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659B1 -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659B1
KR100589659B1 KR1020050127970A KR20050127970A KR100589659B1 KR 100589659 B1 KR100589659 B1 KR 100589659B1 KR 1020050127970 A KR1020050127970 A KR 1020050127970A KR 20050127970 A KR20050127970 A KR 20050127970A KR 100589659 B1 KR100589659 B1 KR 10058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backflow
circular protrusion
fixe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7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배수조절이 가능하며, 역류로 인하여 배수구가 밀폐부재로 폐쇄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부 중앙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홈이 구성된 고정단의 저부에 상기 고정홈과 같은 크기로 중공부가 구비된 밀봉패킹이 접착고정된 원형의 밀폐부재와, 상부에 걸림단이 형성되고, 이 걸림단의 저부와 내측으로 단턱되게 구성되며, 바닥 중앙에 배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구의 좌우측에 상부원형돌기가 하향 고정되어 이동몸체로 구성된 이동집수체와, 하수관이 체결되는 하수관홀이 양측에 대응되게 원통형상의 하부몸체가 형성되며, 이 하부몸체의 상부에 지지를 위한 지지대가 구성되되, 이 지지대의 상부 중앙에 밀폐부재가 체결되는 숫나사가 상부에 형성된 체결기둥이 배수구을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기둥의 양측에 상부원형돌기와 대응되도록 하부원형돌기가 구성된 하부집수체와, 상기 상부원형돌기의 외측에 접착고정되며, 상하 신축기능을 갖도록 주름이 형성된 보호주름체와, 이 보호주름체에 내입되어 상부원형돌기와 하부원형돌기에 고정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류방지, 배수구, 걸름망, 집수맨홀, 배수조절체

Description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The structure for the overflow prevention of the sewer}
도 1은 종래의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의한 폐쇄상태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A-A선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역류방지구 11 : 밀폐부재
12 : 이동집수체 13 : 하부집수체
14 : 보호주름체 100 : 스틸그레이팅
101 : 테두리 102 : 스크린
103 : 유입구 111 : 고정판
111a : 고정홈 111b : 암나사
112 : 밀봉패킹 121 : 걸림단
122 : 이동몸체 122a : 배수구
123 : 상부원형돌기 131 : 지지대
132 : 하부원형돌기 133 : 하수관홀
134 : 체결기둥 134a : 숫나사
135 : 하부몸체 200 : 집수맨홀
201 : 개방부 202 : 걸림턱
203 : 수용테두리 204 : 맨홀몸체
205 : 결합관 300 : 하수관
S : 압축스프링
본 발명은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배수조절이 가능하며, 역류로 인하여 배수구가 밀폐부재로 폐쇄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도와 보도가 접하는 차도 경계석이 설치된 면에 인접하여 집수맨홀이 설치되는데, 상기의 집수맨홀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집수맨홀이 설치되고, 상기의 집수맨홀에는 상부에 스틸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집수맨홀은 집중호우나 기타의 외부적 요건으로 인하여 하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을 경우 스틸그레이팅을 통해 집수맨홀로 유입된 하수가 하수관을 따라 흐르지 못하고 역으로 역류되어 도로등에 쏟아져 나오게 되어 가로등의 감전사고나 도로를 이동하는 차량들이 사고를 유발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12015호가 제안된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하수관의 역류방지용 집수맨홀의 전형적인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맨홀(4)의 하부에 양측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하수관(5)과 상기 집수맨홀(4)의 상부에 체결되며 방지막 체결틀(2)이 체결되는 스틸 그레이팅(1)과 상기 방지막 체결틀(2)에 역류를 방지하도록 회동되는 역류방지판(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수가 하수관(5)를 따라 흐지지 못하고 집수맨홀(4)의 상부로 역류하게 되면 수위가 상승하는 하수에 의해 역류방지막(3)이 상측으로 회동되며 서로 끝단이 맞닿아 스틸그레이팅(1)의 저부를 폐쇄하여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수의 양이 많을 경우 유속 또한 증가 되는데 이때, 스틸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된 하수가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하수관을 통해 흐르지 못하고 역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막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긴밀하게 밀착되는 작용력이 약해 역류방지막이 맞닿은 곳을 통해 하수가 밀려서 흘러들어 역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동집수체와 하부집수체의 사이에 압축스프링을 형성시켜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이동집수체가 상하부로 이동하는 개폐작용으로 하수의 배수기능과 역류방지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집수맨홀에 설치가능하여 추가적인 시공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집수맨홀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부식의 가능성이 있는 압축스프링을 보호주름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보수와 유지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좌우로 교차된 스크린에 의해 다수 형성되고 지지를 위한 테두리가 형성된 스틸 그레이팅과, 상부로 개방부가 형성되고 지지를 위한 걸림턱이 내측벽 상부에 형성되되, 외측에 수용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테두리와 단차 되게 형성된 집수맨홀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맨홀몸체 하부의 양측에는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관의 내측으로 하수관이 결합되어진 집수맨홀에 있어서,
