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409B1 -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409B1
KR100587409B1 KR1020050005640A KR20050005640A KR100587409B1 KR 100587409 B1 KR100587409 B1 KR 100587409B1 KR 1020050005640 A KR1020050005640 A KR 1020050005640A KR 20050005640 A KR20050005640 A KR 20050005640A KR 100587409 B1 KR100587409 B1 KR 10058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ushion
inflator
folded
airba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1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integral means to prevent the glass from slipping or tipping-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023/0666Serving trays using magnet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배면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쿠션과, 상기 쿠션과 연결되어 상기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쿠션, 인플레이터가 리테이너 링에 일체로 구비된 스터드를 통해 동시에 결합되기 때문에 무게가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에어백, 운전석 에어백, 케이스, 쿠션, 인플레이터, 리테이너 링, 스터드

Description

에어백장치{Air-Ba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케이스 52 : 날개부
60 : 쿠션 65 : 리테이너 링
70 : 인플레이터
본 발명은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의 배면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개폐되고, 상기 케이스와 쿠션, 그리고 인플레이터가 리테이너 링의 스터드에 의해 동시에 결합되는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또는 전복 등의 사고 발생시 쿠션 작용에 의해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백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운전석용과 조수석 앞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조수석용, 그리고 시트 또는 차체 필러에 설치된 측면용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여러 유형의 에어백 장치 중 운전석용 에어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백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운전석을 향해 전개될 수 있는 쿠션(20)과, 상기 쿠션(20)과 연결되어 충돌 또는 전복 사고 등 발생시 상기 쿠션(20)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정면이 개구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된 정면을 덮는 커버(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은 바닥면(12') 중앙에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인플레이터 끼움홀(12a)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은 바닥면(12') 가장자리에 상기 스티어링 휠과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보스(12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측면(12'')에 상기 커버(14)와 리벳팅될 수 있도록 리벳(16)이 체결되는 제1 리벳 홀(12c)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주로 금속 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커버(14)는 내측에 상기 하우징(12)의 측면(12'')에 밀착되어 상기 리벳(16)에 의해 리벳팅되는 플랜지(14')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커버(14)의 플랜지(14')에는 상기 하우징(12)의 제1 리벳 홀(12c)과 일대일 합치될 수 있는 제2 리벳 홀(14a)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4)는 정면(14'')에 상기 쿠션(20)의 전개시 찢어질 수 있도록 테어 라인(14b)이 형성된다.
상기 쿠션(20)은 풍선처럼 부풀면서 전개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리테이너 링(22)을 통해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충돌 또는 전복 사고 등 발생시 상기 쿠션(20)의 전개를 위해 상기 쿠션(20)에 고압의 전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상기 쿠션(20)에 고압의 전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분출구(30a)가 형성된 부위가 상기 하우징(12)의 인플레이터 끼움홀(12a)을 통해 상기 쿠션(20)에 삽입된다.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외측에 상기 하우징(12)의 바닥면(12')에 결합되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충돌 또는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면, 상기 인플레이터(30)로부터 고압의 전개 가스가 분출된다.
상기 인플레이터(30)에서 분출된 고압의 전개 가스는 상기 쿠션(20)의 개구된 끝단부(20')를 통해 상기 쿠션(20)의 내부에 채워진다.
상기 쿠션(20)의 내부에 상기 전개 가스가 채워지면, 상기 쿠션(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풍선처럼 부풀기 시작한다.
이 때, 상기 쿠션(20)이 부풀어짐에 따라 상기 커버(14)의 정면(14'')에 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커버(14)의 정면(14'')이 상기 커버(14)의 테어 라인(14b)을 따라 찢어진다.
