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882B1 -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882B1
KR100591882B1 KR1020040018818A KR20040018818A KR100591882B1 KR 100591882 B1 KR100591882 B1 KR 100591882B1 KR 1020040018818 A KR1020040018818 A KR 1020040018818A KR 20040018818 A KR20040018818 A KR 20040018818A KR 100591882 B1 KR100591882 B1 KR 10059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lephone
telephone number
intermediar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890A (ko
Inventor
신용균
Original Assignee
신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균 filed Critical 신용균
Priority to KR102004001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8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 E01C23/088Rotary tools, e.g. milling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역중개 방법은, 먼저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별로 온라인을 통해 용역 제공자로부터 가맹신청을 접수받아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용역 제공자가 소지한 전화 수단의 링크 전화번호를 연계시켜 지속적으로 저장한다. 그런 다음, 상기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무선 브라우저로 지역 명칭; 용역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에 의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사이트를 제공한다. 그 이후에, 상기 무선 사이트를 통한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상기 무선 브라우저로 제공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검색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한 통화시도에 따라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 받는다. 다음으로, 수신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이어서,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으면,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부여된 용역 제공자의 전화 수단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 요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과한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intermediating service offer based on receiver-charged telephone number locally categorized by service typ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 목록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의 시스템을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한 필드 구조도들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들이다.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상에서 용역 중개를 실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소비자가 각종 용역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전화번호부, 여러 가지 유형의 광고 전단지나 스티커 등으로부터 용역 제공자의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용역 의뢰를 위한 전화 연락을 취하였다. 여기서, 용역이라 함은, 중국음식; 피자 등 음식 배달 서비스, 쌀; 야채 등의 생필품 배달 서비스, 파출부; 간병인; 베이비시터 등의 대인케어서비스, 미장; 목공; 페인트 등 대인노역서비스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소비자가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 비용을 지불하는 모든 형태의 서비스를 지칭한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은, 일단 전화번호부나 기타 광고 매체 등과 같이 별도의 전화번호 수록 매체에 대한 접근 가능성이 있어야 실현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만약, 전화번호 수록 매체에 대한 접근 가능성이 없을 경우, 용역 소비자는 실질적으로 '114'에 문의를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전화번호 문의 과정에서 별도의 전화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리고, 용역의뢰를 위해 전화 연락을 취한 용역 제공자의 위치가 용역 소비자의 위치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는 경우, 원활한 용역의 제공이 어렵다 (특히, 음식배달 서비스 등 현장즉응상담 및 주문 등이 필요한 용역에서).
또한, 용역 소비자가 용역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 용역 의뢰를 해 놓고서도 서비스의 질을 믿지 못하므로, 용역의 완료가 이루어질 때까지 감시 감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특히, 대인노역서비스 등에서).
나아가, 제공된 용역의 질이나 완성도가 낮은 경우는, 용역 소비자는 대금을 지불하고도 용역 이용에 대한 취지를 살리지 못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가 급속도로 확산 보급됨에 따라, 각종 용역에 관한 구인 구직 사이트가 유선 인터넷상에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용역 제공자를 쉽게 찾은 후, 해당 용역 제공자와 연락을 취하여 용역을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유선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한 용역 중개 방식은, 위와 같은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용역 소비자가 용역 이용과 관련된 중개 수수료를 사이트 운영자에게 지급하여야 하고, 유선 인터넷이라고 하는 속성 상 이동적 환경에서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이 따른다.
한편, 최근 주식회사 한국통신에서 '1588 전국 대표번호 서비스'를 상용화하여 실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있다. 상기 대표번호 서비스는 전국에 여러 개의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정부기관, 언론사, 대기업, 은행 등에서 각 지점이나 기 관별로 이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하나의 대표번호로 묶은 다음, 전국 대표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이용자의 발신지역과 가장 가까운 지점이나 기관에 연결해 주는 서비스이다.
