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361B1 - Highly pressurized fuel pip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Google Patents

Highly pressurized fuel pip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361B1
KR100585361B1 KR1020030076292A KR20030076292A KR100585361B1 KR 100585361 B1 KR100585361 B1 KR 100585361B1 KR 1020030076292 A KR1020030076292 A KR 1020030076292A KR 20030076292 A KR20030076292 A KR 20030076292A KR 100585361 B1 KR100585361 B1 KR 10058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ortions
pipe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38832A (en
Inventor
고이데도시유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르노 에스. 아. 에스. 소시에떼 빠르 악시옹 셍쁠리피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르노 에스. 아. 에스. 소시에떼 빠르 악시옹 셍쁠리피에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61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4Means for damping vibrations or pressure fluctuations in injection pump inlet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1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 F02M2200/31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for damping fuel pressure fluc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에서, 배관 본체는 외주벽을 갖고, 칸막이 판은 외주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제1 및 제2 연료 유로는 배관 본체의 칸막이 판에 의해 분할되고, 배관 본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호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연료 도입부는 제1 및 제2 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삽입부는 제2 연료 유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들 중 상응하는 하나의 연료 분사 장치가 각각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연료 유로와 제2 연료 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부가 형성된다.In the high-pressure fuel piping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piping main body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the partition plat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at least two first and second fuel flow paths ar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of the piping main body, and the piping main body Formed in an internal space of the plurality,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 fuel introduction portion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passages, and a plurality of inserts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uel passage; A corresponding one of the fuel injection devices may be inserted,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for communicating the first fuel passage and the second fuel passage are formed.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HIGHLY PRESSURIZED FUEL PIP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HIGH PRESSURIZED FUEL PIP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복수의 연료 분사 장치(예를 들어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연료 분사 밸브)에 공급하기 위한 고압 연료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high pressure fuel piping (structures) for supplying fuel supplied from a fuel tank to a plurality of fuel injection devices (e.g.,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fuel injection valves).

1995년 8월 8일에 공개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9-296768호는 제1 종래의 고압 연료 배관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에는, 칸막이 판이 배관 본체를 상하(상부 및 하부)의 연료 유로로 분할하도록 배치된다. 상하(상부 및 하부) 연료 유로는 배관 본체의 양 단부와 연통된다. 소정량의 연료가 상부 연료 유로 및 하부 연료 유로에 각각의 단부를 통해 공급된다. 연료 압력 회복의 지연은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 사이에서 불균일하다. 연료는 양 단부로부터 상부 연료 유로 및 하부 연료 유로에 공급된다. 연료 압력 회복의 지연은 연료 분사 직후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 사이에서 균일화되고, 연료 분사 장치 간의 연료 분사량의 편차는 감소된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9-296768, published on August 8, 1995, illustrates a first conventional high pressure fuel pipe. In th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a partition plate is disposed so as to divide the piping main body into fuel passages above and below (upper and lower). The upper and lower (upper and lower) fuel flow passages communicate with both ends of the pipe main body. A predetermined amount of fuel is supplied to the upper fuel passage and the lower fuel passage through each end. The delay in fuel pressure recovery is non-uniform between each fuel injector. Fuel is supplied to the upper fuel flow path and the lower fuel flow path from both ends. The delay of the fuel pressure recovery is uni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fuel injectors immediately after the fuel injection, and the variation in the fuel injection amount between the fuel injectors is reduced.

1995년 8월 8일에 공개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7-208298호는 제2 종래의 고압 연료 배관을 예시한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에 개시된 연료 공급 배관에서는, 배관 본체 내부가 상하의 연료 유로로 분할되고, 연료 도입부는 하부의 연료 유로에 배치되고, 압력 조절기는 상부 연료 유로에 제공된 연료 배출부에 배치되고, 하부 연료 유로로부터 도입된 연료는 상부 연료 유로의 연료 배출부 및 압력 조절기를 거쳐 연료 탱크에 복귀된다. 따라서, 연료 분사가 실행된 직후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 사이에서의 연료 압력 회복의 지연은 균일화되고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에 대한 연료 분사량 사이에서의 편차는 감소된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7-208298, published on August 8, 1995, illustrates a second conventional high pressure fuel pipe. In the fuel supply pipe disclosed in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the inside of the pipe main body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fuel flow paths, the fuel introduction portion is disposed in the lower fuel flow passage, the pressure regulator is disposed in the fuel discharge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fuel flow passage,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fuel flow passage is returned to the fuel tank via the fuel discharge portion and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upper fuel flow passage. Therefore, immediately after the fuel injection is executed, the delay of the fuel pressure recovery between each fuel injector is equalized and the deviation between the fuel injection amounts for each fuel injector is reduced.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구조)에서는, 배관 본체의 내벽이 받는 후프 응력은 다음의 식(1)에 의해 표시된다. In the high-pressure fuel piping (structur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normally available, the hoop stress which the inner wall of a piping main body receives is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

