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967B1 -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용역 중개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용역 중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967B1
KR100587967B1 KR20040018817A KR20040018817A KR100587967B1 KR 100587967 B1 KR100587967 B1 KR 100587967B1 KR 20040018817 A KR20040018817 A KR 20040018817A KR 20040018817 A KR20040018817 A KR 20040018817A KR 100587967 B1 KR100587967 B1 KR 10058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lephone number
telephon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889A (ko
Inventor
신용균
Original Assignee
신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균 filed Critical 신용균
Priority to KR2004001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9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9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용역 중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역별 및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의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과 상기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여 통화시도를 개시할 수 있는 검색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은, 다수의 용역 제공자에 의한 가맹 신청 시 링크 전화번호를 접수받아 지역별 및 유형별로 미리 구분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시켜 둔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용역 소비자가 선택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상기 수신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그 이후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으면,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부여된 용역 제공자의 전화 수단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 요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과하고 부과된 통화 요금 내역을 저장한다.

Description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용역 중개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eceiver-charged direct call telephone number set locally categorized by service type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service offer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의 시스템을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한 필드 구조도들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들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용역 중개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용역 중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소비자가 각종 용역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전화번호부, 여러 가지 유형의 광고 전단지나 스티커 등으로부터 용역 제공자의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용역 의뢰를 위한 전화 연락을 취하였다. 여기서, 용역이라 함은, 중국음식; 피자 등 음식 배달 서비스, 쌀; 야채 등의 생필품 배달 서비스, 파출부; 간병인; 베이비시터 등의 대인케어서비스, 미장; 목공; 페인트 등 대인노역서비스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소비자가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 비용을 지불하는 모든 형태의 서비스를 지칭한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은, 일단 전화번호부나 기타 광고 매체 등과 같이 별도의 전화번호 수록 매체에 대한 접근 가능성이 있어야 실현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만약, 전화번호 수록 매체에 대한 접근 가능성이 없을 경우, 용역 소비자는 실질적으로 '114'에 문의를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전화번호 문의 과정에서 별도의 전화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리고, 용역의뢰를 위해 전화 연락을 취한 용역 제공자의 위치가 용역 소비자의 위치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는 경우, 원활한 용역의 제공이 어렵다 (특히, 음식배달 등 현장즉응서비스가 필요한 용역 등에서).
또한, 용역 소비자가 용역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 용역 의뢰를 해 놓고서도 서비스의 질을 믿지 못하므로, 용역의 완료가 이루어질 때까지 감시 감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특히, 대인노역서비스 등에서).
나아가, 제공된 용역의 질이나 완성도가 낮은 경우는, 용역 소비자는 대금을 지불하고도 용역 이용에 대한 취지를 살리지 못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가 급속도로 확산 보급됨에 따라, 각종 용역에 관한 구인 구직 사이트가 유선 인터넷상에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용역 제공자를 쉽게 찾은 후, 해당 용역 제공자와 연락을 취하여 용역을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유선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한 용역 중개 방식은, 위와 같은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용역 이용과 관련된 중개 수수료를 사이트 운영자에게 지급하여야 하고, 유선 인터넷이라고 하는 속성 상 이동적 환경에서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이 따른다.
한편, 최근 주식회사 한국통신에서 '1588 전국 대표번호 서비스'를 상용화하여 실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있다. 상기 대표번호 서비스는 전국에 여러 개의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정부기관, 언론사, 대기업, 은행 등에서 각 지점이나 기 관별로 이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하나의 대표번호로 묶은 다음, 전국 대표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이용자의 발신지역과 가장 가까운 지점이나 기관에 연결해 주는 서비스이다.
하지만, 이러한 대표전화 서비스의 경우, 일일이 해당 기관이나 지점의 전화번호를 인지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는 편리함은 있지만, 최소한 사용자가 전국 대표번호를 인지하고 있어야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여전히 있다.