하지만, 이러한 대표전화 서비스의 경우, 일일이 해당 기관이나 지점의 전화번호를 인지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는 편리함은 있지만, 최소한 사용자가 전국 대표번호를 인지하고 있어야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여전히 있다.
또한, 상기 대표전화 서비스의 경우, 이용 가능한 업체가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익기관, 언론/방송사/민원부서, 은행의 텔레뱅킹, 전국에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업체로만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대인케어서비스나 대인노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용역 제공자는 상기 대표전화 서비스의 수혜를 보지 못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대부분의 국민들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과 같은 상시적 휴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적 환경에서 양질의 용역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역 중개 시 용역 소비자와 용역 제공자 간에 이루어지는 통화대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담시킴으로써, 용역 소비자에게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마케팅 정책을 구사하지 않더라도 자연스 러운 매출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를 용역 제공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은,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의 시스템이 용역 소비자와 용역 제공자 사이에서 전화 통화망을 매개로 용역의 중개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a)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별로 온라인을 통해 용역 제공자로부터 가맹신청을 접수받아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용역 제공자가 소지한 전화 수단의 링크 전화번호를 연계시켜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무선 브라우저로 지역 명칭; 용역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에 의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사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무선 사이트를 통한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상기 무선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검색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한 통화시도에 따라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 받는 단계; (e) 수신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f)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으면,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부여된 용역 제공자의 전화 수단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 요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과하고 부과된 통화 요금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용역 제공자가 가맹 신청 시 제공하 는 정보는, 용역 제공자의 성명; 용역을 제공하게 될 지역 명칭; 용역이 속하는 용역 유형; 및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링크시킬 전화 수단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전화 수단은 일반 유선전화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수신은 이동통신사 시스템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일반 유선전화 번호인 경우, 상기 (f) 단계에서, 통화로의 형성은, 유선 전화망에 포함된 전화교환국과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f) 단계에서, 통화로의 형성은, 이동통신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역은 행정구역의 '읍면동' 단위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지역 국번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용역 소비자와 용역 제공자 사이에서 전화 통화망을 매개로 용역의 중개를 실현하는 시스템으로서,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별로 유선 인터넷을 통해 용역 제공자로부터 가맹신청을 접수받아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용역 제공자가 소지한 전화 수단의 링크 전화번호를 연계시켜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웹서버부; 상기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무선 브라우저로 지역 명칭; 용역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에 의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사이 트를 제공하며, 상기 무선 사이트를 통한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상기 무선 브라우저로 출력하는 무선 사이트 제공부; 상기 검색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한 통화시도에 따라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 받고, 수신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는지 검사하고,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으면,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부여된 용역 제공자의 전화 수단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전화통화 연결부; 및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 요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과하고 부과된 통화 요금 내역을 저장하는 전화통화 과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용역 제공자와 용역 소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 하여 용역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소지한 용역 소비자(20), 일반 전화(30)나 이동통신 단말기(40)를 소지한 용역 제공자(50), 그리고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다수의 용역 제공자(50)로부터 가맹 신청을 받은 후, 적절한 심사를 거쳐 가맹 적격자를 선정하고, 가맹자로 선정된 용역 제공자(50)에게 수신자 부담의 성격이 있는 전화번호(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라 칭한다)를 할당해 주거나 접수를 받는다.
후술하겠지만, 동일한 지역 내에서 동일한 용역 유형에 대해 할당 가능한 전화번호의 개수에는 제한이 따르므로, 가맹자 선정은 허용되는 전화번호의 개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용역을 제공받은 용역 소비자(20)가 특정 용역 제공자(50)에 대해 클레임을 수차례 제기할 경우, 가맹을 해지하고 용역 제공자(50)에게 할당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회수하거나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역 제공자(50)의 자율적 통제를 통해 용역 서비스의 질을 높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회수 기준은 상기한 정책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 신청은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가맹 신청을 온라인을 통해 접수받기 위한 웹사이트(7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맹 신청 시 용역 제공자(50)는 상기 용역 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시킬 링크 전화번호와, 용역 제공자(50)의 성명; 용역 유형; 용역 제공 지역; 주민등록번호; 용역 제공자(50)의 거주지 주소; 사업자등록번호(있는 경우에 한함); 비상 연락처; 전자메일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등을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에게 제공한다.
