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999B1 -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 Google Patents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999B1
KR101102999B1 KR1020080128819A KR20080128819A KR101102999B1 KR 101102999 B1 KR101102999 B1 KR 101102999B1 KR 1020080128819 A KR1020080128819 A KR 1020080128819A KR 20080128819 A KR20080128819 A KR 20080128819A KR 101102999 B1 KR101102999 B1 KR 10110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ertical
nanofibers
airflow
vertical ai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201A (ko
Inventor
김연수
최오곤
박종훈
강영식
김치헌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방사액을 다수의 노즐에 공급하고 노즐의 방사액에 전기력을 부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부직포 제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즐은 원형으로 배열되고 방사방향이 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방사되며, 방사된 나노섬유를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컬렉터로 하강시키는 하강수직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장치로 나노섬유를 컬렉터에 집적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를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방사장치, 노즐, 컬렉터, 수직기류, 송풍장치, 부직포

Description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ELECTROSPINNING APPARATUS USING VERTICAL FLOW}
본 발명은 나노 굵기의 직경을 갖는 나노섬유를 제조가능한 전기방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노즐 간의 전하 반발력을 최소화하여 노즐에서 방사되는 방사액의 토출량을 균일하게 조절하여 제조되는 나노섬유의 섬도를 균일하게하고 제조되는 물성이 향상된 부직포 제조할 수 있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의 방사공정(spinning process)이란 고분자 유체를 가는 구멍을 통해 계속적으로 밀어내어 길고 가는 섬유로 전환시키는 공정으로 기존의 방사방법은 용융방사, 습식방사, 건식방사, 건습식 방사 등은 고분자 용융체 혹은 용액을 기계적 힘으로 노즐을 통해 압출시켜 방사하고 연신한 후, 이를 응고 혹은 고화시켜 섬유를 제조한다.
방사공정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용융방사, 용액방사(습식방사, 건식방사) 등이 있다. 용융방사란 고분자칩을 방사기의 원료 저장고에 넣고 고온의 압출기에서 녹인 후 스피너렛을 통해 섬유를 압출시킨 후, 차가운 냉각공기(QUENCHING SYSTEM)에 의해 고화시킨 후, 권취부에 의해 연신하는 형태이다. 한편, 용액방사(습식방사,건식방사)는 저장고에서 원료고분자를 용매에 녹인 후, 이를 열교환기 등을 통과시켜 분자량이나 점도를 조절하여 스피러넷을 통과시킨 후 차가운 응고액를 통과시키거나(습식방사) 또는 고온가스로 빨리 증발시켜(건식방사)권취부에서 감겨 섬유가 되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기존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면 수~수십㎛의 직경을 갖는 섬유제조가 가능하고, 현재의 기술로는 서브미크론~수㎛직경의 초극세사 섬유제조가 가능하지만 특정한 고분자만이 가능하고, 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제조가 가능하였다.
최근에는 나노기술이 점차 발달하면서 섬유분야에서도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사이즈의 나노섬유의 개발 및 나노섬유의 특성을 이용한 전기전자환경생명의학등 산업전반에 걸쳐 첨단소재로의 응용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기방사는 표면장력에 의해 모세관 끝에 매달려 있는 물방울에 고전압을 부여할 때 물방울 표면에서 미세 필라멘트가 방출되는 정전 스프레이 과정에서 변형된 것으로 충분한 점도를 가진 고분자용액이나 용융체가 정전기력을 부여받을 경우 섬유가 형성되는 현상을 응용한 방사기술이다.
전기방사에 의한 섬유제조기술은 이미 1930년대에 알려진 것이나, 낮은 생산성, 섬유 섬도의 불균일성 등으로 인해 상업관심을 끌지 못하다가, 섬유기술의 발달과 최근의 나노산업의 집중적인 관심으로인해 나노섬유에 대한 많은 개발과 진보 로 상업적으로 경제성이 있는 나노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전기방사장치가 개발되었다.