또한, 상기 대표전화 서비스의 경우, 이용 가능한 업체가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익기관, 언론/방송사/민원부서, 은행의 텔레뱅킹, 전국에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업체로만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대인케어서비스나 대인노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용역 제공자는 상기 대표전화 서비스의 수혜를 보지 못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대부분의 국민들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역 기반의 용역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을 탑재하고, 개별적인 전화번호의 인지가 전제되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필요할 때 지역별, 용역 유형별 용역 제공자와 전화연락을 취하여 당사자와의 대면적 용역의뢰를 할 수 있으면서도 용역 소비자에게 별도의 요금부담은 발생시키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최 근접지에서 용역 소비자에게 용역 을 제공할 수 있는 용역 제공자와 용역 소비자 사이에 전화 통화로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용역의 중개를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지역 명칭, 용역의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을 검색 인자로 입력받고, 상기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출력하고, 특정 전화번호의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한 통화시도를 개시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 수단은, 플래쉬 메모리, 롬 또는 별도의 메모리 칩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역은 행정구역의 '읍면동' 단위로 구분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에 포함된 각 전화번호에는 전화번호가 할당된 지역 명칭과 용역 유형이 연계되어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은,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용역 소비자가, 상기 전화번호 목록에서 지역별, 용역유형별로 검색을 실시하여 특정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선택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용역 제공자와 통화로를 형성시켜 용역의 중개를 실현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먼저 용역 제공자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가맹 신청을 접수 받아 용역 제공자가 접수하거나 용역제공자에게 제공된 링크 전화번호를 지역별 및 용역 유형별로 미리 분류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상호 연계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검색 및 선택된 특정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그 이후에, 상기 수신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그러고 나서,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으면,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부여된 용역 제공자의 전화 수단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 요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과하고 부과된 통화 요금 내역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용역 제공자가 가맹 신청 시 제공하는 정보는, 용역 제공자의 성명; 용역을 제공하게 될 지역 명칭; 및 용역이 속하는 용역 유형; 및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링크시킬 전화 수단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화 수단은 일반 유선전화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수신은 이동통신사 시스템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일반 유선전화 번호인 경우, 상기 (d) 단계에서, 통화로의 형성은, 유선 전화망에 포함된 전화 교환국과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d) 단계에서, 통화로의 형성은, 이동통신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용역 제공자와 용역 소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역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소지한 용역 소비자(20), 일반 전화(30)나 이동통신 단말기(40)를 소지한 용역 제공자(50), 그리고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다수의 용역 제공자(50)로부터 가맹 신청을 받은 후, 적절한 심사를 거쳐 가맹 적격자를 선정하고, 가맹자로 선정된 용역 제공자(50)에게 수신자 부담의 성격이 있는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라 칭한다)를 할당해 주거나 접수를 받는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용역을 제공받은 용역 소비자(20)가 특정 용역 제공자(50)에 대해 클레임을 수차례 제기할 경우, 가맹을 해지하고 용역 제공자(50)에게 할당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회수하거나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역 제공자(50)의 자율적 통제를 통해 용역 서비스의 질을 높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회수 기준은 상기한 정책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후술하겠지만, 동일한 지역 내에서 동일한 용역 유형에 대해 할당 가능한 전화번호의 개수에는 제한이 따르므로, 가맹자 선정은 허용되는 전화번호의 개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 신청은 유선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가맹 신청을 온라인을 통해 접수받기 위한 웹사이트(7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맹 신청 시 용역 제공자(50)는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시킬 링크 전화번호와, 용역 제공자(50)의 성명; 용역 유형; 용역 제공 지역; 주민등록번호; 용역 제공자(50)의 거주지 주소; 사업자등록번호(있는 경우에 한함); 비상 연락처; 전자메일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등을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에게 제공한다.
상기 링크 전화번호는 일반 유선 전화번호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가맹 신청 당시 용역 제공자(50)가 제공하는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80)에 수록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가 유선전화 사업자(현재는 주식회사 한국통신 등 기간통신사업자이다)로부터 대량으로 할당받은 전화번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전국 대표전화 서비스(1588 서비스)와 같이 국번이 없는 전화번호나 지역국번의 일반전화번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지역적 그리고 용역 유형별로 분산시킨다. 이 때, 지역적 분산은 행정구역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전국에 있는 '읍면동'별로 소정 수의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할당하고, 다시 할당된 전화번호를 해당 '읍면동' 내에서 용역 유형별로 분할하여 재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에 400개의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할당하고, 다시 '서초동' 내에서 '피자배달'에 2곳, '쌀배달'에 2개, '유리시공'에 2개, '이사'서비스에 2개 등과 같이 할당한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지역별, 용역 유형별 할당 상황을 데이터베이스(80)로 관리한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가맹이 확정된 용역 제공자(50)로부터 획득하거나 제공된 링크 전화번호를 특정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시키며, 전화번호 연계 현황을 데이터베이스(80)에 수록하여 관리한다.