상기 링크 전화번호는 용역 제공자(50)가 소지하고 있는 일반 유선 전화번호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가맹 신청 당시 용역 제공자(50)가 제공하는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80)에 수록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가 유선전화 사업자(현재는 주식회사 한국통신등 기간통신사업자이다)로부터 대량으로 할당받은 전화번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전국 대표전화 서비스(1588 서비스)와 같이 국번이 없는 전화번호이거나 지역국번의 일반전화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지역적 그리고 용역 유형별로 분산시킨다. 이 때, 지역적 분산은 행정구역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전국에 있는 '읍면동'별로 소정 수의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할당하고, 다시 할당된 전화번호를 해당 '읍면동' 내에서 용역 유형별로 분할하여 재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에 400개의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할당하고, 다시 '서초동' 내에서 '피자배달'에 2곳, '쌀배달'에 2개, '유리시공'에 2개, '이사'서비스에 2개 등과 같이 할당한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지역별, 용역 유형별 할당 상황을 데이터베이스(80)로 관리한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가맹이 확정된 용역 제공자(50)로부터 획득한 링크 전화번호를 특정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시키며, 전화번호 연계 현황을 데이터베이스(80)에 수록하여 관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 용역 제공 지역 정보; 및 용역 유형 정보에 의해 고유하게 특정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용역 소비자(20)가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브라우저(90)를 탑재되어 있다. 상기 무선 브라우저(90)로는 왑(WAP)브라우저가 채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상기 무선 브라우저(90)는 현재 각 이동통신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시키고 있는 공지의 무선 브라우저로 대체 가능하다. 이러한 무선 브라우저에는 케이티에프의 '멀티 팩(상표명임)'브라우저, 에스케이 텔레콤의 '네이트(상표명임)'브라우저, 엘지텔레콤의 'ez-i(상표명임)'브라우저 등이 있다. 이하, 이들 공지의 무선 브라우저들을 '전용 무선 브라우저'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무선 사이트(75)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한다. 상기 무선 사이트(75)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검색 인자로는 용역이 제공될 지역 명칭 정보; 용역의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용역 소비자(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무선 브라우저(90)를 구동하고,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가 운용하는 무선 사이트(75)에 접속한다. 그런 다음, 전술한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러한 검색을 통하여 얻어진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용역 제공자(50)와 전화통화를 시도한다.
상기 용역 소비자(20)는 상기 무선 사이트(75)에서 제공하는 3가지의 검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무선 사이트(75)는 무선 브라우저(90) 측으로 지역 정보를 계층적 카테고리 구조로 1차 제공한다. 이를 통해, 용역 소비자(20)는 특정 지역(예컨대, '서초동')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무선 사이트(75)는 선택된 지역에 속한 용역 유형들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용역 소비자가 특정 용역 유형을 선택하면 그 용역에 할당되어 있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제공한다.
