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460B1 -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460B1
KR100588460B1 KR20040045154A KR20040045154A KR100588460B1 KR 100588460 B1 KR100588460 B1 KR 100588460B1 KR 20040045154 A KR20040045154 A KR 20040045154A KR 20040045154 A KR20040045154 A KR 20040045154A KR 100588460 B1 KR100588460 B1 KR 10058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time
past
current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988A (ko
Inventor
김아란
나동원
엄봉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4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460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46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특정 지역에 진입하거나 또는 그 지역으로부터 이탈할 경우의 위치 기반 서비스 개발 시에 지속적인 위치 추적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위치 측위 시스템에 대한 부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은, 통보지역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과거 일정 시점의 단말의 Zone 별 위치를 입력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과거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거 위치 획득 서버; 무선 네트웍 망에서 확인이 가능한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재 위치 획득 서버; 그리고 과거 위치 획득 서버 및 현재 위치 획득 서버의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또는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여 알려(Alert)주는 위치기반 시스템 플랫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로 구성된다.
LBS(Location Based System), ABS(Alert-Based Services), PDE(Positioning Determining Entities)

Description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PRE-PROXIMIT RECOGNITION ALERT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이동통신 단말기 2: 과거 위치 획득 서버
3: 현재 위치 획득 서버 4: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Location Based Service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진입하거나 또는 그 지역으로부터 이탈할 경우의 위치 기반 서비스 개발 시에 지속적인 위치 추적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위치 측위 시스템에 대한 부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원격통신 경쟁시대에 있어서, 이동국 오퍼레이터들은 차별화를 통하여 수익을 증가시키는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들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가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와 같은 고도의 개인화된 서비스이다. 또한, 이동국 오퍼레이터들은 비상 서비스를 고려하는 LBS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구조를 갖출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LBS의 주요 범주로는, 위치기반 정보, 위치감응 빌링(Location-Sensitive Billing), 비상서비스 및 트랙킹(Tracking)이 있다.
LBS의 독특한 특징 중에 하나는 경보기반 서비스(Alert-Based Service; ABS)를 지원하는 성능에 있다. 경보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무선 네트워크 내에 등록된 이동국들이 모니터되며, 이동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에 대한 경보가 트리거(Trigger)된다. 소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진입하는 특정한 이동국에 대한 경보가 발생(Fire)되면, 특정한 이동국으로의 메시지 전송 또는 테이터베이스의 갱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조치가 취해지게 된다. ABS의 적용분야는, 마케팅, 광고, 법시행, 비상사태 모니터링 및 통신기반 서비스의 목적으로 상업에서부터 정부분야까지 광범위하다.
무선 LBS의 채택이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 및 다른 이동위치 데이터 제공자들은 증가하는 양의 이동위치 데이터를 다양한 경보기반 애플리케이션들에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보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의 위치 데이터 요건은 광범위하게 변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지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동국의 사용자가 수시로 생성하는 시기적절한 테이터를 필요로 하 게 된다. 사용자 트랙킹을 수행하는 몇몇 다른 타입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 위치 요구들 간의 지연으로 인해, 데이터를 단지 간헐적으로 요구하기도 한다.
ABS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위치선정(Positioning), 즉 네트워크 내의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능력이다. 광범위하게 다루어지는 위치선정 기술의 한 예로는 글로벌 위치선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있다. 상기 GPS 이외의 다른 위치선정 기술들은, 전형적으로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셀 사이트들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3각 측량 수단에 의존한다.
