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699B1 - 버스용 레일 - Google Patents

버스용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699B1
KR100588699B1 KR1020030081815A KR20030081815A KR100588699B1 KR 100588699 B1 KR100588699 B1 KR 100588699B1 KR 1020030081815 A KR1020030081815 A KR 1020030081815A KR 20030081815 A KR20030081815 A KR 20030081815A KR 100588699 B1 KR100588699 B1 KR 10058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il
plate portion
bus
out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002A (ko
Inventor
안정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6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버스 차체 보조대의 양측단에 3개 층을 이루도록 이루어진 레일이 상판부와 중판부와 하판부를 갖는 단일부품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레일의 제작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의 상판부와 중판부와 하판부가 상호 일 직선 상에서 외부 압력을 지지하도록 되어 해당 지지력이 증가되며, 상기 양측 중판부의 사이에 체결판이 체결되어 상기 체결판의 하단에 버스에 설치되는 배관 및 배선을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체결판의 상단에 갱웨이방식의 플로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버스, 레일, 플로어

Description

버스용 레일{A RAIL FOR A B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레일부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구조에 따른 버스용 레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플로어 11 - 플로어프레임
12 - 격벽 20 - 세로대
21 - 보조대 30 - 레일
31 - 상판부 32 - 중판부
33 - 하판부 34 - 보강판
40 - 체결판 41 - 파이프
본 발명은 버스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의 중앙 플로어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레일을 단일 개로 통합하여 해당 강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단순 화함과 더불어 그에 따른 체결 및 타 부재와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된 버스용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차체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짜여져 차체의 하부를 이루는 새시(chassis)부와 버스의 외관을 이루는 바디(body)부로 나누어 제작되고, 상기 분리되어 있는 새시 바디를 상호 조립하는 덱킹(DECKING)공법과, 상기 새시 바디의 각 구성품이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빌드업(BUILD UP)공법 등을 통해 상기 버스의 조립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근래에 상기 덱킹공법과 빌드업공법의 장점들을 조합하여 상기 차체의 프레임부분을 먼저 제작하고, 이 프레임구성물에 차체의 외관을 이루는 패널 및 장식 등을 조립하는 세미모노코크(SEMI MONOCOQUE)공법의 사용도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덱킹공법과 빌드공법과 세미모노코크공법 모두에서 통상적인 버스 차체의 새시부와 바디부의 연결점은, 상기 새시부의 상단과 상기 바디부의 하단이 상호 공유하는 레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상기 레일은 상기 버스의 중앙부에서 전/후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상기 버스의 차체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공조장치 및 전기장치들의 배관 및 배선이 설치되도록 되고, 버스의 통로를 이루는 플로어와 버스의 좌석들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여기서, 상기 종래의 버스용 레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일(92)과 중부레일(93)과 하부레일(94)의 3개 층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레일(94)은 버스 새시부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직사각형 관형상의 세로대(20)의 사이에 가로로 체결된 보조대(21)의 양끝단부에 쌍을 이루고 결합된다.
상기 세로대(20)와 보조대(21)는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고 다수개가 설치되고, 이 다수개의 보조대(21) 양끝 상단에 모두 걸치도록 상기 하부레일(94)이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중부레일(93)은 상기 하부레일(94)의 상단에 접해 고정되며, 상기 하부레일(9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기 하부레일(94)의 상단에 결합된다.
또, 상기 세로대(20)의 상단에 상기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면서,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된 가로대(90)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대(90)는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각 세로대(20)의 상단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레일(94)의 상단에 체결된 중부레일(93)의 상단이 상기 가로대(90)의 하단에 접해 상기 가로대(90)를 지지하도록 된다.
상기 상부레일(9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레일(94)과 중부레일(93)이 상기 보조대(21)의 양측단에 접해 설치되는 것에 비해 상기 보조대(21)의 양측단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소정폭 이격된 지점의 상기 가로대(90) 상단에 접해 고정된다.
