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376B1 - 땀 촉진제 - Google Patents

땀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376B1
KR100585376B1 KR1020040017222A KR20040017222A KR100585376B1 KR 100585376 B1 KR100585376 B1 KR 100585376B1 KR 1020040017222 A KR1020040017222 A KR 1020040017222A KR 20040017222 A KR20040017222 A KR 20040017222A KR 100585376 B1 KR100585376 B1 KR 10058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at
salt
skin
lotion
antipr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141A (ko
Inventor
김덕재
Original Assignee
김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재 filed Critical 김덕재
Priority to KR102004001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37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땀 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땀을 내기 위해 사우나 등을 이용함에 있어서 인체 피부에 바르는 형식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혈액순환의 촉진과 땀의 방출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조성은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소금, 마사지 오일, 로션을 적정량 배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땀이 잘 나지 않는 사람들의 피부에 땀 촉진제를 바른 후 사우나 등을 이용하면 훨씬 쉽게 땀이 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땀, 안티프라민, 멘소래담, 살리실산메틸, 멘톨, 소금, 마사지 오일, 로션

Description

땀 촉진제{A SWEATING FOR EXTERNAL US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땀 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땀을 내기 위해 사우나 등을 이용함에 있어서 인체 피부에 바르는 형식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혈액순환의 촉진과 땀의 방출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조성은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소금, 마사지 오일, 로션을 적정량 배합하여 제조되며, 특히 땀이 잘 나지 않는 사람들의 피부에 땀 촉진제를 바른 후 사우나 등을 이용하면 훨씬 쉽게 땀이 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땀은 99%가 물로 이루어졌으며 염화나트륨, 젖산, 포도당 등이 소량 섞여 있는 묽은 소금물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의 몸에는 보통 2백만~2백50만 개의 땀샘이 있어 체온조절에 관여한다. 땀 분비량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개 뚱뚱한 사람이나 체구가 큰 사람이 상대적으로 땀을 많이 흘린다.
운동을 하게 되면 체온이 올라가는데, 우리 몸에서는 올라가는 체온을 37도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땀을 흘리게 된다. 또한 사우나 등을 해도 체온은 증가되므로 땀이 나게 된다.
체온이 상승하여 땀이 나는 것은 땀을 발산함으로써 우리 몸의 열을 쉽게 빼앗길 수 때문에 땀흘림을 통해서 상승된 체온이 정상으로 되돌아 오도록 하는 것이다. 의학적 측면에서 볼 때 땀은 체온을 조절하고 체내의 노폐물을 밖으로 배출해 피부의 윤활작용을 돕는 생리현상 중의 하나다. 이렇게 체온이 올라 갔을 때 땀이 나는 것은 생리적으로 지극히 자연스런 현상인 것이다.
그런데, 체온이 올라가도 땀이 잘 나지 않는 사람들을 종종 보게 된다. 건피증(乾皮症, xeroderma; 피지나 땀의 분비가 감소되어 피부가 건조하고 꺼칠꺼칠한 상태)이나 심한 경우 무한증(無汗症, anidrosis; 땀이 전혀 나오지 않거나 나와도 극히 적은 상태)과 같은 경우이다. 땀이 거의 나지 않는 무한증은 땀이 줄줄 흐르는 다한증(多汗症, excessive sweating; 보통 이상으로 많은 양의 땀을 흘리는 증세)보다 훨씬 위험하다. 한방에서는 땀구멍이 막히면서 피부에 염증과 물집이 생기는 땀띠도 무한증의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있으며, 땀띠가 생기면 수시로 샤워하고 운동을 삼가는 것이 좋다. 땀이 나지 않는 경우는 몸안의 진액이 부족하거나, 몸이 차거나, 몸안에 습담(비정상적인 수분)이 많이 있지만 기가 약해 땀 분비가 안되는 경우로 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땀을 내기 위해 사우나 등을 이용함에 있어서 인체 피부에 바르는 형식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혈액순환의 촉진과 땀의 방출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땀이 잘 나지 않는 사람들의 피부에 바른 후 사우나 등을 이용하면 좀 더 쉽게 땀이 날 수 있는 땀 촉진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속의 노폐물 등을 제거하고, 동시에 피부를 마사지하며, 땀 촉진제를 바른 후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땀 혹은 사우나 등에서 사용할 경우 배출되는 땀에 의해 용해되기 쉽고, 또한 샤워를 하게 되면 물에 의해 쉽게 용해시켜 제거될 수 있으므로 사용 후에 잔여물이 남지 않게 되는 용이성을 갖게 하며, 또한 손상된 피부에 대응하여 소염 작용이 있도록 하고, 사용 후에는 피부의 보습 상태와 유연성 및 이온의 밸런스 조절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땀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의 피부에 발랐을 때 더 쉽게 땀을 흘릴 수 있는 땀 촉진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는, 외용진통소염제와 