위치 시스템의 다른 양상 중의 하나는 지리적인 데이터(Geographic data)이다. 지리정보 시스템(Geogrphic Information System; GIS)은 인조 구조물(거리, 빌딩) 및 지형(산, 강)과 같은 베이스 맵 데이터(Base map data)를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GIS는 또한 주유소,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등의 위치와 같은 관심 집중 데이터(Point-Of-Interest data)를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마지막으로, GIS 정보는 또한 이동 네트워크의 무선주파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셀 사이트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GIS 정보는 이동 사용자들의 위치를 정하고 그 위치 근처의 맵 데이터를 알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ABS 애플리케이션들을 대신하여 위치선정 및 GIS 데이터를 처리하는 위치관리함수(Location Management Function)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상기 위치관리함수는 위치선정 장비 및 LBS/ABS 인프라구조 사이의 게이트웨이 또는 중재자(Mediator)의 역할을 하는 미들웨어(Middleware)이다. 특히, 위치관리함수는 위치선정에 따른 정보를 유용한 위치정보로 변환한 후, 다양한 ABS 애플리케이션들이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관리함수 및 1 개 이상의 네트워크 엔터티들을 포함하는 요구/응답 메커니즘은 네트워크 내의 이동국에 대한 위치정보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위치요구들을 수신하는 요구/응답 매커니즘에 포함될 수 있는 네트워크 엔터티로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s; MSC), 홈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HLR), 방문 위치 레지스터(Visited Location Registers; VLR), 게이트웨이 이동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s; GMLC), 서비스 이동위치 센터터(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s; SMLC), 이동 위치선정 센터(Mobile Positioning Centers; MPC) 및 위치결정 엔터티(Positioning Determining Entities; PDE)가 있다. 상기 요구/응답 메커니즘들은 오늘날의 일반적인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즉 미국 규격표준협회(ANSI)-41 및 이동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ity; GSM)에 의해 지원되는 시그널링에 영향을 줌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현재 일반화된 SS7 시그널링 방식이 이러한 요구/응답 메커니즘을 지원할 수 있지만 다른 전송 메커니즘들 또한 이러한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들은, 각 위치요구가 발생된 후 바로 네트워크가 이를 어드레스할 수 있도록 요구한다. 또한, 대부분의 ABS 애플리케이션들은, 몇분 또는 그 이하의 시간 내에 사용자 위치정보를 요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각 ABS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관심있는 각 사용자에 대한 빈번한 요구들에 응답하고자 시도할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위치정보를 얻어야 하는 어려운 요건들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의 스위칭 및 전송성능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네트워크 내에서의 대역폭 및 부하의 한계로 인해, ABS 애플리케이션들을 인에이블 시킴으로써 가치있는 위치정보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 지역에 진입하거나 특정 인물간 서로 근접 시 알려 주기 위해서 위치 수집 서버에서는 위치 수집 네트워크(HLR, PDE 등)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위치를 알아와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위치수집 네트워크 및 위치수집 서버에 부하를 주어 시스템 증설을 필요로 하고, 인접이 되지 않을 경우 한번도 해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함에도 네트워크 사용량은 지나치게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에 진입할 경우의 위치 기반 서비스 개발 시에 지속적인 위치 추적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위치 측위 시스템에 대한 부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은, 통보지역과 오차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과거 일정 시점의 단말의 Zone 별 위치를 입력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음성 통화시 획득할 수 있는 위치 값 및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과거 위치 획득 서버; 무선 망에서 확인 가능한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재 위치 획득 서버; 및 상기 과거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획득된 위치 값에 대한 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통보지역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착 예정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시간보다 클 경우, 상기 도착 예정 시간과 현재시간의 시간 차를 다음번 위치 확인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다음번 위치 확인 시간 이후의 위치를 상기 과거 위치 획득 서버의 위치 값으로 상정하며,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현재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과거 일정 시점으로 상정하고, 상기 도착 예정시간을 토대로 상기 통보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플랫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은, a) 특정 지역 진입에 따른 근접 알림 서비스를 신청한 후 경보 지역 및 그 지역의 오차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b) 사용자의 과거 위치 정보 및 그 위치에 따른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과거의 위치 값과 경보 지역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판단결과, 상기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과거의 위치 값과 경보(Alert) 지역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착 예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e) 과거의 위치에 따른 시간과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 시간 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클 경우에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현재 시간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은, WAP 또는 HTTP 등의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통보지역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와; 과거 일정 시점의 단말의 Zone 별 위치를 입력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무선망 통화시 획득하는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거 위치 획득 서버(2)와; 무선망의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재 위치 획득 서버(3)와; 그리고 상기 과거 위치 획득 서버(2)로부터 획득된 위치 값에 대한 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통보지역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착 예정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시간보다 클 경우, 상기 도착 예정 시간과 현재시간의 시간 차를 다음번 위치 확인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다음번 위치 확인 시간 이후의 위치를 상기 과거 위치 획득 서버(2)의 위치 값으로 상정하며,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현재 위치 획득 서버(3)로부터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과거 일정 시점으로 상정하고, 상기 도착 예정시간을 토대로 상기 통보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플랫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보지역 설정 애플리케이션은 PC, WAP, WEB, PDA 등에서 실행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고, WAP 서비스에 따른 IP 프로토콜, Call Back URL 및 WAP 푸쉬를 제공할 수 있는 전송망 및 IP Back 망을 통해,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랫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 획득 서버(3)는 Cell-ID 방식으로 현재 단말의 위치를 페이징하여 조회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s) 또는 GPS 폰의 GPS 신호를 통해 현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MPC(Mobile Position Centers)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시스템에 대한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지역(회사, 학교)에 진입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자는 특별히 그 지역에 진입한 시간이나 경로 등을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WEB/WAP 등의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에 특정 지역 진입에 따른 근접알림 서비스를 신청한 후, 진입 시 알람을 해줄 지역 및 오차 범위를 설정한다(S201). 예를 들면, 학교 근방 5분 거리 진입 시에 사용자에게 통보해주는 서비스를 신청하게 된다.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사용자가 입력한 경보지역의 위, 경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의 거리범위를 계산하여 경보(Alert) 범위를 잡는다(S202).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상기 과거 위치 획득 서버(2)에 사용자의 과거의(지난) 위치 정보 및 그 위치에 따른 시간정보(LT)를 요청한다(S203).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과거의 위치 정보는 Zone 별 이동 로그 및 통화 시에 올라오는 위치 로그 값 등을 의미한다.