또, 상기 상부레일(92)은 상기 하부레일(94) 및 중부레일(93)과 동일한 형상 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상부레일(92)의 양측 차체의 외측방향 측단에서 상기 새시부의 외측단에 이르도록 플로어프레임(91)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92)과 플로어프레임(91)의 상단에 버스의 승객실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10)가 안착되어 상기 상부레일(92)은 상기 플로어(10) 및 상기 플로어(10)에 가해지는 승객 및 좌석 등을 하중을 지지하도록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조에 따른 상부레일(92)과 중부레일(93) 및 하부레일(94)은 상호 종방향의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아, 상기 상부레일(92)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중부레일(93) 또는 하부레일(94)로 전달되어 지지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레일(92)에 가해지는 압력의 지지는 상기 가로대(90)에 의존하게 되어 상기 가로대(90)에 보다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어 상기 가로대(90)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상부레일(92)과 중부레일(93) 및 하부레일(94)을 각각 별도로 설치 및 배열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3개의 레일을 각각 제작하는 작업과, 상기 3개의 레일을 각각 배열하는 작업 및 상기 3개의 레일을 각각 용접 및 조립하는 작업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버스의 중앙부 지지 및 배관 및 배선의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3층 구조의 레일을 단일부품으로 구성하여 상기 레일의 제작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버스용 레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부품의 레일로 3개 층의 구조를 이룸과 더불어, 상기 레일의 구조를 이용하여 버스 중앙부 및 플로어를 보다 견고히 지지하고, 상기 레일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에 설치되는 배관 및 배선을 체결할 수 있도록 된 버스용 레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일의 각 층 구조가 단일부품으로 형성된 레일자체로써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레일의 각 층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가로대 등의 부수부재를 폐지할 수 있도록 된 버스용 레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용 레일이 각기 높이가 다른 3개의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판의 일단과 다른 판의 타단이 경사판에 의해 연결되는 형상을 이루고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차체 보조대의 상단에 접해 고정되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와 경사판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체 세로대의 상단에 걸쳐 고정되는 중판부와, 상기 중판부와 경사판으로 연결되며 플로어의 하단에 접하도록 된 상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판부의 외측단과 중판부의 외측단에 걸쳐 판형상을 이룬 보강판이 체결되어 상기 상판부와 중판부간의 결속력 및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대의 양측단에 한 쌍을 이루고 설치된 레일의 상기 한 쌍의 중판부 사이에 체결판이 결합되어 상기 중판부와 하판부 사이 지점에 상기 버스에 설치된 배관 및 배선을 포함하는 파이프를 체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버스의 플로어가 상기 상판부의 상단에 접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플로어가 상기 중판부에 결합된 체결판의 상단에 접하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구조를 도시한 도 4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30)이 차체 보조대(21)의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30)의 상단에 플로어(10) 및 플로어(10)에 체결되는 좌석이 체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30)의 상판부(31) 상단에 플로어(1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30)의 중판부(32)에 플로어(1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세로대(20)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대(21)의 상단에 한 쌍을 이루는 레일(30)이 체결되고, 이 레일(30)의 상단에 플로어(10)가 체결된다.
상기 크로스멤버 어셈블리를 의미하는 세로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막대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되며, 차량중 샤시부품 및 엔진 구동장치, 의장부품을 제외한 버스 바디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일컫는 바디 구조 즉, 버스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고 다수개가 배열되고, 상기 차체 레일(30)의 하판부(33) 및 중판부(32)가 접하게 되며 상기 차체의 폭과 동일한 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삭제
상기 보조대(21)는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세로대(20)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소정폭(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중판부와 하판부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거리) 이격된 상부에 상기 세로대(20)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세로대(20) 사이에 걸쳐 막대형상을 이루고 체결된다.
상기 레일(30)은 상판부(31)와, 중판부(32)와, 하판부(33) 및 보강판(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판부(33)는 상기 보조대(21)의 양측 상단에 접합되도록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보조대(21) 모두의 상단에 걸쳐 고정되도록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됨과 더불어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하판부(33)는 상기 보조대(21)의 양측 상단에 각각 1개씩 체결되어 쌍을 이루고 체결된다.
