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193B1 -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193B1
KR100587193B1 KR1020040073671A KR20040073671A KR100587193B1 KR 100587193 B1 KR100587193 B1 KR 100587193B1 KR 1020040073671 A KR1020040073671 A KR 1020040073671A KR 20040073671 A KR20040073671 A KR 20040073671A KR 100587193 B1 KR100587193 B1 KR 10058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electrospinning
nozzle
hybrid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290A (ko
Inventor
임대영
변성원
홍주석
정세관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7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1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 D01D4/022Processes or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spinne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방사구금몸체에 폴리머용액이 토출되는 방사노즐과 방사노즐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그 단면형태가 원통형상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미세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방사노즐에 있어서, 하단에 공간부가 형성된 전기방사구금몸체, 상기 방사노즐의 끝단이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의 끝단보다 공간부로 돌출형성된 방사노즐 및 방사노즐의 수직중심에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가지형태의 압축공기 분사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에 의해 방사량은 증가시키면서도 방사된 섬유가 높은 압력과 속도로 집적장치에 충돌하여 되튀어 오르는 현상을 크게 감소시키고 균제도가 높은 고중량의 부직포 상의 웹을 얻을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방사구금, 장섬유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 제조방법{Hybrid electrospinning spinneret and process of producing nonwoven web thereby}
도 1은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이 장착된 시스템의 방사공정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부직포 웹의 주사전자현미경(5,000배)사진.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부직포 웹의 표면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기방사구금몸체 2: 압축공기 공급관
3: 미세화압축공기공급관 4: 폴리머용액공급부
5: 폴리머용액벽 6: 제1압축공기분사구
7: 제2압축공기분사구 8: 방사노즐벽
9: 미세화압축공기분사구 10: 방사노즐
11: 미세화압축공기유도부 12: 폴리머용액유도부
13: 방사노즐수직중심 14: 제1압축공기분사구각도
15: 제2압축공기분사구각도 16: 방사노즐 돌출길이
17: 공간부 18: 고분자저장조
19:용매저장조 20: 가스제거장치
21:용액저장조 22: 용액여과장치
23: 용액이송장치 24: 하이브리드전기방사구금
25: 압축공기발생장치 26: 흡입송풍기
27: 벨트컨베이어 28: 크로스성형기
29: 롤카렌더 30: 온라인균제도평가장치
31: 권취장치 32: 용매증기회수장치
본 발명은 직경이 1 미크론 미만으로부터 수백 미크론에 이르는 초미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에 관한 것으로, 용매를 이용한 용액상태로 방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고분자 물질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노즐이란 섬유를 방사할 때 고전압을 인가하면서 동시에 토출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면서 고분자 용액을 토출시키고, 이 토출 용액의 선단부에 높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일정한 각도로 충돌시킴으로써 방사 후 토출압력을 크게 감소시켜, 많은 방사량은 유지하면서도 방사된 섬유가 높은 압력과 속도로 집적장치에 충돌하여 되튀어 오르는 현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노 즐이다. 이때 얻어지는 웹은 필라멘트 형태의 장섬유로 형성되는 부직포 형태의 것이다.