이후에, 상기 과거의 위치 값과 경보(Alert) 지역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04). 여기서, 상기 판단과정은 루프(Loop)를 돌아야 하기 때문에, 첫번째 루프를 수행했을때 "1"이라 할 경우 "LT(루프한 횟수) = LT" 로 표시된다.
상기 단계(S204)의 판단 결과, 상기 과거의 위치 값과 경보 지역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과거의 위치 값과 경보(Alert) 지역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착 예정시간(DT)을 계산한다(S205). 여기서, 상기 도착 예정시간(DT)은 과거의 일정 지점에서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걸리는 예상시각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과거의 위치를 얻어온 시간(LT)과 도착 예정시간(DT1)을 더하여, 그 시간이 현재 시간(T)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206).
상기 단계(S206)의 판단결과, 상기 시간(LT+DT1)이 현재 시간(T) 보다 클 경우, 다음번 위치 확인 시간(NT)을 계산한다.
여기서,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되며, 산출 결과에 대한 수학적 부호는 무의미할 것이다.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NT) = 현재 시간(T) - (과거의 시간(LT) + 도착 예정 시간(DT1))
이후,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현재 시간(T)으로부터 계산된 다음 번 위치 확인시간(NT)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S203)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208).
한편, 상기 단계(S206)의 판단결과, 상기 시간(LT+DT1)이 현재 시간(T) 보다 작을 경우, 위치 측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단계(S209)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09)에서,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상기 현재 위치 확인 서버(3)을 통해 현재의 사용자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획득된 현재의 사용자 위치를 Caching 기능에 의해 저장하며, 다시 과거의 위치 값으로 활용한다.
이후,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현재의 사용자 위치가 경보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210). 상기 단계(S210)의 판단결과, 경보 지역 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사용자에게 경보를 통해 특정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려준다(S212).
한편, 상기 단계(S210)의 판단결과, 경보 지역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렛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4)은 현재의 위치에서 다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설정한다(S213).
이후, 상기 설정된 도착 예정시간은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이 되고,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에 다시 상기 단계(S203) 이후의 과정이 반복 수행된다(S208).