σmax = p(r2 2 + r1 2)/(r2 2 - r1 2) - - -(1)σmax = p (r 2 2 + r 1 2 ) / (r 2 2 -r 1 2 )---(1)

여기서, σmax: 최대 후프 응력(연료 압력에 의해 배관이 받는 응력), p: 배관 연료 압력, r1: 배관 내경, r2: 배관 외경.Here, sigma max: maximum hoop stress (stress received by the fuel pressure), p: pipe fuel pressure, r 1 : pipe inner diameter, r 2 : pipe outer diameter.

배관 연료 압력(p)이 높은 경우에, 연료 분사량의 편차 및 맥동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관 용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내경(r1) 및 외경(r2)이 확대되면, 후프 응력은 식(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승으로 커진다. 그러므로, 배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배관벽을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두꺼운 배관 벽은 고압 연료 배관(구조)의 중량화, 대형화 및 고비용을 초래한다. 또한, 고압 연료 배관(구조)의 대형화는 엔진 레이아웃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전술한 제1 종래 고압 연료 배관에서는, 칸막이 판은 단지 배관 내부를 분할하고, 배관 벽부만이 배관 내의 연료 압력을 받는다. 그러므로, 후프 응력은 배관 본체의 내경 및 외경으로부터 결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벽)을 두껍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종래 고압 연료 배관 구조에서는, 배관 본체를 분할하는 벽은 배관벽 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연료 압력을 받는다. 그러므로, 후프 응력은 각각 분할된 배관 내의 내경과 외경 사이에서의 관계로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프 응력은 내부 및 외경의 2승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배관 직경이 작아지면, 전체 배관에 작용하는 후프 응력은 작아진다. 그러나, 연료가 도입되는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의 양 단부 부근까지의 거리와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의 중앙 부근까지의 거리는 연료 분사 장치들 사이에서 서로 다르다. 연료 공급 속도도 다르다. 그러므로, 배관 본체 내의 연료 압력이 고압이 됨에 따라, 연료 분사가 실행된 직후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 사이의 연료 압력 회복의 지연의 균일화가 어렵게 되고 연료 분사량의 균일화(균일성)는 어렵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piping fuel pressure p is high,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piping volume in order to reduce the variation in the fuel injection amount and the pulsation noise. However, when the inner diameter r 1 and the outer diameter r 2 are enlarged, the hoop stress increases as a power of two, as can be seen from equation (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cken the pipe wall in order to secure the strength of the pipe. Thick pipe walls lead to weight, size and high cost of the high pressure fuel pipe (structure). In addition, the enlargement of the high-pressure fuel pipe (structure) does not meet the engine layout requirement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conventional high pressure fuel pipe, the partition plate only divides the inside of the pipe, and only the pipe wall part receives the fuel pressure in the pipe. Therefore, the hoop stress is determined from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body.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thicken the pipe (wall) a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conventional high pressure fuel pipe structure, the wall dividing the pipe main body is integrally formed in the pipe wall and subjected to fuel pressure. Therefore, the hoop stress acts 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in each divided pipe. As mentioned above, the hoop stress acts as a square of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Therefore, when one pipe diameter becomes small, the hoop stress acting on the whole pipe becomes small. However, the distance from the portion where the fuel is introduced to near both ends of each fuel injector and near the center of each fuel injector is different between the fuel injectors. Fuel supply rates are also different. Therefore, as the fuel pressure in the pipe main body becomes high, it becomes difficult to equalize the delay of the fuel pressure recovery between the respective fuel injection devices immediately after the fuel injection is performed, and the uniformity (uniformity)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becomes difficult.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연료 배관에 있어서 높은 연료 압력 하에 도 연료 분사량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연료 분사량의 편차의 감소에 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variation in fuel injection amount even at high fuel pressure in a high pressure fuel pipe, and to reduce the variation in fuel injection amount,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low cost. To prov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이 제공되고, 상기 내연 기관은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가 각각 분배되는 복수의 연료 분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고압 연료 배관은 외주벽 및 상기 외주벽과 일체로 형성된 칸막이 판을 갖는 배관 본체와, 상기 배관 본체의 칸막이 판에 의해 분할되고, 배관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호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및 제2 연료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연료 도입부와, 상기 제2 연료 유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들 중 상응하는 하나의 연료 분사 장치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부와, 제1 연료 유로와 제2 연료 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부(105a 내지 105d)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pressure fuel pip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provided, an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es a fuel tank and a plurality of fuel injectors for distributing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respectively, A pipe body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a partition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at least two first and second segments which ar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of the pipe main body, are formed inside the pipe main body, and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inserts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fuel flow passage, a fuel introduction portion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ssage, and a corresponding one of the fuel injection apparatuses, into which a corresponding fuel injection apparatus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for communicating the first fuel passage and the second fuel passag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을 생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내연 기관은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가 각각 분배되는 복수의 연료 분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외주벽 및 상기 외주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칸막이 판을 갖는 배관 본체를 제공하고, 상기 배관 본체의 칸막이 판에 의해 분할되고, 배관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호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및 제2 연료 유로를 제공하고, 제1 및 제2 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는 연료 도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 중 상응하는 연료 분사 장치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연료 유로와 제2 연료 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부를 형성하는 것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 pressure fuel pip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fuel tank and a plurality of fuel injection devices, each of which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is distributed, The method provides a piping body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a partition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at least two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of the piping body, formed inside the piping body, and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wo first fuel passages, forming a fuel introduction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and corresponding ones of the fuel injection devic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for forming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into which the fuel injection device can be inserted, and for communicating the first fuel flow path and the second fuel flow path to each other. It is provided with forming a part.