소금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용진통소염제는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용진통소염제는 살리실산메틸과 멘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에는 마사지용 오일과 로션을 추가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는, 외용진통소염제와 로션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땀 촉진제의 제조방법은, 외용진통소염제와 마사지 오일을 섞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 단계 다음에 소금을 추가로 섞는 소금추가 단계와; 상기 소금추가 단계 다음에 로션을 추가로 섞는 로션추가 단계와; 상기 로션추가 단계 다음에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는 반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는 상기한 소금 대신 죽염을 사용하거나 소금과 죽염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건강을 위해서는 인체의 혈액순환을 잘 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이 운동이나 사우나 등을 하는 목적 중의 하나는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하는 것이다. 혈액순환이 잘 되려면 혈관이 잘 열려야 되므로 땀이 난다는 것은 바로 혈관이 열렸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운동이나 사우나 등을 통해서 신체 각부 모든 조직 즉 간, 신장, 뇌, 근육 등에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하면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 물질이 충분히 공급되고, 각 조직에서 생긴 탄산가스와 노폐물이 빨리 제 거된다. 이렇게 혈액순환이 잘 되게 되면 신체 각부의 면역력도 증가하게 된다. 뚜렷한 질환을 가지고 있지도 않는데 두통이 있는 것은 주로 뇌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산소와 영양물질이 잘 공급되지 않을 뿐 아니라, 탄산가스와 노폐물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우리 몸의 혈관은 평소에는 3분의1 정도 밖에 열려 있지 않으므로 이 상태에서는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다. 그러나 운동이나 사우나 등을 하여 땀이 날 정도의 신체조건이 될 때 혈관이 더 많이 열리게 되어 혈액순환이 원활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땀 촉진제는 특히 땀이 잘 나지 않는 사람들이 사우나 등을 이용할 때 바르게 되면 땀이 잘 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으며, 땀 촉진제를 피부에 바른 후 사우나(90~100℃, 응결되는 물의 온도 약 45~55℃)에서 사용하여도 특별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땀 촉진제는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같은 외용진통소염제와 적정량의 소금, 마사지 오일, 로션을 배합하여 제조된다.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은 외용진통소염제로서 널리 쓰이고 있는 약품이며, 주요 성분으로는 살리실산메틸과 멘톨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살리실산메틸(Methyl Salicylate)은, 소염제(消炎劑, 염증을 가라앉힘)로 많이 쓰이는데, 특히 통증을 가라앉히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발적제(發赤劑, rubefacient; 혈액 순환 개선과 몸을 따뜻하게 함)의 효과도 갖는다.
또한, 멘톨(Menthol)은 박하향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의약품, 과자, 화장품 등에 첨가물로 사용하며, 진통제나 가려움증을 멈추거나 살균, 방부효과 외에 혈액순환 개선 및 피부보습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흔히 외용진통소염제로 쓰이는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이 가지고 있는 또다른 기능(땀 촉진제의 기능)을 발견하여 이를 구체화한 것으로 살리실산메틸의 발적제(發赤劑, rubefacient; 혈액 순환 개선과 몸을 따뜻하게 함)의 효과를 이용하여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를 증가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데워줌으로써 땀이 배출되는 땀구멍을 확장시키고 땀이 더 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멘톨에 의해 살균, 방부효과와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피부속 깊이 침투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금(NaCl)은 소금 마사지라고 하여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마사지 재료이다. 소금을 피부에 바를 경우 삼투압현상(osmoregulation)으로 인해 피부속의 노폐물과 노폐단백질, 폐지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유지(油脂)를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고염도 미네랄성분에 의해 피부미용효과와 노폐물 제거효과, 이온의 밸런스조절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같은 외용진통소염제에 소금을 사용함으로써, 좀 더 땀이 잘 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되는 소금은, 제분이 용이하며 물에 용해가 잘 될 수 있도록 300℃이상의 온도에서 볶아 소금 내에 존재하는 유해물질과 노폐물을 태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능성 소금(허브소금, 쑥소금 등) 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마사지 오일(Touch technique-Oil)은 크게 순식물성오일과 광물성오일로 나누어지는데 둘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광물성오일보다는 순식물성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식물성오일은 