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145B1 -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7145B1 KR100587145B1 KR1020040014976A KR20040014976A KR100587145B1 KR 100587145 B1 KR100587145 B1 KR 100587145B1 KR 1020040014976 A KR1020040014976 A KR 1020040014976A KR 20040014976 A KR20040014976 A KR 20040014976A KR 100587145 B1 KR100587145 B1 KR 1005871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gital camera
- digital
- electronic device
- plate
-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3—Wheel hu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5/00—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 B60B5/02—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of synth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무선 단말기, PDA 단말기,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장치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줌 조절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전자 기기의 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바닥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수용홈에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절판의 양방향 회전시 최초의 설정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조절판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디지털 카메라의 줌 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조절판을 '조그 셔틀' 방식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디지털 줌 기능이 한층 편리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구현된다.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전자 기기, 휴대폰, 조그 셔틀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가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를 일례로 나타낸 휴대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줌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줌 조절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판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줌 조절 장치의 지지판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지판을 케이스 내측에서 바라본 시시도이다.
도 6a는 조절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1의 'Ⅰ'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b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줌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줌 조절 장치 200 : 케이스
210 : 수용홈 220 : 지지판
221 : 통공 222 : 지지돌기
223 : 안내홈 224 : 보스
225 : 홈부 226 : 축
230 : 안내구멍 300 : 조절판
301 : 안착홈 302 : 구멍
310 : 걸림돌기 320 : 가압용 돌기
330 : 조작용 돌기 400 : 촬영버튼
401 : 누름부 402 : 축부
403 : 지지부 404 : 구멍
500 : 탄성부재 600 : 검출기
610 : 회전 지침 700 : 서브피씨비
710 : 스위치 720 : 컨넥터
800 : 메인 피씨비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소위 '조그 셔틀(Jog shuttle)' 방식으로 동작되는 줌 조절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줌 기능을 키 버튼을 사용하여 수행하던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 이외에, 별도의 외부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무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istance) 단말기 등의 휴대용전자 기기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 장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다기능화 추세에 맞추어, 전자 기기가 가지는 고유의 기능 이외에 카메라 기능을 부여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자 기기에 저장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제공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종래의 일반적인 줌 방식은 카메라 렌즈를 이동시키지 않고 프로그램적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처리 방법을 디지털 줌 기능이라고 하는데, 디지털 줌 기능은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 방법에 의해 수직,수평 화면을 화면비에 맞추어 확장 또는 축소함으로써 광각(Wide Angle) 촬영이나 망원(Telephoto) 촬영을 프로그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부여된 디지털 줌 기능을 이용하기 위 해서는, 전자 기기에 설정된 키 버튼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예를들어, 휴대폰의 경우에 있어서는, 휴대폰 본체에 구비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화살표 키 버튼(검색 또는 기능 버튼)을 선택적으로 일정시간동안 누르고 있음으로써 디지털 줌 동작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이, 키 버튼을 눌러 주밍(Zooming)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식은, 키 버튼의 조작이 불편하고 정교하지 못해, 주밍의 구현이 불편하고, 촬영의 신속성이 떨어지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능력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가 사진 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경우, 종래와 같이 키 버튼을 조작하여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것은, 촬영의 신속성이나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능력의 저하라는 문제 뿐만 아니라, 주밍의 정교함도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밍을 수행하기 위한 키 버튼은 항상 사용자가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도 사용자가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의 위치는 상기한 키 버튼과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에 종속되어, 반드시 정해진 위치에 있어야만 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배치설계나 전자 기기의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설계를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소위 '조그 셔틀(Jog shuttle)' 방식으로 동작되는 줌 조절 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줌 기능을 별도의 외부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디지털 카메라의 배치 설계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무선 단말기, PDA 단말기,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장치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줌 조절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전자 기기의 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바닥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수용홈에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절판의 양방향 회전시 최초의 설정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조절판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디지털 카메라의 줌 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줌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측 돌출 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압축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조절판에는 조절판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토션 스프링 의 양측 돌출 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이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가압용 돌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조절판의 두 가압용 돌기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회전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는 원호모양의 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용 돌기는 상기 안내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압용 돌기의 양방향 회전이 상기 안내홈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의 회전범위가 상기 안내홈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줌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탄성 복귀식 회전 지침의 회전방향에 따라 차별된 신호를 발생하는 공지의 검출기로서 상기 탄성 복귀식 회전 지침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조절판의 내면부에는 상기 검출기의 회전 