일방적인 전기방사는 용액상태의 방사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에서 노즐부로 공급된 방사액은 수 kV이상의 고전압에 의한 정전기력에 의해서 방사되어 컬렉터로 모여지게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진 전기장이 특정 임계값을(critical value) 넘어가면 노즐에서 압출된 방사액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전하가 방사액의 표면장력(surface tension)보다 커질 때 액체 분사물(jet)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극세사는 전기적으로 발생된 굴곡 불안정성(bending instabilities)를 거쳐서 초극세사로 연신된다.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는 노즐의 방사방향이 노즐의 하단에 형성된 컬렉터로 향하는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로 용액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어려웠으며 조절을 한다고 하더라도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나노섬유의 직경이 커지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 의한 전기방사 장치는 다중 노즐의 전하의 반발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스트림 제어판은 불안정한 전하의 흐름을 제어하지만 고압이 가해지는 상황하에서는 다수의 노즐에서의 방사액 토출를 제어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방사 장치는 노즐의 방사방향이 하향되어 방사액의 토출량 조절과 불안정한 전하 반발력으로 인하여 나노섬유의 직경과 제조된 부직포의 두께를 균일하게 생성할 수 어렵고 그 생산량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노즐의 방사방향을 수평으로 방사하여 노즐의 토출량, 전하 반발력을 제어하여 나노섬유의 섬도를 균일하게 제조하는데 있다.
또한, 종래의 낮은 생산 속도와 부직포의 불균일한 두께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께가 균일한 부직포의 대량생산에 용이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즐에 공급되는 방사액에 전기력을 부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즐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열되고 노즐의 방사방향이 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나노섬유를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컬렉터로 하강시키는 수직기류를 발생하는 제1송풍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즐의 방사방향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45°에서 상향 45°의 각도 사이에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송풍장치에서 발생되는 기류를 컬렉터로 유도하는 기류유도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류유도관 하단으로 유도된 기류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 하단으로 기류유도관에 제2송풍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즐의 배열의 형태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즐간의 이격거리는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송풍장치 또는 제2송풍장치에서 발생되는 기류는 열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고분자 방사액을 다수의 노즐에 공급하고 노즐의 방사액에 전기력을 부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즐은 원형으로 배열되고 방사방향이 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방사시키는 방사공정과; 상기 방사된 나노섬유를 하강수직기류를 발생시켜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컬렉터로 하강시키는 하강공정과; 상기 하강되는 나노섬유를 컬렉터에 집적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또한, 상기 노즐의 방사방향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45°에서 상향 45 °의 각도 사이에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강공정에서 발생되는 하강수직기류를 컬렉터로 유도하는 유도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강공정에서 발생된 하강수직기류를 배출시키는 배기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강수직기류는 열풍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 장치 중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노즐부에 배열되는 노즐의 방사방향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장치와 배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 제조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 제조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노즐에서 수직하향으로 방사되던 전기방사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노즐의 방사방향을 수직하향식이 아닌 노즐을 원형으로 배열하고 원의 중심을 향하도록 방사하여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열경화성, 열가소성 등 다양한 고분자 방사액을다수의 노즐에 공급하고 노즐의 방사액에 전기력을 부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부직포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노즐은 원형으로 배열되고 방사방향이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60°에서 상향 60°의 각도 사이에서 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방사시키는 방사공정과, 상기 방사된 나노섬유를 하강수직기류를 발생시켜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컬렉터로 하강시키는 하강공정과, 상기 하강되는 나노섬유를 컬렉터에 집적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으로 부직포를 제조한다.