저부 중앙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홈이 구비되어진 고정단의 저부에 상기 고정홈과 같은 크기로 중공부가 구비된 밀봉패킹이 접착고정된 원형의 밀폐부재와,
상부에 걸림단이 형성되고, 이 걸림단의 저부 내측으로 단턱되게 구성되며, 바닥 중앙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구의 좌우측에 상부원형돌기가 하향 고정되어 이루어진 이동몸체로 구성된 이동집수체와,
상기 하수관이 체결되는 하수관홀이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하부몸체가 형성되며, 이 하부몸체의 상부에는 지지를 위한 지지대가 구성되되, 이 지지대의 상부 중앙에 밀폐부재가 체결되는 숫나사가 상부에 형성된 체결기둥이 배수구을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기둥의 양측에 상부원형돌기와 대응되도록 하부원형돌기가 구성된 하부집수체와,
상기 상부원형돌기와 하부원형돌기의 외측에 접착고정되며, 상하 신축기능을 갖도록 주름이 형성된 보호주름체와, 이 보호주름체에 내입되어 상부원형돌기와 하부원형돌기에 고정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집수체는 하수의 유입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하수를 배출하고, 배출완료시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를 폐쇄시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의한 폐쇄상태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A-A선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3)가 좌우로 교차된 스크린(102)에 의해 다수 형성 되고 지지를 위한 테두리(101)가 형성된 스틸 그레이팅(100)과, 상부로 개방부(201)가 형성되고 지지를 위한 걸림턱(202)이 내측벽 상부에 형성되되, 외측에 수용테두리(203)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테두리(203)와 단차 되게 형성된 맨홀 몸체(204)가 형성되며, 상기 맨홀몸체(204) 하부의 양측에는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관(205)의 내측으로 하수관(300)이 결합되어진 집수맨홀(200)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11)는 저부 중앙에 암나사(111b)가 형성된 고정홈(111a)으로 구성된 고정판(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1)의 고정홈(111a)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암나사(111b)가 형성된 중공부가 구비된 밀봉패킹(112)이 접착고정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밀봉패킹(112)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하수에 함유된 화학약품에 대해 내화학성과 영하의 기온에서도 동결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 하겠다.
그리고, 이동집수체(12)는 상부에 걸림단(121)이 형성되고, 이 걸림단(121)의 저부 내측으로 단턱되게 구성되며, 바닥 중앙에 배수구(122a)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배수구(122a)의 좌우측에 상부원형돌기(123)가 하향 고정되어 이동몸체(122)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맨홀(200)과 체결되는 하부집수체(13)는 하수관(300)이 체결되는 하수관홀(133)이 양측에 대응되게 원통형상의 하부몸체(135)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몸체(135)의 상부에는 지지를 위한 지지대(131)가 구성되되, 이 지지대(131)의 상부 중앙에 밀폐부재(11)가 체결되는 숫나사(134a)가 상부에 형성된 체결기둥(134)이 배수구(122a)에 관통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기둥(134)의 양측에 상부원형돌기(123)와 대응되도록 하부원형돌기(132)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원형돌기(123)와 하부원형돌기(132)의 외측에 접착고정되며, 상하 신축기능을 갖도록 주름이 형성된 보호주름체(14)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주름체(14)에 내입되어 상부원형돌기(123)와 하부원형돌기(132)에 고정되는 압축스프링(S)으로 형성되어 역류방지구(10)가 구성된다.
상기 역류방지구(10)의 이동집수체(12)는 하수의 유입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하수를 배출하고, 배출완료시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22a)를 폐쇄시켜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순서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맨홀(200)의 결합관(205)에 하수관(300)이 끝단이 맨홀몸체(204)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하면서 지반에 매립시공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하수관(300)의 돌출 끝단에 하수관홀(133)을 체결하며 하부집수체(13)를 개방부(201)를 통해 내입시켜 집수맨홀(200) 바닥에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하부원형돌기(132)에 각각 압축스프링(S)이 끼움 고정되고, 상기 하부원형돌기(132)의 외측과 2개의 보호주름체(14)를 하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폐되도록 고정된다.
이후, 상기 이동집수체(12)에 형성된 배수구(122a)에 체결기둥(134)를 통과 시키고, 상기 하부원형돌기(132)에 고정된 압축스프링(S)의 상부가 상부원형돌기(123)에 끼움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원형돌기(123)과 보호주름체(14)를 전술한 방법으로 밀폐되도록 고정된다.
이후, 밀폐부재(11)를 하부집수체(13)의 체결기둥(134)와 나선체결하고 도 3및 도 4에 도시된 역류방지구(10)가 조립, 시공되는 것이다.