만약에, 다시 마지막 위치 확인을 물었을 경우, 상기 단계(S210)에서 설정된 시간 이후의 데이터가 없을 경우 바로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 측위 네트워크에 요청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에 의해, 특정 지역 진입 및 이탈 시에 쓸데없이 반복되는 위치 추적 횟수를 감소함으로써 위치 측위 시스템 사용에 대한 부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 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지역에 진입할 경우의 위치 기반 서비스 개발 시에 지속적인 위치 추적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위치 측위 시스템에 대한 부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7)

  1. 통보지역과 오차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과거 일정 시점의 단말의 Zone 별 위치를 입력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음성 통화시 획득할 수 있는 위치 값 및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과거 위치 획득 서버;
    무선 망에서 확인 가능한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재 위치 획득 서버; 및
    상기 과거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획득된 위치 값에 대한 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통보지역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착 예정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시간보다 클 경우, 상기 도착 예정 시간과 현재시간의 시간 차를 다음번 위치 확인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다음번 위치 확인 시간 이후의 위치를 상기 과거 위치 획득 서버의 위치 값으로 상정하며,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현재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과거 일정 시점으로 상정하고, 상기 도착 예정시간을 토대로 상기 통보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플랫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WAP 또는 HTTP 등의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지역 설정 애플리케이션은,
    PC, WAP, WEB, PDA 중 어느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고, WAP 서비스에 따른 IP 프로토콜, Call Back URL 및 WAP 푸쉬를 제공할 수 있는 전송망 및 IP Back 망을 통해, 상기 위치기반 시스템 플랫폼(Location Based System Platform)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획득 서버는,
    Cell-ID 방식으로 현재 단말의 위치를 페이징하여 조회하는 MPC(Mobile Position Centers) 또는 GPS 폰의 GPS 신호를 통해 현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s)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6. a) 특정 지역 진입에 따른 근접 알림 서비스를 신청한 후 경보 지역 및 그 지역의 오차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b) 사용자의 과거 위치 정보 및 그 위치에 따른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현재의 위치 정보와 과거의 위치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판단결과, 상기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과거의 위치 값과 경보(Alert) 지역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착 예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e) 과거의 위치에 따른 시간과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 시간 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클 경우에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현재 시간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지역 설정은,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이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과거 위치 정보는,
    Zone 별 이동 로그 및 통화 시에 올라오는 위치 로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예정시간은,
    과거의 일정 지점에서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은,
    현재 시간으로부터 과거의 시간과 도착 예정 시간의 합을 감산한 결과치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과거의 위치에 따른 시간과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 시간 보다 적을 경우, 위치 측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현재의 사용자 위치를 확인한 후, 획득된 현재의 사용자 위치를 과거의 위치값으로 다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12. a) 특정 지역 진입에 따른 근접 알림 서비스를 신청한 후 경보 지역 및 그 지역의 오차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b) 사용자의 과거 위치 정보 및 그 위치에 따른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과거의 위치 정보와 경보 지역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판단결과, 상기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과거의 위치 값과 경보(Alert) 지역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착 예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e) 과거의 위치에 따른 시간과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 시간 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클 경우에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f) 상기 판단결과, 과거의 위치에 따른 시간과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이 현재 시간 보다 적을 경우, 위치 측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현재의 사용자 위치를 확인 한 후, 획득된 현재의 사용자 위치를 과거의 위치값으로 다시 활용하는 하는 단계; 및
    g) 현재의 사용자 위치가 경보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 후, 경보 지역 내에 포함될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통해 특정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g)의 판단결과,
    경보 지역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현재의 위치에서 다시 목적지까지의 도착예정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지역 설정은,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이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과거 위치 정보는,
    Zone 별 이동 로그 및 통화 시에 올라오는 위치 로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예정시간은,
    과거의 일정 지점에서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번 위치 확인 시간은,
    현재 시간으로부터 과거의 시간과 도착 예정 시간의 합을 감산한 결과치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근접 인식 알림방법.
KR20040045154A 2004-06-17 2004-06-17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5154A KR100588460B1 (ko) 2004-06-17 2004-06-17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5154A KR100588460B1 (ko) 2004-06-17 2004-06-17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88A KR20050119988A (ko) 2005-12-22
KR100588460B1 true KR100588460B1 (ko) 2006-06-12

Family

ID=3729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5154A KR100588460B1 (ko) 2004-06-17 2004-06-17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4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88A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826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lf-learning location method selection logic
CN100579300C (zh) 一种在移动通讯系统中触发型定位的实现方法
EP1264493B1 (en) Service provi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446972B1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JP3959997B2 (ja) 車両交通量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749159B1 (ko) 이동국에 관한 정보 제공
US61698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storical data for location services
JP2006502681A5 (ko)
JP200205137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ロケーション情報の伝達
JP2008517372A (ja) 位置データベース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7189594A (ja) 携帯端末の状態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
US20050026626A1 (en) Wireless network with positioned mobile devices
US7532897B2 (en) Location caching and extrapolation based on speed
US20160007149A1 (en) Service provi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588460B1 (ko) 사전 근접 인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3334B1 (ko) 지피에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관련정보제공방법
EP1141742A1 (en) Locating system for mobile stations
KR10093224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측위 방법
KR100584447B1 (ko)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5305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가능 지역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01773B1 (ko) Gps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KR100566112B1 (ko) 속도측정 에이전트를 이용한 위치 측위방법
JP418240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通知制御方法
KR100529858B1 (ko) Gps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정보 제공및 활용방법
WO2010078968A1 (en) Location-based char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