상기 중판부(32)는 상기 보조대(21)와 세로대(20)가 맞접하는 모서리부에 접한 상기 하판부(33)의 외측단에서 상기 보조대(21)의 중앙방향으로 뻗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세로대(20)의 상단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경사판의 끝단에서 상기 하판부(33)와 수평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형성되며, 그 외측단이 상기 세로대(20)의 상단에 접하도록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중판부(32)는 상기 하판부(33)와 같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33)와 경사판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부(31)는 상기 하판부(33)의 외측단에서 경사판이 상기 중판부(32)의 내측단으로 연결된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중판부(32)의 외측단에 서 상기 보조대(21)의 중앙방향 및 상기 중판부(32)의 상부방향을 이루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이 경사판의 선단에서 상기 중판부(32)의 형상과 동일한 판형상을 이루고 상기 보조대(21)의 외측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30)은 상판부(31)와 중판부(32)와 하판부(33)가 상호 순차적인 높이를 갖도록 배열됨과 더불어, 상기 상판부(31)와 중판부(32)가 경사판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판부(32)와 하판부(33)가 경사판으로 연결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보조대(21)의 상단 양측에 대칭되는 형상의 쌍을 이루고 결합된다.
또, 상기 보강판(34)은 상기 상판부(31)의 외측단과 상기 중판부(32)의 외측단에 걸쳐 고정되도록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31) 및 중판부(32)의 배열에 따라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레일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30)은 그 하판부(33)가 세로대(20)에 체결된 보조대(21)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보조대(21)에 지지된 하판부(33)에 의해 상기 하판부(33)의 상부에 형성된 중판부(32)가 지지되며, 상기 하판부(33)에 지지된 중판부(32)에 의해 상기 중판부(32)의 상부에 형성된 상판부(31)가 지지된다.
또, 상기 중판부(32)의 외측 하단이 상기 세로대(2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중판부(32)의 외측단과 상기 상판부(31)의 외측단이 보강판(34)에 의해 결속되어 상기 상판부(31)의 외측단부와 상기 중판부(32)의 외측단부가 상호 결속 됨은 물론, 상기 중판부(32)의 외측단에 의해 상기 상판부(31)의 외측단부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상판부(31)와 중판부(32)와 하판부(33)가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직선으로 배열됨에 따라 상기 상판부(31)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상판부(31)를 지지한 중판부(32)에 연결된 경사판과 상기 상판부(31)의 외측단과 중판부(32)의 외측단에 체결된 보강판(34)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고, 상기 중판부(32)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보조대(21) 및 하판부(33)와 세로대(2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된다.
또, 상기 차체 플로어(10)를 지지하는 플로어프레임(11)의 중앙부 선단이 상기 상판부(31)의 외측단에 접하도록 뻗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31)의 외측단에 접해 지지됨과 더불어 수직으로 굴곡되어 상기 상판부(31)의 외측단에 체결된 보강판(34)의 형상을 따라 상기 중판부(32)의 외측단에 이르도록 뻗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34)의 외측단을 따라 연장된 플로어프레임(11)의 선단부가 더 연장되어 상기 중판부(32)의 외측 하단에 접합된 세로대(20)의 상부 일단에 접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플로어프레임(11)의 선단부가 상기 보강판(34)의 외측면에 접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세로대(20)의 상부에 접해 지지되면서 상기 플로어프레임(11)의 상단면이 플로어(10)를 지지하게 된다.
또, 상기 보조대(21)에 지지된 레일(30)의 상판부(31) 상면이 상기 플로어(10)의 하단에 접해 상기 플로어(10)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에 체결판이 부착되어 상기 체결판에 버스의 파이프 등 구성품이 부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한 쌍의 레일(30)의 양측 중판부(32)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레일(30)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판(40)이 상기 중판부(32)의 내측단에 접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판(40)은 본 실시예에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그물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판(40)의 하단에 상기 레일(30)을 따라 배열된 버스의 배관 및 배선이 수용된 파이프(41) 들이 상기 체결판(40)의 그물망 개구들로 삽입되는 고리 등의 체결부재로써 상기 체결판(40)의 하단에 결합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라 버스 좌석의 하단보다 통로를 이루는 플로어가 더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갱웨이(GANG WAY)방식의 플로어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루고 형성된 레일(30)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양측 상판부(31)의 상단에 이르도록 플로어(10)가 안착되고, 상기 양측 상판부(31) 사이의 플로어(10)가 상기 레일(30)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레일(30)의 중판부(32) 사이에 체결된 체결판(40)의 상단에 안착된다.