상기 노즐과 컬렉터사이는 방사되는 나노섬유가 고화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이 이격되어 있어 하강수직기류가 타고 내려오는 나노섬유가 컬렉터로 이외의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강수직기류를 컬렉터로 유도하는 유도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공정에서 발생된 하강수직기류가 나노섬유를 집적시킨 후 컬렉터에 부딪쳐서 다시 상승하여 하강하는 수직기류와 부딪치게 되어 소용돌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강수직기류를 배출시키는 배기공정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액을 정량하여 공급하는 계량펌프 10, 나노섬유가 방사되는 노즐로 구성되는 노즐부 100, 노즐에 고전압을 전달하는 고전압장치 20, 방사된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컬렉터 30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부 100의 다수의 노즐 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열되고 노즐이 방사방향은 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 102은 다수의 노즐을 연결하는 노즐연결프레임 104에 연결되어 원형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노즐의 방사방향은 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연결프레임 104은 반발하는 전하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노즐 사이의 간격도 전하들의 반발을 줄이기 위해 1~5㎝의 이격거리를 두고 배열되어야한다. 바람직하게는 1~3㎝의 이격거리를 두는 것이다.
다수의 노즐 102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노즐부는 제조하여는 나노섬유 부직포의 크기에 따라 원형의 노즐부의 배열되는 노즐의 수와 원의 직경이 조정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 102은 타원형으로 배열되어 다양한 특성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노즐 102의 방사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의 중심부로 향하도록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102의 끝에서 방사액이 안정적인 원뿔형의 테일러 콘(Taylor cone)가 형성되도록 방사방향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60°에서 상향 60° 사이의 각도로 방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향 45°에서 상향 45° 사이로 하는 것이 노즐의 끝에서 방사액이 안정적인 테일러 콘을 형성하여 방사액이 물방울 형태로 그대로 낙하하는 드랍렛(droplet) 현상을 줄일 수가 있어 전기방사를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102에서 수평으로 방사되는 나노섬유를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컬렉터 30에 집적되도록 하강하는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제1송풍장치 200가 상기 노즐부 100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송풍장치 200는 노즐 102에서 방사되는 나노섬유를 하강 수직기류에 의해 강제적으로 컬렉터 30에 집적되도록하는 장치로 노즐 102에서 방사되는 토출량에 따라 수직기류의 풍속을 조절하여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송풍장치 200에서 발생되는 수직기류는 밑으로 갈수록 퍼지는 현상으로 기류를 유도되는 나노섬유가 컬렉터 30에 집적되지 못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수직기류를 컬렉터 30로 유도하는 기류유도관 3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류유도관 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송풍장치 200에서 발생되는 하강 수직기류가 노즐부 100에서 방사되는 나노섬유를 컬렉터 30에 집적될 수 있도록 수직기류를 컬렉터 방향으로 유도하는 원형관의 형상이다.
상기 기류유도관 300은 제1송풍장치 200에서 발생되는 하강기류가 다른 곳으로 향하지 못하도록 제1송풍장치 200와 노즐부 100에 연결되고 컬렉터 30에 근접하 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류유도관 300으로 유도되는 수직기류는 컬렉터 30에 나노섬유를 집적시킨 후 컬렉터에 부딪쳐서 다시 상승하여 하강하는 수직기류와 부딪치게 되어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하강하는 나노섬유가 컬렉터 30에 집적되지 못하고 부유하는 형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강한 수직기류가 다시 상승하지 못하도록 상기 기류유도관 300 하단에 흡기장치(미도시)가 설치된 배기장치 400를 형성하여 하강한 수직기류를 밖으로 배기시킬 수 있다.
또한, 하강 수직기류를 따라 하강하던 나노섬유가 기류유도관 300에 붙지 않도록 상기 노즐부 하단으로 기류유도관 300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류유도관 중심으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제2송풍장치 2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장치 202에서 발생된 기류는 상기 배기장치 400로 빠져나간다. 이 과정에서 기류의 발생량과 배기량을 조절하여 기류유도관 300 아래의 컬렉터에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방사액은 고분자 칩을 용매에 녹여 방사에 적당한 점도를 갖는 고분자 용액으로 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한 후, 건조공정을 거쳐 용매를 제거하여야한다.