전기방사 기술은 기존의 초극세 섬유기술로는 제조가 불가능한 수 ~ 수백 ㎚ 직경의 나노섬유를 부직포의 형태로 직접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부직포 제조기술이다. 얻어진 부직포는 종래의 초극세사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단위 부피당 표면적이 높으며 다양한 표면특성,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기존의 초극세사의 응용제품이 갖는 한계 물성을 극복할 수 있고 신기능성 제품의 창출을 가능케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전기방사 기술을 이용한 대량생산의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대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몇몇 업체에서는 에어필터 등의 제품에 이 기술을 이용하여 상업화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나노섬유의 제조보다는 에어필터 등의 정전화 기술에 집중되어 있어 진정한 나노기술과는 거리가 먼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방사방법은 한개 혹은 수개의 노즐에서 시간당 수 그램(g) 이하의 용액을 토출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생산속도가 매우 낮아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나노미터 크기의 직경을 갖는 섬유는 매우 적은 용액을 방출시켜 제조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지금까지 문헌에 소개된 전기방사용 노즐로는 주사기 형 바늘[J.M.Deitzel, J.D.Kleinmeyer, D.Harris, N.C.Beck Tan, Polymer, 42, 261-272(2001); J.M.Deitzel, J.D.Kleinmeyer, J.K.Hirvonen, N.C.Beck Tan, Polymer, 42, 8163- 8170(2001)], 모세관형 금속 튜브[Y.M.Shin, M.M.Hohman, M.P.Brenner, G.C.Rutledge, Polymer, 42, 9955-9967(2001)], 모세관형 유리관[J.Doshi, D.H.Reneker, Journal of Electrostatics, 35, 151-160(1995)] 등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2-0051066호에는 액상의 고분자 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된 베이스와, 전하의 전달을 위해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도전판과, 상기 베이스 도전판에 형성된 노즐 탬에 장착되는 노즐, 상기 베이스 도전판의 하부에 장착되는 전하분배판, 이 전하분배판의 하부에 장착되는 도전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사부를 포함하는 방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복잡한 방사장치에서는 방사노즐을 일정 수 이상 많이 구성하게 되면 방사부와 컬렉터 간에 지나치게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용액의 토출이 불균일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생산량 측면에서 볼 때에도 기존의 전기방사 기술에서의 토출량(1분간 단위 노즐당 토출되는 양)의 한계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2-0093178호에서는 용액방사방법과 전기방사방법(여기에서는 정전방사방법으로 칭함)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나노수준의 초극세 단섬유를 대량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플래시 방사 노즐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초극세 단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2-0093179호에서는 용액방사방법과 전기방사방법(여기에서는 정전방사방법으로 칭함)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나노수준의 초극세 단섬유를 대량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멜트블로운 방사 노즐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초극세 단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3-0077384호에서는 새로운 일렉트로-브로운 방사법에 의해 초극세 나노섬유 웹을 대량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일렉트로-브로운 방사구금은 방사노즐과 상온 ~ 300℃의 고속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에어분사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방사구금을 소개하고 있는데, 하나는 나이프에지상의 에어분사구를 갖는 방사구금이며, 나머지 하나는 원통형 에어분사구를 갖는 방사구금으로서 멜트블로운 방사 노즐에 10kV 이상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초극세 단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 방법의 경우 기존의 전기방사 방법의 단점인 대량생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토출량이 기존공정의 수십 ~ 수백배에 달하는 매우 획기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대한민국공개특허제2002-0093178호와 대한민국공개특허제 2002-0093179호에 기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직경이 1,000나노미터 이하인 나노수준의 초극세의 단섬유만을 얻을 수 있으며, 직경이 1미크론 이상인 미크론 단위의 필라멘트를 방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높은 압력과 속도의 압축공기에 의해 토출된 섬유가 석션 콜렉터와 충돌하여 되튀어 오르게 됨으로써 노즐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4-0016320호에는 다중의 방사노즐을 복수개의 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노즐팩과 용액공급부, 전압인가부, 제트스트림 제어부, 컬렉터, 스트림유도부, 공기주입수단, 용매배기부로 이루어진 매우 복잡한 전기방사장치에 대해 소개되어 있다. 