다른 예로, 상기 무선 사이트(75)는 무선 브라우저(90) 측으로 용역 유형을 계층적 카테고리 구조로 1차 제공한다. 이를 통해, 용역 소비자(20)는 특정 용역 유형(예컨대, '피자배달')을 선택한다. 그러면, 무선 사이트(75)는 선택된 용역의 제공이 가능한 지역 정보를 계층적 카테고리 구조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20)는 특정 지역 정보(예컨대, '서초동')을 선택한다. 그러면, 무선 사이트(75)는 용역 소비자(20)가 선택한 지역에 속하며 용역 소비자(20)가 선택한 용역 유형에 할당되어 있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무선 사이트(75)는 용역 소비자(20)가 검색 인자인 지역 정보와 용역 유형 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상기 무선 사이트(75)로부터 검색 결과에 의해 무선 브라우저(90)로 제공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용역 소비자(20)가 선택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용역중개용 전화번호가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에게 접수된다. 그러면,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전화번호 연계현황을 검색하여, 접수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를 독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공지된 전화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용역 제공자(50)의 링크 전화번호에 의해 전화통화로 형성을 시도한다. 전화통화로 형성시도 이후에 용역 제공자(50)가 전화를 받게 되면,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 사이에 전화 통화로를 형성시켜주며,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20)는 용역 제공자(50)에게 용역 가격과 같은 조건을 구체적으로 협의한 후 용역을 의뢰하게 된다. 이로써,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 사이에 용역 제공과 관련된 중개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 사이트(75) 접속은 무선 브라우저(90)가 제공하는 주소 입력창에 직접 무선 사이트(75)의 접속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가 이동통신사와 제휴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용 무선 브라우저는 그 초기 화면에서 상기 무선 사이트(75)로의 접속 링크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용 무선 브라우저의 실행을 통해 출 력되는 초기 화면에서 상기 접속 링크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바로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가 제공하는 무선 사이트(75)로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가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가맹을 통해 데이터베이스(80)로 구축한 전화번호 연계내역 현황을 예시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전화번호 연계현황에 대한 데이터 구조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각각에 대하여 해당하는 지역 명칭 정보, 용역 유형 정보, 링크 전화번호, 및 링크 개시일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구조는 최종적인 데이터 갱신 일자를 포함한다.
상기 지역 명칭 정보는 지역 명칭에 의한 효과적인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행정구역 구분 단위에 따라 보다 세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에서는, 지명 명칭을 지역 명칭1, 2 및 3으로 보다 구체화시켰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화번호 연계현황에 대한 데이터 구조는 각 용역 유형이 속하는 용역 카테고리 정보가 수록되는 컬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자배달'에는 '음식배달'이라는 용역 카테고리 정보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도2에서는,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의 일부 용역 유형에 한하여 데이터 구조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나머지 데이터 구조도 이와 유사함은 물론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역 중개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용역 중 개 사업자 시스템(110)(이하, '사업자 시스템'으로 약칭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업자 시스템(110)은 유선 전화 사업자의 중앙 시스템에 통합되어 운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당연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업자 시스템(11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웹서버부(130); 무선 사이트 제공부(135); 전화통화 연결부(14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 이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160); 및 전화통화 과금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사업자 시스템(110)이 용역 소비자(20)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용역 제공자(50)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40) 또는 일반 유선전화(30)와의 전화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사 시스템(180)이나 외부에 위치한 지역 전화 교환국(미 도시)과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사업자 시스템(110)이 유선 인터넷 망(190)을 통해 용역 제공자(50)의 컴퓨터(200)와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더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사업자 시스템(110)이 무선 인터넷(25)을 통해 용역 제공자(50)의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상기 웹서버부(130)는 유선 인터넷(190)을 통해 사업자 시스템(110)에 접속 한 용역 제공자(50)로부터 가맹 신청을 접수받는다. 이 때, 용역 제공자(50)가 가맹 적격이 있다고 판단되고, 가맹 신청된 지역 및 용역의 유형에 대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가 남아 있으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용역 제공자(50)에게 할당하여 준다.
가맹 신청 과정에서 용역 제공자(50)가 제공하는 정보는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웹서버부(130)는 가맹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가맹 신청 내역과 가맹된 용역 제공자(50)가 제공한 링크 전화번호와 할당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연계 내역(이하, '전화번호 연계내역'이라 함)을 데이터베이스(160)에 수록 저장한다.