전술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모든 필수 구성 요소를 기술하고 있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이들 구성 요소의 서브-콤비네이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oes not describe all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invention may consist of sub-combinations of these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을 참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1-1) 구성(1-1) Configuration

[연료 공급 시스템][Fuel supply system]

도1은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의 고압 연료 배관이 적용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Fig.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fuel supply system to which high pressure fuel piping 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is applied.

상기 연료 공급 시스템은 내연 기관의 고압 배관 구조로서 공통 레일(common rail;1000), 연료 분사 시스템(2) 및 연료 탱크(10)를 포함한다. 공통 레일(1000)은 배관 본체(100), 칸막이 판(111), 제1 연료 유로(101), 제2 연료 유로(102), 연료 도입부(103), 삽입부(104a 내지 104d) 및 연통부(105a 내지 105d)를 포함한다. 제1 연료 유로(101) 및 제2 연료 유로(102)는 칸막이 판(11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된 배관 본체(100)의 내부로 형성되고, 상호 병렬되어 배치되는 중공 공간으로서 형성된다. 연료 도입부(103)는 제1 연료 유로(101)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고압 공급관(3)에 접속된다. 연료 도입부(103)는 제1 연료 유로(101)의 좌단부에 형성되고 고압 공급관(3)에 접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엔진 레이아웃에 따라 연료 도입부(103)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도입부(103)는 제1 연료 유로(101)의 우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연료 유로(101) 또는 제2 연료 유로(102)의 도중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fuel supply system includes a common rail 1000, a fuel injection system 2, and a fuel tank 10 as a high pressure piping structur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common rail 1000 includes a pipe main body 100, a partition plate 111, a first fuel flow path 101, a second fuel flow path 102, a fuel introduction part 103, insertion parts 104a to 104d, and a communication part. 105a to 105d. The 1st fuel flow path 101 and the 2nd fuel flow path 102 ar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piping main body 100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artition plate 111, and are formed as hollow space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uel introduction unit 103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fuel passage 101 and is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supply pipe 3. It is understood that the fuel introduction section 103 is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fuel passage 101 and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supply pipe 3. However, the fuel inlet 103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ngine layout. For example, the fuel introduction part 103 may b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first fuel flow path 101 or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fuel flow path 101 or the second fuel flow path 102.

삽입부(104a 내지 104d)는 각각의 엔진 기통에 각각 상응하는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를 삽입하는 개구를 갖는다. 연통부(105a 내지 105d)는 제1 및 제2 연료 유로(101 및 102)와 상호 연통된다. 연통부(105a 내지 105d)의 수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수와 같다. 그러나, 연통부(105a 내지 105d)의 수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연료 압력 센서(5)는 배관 본체(100)의 내부 연료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제1 연료 유로(101)에 배치된다.Insertions 104a through 104d have openings for inserting fuel injection devices 2a to 2d corresponding to respective engine cylinders, respectively.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fuel passages 101 and 102. The number of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is equal to the number of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However, the number of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In addition, the fuel pressure sensor 5 is disposed in the first fuel flow path 101 to detect the internal fuel pressure of the pipe main body 100.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에 삽입된다.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의 연료 입력측은 제2 연료 유로(102)에 배치되고, 연료 출력측은 엔진 기통의 상응하는 기통 내에 삽입된다.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는 배관 본체(100)의 내부의 연료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The fuel injection devices 2a to 2d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The fuel input side of each fuel injection device is disposed in the second fuel flow path 102, and the fuel output side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cylinder of the engine cylinder. Each fuel injector 2a to 2d serves to inject fuel in the interior of the piping body 100.