상기 제1송풍장치 및 제2송풍장치에서 생성되는 기류를 열풍으로 하여 방사된 나노섬유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노즐에서 방사방향이 수평방향으로 방사되는 본 발명은 각각의 노즐의 방사액에 부여되는 전기력들이 서로 반발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생산되는 나노섬유의 섬도를 균일하게 하고, 물성이 뛰어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으로 방사되는 다수의 노즐은 노즐의 방사액에 부여되는 전기력이 다른 노즐의 방사액의 전기력과 서로 반발되는 형상을 최소화 하여 전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하여 노즐에서의 방사액 토출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나노섬유의 섬도를 균일하게 하여 물성이 뛰어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토출량을 증가시켜 부직포를 대량으로 생산 할 수 있고, 상기 부직포의 두께와 폭을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이용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상대 점도가 3.2인 나일론 6 칩을 개미산/아세트산(체적비: 80/20) 혼합 용 매에 22 중량% 농도로 용해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용액의 점도는 표면장력이 58 mN/m이었으며 상온에서 1200 센티포아즈(cPs)이고 전기전도도는 350 mS/m이었다.
상기의 제조된 방사액을 펌프 10를 통하여 일정한 양의 방사액을 노즐부 100로 이동시키고 고전압 20 kV를 고전압장치 20를 이용하였다. 이때 노즐부는 도 1과 같이 컬렉터와 수평으로 하는 노즐을 이용하였으며 노즐부의 직경은 수직기류가 통과하는 수직기류유도관 300과 같은 직경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도 3과 같이 노즐 102의 방사방향을 하향으로 5°로 조정하여 노즐 끝에 걸리는 토출량을 일정하게 하였다.
방사 공정은 도 4와 같은 송풍장치 및 배기장치를 활용하여 위에서 아래로의 수직기류를 통해 제조되는 나노섬유의 생산속도를 1.5 m/분으로 하였다. 제조된 나노섬유 부직포를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는 도 5와 같고 평균 나노섬유의 직경은 120 nm였다.
실시예 2
수평균 분자량이 80,000인 폴리(ε-카프로락톤)을 메틸렌클로라이드/N,N-디메틸포름아마이드(체적비: 80/20) 혼합 용매에 9 중량%의 농도로 제조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방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노즐 102의 방사방향을 하향으로 10°로 조정하였으며 나노섬유의 생산속도는 2.0 m/분으로 하였다.
제조된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600 nm였고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6과 같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부직포의 인장강도, 절단신도, 영율의 물성을 ASTM D638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Mpa) 영율(Mpa) 절단신도(%)
실시예 1 10.6 (±1) 16.0 (±1) 115 (±10)
실시예 2 8.6 (±1) 0.9 (±0.2) 760 (±20)
도1 은 본 발명의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 장치 중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노즐부에 배열되는 노즐의 방사방향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장치와 배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 제조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 제조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노즐부 102:노즐
104:노즐연결프레임 200:제1송풍장치
202:제2송풍장치 300:기류유도관
400:배기장치

Claims (14)

  1. 노즐에 공급되는 방사액에 전기력을 부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노즐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열되고 노즐의 방사방향이 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나노섬유를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컬렉터로 하강시키는 수직기류를 발생하는 제1송풍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방사방향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45°에서 상향 45°의 각도 사이에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장치에서 발생되는 수직기류를 컬렉터로 유도하는 기류유도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유도관 하단으로 유도된 수직기류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 하단으로 기류유도관 측면에 제2송풍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배열의 형태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간의 이격거리는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장치에서 발생되는 기류는 열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9. 고분자 방사액을 다수의 노즐에 공급하고 노즐의 방사액에 전기력을 부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즐은 원형으로 배열되고 방사방향이 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방사시키는 방사공정과;
    상기 방사된 나노섬유를 하강수직기류를 발생시켜 나노섬유가 집적되는 컬렉터로 하강시키는 하강공정과;