도4a는 가맹 신청 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60)의 테이블 필드 구조를, 도4b는 용역 제공자(50)의 링크 전화번호와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연계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80)의 테이블 필드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도4b에서 각각의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가 유선 전화 사업자로부터 미리 할당받은 전화번호이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각각의 전화번호에는 지역 명칭 및 용역 유형이 할당되어 있다. 도4b에 도시된 전화번호 연계현황은 도2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상기 무선 사이트 제공부(135)는 무선 인터넷(25)을 통해 용역 소비자(20)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구동 중인 무선 브라우저(90)로 무선 사이트(75)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사이트(75)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검색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상기 무선 사이트 제공부(135)는 용역이 제공되는 지역 명칭, 용역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에 의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와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160)에 수록된 전화번호 연계현황(도4b 참조)을 조회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제공하여 준다.
상기 전화통화 연결부(140)는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 사이에 전화 통화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용역 소비자(20)가 무선 브라우저(90)를 이용하여 무선 사이트(75)에 접속하여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검색을 통해 소정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통화버튼을 눌러 전화통화를 시도하면, 상기 전화통화 연결부(140)는 무선 전화망(15) 및 이동통신사 시스템(180)을 통하여 용역 소비자(20)가 선택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전송받는다. 그런 다음,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와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160)에서 전화번호 연계내역을 조회하여 전송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를 독출한다. 그런 다음, 링크 전화번호가 일반 유선전화 번호이면 유선 전화망(220)을 통해, 링크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번호이면 이동통신사 시스템(180)과 연계하여 무선 전화망(15)을 통해 용역 제공자(50)와 전화 통화로를 형성시킨다. 이 때, 적용되는 전화 통화로 형성 기술은 이미 주지된 관용 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화통화 과금부(170)는 용역 제공자(50)와 용역 소비자(20) 사이에 전화 통화로가 형성된 이후에, 통화 시간을 계산한다. 그런 다음, 통화 시간에 따라 약정된 요금을 계산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와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160)에 수록한다. 이 때, 통화 요금은 수신자 부담이므로, 비록 전화는 용역 소비자(20)가 걸었지만, 요금 부담은 용역 제공자(50)가 하게 된다. 도4c 는 수신자 부담 원칙에 따라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 사이의 통화 요금에 대한 수신측 과금 정보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160)의 테이블 필드 구조를 예시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역 중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구현되기 위한 전제로써,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는 미리 유선 전화 사업자로부터 부여받은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지역별로 소정 개수씩 할당한 후, 동일 지역 내에 할당된 전화번호들은 다시 용역 유형별로 소정 개수씩 할당한다. 그리고 그러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할당 현황을 미리 데이터베이스(160)로 구축해 둔다.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60)의 일예는 도4b에서 링크 전화번호와 링크 개시일 필드를 제외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먼저 용역 제공자(50)는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유선 인터넷(190)을 통해 사업자 시스템(110)의 웹서버부(130)에 접속한다(S10). 그런 다음, 회원가입을 하여 회원 ID 및 패스워드를 획득하고, 웹서버부(130)에 회원 자격으로 로그인 한다(S20). 그러고 나서, 상기 용역 제공자(50)는 웹서버부(13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서비스 가맹신청 웹페이지를 호출하여 용역 중개 서비스와 관련된 가맹신청을 접수한다(S30).
이에 따라, 웹서버부(130)는 가맹 신청을 처리하여 용역 제공자(50)에게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할당한다(S40). 그런 다음, 할당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용역 제공자(50)의 링크 전화번호를 연계시킨다(S50). 그리고, 가맹 신청 내역과 전 화번호의 연계현황은 데이터베이스(160)로 구축한다. 이 때,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160)의 일예는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라.
위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대한 가맹이 소정 % 이상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역중개 서비스가 구체적이고도 유효하게 실현된다.