한편, 상기 용역 소비자(20)가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즉,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90)과 이에 대한 검색 프로그램(100)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전화번호 목록(90)을 자체적인 메모리 수단에 수록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 수단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플래쉬 메모리, 롬, 또는 별도로 장착된 메모리 칩이다.
상기 전화번호 목록(90)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조 출시 당시에 메모리 수단에 수록될 수도 있고, 사후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구입 대리점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수단에 수록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화번호 목록(90)은 필요에 따라 업그레이드됨으로써 최신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업그레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구입 대리점에서 수행되어도 무방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이 있는 경우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화번호의 목록(90)을 갱신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전화번호 목록(90)을 갱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용역 소비자(20)는 용역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되어 있는 검색 프로그램(100)을 실행하고 전화번호 목록(90)을 검색한다. 이 때, 검색 인자는 지역과 용역 유형이 된다. 예를 들어, 용역 소비자(20)는 '서초동'을 지역 인자로, '피자배달'을 용역 유형 인자로 선택하여 검색을 수행한다.
상기 검색 프로그램(100)은 검색 인자에 따라 전화번호 목록(90)에서 해당하는 용역 제공자(50)의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2~3개 또는 그 이상)를 제공한다. 그러면 용역 소비자(20)는 특정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대안적으로, 특정 전화번호의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통화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통화 요청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이와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를 독출하고 공지된 전화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용역 제공자(50)의 링크 전화번호에 의해 전화통화로 형성을 시도한다. 전화통화로 형성시도 이후에 용역 제공자(50)가 전화를 받게 되면,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 사이에 전화 통화로를 형성시켜주며,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20)는 용역 제공자(50)에게 용역 가격과 같은 조건을 구체적으로 협의한 후 용역을 의뢰하게 된다. 이로써,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 사이에 용역 제공과 관련된 현장즉응상담 및 주문 등 중개가 이루어진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 수단에 수록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90)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구조는 가맹 신청이 완료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각각에 대하여 해당하는 지역 명칭 정보와 용역 유형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구조는 최종적인 데이터 갱신 일자를 포함한다.
상기 지역 명칭 정보는, 지역 명칭에 의한 효과적인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행정구역 구분 단위에 따라 보다 세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에서는, 지명 명칭을 지역 명칭1, 2 및 3으로 보다 구체화시켰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화번호 연계현황에 대한 데이터 구조는 각 용역 유형이 속하는 용역 카테고리 정보가 수록되는 컬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자배달'에는 '음식배달 '이라는 용역 카테고리 정보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도2에서는,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의 일부 용역 유형에 한하여 데이터 구조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나머지 데이터 구조도 이와 유사함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되는 검색 프로그램(100)은 특정 키패드의 조작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검색 프로그램(100)은 지역 정보와 용역 유형에 의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검색 기능에 의해 상기 검색 프로그램(100)은 상기 데이터 구조에서 해당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독출한 후 그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킨다.
상기 검색 프로그램(100)이 제공하는 검색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일예로, 검색 프로그램(100)은 1차로 지역 정보를 계층적 카테고리 구조로 제공해 준다. 이를 통해, 용역 소비자(20)는 특정 지역(예컨대, '서초동')을 선택한다. 그러면, 검색 프로그램(100)은 선택된 지역에 속한 용역 유형들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용역 소비자(20)가 특정 용역을 선택하면 그 용역에 할당되어 있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제공한다.