또, 상기 상판부(31) 사이의 플로어(10)가 상기 체결판(40)의 상단에 접합됨과 더불어 상기 체결판(40)이 안착된 플로어(10)의 양측단과 상기 상판부(31)에 안 착된 플로어(10)의 각 선단사이에 판형상을 이루는 격벽(12)이 체결되어 상기 레일(30)의 상부가 외측으로 표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30)의 상판부(31) 사이에 형성된 플로어(10)가 상기 상판부(31)와 중판부(32)의 높이 만큼 양측의 플로어(10)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플로어(10)부분에 좌석이 배치되어 상기 버스의 통로를 이루는 플로어(10)가 상기 좌석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갱웨이방식의 버스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에 적용되는 레일이 단일부품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의 제작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레일의 상판부와 중판부와 하판부 모두가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에 가해지는 압력이 레일 전체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해당 지지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레일의 체결 및 지지를 위한 가로대 등의 별도 부수부재가 폐지되어 부품수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통상의 플로어방식은 물론, 좌석의 하단위치 보다 더 낮은 통로를 이루는 플로어방식의 적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세로대에 걸쳐진 보조대의 양측 상단에 체결되도록 지면을 수평한 판형상을 이루고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하판부;
    상기 보조대의 양측 끝단 방향 상기 하판부의 외측단에서 상기 보조대의 중앙방향 및 상기 보조대의 상부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형성된 경사판의 선단에서 상기 하판부의 외측단 방향으로 굴곡된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세로대의 상단에 그 외측 하단이 걸쳐지는 중판부;
    상기 중판부의 외측단에서 상기 하판부에 형성된 경사판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경사판의 선단에서 상기 중판부의 외측단 방향으로 굴곡된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상단면에 플로어가 안착되는 상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버스용 레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외측단과 중판부의 외측단에 걸쳐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보강판이 체결되어 상기 세로대의 상단에 지지된 중판부의 외측단부가 상기 상판부의 외측단부를 더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의 양측단에 각각 체결되어 한 쌍을 이루는 레일의 상기 양측 중 판부 내측단 사이에 판형상을 이루는 체결판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일.
KR1020030081815A 2003-11-18 2003-11-18 버스용 레일 KR100588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815A KR100588699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용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815A KR100588699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용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002A KR20050048002A (ko) 2005-05-24
KR100588699B1 true KR100588699B1 (ko) 2006-06-12

Family

ID=3724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815A KR100588699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용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6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002A (ko) 200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9020B2 (ja) 自動車用の膝支持体
JP4121461B2 (ja) 自動車両
US717886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424208B2 (ja) 車体の前部構造
US8517459B2 (en) Body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structure
US20100026046A1 (en) Stiffe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04583062A (zh) 汽车的frp制舱室
RU2549230C1 (ru) Поперечина сиденья моду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JP5346799B2 (ja) 車体上部構造
CN102381367A (zh) 用于车辆的后部车身底板
JP4478409B2 (ja) 車両のための上部構造体
JP4916384B2 (ja) 鉄道車両
US7118168B2 (en) Motor vehicle chassis
JP4621978B2 (ja) 車両用シート取付構造
EP1227032A3 (en) Passenger-carrying motor vehicle with a modular skeleton
KR100588699B1 (ko) 버스용 레일
JP2005247178A (ja) 車両の燃料タンク配設構造
CN111516762A (zh) 带有格式框架的运载工具、优选商用车
CN110962935A (zh) 低地板车辆及其车架
JP2009012634A (ja) 車両の車体構造
CN210391347U (zh) 全地形车及其驾驶舱
CN209921317U (zh) 背靠背座椅骨架、车辆构架及车辆
JP5704310B2 (ja) バスの床構造
KR100456942B1 (ko) 버스용 플로어 구조
CN209921316U (zh) 背靠背座椅骨架、车辆构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