구체적으로, 용역 소비자(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상에서 무선 브라우저(90)를 구동한다(S80). 그런 다음,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60)가 운용하는 무선 사이트(75)에 접속한다(S90). 그러고 나서, 지역 명칭, 용역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에 의한 검색을 통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획득한다(S100). 그런 다음, 소정의 용역 중개용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버튼을 누른다(S110).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선택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초한 통화개시를 시도한다(S120). 그러면,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무선 전화망(15)과 이동통신사 시스템(180)을 거쳐 사업자 시스템(110)의 전화통화 연결부(14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전화통화 연결부(140)는 전달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한다(S125). 그런 다음, 데이터베이스(160)의 전화번호 연계내역을 조회하여 전달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를 독출한다(S130). 그러고 나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용역 제공자(50)의 이동통신 단말기(40) 또는 일반 유선전화(30)와 전화 통화로를 형성시킨다(S140).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는 용역 의뢰와 관련된 구체적인 현장즉응상담 및 주문 등 협의를 하게 된다.
한편, 용역 소비자(20)와 용역 제공자(50)가 전화통화를 하는 동안, 사업자 시스템(110)의 전화통화 과금부(170)는 전화통화 시간을 카운트하고, 전화통화가 종료되면 카운트된 전화통화 시간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고, 요금 부가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한다(S150). 이 때, 요금 부과 정책은 수신자 부담인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요금 부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역 중개 서비스 방법에 따른 일련의 프로세스가 종결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프로세스는 용역 소비자(20)가 특정 용역에 대한 중개를 원할 경우, 반복적으로 진행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역 소비자는 별도로 용역 제공자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만 소지하고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용역 제공자와 전화 통화를 수행한 후 용역 의뢰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전화번호를 외워야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현재 있는 지역과 용역의 유형만 선택하는 것에 의해 곧 바로 자신이 선택한 지역에서 근접지에 위치한 용역 제공자를 색출하여 용역을 의뢰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동일 지역 내에서 동일 유형의 용역에 대해 부여될 수 있는 개수가 제한되어 있는데,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가 용역의 제공과 관련하여 불만 사항이 접수될 경우 가맹 상태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맹 정책을 운용할 경우, 가맹된 용역 제공자는 가맹 상태의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강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역 소비자는 수준 높은 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역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별도의 마케팅 수단을 강구하지 않더라도 지리적으로 편리하게 접근 가능한 용역 소비자에게 용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많은 광고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자연스러운 매출 향상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Claims (12)

  1. 용역 중개 서비스 사업자의 시스템이 용역 소비자와 용역 제공자 사이에서 전화 통화망을 매개로 용역의 중개를 실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별로 온라인을 통해 용역 제공자로부터 가맹신청을 접수받아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용역 제공자가 소지한 전화 수단의 링크 전화번호를 연계시켜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무선 브라우저로 지역 명칭; 용역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에 의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사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무선 사이트를 통한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상기 무선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검색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한 통화시도에 따라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 받는 단계;
    (e) 수신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f)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으면,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부여된 용역 제공자의 전화 수단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 요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과하고 부과된 통화 요금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용역 제공자가 가맹 신청 시 제공하는 정보는, 용역 제공자의 성명; 용역을 제공하게 될 지역 명칭; 용역이 속하는 용역 유형; 및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와 링크시킬 전화 수단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수단은 일반 유선전화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의 수신은 이동통신사 시스템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는 일반 유선전화 번호이고,
    상기 (f) 단계에서, 통화로의 형성은, 유선 전화망에 포함된 전화교환국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화번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이고,
    상기 (f) 단계에서, 통화로의 형성은, 이동통신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행정구역의 '읍면동' 단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지역 국번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방법.