다른 예로, 검색 프로그램(100)은 1차로 용역 유형을 계층적 카테고리 구조로 제공해준다. 이를 통해, 용역 소비자(20)는 특정 용역 유형(예컨대, '피자배달')을 선택한다. 그러면, 검색 프로그램(100)은 선택된 용역의 제공이 가능한 지역 정보를 계층적 카테고리 구조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20)는 특정 지역 정보(예컨대, '서초동')을 선택한다. 그러면, 검색 프로그램(100)은 용역 소비자(20)가 선택한 지역에 속하며 용역 소비자(20)가 선택한 용역 유형에 할당되어 있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검색 프로그램(100)은 용역 소비자(20)가 직접 검색 인자인 지역 정보와 용역 유형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색 프로그램(1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곧 바로 통화버튼의 조작 시와 마찬가지로 선택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한 전화통화 시도를 개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역 중개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용역 중개 사업자 시스템(110)(이하, '사업자 시스템'으로 약칭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업자 시스템(110)은 유선 전화 사업자의 중앙 시스템에 통합되어 운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당연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업자 시스템(11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웹서버부(130); 전화통화 연결부(14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 이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160); 및 전화통화 과금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사업자 시스템(110)이 용역 소비자(20)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용역 제공자(50)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40) 또는 일반 유선전화(30)와의 전화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사 시스템(180)이나 외부에 위치한 지역 전화 교환국(미 도시)과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사업자 시스템(110)이 인터넷 망(190)을 통해 용역 제공자(50)의 컴퓨터(200)와 웹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도록 해 준다.
상기 웹서버부(130)는 인터넷 망(190)을 통해 사업자 시스템(110)에 접속한 용역 제공자(50)로부터 가맹 신청을 접수받는다. 이 때, 용역 제공자(50)가 가맹 적격이 있다고 판단되고, 가맹 신청된 지역 및 용역의 유형에 대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가 남아 있으면, 전화번호를 용역 제공자(50)에게 할당하여 준다.
가맹 신청 과정에서 용역 제공자(50)가 제공하는 정보는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웹서버부(130)는 가맹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가맹 신청 내역과 가맹된 용역 제공자(50)가 제공한 링크 전화번호와 할당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연계 내역(이하, '전화번호 연계내역'이라 함)을 데이터베이스(160)에 수록 저장한다.
도4a는 가맹 신청 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60)의 테이블 필드 구조를, 도4b는 용역 제공자(50)의 링크 전화번호와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연계 현황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80)의 테이블 필드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도4b에서 각각의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가 유선 전화 사업자로부터 미리 할당받은 전화번호이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각각의 전화번호에는 지역 명칭 및 용역 유형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전화통화 연결부(140)는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 사이에 전화 통화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용역 소비자(20)가 이동통신 단말기(10) 상에서 자체적으로 탑재된 전화번호 목록의 검색을 통해 전화통화를 시도하면, 이동통신사 시스템(180)을 통하여 용역 소비자(20)가 선택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전송받는다. 그런 다음,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와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160)에서 전화번호 연계내역을 조회하여 전송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를 독출한다. 그런 다음, 링크 전화번호가 일반 유선전화(30)의 번호이면 유선 전화망(220)을 통해, 링크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40)의 번호이면 이동통신사 시스템(180)과 연계하여 용역 제공자(50)와 전화 통화로를 형성시킨다. 이 때, 적용되는 전화 통화로 형성 기술은 이미 주지된 관용 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화통화 과금부(170)는 용역 제공자(50)와 용역 소비자(20) 사이에 전화 통화로가 형성된 이후에, 통화 시간을 계산한다. 그런 다음, 통화 시간에 따라 약정된 요금을 계산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와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160)에 수록한다. 이 때, 통화 요금은 수신자 부담이므로, 비록 전화는 용역 소비자(20)가 걸었지만, 요금 부담은 용역 제공자(50)가 하게 된다. 도4c는 수신자 부담 원칙에 따라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 사이의 통화 요금에 대한 수신측 과금 정보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160)의 테이블 필드 구조를 예시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용역 중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구현되기 위한 전제로써,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미리 유선 전화 사업자로부터 부여받은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지역별로 소정 개수씩 할당한 후, 동일 지역 내에 할당된 전화번호들은 다시 용역 유형별로 소정 개수씩 할당한다. 그리고 그러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할당 현황을 미리 데이터베이스(160)로 구축해 둔다.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60)의 일예는 도4b에서 링크 전화번호와 링크 개시일 필드를 제외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먼저 용역 제공자(50)는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인터넷 망(190)을 통해 사업자 시스템(110)의 웹서버부(130)에 접속한다(S10). 그런 다음, 회원가입을 하여 회원 ID 및 패스워드를 획득하고, 웹서버부(130)에 회원 자격으로 로그인 한다(S20). 그러고 나서, 상기 용역 제공자(50)는 웹서버부(13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가맹신청 웹페이지를 호출하여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용역 중개 서비스와 관련된 가맹신청을 접수한다(S30).