지침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조작용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조작용 돌기가 상기 회전 지침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기는, 서브 피씨비에 SMD방식으로 솔더링되어 있고, 상기 서브 피씨비는 상기 전자 기기의 메인 피씨비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줌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의 중앙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촬영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 버튼의 단부측에는 서브 피씨비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 피씨비에는 상기 촬영 버튼에 의해 스위칭되어 그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제어부에 인가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가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를 일례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휴대폰의 정면도로서, 상기 휴대폰은 본체(2)에 대하여 커버(4)가 힌지축(6)을 통해 본체(2)에 대해 절첩(Folding)이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축(6a)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또 다른 힌지축(6b)을 통해 회전(Rotation)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의 '절첩회전형 휴대폰' 또는 '로터리 휴대폰'이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도면상 상기 휴대폰의 본체(2) 좌측에 구비되어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줌 조절 장치(100)는 휴대폰의 본체(2) 우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2는 상기 휴대폰의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상기 줌 조절 장치(10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폰은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체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는, 휴대폰의 본체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PDA 단말기, 디지털 캠코더 등 다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 또는 케이스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 또는 케이스를 모두 '케이스'로 칭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줌 조절 장치(100)는 케이스(200)의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판(3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절판(300)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10)의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줌 동작이 구현된다. 예를들어, 조절판(3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망원(Telephoto) 촬영이 구현되고, 조절판(30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광각(Wide angle) 촬영이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판(300)의 중앙에는 디지털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촬영 버튼(400)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촬영 버튼(400)은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촬영용 키 버튼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3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줌 조절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a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조절판의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지지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지지판을 케이스 내측에서 바라본 시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a에는 조절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1의 'Ⅰ'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도 6a의 Ⅱ-Ⅱ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c에는 도 6b의 Ⅲ-Ⅲ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절판(300)은 전자 기기의 케이스(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홈(21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 상기 케이스(200)는 상부 케이스(200a)와 하부 케이스(200b)로 나뉘어져 이들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케이스(200)의 구조는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이지 본 발명의 케이스가 상기한 구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홈(210)의 내부에는 지지판(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판(220)은 상기 수용홈(210)의 바닥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200a)와 하부 케이스(200b) 중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케이스(200a)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조절판(300)을 상기 수용홈(210)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판(300)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220)에는 상기 걸림돌기(310)가 통과하는 원호 형상의 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판(300)의 걸림돌기(310)는 상기 지지판(220)의 통공(221)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210)의 내측벽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걸림된다.
상기 조절판(300)과 상기 지지판(220) 사이에는 탄성부재(500)가 개재된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조절판(300)의 양방향 회전시 최초의 설정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0)는 토션 스프링(Torsional spring :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의 양측 돌출 단부가 상기 지지판(220)에 압축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220)에는 지지돌기(22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0)는 그의 이완을 저지하는 방향에서 그의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지지돌기(222)에 걸려지게 된다. 즉, 탄성부재(500)는 상기 지지돌기(222)에 의해 이완되는 방향으로의 이동(풀림)이 저지되므로 압축되는 방향으로만 이동(감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판(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500)의 양측 돌출 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이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가압용 돌기(320)가 형성된다. 상 기 가압용 돌기(320)는, 상기 조절판(300)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500)의 양측 돌출 단부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가압이동됨으로써 토션 스프링(500)이 압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300)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그의 양측 가압용 돌기(320)중 하나가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단부를 밀어 압축시키게 된다. 상기 조절판(300)이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조절판(300)에 작용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판(300)이 최초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조절판(300)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 시점에서는 압축되었던 탄성부재(500)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돌기(222)에 닿을때까지 이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00)은 그의 회전이 일정각도의 범위로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220)에는 상기 조절판(300)의 두 가압용 돌기(3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회전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는 원호모양의 안내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용 돌기(320)는 상기 안내홈(22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용 돌기(320)의 양방향 회전이 상기 안내홈(223)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조절판(300)의 회전범위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20)과 조절판(300)의 마주보는 면에는 보스(224)와 안착홈(3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224)와 안착홈(301)에는 상기 탄성부재(500)내경부 및 외경부가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500)의 자리를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판(300)의 일측에는 검출기(600)가 구비된다. 