    상기 하강되는 나노섬유를 컬렉터에 집적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방사방향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45°에서 상향 45°의 각도 사이에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공정에서 발생되는 하강수직기류를 컬렉터로 유도하는 유도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공정에서 발생된 하강수직기류를 배출시키는 배기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수직기류는 열풍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송풍장치에서 발생되는 기류는 열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KR1020080128819A 2008-12-17 2008-12-17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KR10110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819A KR101102999B1 (ko) 2008-12-17 2008-12-17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819A KR101102999B1 (ko) 2008-12-17 2008-12-17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01A KR20100070201A (ko) 2010-06-25
KR101102999B1 true KR101102999B1 (ko) 2012-01-05

Family

ID=4236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819A KR101102999B1 (ko) 2008-12-17 2008-12-17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31B1 (ko) * 2011-03-24 2013-01-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삼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 및 그 제조방법
EP3408438B1 (en) * 2016-01-27 2023-11-29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Delhi Apparatus and process for uniform deposition of polymeric nanofibers on substrate
CN114369879B (zh) * 2022-01-12 2023-02-07 安徽迪惠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生物基纺织新材料的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416B1 (ko) 2005-05-10 2006-08-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
KR100665608B1 (ko) 2005-05-18 2007-01-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매트
JP2008150769A (ja) 2006-11-24 2008-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ノファイバー及び高分子ウェブの製造方法と装置
JP2008163539A (ja) 2006-12-07 2008-07-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ノファイバーの合糸方法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416B1 (ko) 2005-05-10 2006-08-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
KR100665608B1 (ko) 2005-05-18 2007-01-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매트
JP2008150769A (ja) 2006-11-24 2008-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ノファイバー及び高分子ウェブの製造方法と装置
JP2008163539A (ja) 2006-12-07 2008-07-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ノファイバーの合糸方法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01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0695B1 (en) Electrospinning apparatus for producing nanofibres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pinning zone
Niu et al. Needleless electrospinning: developments and performances
CN100334269C (zh) 一种通过电吹制纺丝法制备纳米纤维的方法及制造装置
JP4769871B2 (ja) 複合電気紡糸装置、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複合ナノ繊維不織布及び複合ナノ繊維フィラメント
KR101060918B1 (ko) 전기방사용 다중 노즐 방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JP4876252B2 (ja) 極細繊維の製造方法
KR101060866B1 (ko) 전기방사용 방사 팩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방사장치
CN109537073B (zh) 一种利用溶液吹纺技术制备定向排列纤维的装置和方法
CN109056196B (zh) 一种高过滤精度的聚酯纺粘非织造布的制造设备及其方法
CN1111912A (zh) 制备纤维素纤维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设备
CN106555277A (zh) 利用熔喷和静电纺丝制备复合超细纤维束的装置及方法
CN104532368A (zh) 一种装卸式可调长梭型溶液喷射纺丝喷嘴及其使用方法
CN100557094C (zh) 溶剂法纤维素纤维纺丝的冷却装置及冷却方法
KR101102999B1 (ko) 수직기류를 이용한 전기방사장치
KR101058913B1 (ko)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로 제조되는 나노섬유 부직포
CN104611774B (zh) 一种静电纺丝装置
CN112281308B (zh) 一种非纺织布生产用熔喷设备
KR20100070203A (ko) 수직 기류 및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로 구성된 섬유집합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95486B1 (ko) 상향식 다성분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다성분 나노섬유
KR100595485B1 (ko) 복합 전기방사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나노섬유부직포 및 복합 나노섬유 필라멘트
KR100756893B1 (ko) 전기방사 장치
KR101043812B1 (ko) 전기방사장치의 원심방사액 공급장치
CN108193291B (zh) 收集模板及静电纺丝装置
CN108048943B (zh) 高取向多孔纳米纤维及其制备方法
CN113512775B (zh) 一种微米级纤维非织造布的制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