이에 따라, 웹서버부(130)는 가맹 신청을 처리하여 용역 제공자(50)에게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할당한다(S40). 그런 다음, 할당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용역 제공자(50)가 접수하거나 또는 용역 제공자(50)에게 제공한 링크 전화번호와 연 계시킨다(S50). 그리고, 가맹 신청 내역과 전화번호의 연계현황은 데이터베이스(160)로 구축한다(S60). 이 때,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160)의 일예는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라.
상기와 같은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160) 구축으로,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가 보유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가맹이 소정 % 완료되면, 전체 전화번호 목록을 적절한 방법으로 배포하여 용역중개용(수신자 부담임) 전화번호 목록이 용역 소비자(20)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되도록 한다(S70).
바람직하게, 상기 배포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조회사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판매 대리점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조회사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조 시 배포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목록과 검색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 수단에 탑재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대리점은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소지자가 방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의사를 표시하면, 펌웨어 업그레이드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포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을 이동통신 전화기(10)의 메모리 수단에 탑재시키고, 검색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인스톨시켜준다.
대안적으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과 검색 프로그램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업자 시스템(110)은 전화번호 목록과 검색 프로그램의 배포를 위한 다운로드 서버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 서버부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접속을 인지하고, 단말기 소지자의 요청에 따라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과 검색 프로그램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다운 로드시킨다. 이 때, 다운 로드되는 검색 프로그램과 전화번호 목록은 하나의 자동적 인스톨 패키지로 구성됨으로써, 다운로드가 완료됨과 동시에 자동적인 이동통신 단말기(10) 인스톨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우에 따라,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은 그 숫자가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목록은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 소지자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갱신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대리점을 방문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을 통해 사업자 시스템(110)의 다운로드 서버부에 접속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수많은 사용자들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과 검색 프로그램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역중개 서비스가 유효하게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역 소비자(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상에서 검색 프로그램을 구동한다(S80). 그런 다음, 지역별 및 용역 유형별 검색을 통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획득한다(S90). 그런 다음, 소정의 용역 중개용 전화번호를 선택한다(S100). 그러면, 상기 검색 프로그램(100)의 작동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선택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초한 통화개시를 시도한다(S110). 그러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이동통신사 시스템(180)을 거쳐 사업자 시스템(110)의 전화통화 연결부(14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전화통화 연결부(140)는 전달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한다(S120). 그런 다음, 데이터베이스(160)의 전화번호 연계내역을 조회하여 전달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를 독출한다(S130). 그러고 나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용역 제공자(50)의 이동통신 단말기(40) 또는 일반 유선전화(30)와 전화 통화로를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는 용역 의뢰와 관련된 구체적인 현장즉응상담 및 주문 등 협의를 하게 된다.
한편,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가 전화통화를 하는 동안, 사업자 시스템(110)의 전화통화 과금부(170)는 전화통화 시간을 카운트하고, 전화통화가 종료되면 카운트된 전화통화 시간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고, 요금 부가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한다. 이 때, 요금 부과 정책은 수신자 부담인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요금 부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서비스 방법에 따른 일련의 프로세스가 종결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프로세스는 용역 소비자(20)가 특정 용역에 대한 중개를 원할 경우, 반복적으로 진행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역 소비자는 별도로 용역 제공자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만 소지하고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용역 제공자와 전화 통화를 수행한 후 용역 의뢰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고정된 것이고, 일단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역중개용 전화번호가 수록되고 나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가 변경되더라도 갱신이 필요치 않으므로, 용역 소비자의 입장에서의 편리성이 재고된다.