상기 검출기(600)는 상기 조절판(300)의 회전방향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디지털 카메라의 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검출기(600)는 통상적인 디텍터(Detector)로서, 그의 일측에는 탄성복귀식 회전 지침(6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 복귀식 회전 지침(610)은 평상시 검출기(600)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검출기(600) 내부에서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 지침(61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그에 따른 신호가 검출기(600)에 감지되고, 회전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예를들어, 상기 회전 지침(6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검출기(600)에서는 그에 따른 신호(예, 망원 촬영 신호)가 검출되어 제어부로 인가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 지침(610)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검출기(600)에서는 그에 따른 신호(예, 광각 촬영 신호)가 검출되어 제어부로 인가된다. 제어부는 상기 검출기(6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그 인가되는 시간 동안, 그 신호에 해당되는 모드(망원 또는 광각)를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기(600)의 회전 지침(610)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판(300)의 내면부에는 상기 검출기(600)의 회전 지침(6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조작용 돌기(3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300)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조작용 돌기(330)가 상기 회전 지침(610)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00)의 조작용 돌기(330)는 상기 지지판(220)의 안내구멍(230)을 통과하여 상기 검출기(600)의 회전 지침(610)을 동작시킬 수 있는 지점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검출기(600)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피씨비(700, PCB: Printed Circuit Board)에 SMD(Surface Mounting Device)방식으로 솔더링(Soldering)되어 있고, 상기 서브 피씨비(700)는 상기 전자 기기의 메인 피씨비(800, Main PCB)에 컨넥터(720)로써 연결된다. 상기 메인 피씨비(800)에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촬영 버튼(40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먕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조절판(300)의 중앙에 구비된다. 상기 촬영 버튼(400)은 그를 누르면 제어부에 촬영신호가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촬영 버튼(400)의 단부측에 설치된 상기 서브 피씨비(700)에는 상기 촬영 버튼(400)에 의해 스위칭되어 그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제어부에 인가하는 스위치(71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710)는 공지의 돔(Dome)형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 버튼(400)은, 상기 조절판(30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302)에 삽입되는 누름부(401)를 가지고 있고, 상기 누름부(401)로부터는 축부(402)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401)의 양측에는 지지부(403)가 연장되고, 이 지지부(403)는 상기 지지판(220)의 바닥에 형성된 홈부(225)에 삽입되며, 지지부(403)에는 구멍(404)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225)에는 축(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촬영 버튼(400)의 지지부(403)는 상기 지지판(220)의 홈부(225)에 삽입됨과 아울러, 구멍(404)과 축(266)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촬영 버튼(400)은 회전이 불가능하면서 누름 동작은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줌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a에는 조절판(3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조절판(30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판(3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망원촬영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광각 촬영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최초의 상태는 앞서 설명한 도 6a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a에서, 탄성부재(500)의 양단부는 지지판(220)의 지지돌기(22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판(300)의 가압용 돌기(320)와 조작용 돌기(330)는 최초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도 6a와 같은 상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원촬영을 위하여 상기 조절판(3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판(300)의 우측에 있는 가압용 돌기(320)가 탄성부재(500)의 일단부를 밀어 압축시킨다. 이때, 상기 조절판(300)의 좌측에 있는 가압용 돌기(320)는 상기 탄성부재(500)의 타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탄성부재(500)의 타단은 지지판(220)의 지지돌기(222)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절판(3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절판(300)의 조작용 돌기(330) 즉, 우측에 있는 조작용 돌기(330)가 검출기(600)의 회전 지침(610)을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검출기(600)로부터는 상기 회전 지침(610)이 좌측으로 회전되고 있다는 검출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디지털 카메라 제어부에 인가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의 렌즈로부터 촬 상소자에 입사된 영상을 화면비에 맞추어 확장시킴으로써 망원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조절판(300)을 계속 회전시킨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그의 신호가 계속적으로 제어부로 인가되고, 그에따라 제어부에서는 상기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동안 계속적으로 화면비를 확장시키게 된다.
상기 조절판(300)을 상기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회전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부재(500)의 일단부가 상기 조절판(300)의 우측 가압용 돌기(320)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조작용 돌기(330)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상기 조작용 돌기(330)에 의해 회전되었던 탄성 복귀식 회전 지침(610)도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 신호에 의해 망원촬영이 정지된다(도 6a의 상태로 된다).
상기한 지침(610)이 원위치로 복귀되더라도, 디지털 카메라는 앞서 수행된 동작에 의해 일정 배율의 망원 촬영으로 제어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절판(300)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조절판(300)을 다시 같은 방향 즉, 시계방향(망원촬영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일정 배율의 망원 촬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더 확장되어 망원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도 6a와 같은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각촬영을 위하여 상기 조절판(30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판(300)의 좌측에 있는 가압용 돌기(320)가 탄성부재(500)의 타단부를 밀어 압축시킨다. 그에 따라, 조절 판(300)의 좌측 조작용 돌기(330)가 검출기(600)의 회전 지침(610)을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검출기(600)로부터는 상기 회전 지침(610)이 우측으로 회전되고 있다는 검출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디지털 카메라 제어부에 인가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의 렌즈로부터 촬상소자에 입사된 영상을 화면비에 맞추어 축소킴으로써 광각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절판(300)을 조금 조금씩 회전시켜 망원촬영과 광각촬영을 수행하는 기능은,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소위 '조그 셔틀' 기능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를 별도의 조절판(300)을 움직여 조그 셔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줌 기능을 한층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디지털 카메라의 줌 기능이 디지털 줌 기능에 의하지 아니하고, 모터를 통해 복수의 렌즈 사이의 거리를 신축시켜 구현되도록 한 카메라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줌 기능이 구현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소망하는 정도로 주밍을 수행한 다음에는 상기 조절판(300)의 중앙에 있는 촬영 버튼(400)을 누르면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촬영 버튼(400)이 눌려지면, 촬영 버튼(400)의 단부가 스위치(710)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710)에 의한 신호가 서브 피씨비(700)를 통해 메인 피씨비(800)로 인가되어 촬영동작이 수행된다.