광물성오일에 비해 보습력이 높으며 비타민 E, 세라마이드(ceramide, 피부의 수분 보유기능을 탁월하게 해주는 역할)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와의 친화력이 좋으며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흡수력이 강해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또한, 땀 촉진제에 로션을 배합함으로써, 피부에 윤기를 주고 피부 표면의 pH를 조절하거나 수렴(收斂, 수축)ㆍ살균ㆍ방취(防臭)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땀 촉진제를 바른 후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땀 혹은 사우나 등에서 사용할 경우 배출되는 땀에 의해 용해되기 쉽고, 또한 샤워를 하게 되면 물에 의해 쉽게 용해시켜 제거될 수 있으므로 사용 후에 잔여물이 남지 않게 되는 용이성을 갖게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는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의 주요성분 중 살리실산메틸이 가지고 있는 발적제의 효과를 이용하여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를 증가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데워줌으로써 땀이 배출되는 땀구멍을 확장시키고, 땀이 더 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게된다. 그리고 발생하는 땀은 소금의 삼투압현상을 이용하여 피부 밖으로 잘 빠져나올 수 있게 되고, 특히 땀구멍이 확장됨으로써 더 많은 양의 땀을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멘톨, 소금, 마사 지 오일, 로션을 통해 살균 등 피부속의 노폐물과 노폐단백질, 폐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피부보습 등의 피부미용효과와 이온의 밸런스조절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에는 달걀이나 생우유, 벌꿀 등을 첨가하여 피부미용에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들을 각각 섞어서 실험해보았다.
실시예1
땀 촉진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들 중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마사지 오일을 첨가하여 섞어보았다.
이 경우 땀을 배출시키는데 있어 효과가 나타났으나,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마사지 오일을 섞은 조성물의 사용 후에 물 등을 사용하여 닦아내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나타났다.
실시예2
땀 촉진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들 중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로션을 첨가하여 섞어 보았다.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로션을 섞었을 경우 땀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나 타났으며, 조성물의 사용 후 쉽게 닦아낼 수 있었다.
실시예3
땀 촉진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들 중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소금을 첨가하여 섞어 보았다.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소금을 섞었을 경우 땀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소금을 섞은 조성물을 피부에 바를 때 소금이 뭉쳐져서 골고루 펴발라지지 않고 바른 후에는 피부가 끈적거리는 단점이 발견되었다.
실시예4
각 실시예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각각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소금, 마사지 오일, 로션을 섞어 보았다.
이 경우 땀을 배출시키는 효과도 탁월하게 나타났으며, 조성물을 피부에 바를 때 소금이 뭉치거나 하지 않아 골고루 펴바를수 있었고, 피부가 끈적거리지도 않았으며, 사용 후 물 등에 의해 쉽게 닦아 낼 수 있었다.
실시예5 - 땀 촉진제의 제조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 8~12중량%와, 마사지 오일 8~12중량%, 소금 3~5중량%, 로션 71~81중량%를 배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가 제조된다.
먼저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 5g과 마사지 오일 5g을 혼합한다. 계속 저어주면 혼합물과 마사지 오일이 섞이게 된다.
다음, 혼합물과 마사지 오일이 섞인 후 계속 저어주면서 소금 2g을 섞어준다.
소금이 완전히 섞이게 되면 계속 저어주면서 로션 38g을 섞어준다.
이상의 모든 재료들이 잘 섞이게 되면 상기한 과정을 5~10회 정도 반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가 제조된다.
비교실시예
땀 촉진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들 중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을 제외하고 마사지 오일과 소금, 로션만을 섞어서 실험을 해보았다.
이 경우 땀을 촉진하는데 있어 뛰어난 효과를 보인 실시예4와는 달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금 마사지 등의 효과와 대동소이하여 본 출원인이 원하는 땀 촉진제로서의 효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다.
땀 촉진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재료들을 소량씩 섞게 되면 재료들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잘 섞일 수 있다.
또한 각 재료들이 잘 섞일 수 있도록 소금 대신 소금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계속 저어주거나 열을 가해주는 것이 좋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배합 단계(S12)로써,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마사지 오일을 혼합한다.