상기 커버(14)의 정면(14'')이 찢어지면, 상기 쿠션(20)은 상기 커버(14)의 찢어진 정면(14'')을 뚫고 상기 케이스(10)의 밖으로 부풀면서 운전석을 향해 전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상기 케이스(10)의 하우징(12)이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케이스(10)의 하우징(12)과 커버(14) 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리벳(16)이 다수개 소요되기 때문에 전체 무게가 상당하여 중량측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상기 케이스(10)의 하우징(12)과 커버(14)가 별도로 성형되어 상기 리벳(16)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비용 및 생산성, 조립성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의 배면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개폐되도록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케이스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 및 조립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쿠션, 인플레이터가 리테이너 링의 스터드를 통해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배면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쿠션과; 상기 쿠션과 연결되어 상기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상기 쿠션에 삽입되는 리테이너 링과, 상기 리테이너 링에 형성되어 상기 쿠션과 상기 케이스의 접혀진 배면에 끼워지는 스터드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스터드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배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날개부는 접힘시 적어도 일부가 다른 날개부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고 배면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에 수납되는 쿠션(60)과, 상기 쿠션(60)과 연결되어 상기 쿠션(60)이 전개될 수 있도록 고압의 전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0)는 정면(50')에 상기 쿠션(60)의 전개시 상기 쿠션(60)의 압력에 의해 찢어질 수 있도록 테어 라인(51)이 형성된다. 상기 테어 라인(51)은 통상 상기 케이스(50)의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히든(Hidden)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50)의 배면은 별도의 힌지 구조없이 쉽게 펼쳐지거나 접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50)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의 측면(50'')은 육각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의 배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 분할됨으로써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날개부(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케이스(50)의 배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52)로 이루어지면 되는데, 이하 6개의 날개부(52)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는 상기 쿠션(60)의 전개시 그에 따른 전개력을 버틸 수 있도록, 각각 접힘시 적어도 일부가 다른 날개부(52)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는 각각 접힘시 상기 케이스(50)의 둘레방향으로 가장자리(52')가 상기 케이스(50)의 둘레방향으로 이웃한 날개부(52)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는 상기 인플레이터(70)가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일부만 삽입되는 바, 접힘시 상기 케이스(50)의 배면 중앙에 상기 인플레이터(70)가 끼워지는 인플레이터 끼움부(52a)가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보스(52b)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50)의 체결 보스(52b)는 상기 케이스(50)의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홈(52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쿠션(60)은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폴딩되어 수납된다.
상기 쿠션(60)은 상기 인플레이터(70)로부터 전개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인플레이터(70) 측 끝단부가 개구된다.
상기 쿠션(60)의 개구된 끝단부(60')에는 리테이너 링(65)이 삽입된다.
상기 리테이너 링(65)은 상기 쿠션(60)의 개구된 끝단부(60')가 상기 케이스(50)의 접혀진 날개부(52)에 밀착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쿠션(60)의 개구된 끝단부(60')를 통해 상기 인플레이터(70) 일부가 상기 쿠션(6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 링(65)은 외곽 라인은 사각형이고 중앙에는 상기 인플레이터(70)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홀(65a)이 형성된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링(65)은 스터드(65')와 상기 케이스(50)의 외측에서 상기 스터드(65')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65'')를 통해, 상기 쿠션(60)의 개구된 끝단부(60')와 함께 상기 케이스(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65')는 상기 리테이너 링(65)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65')는 상기 쿠션(60)의 개구된 끝단부(60')에 형성된 쿠션 체결 홀(60a)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터드(65')는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 접힘시 상기 쿠션 체결 홀(60a)과 합치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에 형성된 체결 홀(52c)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0)의 체결 홀(52c)은 상기 스터드(65')에 의해 상기 쿠션(60)이 상기 케이스(5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 또한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 접힘시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의 가장자리(52')인 중첩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의 가장자리(52')인 중첩부위가 모두 6곳이므로, 상기 스터드(65')와 너트(65'')는 각각 6개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플레이터(70)는 상기 케이스(50) 및 쿠션(6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위에 상기 쿠션(60)에 고압의 전개 가스를 공급될 수 있도록 가스 분출구(70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70)는 상기 케이스(50)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스(50)의 접혀진 날개부(52)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50)와 결합되는 플랜지부(71)가 구비된다.
상기 인플레이터(70)의 플랜지부(71)는 상기 쿠션(60) 및 리테이너 링(65)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터드(65')가 끼워지는 인플레이터 체결 홀(7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70)는 충돌 또는 전복 등의 사고 발생시 상기 쿠션(60)에 고압의 전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임펙트 센서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를 모두 펼쳐서 상기 케이스(50)의 배면이 개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쿠션(60)의 내부에 리테이너 링(65)을 삽입하고, 상기 리테이너 링(65)과 일체로 형성된 스터드(65')가 상기 쿠션 체결 홀(60a)을 통해 상기 쿠션(60)의 개구된 끝단부(60')에 끼워지게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쿠션(60)과 리테이너 링(65)을 상기 케이스(50)의 개방된 배면을 통해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스터드(65')가 상기 케이스(50)의 배면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케이스(50)에 쿠션(60)과 리테이너 링(65)이 삽입되었으면,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를 하나씩 접어서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의 체결 홀(52c)을 통해 상기 스터드(65')가 상기 케이스(50)에 끼워지게 한다.