이상에서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절첩식 휴대폰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 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의 줌 조잘 장치는 상기한 휴대폰 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기, PDA 단말기,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 어떠한 전자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의 구성이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소위 '조그 셔틀(Jog shuttle)' 방식으로 동작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종래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줌 기능이 화살표 키 버튼 등 전자 기기에 구비된 검색 또는 기능 버튼들을 누름으로써 달성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에는, 키 버튼의 조작이 불편하고 정교하지 못해 주밍이 불편하고, 촬영의 신속성이 떨어지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능력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동영상 촬영의 신속성이나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능력의 저하 및 주밍의 정교함 저하라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였 다.
또한, 종래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위치가 상기한 키 버튼과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에 종속되어 반드시 정해진 위치에 있어야만 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배치설계나 전자 기기의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설계를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종래의 줌기능 버튼에 더하여, 조절판을 조그 셔틀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별도의 외부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줌 기능이 조그 셔틀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줌 조작을 편리하고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배치 설계도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측면에서 바깥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디지털 카메라의 배치 설계를 한층 자유롭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자인을 한층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 휴대폰, 무선 단말기, PDA 단말기,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장치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줌 조절을 위한 장치로서,상기 전자 기기의 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홈;상기 수용홈의 바닥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판;상기 수용홈에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조절판;상기 조절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절판의 양방향 회전시 최초의 설정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상기 조절판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디지털 카메라의 줌 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판의 양방향 회전시 최초의 설정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측 돌출 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압축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조절판에는 조절판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측 돌출 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이동시 키기 위한 두 개의 가압용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조절판의 두 가압용 돌기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회전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는 원호모양의 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용 돌기는 상기 안내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압용 돌기의 양방향 회전이 상기 안내홈 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조절판의 회전범위가 상기 안내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기는 탄성 복귀식 회전 지침의 회전방향에 따라 차별된 신호를 발생하는 공지의 검출기로서 상기 탄성 복귀식 회전 지침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조절판의 내면부에는 상기 검출기의 회전 지침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조작용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조작용 돌기가 상기 회전 지침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검출기는, 서브 피씨비에 SMD방식으로 솔더링되어 있고, 상기 서브 피씨비는 상기 전자 기기의 메인 피씨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판의 중앙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촬영 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촬영 버튼의 단부측에는 서브 피씨비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 피씨비에는 상기 촬영 버튼에 의해 스위칭되어 그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제어부에 인가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4976A KR100587145B1 (ko) | 2004-03-05 | 2004-03-05 |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4976A KR100587145B1 (ko) | 2004-03-05 | 2004-03-05 |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9515A KR20050089515A (ko) | 2005-09-08 |
KR100587145B1 true KR100587145B1 (ko) | 2006-06-07 |
Family
ID=3727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4976A KR100587145B1 (ko) | 2004-03-05 | 2004-03-05 |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714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1463B1 (ko) * | 2005-12-19 | 2010-02-11 |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 조그셔틀 장치 |
-
2004
- 2004-03-05 KR KR1020040014976A patent/KR1005871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9515A (ko) | 2005-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45593B2 (en) | Foldable mobile terminal device | |
US7626630B2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 |
JP4292795B2 (ja) | カメラ付き携帯端末 | |
JP3948387B2 (ja) |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 |
JP4802077B2 (ja) | 携帯機器 | |
US20160014318A1 (en) | Imaging unit and installation device to attach to another device | |
US7139473B2 (en) | Folding type camera device and folding type portable telephone | |
EP2840772A2 (en) | Imaging device | |
JP2009109895A (ja) |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 |
US20090109331A1 (en) | Portable device and imaging device | |
KR100803276B1 (ko) | 카메라장치 및 통신기기 | |
KR100587145B1 (ko) |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 |
US20050046736A1 (en) | Imaging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 |
JP3948485B2 (ja) |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 |
JP4718203B2 (ja) | 撮影装置 | |
JP2014045314A (ja) | 撮像装置 | |
KR20060111054A (ko) | 줌조절장치를 갖는 영상촬영기기 | |
JP2010136265A (ja) | 電子機器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及びデジタルカメラ | |
KR20030063726A (ko) | 카메라 뷰파인더의 자동반전기능을 갖는 휴대폰 | |
JP4383370B2 (ja) | 撮像装置 | |
JP2003188953A (ja) | 携帯電話装置 | |
KR100850993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제어방법 | |
JP4637537B2 (ja) | レンズ駆動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 |
JP2001183731A (ja) |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 |
JP2001186383A (ja) |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