배합 단계(S12) 다음에는 소금추가 단계(S14)로써, 소금을 섞어준다.
소금추가 단계(S14) 다음에, 로션추가 단계(S16)로 로션을 섞어준다.
로션추가 단계(S16) 이후 반복 단계(S18)로써, 상기 배합 단계(S12), 소금추가 단계(S14), 로션추가 단계(S16) 과정을 5~10회 정도 계속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가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땀 촉진제는 통상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과 소금, 마사지 오일, 로션을 적정량 조합한 것으로, 안티프라민 또는 멘소래담의 널리 알려져 있는 기능외에 다른 기능을 발견, 사용하여 땀 배출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땀을 내기 위해 사우나 등을 이용함에 있어서 인체 피부에 바르는 형식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혈액순환의 촉진과 땀의 방출을 촉진하며, 특히 땀이 잘 나지 않는 사람들의 피부에 바른 후 사우나 등을 이용하면 좀 더 쉽게 땀이 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 속의 노폐물 등을 제거하고, 동시에 피부를 마사지하며, 땀 촉진제를 바른 후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땀 혹은 사우나 등에서 사용할 경우 배출되는 땀에 의해 용해되기 쉽고, 또한 샤워를 하게 되면 물에 의해 쉽게 용해시켜 제거될 수 있으므로 사용 후에 잔여물이 남지 않게 되는 용이성을 갖게 하며, 또한 손상된 피부에 대응하여 소염 작용이 있도록 하고, 사용 후에는 피부의 보습 상태와 유연성 및 이온의 밸런스 조절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살리실산 메틸(Methyl salicylate)과 멘톨(Menthol)을 포함하는 외용진통소염제 8~12중량%와 마사지 오일 8~12중량%, 소금 3~5중량%, 로션 71-81 중량%가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촉진제.
  5. 삭제
  6. 살리실산 메틸(methyl salicylate)과 멘톨(menthol)을 포함하는 외용진통소염제 8~12 중량%와 마사지 오일 8~12중량%을 섞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 단계 다음에 소금 3~5중량%을 추가로 섞는 소금추가 단계와;
    상기 소금추가 단계 다음에 로션 71-81 중량%을 추가로 섞는 단계를 포함하는 땀 촉진제의 제조방법.
KR1020040017222A 2004-03-15 2004-03-15 땀 촉진제 KR10058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22A KR100585376B1 (ko) 2004-03-15 2004-03-15 땀 촉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22A KR100585376B1 (ko) 2004-03-15 2004-03-15 땀 촉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41A KR20050092141A (ko) 2005-09-21
KR100585376B1 true KR100585376B1 (ko) 2006-06-07

Family

ID=3727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222A KR100585376B1 (ko) 2004-03-15 2004-03-15 땀 촉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3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41A (ko)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42993B (zh) 一种皮肤抗敏修复外用制剂
KR101311692B1 (ko) 아토피 피부 및 여드름 치료용 비누와 이의 제조방법
KR100962534B1 (ko) 허브추출물들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
CN108815069A (zh) 一种植物保湿消除眼袋和浮肿眼霜及其制备方法
RU2314093C2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KR100585376B1 (ko) 땀 촉진제
CN107441340B (zh) 一种消肿止痛止痒滋养皮肤的手足皴裂膏及其制备方法
KR102255269B1 (ko) 두피 케어용 비누 제조방법
KR20190101247A (ko) 녹차를 이용한 입욕제 및 방향제 제조방법
KR10224414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근육의 피로 해소, 예방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6735489B2 (ja) 天然鉱石粉末入りセラピー用オイル
KR101643241B1 (ko) 피부 민감용 천연비누 조성물
CN100415293C (zh) 生物胶原蛋白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6389276A (zh) 微量元素护肤霜
CN105997692B (zh) 一种止痒消炎保湿除臭的脚膜
KR101397644B1 (ko)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KR20060066593A (ko) 외용 도포약
JPH01213215A (ja) 養毛剤
CN1090933C (zh) 祛斑养颜面霜
KR10261190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3353B1 (ko) 자운고 입욕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운고 입욕제
JP2561112B2 (ja) 養毛剤
KR101040011B1 (ko) 모낭충 살균제
KR101983693B1 (ko) 피부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한 발바닥 피로완화와 각질 개선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CN106085755A (zh) 一种增强体质的药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