또, 전화번호를 외워야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현재 있는 지역과 용역의 유형만 선택하는 것에 의해 곧 바로 자신이 선택한 지역에서 근접지에 위치한 용역 제공자를 색출하여 용역을 의뢰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동일 지역 내에서 동일 유형의 용역에 대해 부여될 수 있는 개수가 제한되어 있는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가 용역의 제공과 관련하여 불만 사항이 접수될 경우 가맹 상태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맹 정책을 운용할 경우, 가맹된 용역 제공자는 가맹 상태의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강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는 수준 높은 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역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별도의 마케팅 수단을 강구하지 않더라도 지리적으로 편리하게 접근 가능한 용역 소비자에게 용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많은 광고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자연스러운 매출 향상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Claims (13)

  1.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지역 명칭, 용역의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을 검색 인자로 입력받고, 상기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출력하고, 특정 전화번호의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통화시도를 개시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플래쉬 메모리, 롬 또는 별도의 메모리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행정구역의 '읍면동' 단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에 포함된 각 전화번호에는 전화번호가 할당된 지역명칭과 용역 유형이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과, 사용자로부터 지역 명칭, 용역의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을 검색 인자로 입력받고 상기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출력하고, 특정 전화번호의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통화시도를 개시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용역 소비자가, 상기 전화번호 목록에 기초하여 특정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검색 및 선택하면, 선택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용역 제공자와 통화로를 형성시켜 용역의 중개를 실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용역 제공자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가맹 신청을 접수 받아 용역 제공자가 접수한 링크 전화번호를 지역별 및 용역 유형별로 미리 분류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상호 연계시키는 단계;
    (b) 상기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검색 및 선택된 특정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d)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으면,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부여된 용역 제공자의 전화 수단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 요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과하고 부과된 통화 요금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용역 제공자가 가맹 신청 시 제공하는 정보는, 용역 제공자의 성명; 용역을 제공하게 될 지역 명칭; 용역이 속하는 용역 유형; 및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링크시킬 전화 수단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수단은 일반 유선전화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수신은 이동통신사 시스템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는 일반 유선전화 번호이고,
    상기 (d) 단계에서, 통화로의 형성은, 유선 전화망에 포함된 전화교환국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이고,
    상기 (d) 단계에서, 통화로의 형성은, 이동통신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플래쉬 메모리, 롬 또는 별도의 메모리 칩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행정구역의 '읍면동' 단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목록에 포함된 각 전화번호에는 전화번호가 할당된 지역명칭과 용역 유형이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KR20040018817A 2004-03-19 2004-03-19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용역 중개 방법 KR10058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8817A KR100587967B1 (ko) 2004-03-19 2004-03-19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용역 중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8817A KR100587967B1 (ko) 2004-03-19 2004-03-19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용역 중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889A KR20050093889A (ko) 2005-09-23
KR100587967B1 true KR100587967B1 (ko) 2006-06-12

Family

ID=3727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8817A KR100587967B1 (ko) 2004-03-19 2004-03-19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용역 중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9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889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439B2 (en) Data platform web servi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US200400735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personal adaptive agent
US8019066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ccess to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utilizing a single interface
JP5027386B2 (ja) 支払い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0215143A (ja) 加入者に自動的にメッセ―ジを送る方法
CN103368869B (zh) 网络流量管理系统及方法
US20050220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ting alternative solutions
US20120030478A1 (en) Dynamic Storage Enabler For Service Delivery HUB On A Mobility Network
JP2002032402A (ja) 広告情報の提供方法
EP1191776A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an access contract between a prepaid contract and a postpaid contract
US20120030019A1 (en) Enablers For Service Delivery HUB On A Mobility Network
KR20120028088A (ko)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6078982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ged communications directory search and advertising services
EP1385322A1 (en) Voice communication connection/charging proxy support system
KR100868379B1 (ko)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전화번호 검색순위 및/또는 경제동향지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9032A (ko) 다수리 앱 서비스 장치
KR100587967B1 (ko)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용역 중개 방법
KR100591882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7528A (ko) Crm 데이터 관리 방법, crm 서버 및 기록매체
AU2010100445A4 (en) atOnce web 2.0 portal with integrated lead management and feedback loop
KR20010036839A (ko) 인터넷 접속 번호에 인터넷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방법
KR101913856B1 (ko) 크라우드 소싱에 의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0210658Y1 (ko) 가상 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장치
JP2005210496A (ja) ネットワーク情報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ネットワーク情報管理方法
KR20040049972A (ko) 인터넷을 이용한 평생주소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