특히 모세관형 튜브로 이루어진 다중의 방사노즐 구성시 용매의 배기를 원활히 하도록 공기주입 및 배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도 원리적으로 종래의 전기방사 노즐을 다중으로 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기존의 전기방사 기술에서 오는 토출량의 한계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다중의 방사노즐을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장치의 방사량은 증가하였지만, 기존 전기방사 기술과 비교할 때 토출량의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전기방사 기술을 이용하여 초극세한 섬유를 얻기 위한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제조설비의 복잡성 및 경제성 등의 이유로 상업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기술로 제조된 섬유의 경우 기존의 방사형 부직포 제조기술인 멜트블로운 방법이나 스펀본드 방법에 비해 토출량이 매우 낮아 대량생산에 적합한 프로세스를 설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3-0077384호에 소개된 일렉트로-브로운 방사기술은 대량생산에는 적합한 기술이나 얻어지는 섬유가 단섬유 형태로 부직포의 물성이 매우 취약하여, 종래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와 마찬가지로 단독으로는 높은 인장특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1 미크론 이하로부터 수 미크론까지의 직경을 갖는 초미세한 필라멘트 형태의 장섬유를 연속적으로 방사 가능하고, 토출량이 높아 대량생산에 적합한 프로세스를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기방사 노즐에 대한 개발이 전 세계적 으로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직경이 1 미크론 이하의 초미세한 섬유로부터 수백 미크론에 이르는 섬유를 토출량 0.3g 이상의 높은 생산성으로 방사하여 부직포 웹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방사구금몸체에 폴리머용액이 토출되는 방사노즐과 방사노즐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그 단면형태가 원통형상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미세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방사노즐에 있어서, 하단에 공간부가 형성된 전기방사구금몸체, 상기 방사노즐의 끝단이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의 끝단보다 공간부로 돌출형성된 방사노즐 및 방사노즐의 수직중심에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가지형태의 압축공기 분사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은 전기 방사구금몸체(1)에 폴리머용액이 토출되는 방사노즐(10)과 방사노즐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그 단면형태가 원통형상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미세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방사노즐에 있어서, 하단에 공간부(17)가 형성된 전기방사구금몸체(1), 상기 방사노즐(10)의 끝단이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9)의 끝단보다 공간부로 돌출형성(16)된 방사노즐 및 방사노즐의 수직중심(13)에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가지형태의 압축공기 분사구(6,7)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방사노즐의 끝단이 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공간부로 돌출되되 바람직한 돌출 길이는 1.0~5.0㎜이다.
상기 돌출된 길이가 1.0㎜미만이면 방사 노즐의 끝단에서 방사용액과 미세화 압축공기가 충돌함으로써 방사용액 찌꺼기가 노즐의 끝단에 축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5.0㎜를 초과하면 미세화 압축공기의 미세화 작용이 미약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가지형태의 압축공기 분사구(6,7)가 압축공기 공급관(2)에 적어도 2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압축공기 분사구(6)의 직경이 1~4㎜이고 제2압축공기 분사구(7)의 직경이 2~10㎜이며, 상기 제1압축공기 분사구의 경사각도(14)는 20~35°이고, 제2압축공기 분사구의 경사각도(15)는 10~4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가지형태의 압축공기 분사구를 2개 형성시 압축공기 분사구의 지름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이유는 압축공기가 작용하는 해당 방사노즐(10)의 지름과 미세화 압축공기의 분사 구멍(9)의 폭을 더한 크기보다 너무 클 경우 옆에 위치한 제2의 방사노즐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방사 스트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와 압축공기 분사구의 상대유량 비율은 1:0.5 ~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은 고전압이 인가된 방사노즐을 통해 폴리머용액을 방사될 때 폴리머용액을 방사노즐 주위의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 및 압축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로서 토출압력을 감소시키고 압축공기를 유도하여 토출되는 섬유의 폭을 조절하여 토출된 섬유가 석션 콜렉터와 충돌하여 되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토출량을 높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 방사노즐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리머용액은 폴리머용액공급부(4), 원뿔형 폴리머용액 유도부(12) 및 원형 캐필러리 형태의 방사노즐(10)의 순서로 이동하여 방사된다. 상기 폴리머 용액은 용매를 가지는 모든 종류의 열가소성 폴리머 또는 열경화성 폴리머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방사된 폴리머 용액을 미세화하는 작용을 하는 미세화 압축공기는 미세화 압축공기 공급구(3)로부터 공급되어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9) 끝단으로 압축공기가 원활히 유도되도록 원뿔형으로 설계된 미세화 압축공기 유도부(11)를 통과하면서 점차 감소되는 관경을 통해 가속화되어 고속으로 분출된다. 이렇게 가속화된 공기는 방사용액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용액의 표면에 불안정한 파동을 발생시켜 방사용액이 미세화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9) 끝단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속도와 압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벨트 컨베이어에 도달하여 부직포 형태로 안착하게 된다. 상기 미세화 압축공기 공급부(3)는 폴리머용액공급부벽(5)에 의해 폴리머용액공급부(4)와 분리된다.