  9. 용역 소비자와 용역 제공자 사이에서 전화 통화망을 매개로 용역의 중개를 실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a) 지역별로, 그리고 동일한 지역 내에서는 다시 용역 유형별로 할당된, 수신자 부담으로 과금되는 용역중개용 다이렉트콜 전화번호별로 유선 인터넷을 통해 용역 제공자로부터 가맹신청을 접수받아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용역 제공자가 소지한 전화 수단의 링크 전화번호를 연계시켜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웹서버부;
    (b) 상기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무선 브라우저로 지역 명칭; 용역 유형; 또는 이들의 선택 조합에 의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사이트를 제공하며, 상기 무선 사이트를 통한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매칭되는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상기 무선 브라우저로 출력하는 무선 사이트 제공부;
    (c) 상기 검색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기한 통화시도에 따라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를 수신 받고, 수신된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는지 검사하고, 링크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있으면, 용역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링크 전화번호가 부여된 용역 제공자의 전화 수단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전화통화 연결부; 및
    (d)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 요금을 용역 제공자에게 부과하고 부과된 통화 요금 내역을 저장하는 전화통화 과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에 연계된 링크 전화번호의 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서비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행정구역의 '읍면동'별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서비스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역중개용 전화번호는 지역 국번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역 중개 서비스 시스템.
KR1020040018818A 2004-03-19 2004-03-19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100591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18A KR100591882B1 (ko) 2004-03-19 2004-03-19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18A KR100591882B1 (ko) 2004-03-19 2004-03-19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890A KR20050093890A (ko) 2005-09-23
KR100591882B1 true KR100591882B1 (ko) 2006-06-20

Family

ID=3727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18A KR100591882B1 (ko) 2004-03-19 2004-03-19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55B1 (ko) 2009-09-07 2010-06-24 신용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실시간 키워드 등록/검색 방법, 서버 및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99B1 (ko) * 2007-02-28 2009-03-13 김동원 키워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203A (ko) * 2000-08-29 2000-11-06 박병각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재화와 용역의 중개 시스템
KR20010093507A (ko) * 2000-03-29 2001-10-29 편태현 웹폰을 이용한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7617A (ko) * 2001-11-07 2003-05-14 강경호 통신망을 통한 용역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507A (ko) * 2000-03-29 2001-10-29 편태현 웹폰을 이용한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4203A (ko) * 2000-08-29 2000-11-06 박병각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재화와 용역의 중개 시스템
KR20030037617A (ko) * 2001-11-07 2003-05-14 강경호 통신망을 통한 용역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93507 *
102003003761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55B1 (ko) 2009-09-07 2010-06-24 신용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실시간 키워드 등록/검색 방법, 서버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890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448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track information via telephonic apparatuses
US81759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alternative provider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s
KR100449786B1 (ko) 인터넷을 이용하여 개인재무관리를 수행하기 위한개인재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377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or recommending third party products and services provided to a user
US20050220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ting alternative solutions
WO200813420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connect people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vi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KR20160132591A (ko) 미용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3136236B (zh) 信息搜索的方法及系统
CA2530289C (en) Managing network-accessible accounts
KR20150121305A (ko) 온라인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온라인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30913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다 계정 관리 방법
KR102286848B1 (ko) 가맹점 통합 플랫폼 시스템
KR100591882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부담 다이렉트콜 전화번호에 의한 용역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101267727B1 (ko) 이주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587967B1 (ko) 지역 기반의 용역 유형별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용역 중개 방법
JP4955745B2 (ja) コールセンター支援システム、支援方法及びコールセンターシステム
JP2003067661A (ja) ポイント購入サーバーシステムを用いた、小額決済のための回収代行システム
US20080020729A1 (en) Cell phone directory, selection, and billing method
AU2010100445A4 (en) atOnce web 2.0 portal with integrated lead management and feedback loop
KR101913856B1 (ko) 크라우드 소싱에 의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0811635B1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원클릭 개인 정보 조회 시스템, 장치및 방법
JP2005210496A (ja) ネットワーク情報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ネットワーク情報管理方法
KR20120085493A (ko) 금융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30063517A (ko) 이주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40049972A (ko) 인터넷을 이용한 평생주소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