이 때,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는 상기 케이스(50)의 둘레방향으로 이웃한 날개부(52)와 교대로 접어질 수 있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50)의 날개부(52)는 먼저 3시, 6시, 9시 방향의 날개부(A)가 먼저 접혀진 후, 나머지 12시, 5시, 7시 방향의 날개부(B)가 접혀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인플레이터(70)의 가스 분출구(70a)가 상기 쿠션(6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플레이터(70) 일부를 상기 쿠션(60)의 내부에 삽입하면서 상기 인플레이터(70)의 플랜지부(71)에 상기 스터드(65')가 끼워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65')에 상기 쿠션(60)과 케이스(50), 그리고 인플레이터(70)의 플랜지부(71)까지 끼워지고 나면, 상기 케이스(50)의 외측에서 상기 스터드(65')에 너트(65'')를 나사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스터드(65')를 통해 상기 케이스(50)와 쿠션(60), 리테이너 링(65), 그리고 인플레이터(70)가 동시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휠에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임펙트 센서를 통해 충돌 또는 전복 등의 사고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인플레이터(70)의 가스 분출구(70a)를 통해 상기 인플레이터(70)로부터 상기 쿠션(60)의 내부에 고압의 전개 가스가 공급된다.
상기 쿠션(60)은 고압의 전개 가스가 채워짐에 따라 풍선처럼 부풀면서 일단 상기 케이스(50)의 정면을 찢은 후 상기 케이스(50)의 외측으로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배면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쿠션과, 상기 쿠션과 연결되어 상기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되어 케이스의 무게가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의 성형 및 조립과정이 간소화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쿠션, 인플레이터가 리테이너 링에 일체로 구비된 스터드를 통해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무게가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배면이 상기 케이스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힌지 구조없이 쉽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배면이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날개부가 접힘시 적어도 일부가 다른 날개부와 중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가 상기 쿠션의 전개시 그에 따른 전개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배면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쿠션과; 상기 쿠션과 연결되어 상기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장치는 상기 쿠션에 삽입되는 리테이너 링과, 상기 리테이너 링에 형성되어 상기 쿠션과 상기 케이스의 접혀진 배면에 끼워지는 스터드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스터드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는 상기 케이스의 접혀진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스터드가 끼워지는 플랜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은 상기 케이스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날개부는 접힘시 적어도 일부가 다른 날개부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날개부의 접힘시 중첩부위에 체결을 위한 체결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는 중앙에 상기 인플레이터가 끼워지는 인플레이터 끼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는 스티어링 휠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KR1020050005640A 2005-01-21 2005-01-21 에어백장치 KR100587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640A KR100587409B1 (ko) 2005-01-21 2005-01-21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640A KR100587409B1 (ko) 2005-01-21 2005-01-21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409B1 true KR100587409B1 (ko) 2006-06-08

Family

ID=3718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640A KR100587409B1 (ko) 2005-01-21 2005-01-21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4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8702B1 (en) 2000-02-04 2003-05-2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No housing driver's air bag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8702B1 (en) 2000-02-04 2003-05-2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No housing driver's air bag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411B2 (en) Automotive seat foam pad assembly
EP2637901B1 (en) Active bolster
JP3717124B2 (ja) エアーバッグ
US20120074677A1 (en) Airbag,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lid member of airbag
WO2013168556A1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110049852A1 (en) Airbag
US8840136B2 (en) Mounting structures for front pillar trims
US7390013B2 (en) Airbag module
US8292322B2 (en) 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system with hush panel housing
US7213837B2 (en) Airbag module
US7988184B2 (en) Front passenger airbag device
US8919811B2 (en) Knee airbag with clamshell housing
US20070182131A1 (en) Housing for an airbag device
US11332096B2 (en) Knee airbag device
JPH0455149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5738366A (en) Chute structure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KR100598685B1 (ko) 커튼에어백 장착구조
JP443269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16514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11685330B2 (en) Roof mounted airbag module
KR100587409B1 (ko) 에어백장치
JP2001163161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EP1923275A2 (en) Airbag module for automotive vehicle steering wheels
JP4721987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060092659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