본 발명의 압축공기 분사구(6,7)는 고전압이 인가된 상태로 미세화 압축공기와 함께 방사되는 폴리머 용액의 선단부에 높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일정한 각도로 충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방사 후 토출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제1압축공기 분사구(6)와 충돌에 의해 퍼지는 섬유를 일정한 폭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압축공기 분사구(7)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노즐(10)에서 고속 고압의 미세화 공기와 함께 분출된 폴리머 용액은 근거리에 위치한 벨트 컨베이어에 바로 도달함에 따라 충돌이 발생해 되튀어 오르는 현상을 보이는데, 방사노즐쪽으로 튀어 오를 경우 방사가 불균일해지고, 노즐을 오염시키는 작용을 하며, 폴리머 용액이 컨베이어 밖으로 튀어나가 생산량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전압이 인가된 상태로 미세화 압축공기와 함께 방사되는 폴리머 용액의 선단부에 압축공기 분사구(6,7)를 통해 높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일정한 각도로 충돌시켜 방사 후 토출압력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속, 고압의 미세화 압축공기와 함께 분출된 폴리머용액에 일정한 각도로 고속, 고압의 압축공기가 충돌할 경우 미세화된 폴리머용액이 충돌된 각도 이상으로 퍼지면서 원추형의 스트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충돌 각도와 미세화 압축공기와 충돌 압축공기의 압력 혹은 속도 비율에 따라 폴리머액의 속도 및 압력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압축공기 분사구(6,7)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방사 섬유의 길이방향폭을 조정해 줌으로써 균일한 웹을 얻을 수 있다.
방사된 폴리머용액의 상태는 미립화한 방사용매와 필라멘트 형태의 극세화한 섬유가 혼재되어 있는 상태로서 분출 속도와 압력이 크게 감소하여 벨트 컨베이어(2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립화한 방사 용매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벨트 컨베이어에 도달하면서 주변으로 휘발되거나,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된 흡입 송풍기를 통해 용매증기 회수장치로 빠져나가게 되고, 마지막으로 필라멘트 형태의 극세섬유가 벨트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부직포 형태의 웹이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을 이용하여 미크론단위의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형웹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설비로는 도 1에서와 같은 설비를 구성할 수 있다.
고분자 저장조(18)와 용매 저장조(19)에 각각 저장되어 있던 원료를 용해 및 용액 저장조(21)로 이송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가스제거 장치(20)를 통해 용액중의 가스(공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가스제거를 하지 않을 경우 방사시 유체의 흐름이 불균일해지고 절사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가스제거를 해야 한다. 이후 용액 여과장치(22)를 거쳐 불순물 및 미용해 잔유물을 제거한 다음 용액 이송장치(23)를 거쳐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24)으로 이동한다.
