듈
US20060214633A1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KR20060102852A (ko) 이차 전지 모듈
JP2006156404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2061292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0637468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256063B1 (ko) 전지 모듈
KR10062739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70918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9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17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37469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464432Y1 (ko) 단위 전지의 온도 제어에 효율적인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KR100648720B1 (ko) 이차 전지의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KR10071778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18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4869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15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44B1 (ko)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