즉, 도 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도면 표기시 점선화살표로 명시함)가 스틸그레이팅(100)을 거쳐 이동집수체(12)로 흘러들게 되면, 하수의 유량에 대한 자중으로 이동집수체(12)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S)과 보호주름체(14)가 동시에 압축되면서 이동집수체(12)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밀폐부재(11)에 의해 밀폐된 이동집수체(12)의 배수구(122a)가 개방되어 배수구(122a)를 통해 하수를 하부집수체(13)로 배수하게 된다.
그리고, 역류가 발생된 경우에는, 하수관(300)으로 유입된 역류수가 이동집수체(12)의 바닥하부를 밀어올리게 되어 밀폐부재(11)의 밀봉패킹(112)에 배수구(122a) 주위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역류수의 유입을 막아 역류를 방지하는 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집수체와 하부집수체의 사이에 압축스프링을 형성시켜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이동집수체가 상하부로 이동하는 개폐작용으로 하수의 배수기능과 역류방지기능의 갖는 효과가 있다.
기존의 지반에 설치된 집수맨홀에 설치가능하여 이로 인한 추가적인 시공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집수맨홀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부식의 가능성이 있는 압축스프링을 보호주름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보수와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3)가 좌우로 교차된 스크린(102)에 의해 다수 형성되고 지지를 위한 테두리(101)가 형성된 스틸 그레이팅(100)과, 상부로 개방부(201)가 형성되고 지지를 위한 걸림턱(202)이 내측벽 상부에 형성되되, 외측에 수용테두리(203)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테두리(203)와 단차 되게 형성된 맨홀 몸체(204)가 형성되며, 상기 맨홀몸체(204) 하부의 양측에는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관(205)의 내측으로 하수관(300)이 결합되어진 집수맨홀(200)에 있어서,
    저부 중앙에 암나사(111b)가 형성된 고정홈(111a)이 구비되어진 고정판(111)과, 상기 고정판(111)의 저부에 상기 고정홈(111a)과 같은 크기로 중공부가 구비된 밀봉패킹(112)이 접착고정된 원형의 밀폐부재(11)와,
    상부에 걸림단(12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121)의 저부 내측으로 단턱되게 구성되며, 바닥 중앙에는 배수구(122a)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구(122a)의 좌우측에 상부원형돌기(123)가 하향 고정되어 이루어진 이동몸체(122)로 구성된 이동집수체(12)와,
    상기 하수관(300)이 체결되는 하수관홀(133)이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하부몸체(135)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35)의 상부에는 지지를 위한 지지대(131)가 구성되되, 상기 지지대(131)의 상부 중앙에 밀폐부재(11)가 체결되는 숫나사(134a)가 상부에 형성된 체결기둥(134)이 배수구(122a)을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기둥(134)의 양측에 상부원형돌기(123)와 대응되도록 하부원형돌기 (132)가 구성된 하부집수체(13)와,
    상기 상부원형돌기(123)와 하부원형돌기(132)의 외측에 접착고정되며, 상하 신축기능을 갖도록 주름이 형성된 보호주름체(14)와, 상기 보호주름체(14)에 내입되어 상부원형돌기(123)와 하부원형돌기(132)에 고정되는 압축스프링(S)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집수체(12)는 하수의 유입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하수를 배출하고, 배출완료시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22a)를 폐쇄시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20050127970A 2005-12-22 2005-12-22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589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970A KR100589659B1 (ko) 2005-12-22 2005-12-22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970A KR100589659B1 (ko) 2005-12-22 2005-12-22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9659B1 true KR100589659B1 (ko) 2006-06-14

Family

ID=3718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970A KR100589659B1 (ko) 2005-12-22 2005-12-22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6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66B1 (ko) 2010-09-09 2012-07-06 김동현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CN110630846A (zh) * 2019-10-28 2019-12-31 邳州捷昌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排水管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66B1 (ko) 2010-09-09 2012-07-06 김동현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CN110630846A (zh) * 2019-10-28 2019-12-31 邳州捷昌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排水管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530B1 (ko) S자형상의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맨홀 조립체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0915632B1 (ko)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KR20200110142A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100591741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589659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0434053Y1 (ko) 회전잠금식 상하수도·전기·통신용 방수 맨홀뚜껑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0407641Y1 (ko) 오수받이
KR100591929B1 (ko) 공동주택내의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779157B1 (ko) 회전잠금식 상하수도·전기·통신용 방수 맨홀뚜껑
KR20080073633A (ko) 공간 투수블럭
KR100336314B1 (ko) 악취 및 역류 방지용 집수받이
KR101030108B1 (ko)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101296348B1 (ko) 자유체결 및 지반변형 수용이 가능한 가로수목 식재박스
KR102090044B1 (ko) 배관 구조물
KR101722450B1 (ko)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KR101698459B1 (ko) 창문 전용 차수장치
KR100836849B1 (ko) 착탈식 개폐기를 구비한 하수역류방지장치
KR200312015Y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용 집수 맨홀 구조
JP2005009279A (ja) 穴あきの排水側溝及び溜桝。
KR20100130708A (ko)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200445570Y1 (ko) 하수관거의 우수 및 오수 분리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