인가한 고전압과 압축공기 발생장치(25)로부터 발생하여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24)의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멍(9)을 통해 분출하는 고압 공기의 무화(霧化, atomization) 작용에 의해 극세한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방사된 극세 섬유들은 하부에 위치한 흡입 송풍기(26)와 연결된 벨트 컨베이어(27) 표면에 안착하게 되고, 압축공기 분사구멍(6)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여 방사 유체와 충돌시킴으로써 섬유들이 벨트 컨베이어의 표면에 고속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습도 조절 챔버(33) 내부에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24)과 흡입 송풍기(26)와 연결된 벨트 컨베이어(27)가 위치하게 되며, 방사시 주변 온도, 습도, 공기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크로스 성형기(28)를 통해 저 중량의 웹을 적층함으로써, 용매 잔존 문제를 해결하면서 고중량의 웹을 얻을 수 있으며 적층을 통해 웹의 균제도가 크게 향상되며, 다양한 폭 조절이 가능하다. 크로스 성형기(28)를 통해 적층된 웹은 롤 카렌다(29)를 통해 열과 압력의 작용으로 열접합을 한 다음, 온라인 균제도 평가장치(30)를 통해 기공크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마지막으로 원단 권취장치(31)를 통해 롤 상태로 만들어진다. 방사공정 중에 발생하는 증기상의 용매는 흡입 송풍기(26)를 통해 온습도 조절 챔버(33) 밖으로 제거되어 용매증기회수장치(32)를 통해 회수된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을 이용하여 부직포웹을 제조하는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25중량%로 용해한 다음 도1의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이 장착된 시스템의 방사공정을 통해 방사하였다. 이때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은 도 2의 단면을 가지면서 아래 표 1의 치수를 갖는 것이다. 방사구금의 노즐끝과 벨트컨베이어 사이의 거리는 30cm로 하였다. 방사 조건은 인가 전압 50KV, 온습도 조절 챔버 내부 온도 25℃, 상대습도 65%이며, 방사용액 온도는 30℃로 하였다. 방사 압력은 2kg.f/㎠, 미세화 압축공기 압력 10kg.f/㎠, 압축공기 압력 10kg.f/㎠, 패턴형성 압축공기 압력 10kg.f/㎠였다.
Figure 112004041815018-pat00001
얻어진 부직포 형태 웹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웹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및 실제 사진을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41815018-pat00002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구금에 의해 방사후의 토출압력을 크게 감소시켜 방사량은 증가시키면서도 방사된 섬유가 높은 압력과 속도에 의해 집적장치에 충돌하여 되튀어 오르는 현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균제도가 높은 고 중량의 부직포 상 웹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전기방사구금몸체에 폴리머용액이 토출되는 방사노즐과 방사노즐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그 단면형태가 원통형상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미세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방사노즐에 있어서,
    하단에 공간부가 형성된 전기방사구금몸체, 상기 방사노즐의 끝단이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의 끝단보다 공간부로 돌출형성된 방사노즐 및 방사노즐의 수직중심에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가지형태의 압축공기 분사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노즐의 끝단의 돌출된 길이가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형태의 압축공기 분사구가 압축공기 공급관에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공기 분사구의 직경이 1~4㎜이고 제2압축공기 분사구의 직경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공기 분사구의 경사각도는 20~35°이고, 제2압축공기 분사구의 경사각도는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화 압축공기 분사구와 가지형태의 압축공기 분사구의 상대 유량비율은 1:0.5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기재의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을 이용하여 부직포웹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40073671A 2004-09-15 2004-09-15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제조방법 KR10058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671A KR100587193B1 (ko) 2004-09-15 2004-09-15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671A KR100587193B1 (ko) 2004-09-15 2004-09-15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290A KR20060025290A (ko) 2006-03-21
KR100587193B1 true KR100587193B1 (ko) 2006-06-08

Family

ID=371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671A KR100587193B1 (ko) 2004-09-15 2004-09-15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1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918B1 (ko) * 2008-07-25 2011-08-30 주식회사 효성 전기방사용 다중 노즐 방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060866B1 (ko) * 2008-07-25 2011-08-31 주식회사 효성 전기방사용 방사 팩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방사장치
CZ304097B6 (cs) * 2012-01-19 2013-10-16 Contipro Biotech S.R.O. Zvláknovací kombinovaná tryska pro výrobu nano- a mikrovlákenných materiálu
KR102049678B1 (ko) 2018-12-19 2019-11-28 주식회사 경동엔지니어링 부직포 제품을 직접 성형하기 위한 섬유토출장치
KR102222357B1 (ko) 2020-06-26 2021-03-04 김민호 부직포 제조장치
WO2023113172A1 (ko) * 2021-12-13 2023-06-22 (주)씨앤투스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26B1 (ko) * 2006-12-22 2008-10-21 (주) 아모센스 초극세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88932B1 (ko) * 2006-12-22 2007-12-27 (주) 아모센스 초극세 나노섬유 제조장치의 방사노즐과 에어분사구 구조
US9469920B2 (en) 2011-10-12 2016-10-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Electrospinning device
KR101382860B1 (ko) * 2011-10-12 2014-04-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방사 장치
KR101326506B1 (ko) * 2012-04-30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하고 벌키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03014885B (zh) * 2013-01-18 2016-05-25 厦门大学 一种集成稳定鞘层气体约束聚焦功能的电纺直写喷头装置
CN104928768B (zh) * 2015-04-08 2017-05-03 烟台森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内外双环气流辅助静电纺丝喷头装置
CN108315829A (zh) * 2018-04-24 2018-07-24 苏州大学 通气式静电纺丝装置及纺丝方法
KR102499594B1 (ko) * 2021-10-07 2023-02-14 김보영 직조용 이중나노섬유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20A (ko) * 2002-08-16 2004-02-21 (주)삼신크리에이션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방사노즐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20A (ko) * 2002-08-16 2004-02-21 (주)삼신크리에이션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방사노즐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918B1 (ko) * 2008-07-25 2011-08-30 주식회사 효성 전기방사용 다중 노즐 방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060866B1 (ko) * 2008-07-25 2011-08-31 주식회사 효성 전기방사용 방사 팩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방사장치
CZ304097B6 (cs) * 2012-01-19 2013-10-16 Contipro Biotech S.R.O. Zvláknovací kombinovaná tryska pro výrobu nano- a mikrovlákenných materiálu
US8727756B2 (en) 2012-01-19 2014-05-20 Contipro Biotech S.R.O. Combined spinning nozzle for the manufacture of nanofibrous and microfibrous materials
KR102049678B1 (ko) 2018-12-19 2019-11-28 주식회사 경동엔지니어링 부직포 제품을 직접 성형하기 위한 섬유토출장치
KR102222357B1 (ko) 2020-06-26 2021-03-04 김민호 부직포 제조장치
WO2023113172A1 (ko) * 2021-12-13 2023-06-22 (주)씨앤투스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290A (ko) 200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193B1 (ko)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제조방법
Almetwally et al. Technology of nano-fibers: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perties-Critical review
KR101260529B1 (ko) 개선된 전기블로잉 웹 형성 방법
Dabirian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jet formation and nanofiber alignment in electrospinning and electrocentrifugal spinning systems
JP4047286B2 (ja) ナノ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8668854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anofibers using a two phase flow nozzle
US20050104258A1 (en) Patterned electrospinning
Valipouri et al. A novel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US9469920B2 (en) Electrospinning device
Al-Hazeem Nanofibers and electrospinning method
CN101210352B (zh) Taylor锥多喷头静电纺丝机
Bubakir et al. Advances in Melt Electrospinning
KR20170038014A (ko) 정전 방사용 방적 돌기
JP5305961B2 (ja) 極細繊維不織布
CN104611774B (zh) 一种静电纺丝装置
JP5253319B2 (ja) 不織布製造装置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R Jabur et al. The effects of operating parameters on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polyvinyl alcohol nanofibres
JP5383937B1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
KR100756893B1 (ko) 전기방사 장치
Vysloužilová et al. Design of coaxial needleless electrospinning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of electric field
KR101102999B1 (ko)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JP6150921B2 (ja) 接着剤吹き付け方法
Malakhov et al. Nonwoven materials produced by melt electrospinning of commodity polymers
Nayak et al. Nanotextiles and recent developments
JP6205517B1 (ja) 微細繊維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19

Effective date: 200801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