연료 탱크(10)는 연료를 축적하고, 축적된 연료는 저압 펌프(9)에 의해 압력 조절기(11)에 공급된다. 압력 조절기(11)는 저압 공급관(7)을 거쳐 고압 펌프(6)에 접속된다. 저압 복귀 관(12)은 압력 조절기(11)에 접속된다. 압력 조절기(11)는 저압 복귀 관(12)을 거쳐 연료 탱크(10)에 여분의 연료를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압력이 조절된 연료가 고압 펌프(6)로 흐른다. 고압 펌프(6)는 고압 공급관(3) 및 연료 도입부(103)를 거쳐 제1 연료 유로(101)에 접속되고 압력 조절기(11)로부터 공급된 연료 압력을 승압하여 제1 연료 유로(101)에 공급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4)는 제1 연료 유로(101)에 배치된다. 릴리프 밸브(4)는 복귀 관(8)을 거쳐 연료 탱크(10)에 접속된다. 릴리프 밸브(4)는 연료 압력 센서의 검출값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개방된다. 배관 본체(100) 내의 연료를 연료 탱크(10)에 복귀시키는 것에 의해, 배관 본체(100) 내의 연료 압력은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릴리프 밸브(4)는 제1 연료 유로(101)의 상부에 설치된다. 엔진 레이아웃에 따라 릴리프 밸브 위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리프 밸브(4)는 제1 연료 유로(101) 또는 제2 연료 유로(102)의 어느 일 단부의 도중에 배치될 수 있다.The fuel tank 10 accumulates fuel, and the accumulated fuel is supplied to the pressure regulator 11 by the low pressure pump 9. The pressure regulator 11 is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pump 6 via the low pressure supply pipe 7. The low pressure return tube 12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or 11. The pressure regulator 11 serves to return excess fuel to the fuel tank 10 via the low pressure return tube 12. Therefore, the pressure-regulated fuel flows to the high pressure pump 6. The high pressure pump 6 is connected to the first fuel passage 101 via the high pressure supply pipe 3 and the fuel introduction portion 103, and boosts the fuel pressure supplied from the pressure regulator 11 to the first fuel passage 101. Supply. In addition, the relief valve 4 is arranged in the first fuel passage 101. The relief valve 4 is connected to the fuel tank 10 via the return pipe 8. The relief valve 4 is opened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fuel pressure senso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returning the fuel in the piping main body 100 to the fuel tank 10, the fuel pressure in the piping main body 100 does not exceed predetermined value. The relief valve 4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1st fuel flow path 101. Depending on the engine layout, the relief valve position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For example, the relief valve 4 may be disposed in the middle of one end of the first fuel passage 101 or the second fuel passage 102.

[공통 레일][Common rail]

도2는 공통 레일(1000)의 사시도이다. 도3은 선 Ⅲ-Ⅲ'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도1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1000.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 2 and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1 denote the same components.

공통 레일(1000)은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 공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특히, 수평 방향(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삽입되는 코어를 사용하고,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코어를 사용하여, 제1 연료 유로(101), 제2 연료 유로(102), 삽입부(104a 내지 104d), 연통부(105a 내지 105d), 연료 배출부(106)의 개구부, 센서 부착부(107)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주조하는 동안 코어가 제1 연료 유로(101) 및 제2 연료 유로(102)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경우에, 칸막이 판(111)은 배관 본체(100)의 외주벽(112)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연료 유로(101) 및 제2 연료 유로(102)는 배관 본체(100) 내의 칸막이 판(111)에 의해 구분되고, 상호 실질적으로(또는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 연료 유로(101)의 좌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03)를 구비한다. 개구부(103)는 연료 도입부(103)를 구성한다. 또한, 제1 연료 유로(101)의 우단부는 일체로 형성된 연료 배출부(106)를 구비한다. 연료 배출부(106)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릴리프 밸브(4)는 연료 배출부(106)의 개구부에 부착된다. 센서 부착부(107)는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연료 유로(101)의 좌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센서 부착부(107)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제1 연료 유로(101)와 연통된다. 연료 압력 센서(5)는 센서 부착부(107)의 개구부에 부착된다. 개구부(108)는 좌측부(좌측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하는 제2 연료 유로(102)를 구비한다. 플러그(109)는 폐쇄를 위해 개구부(108)에 끼워진다. 삽입부(104a 내지 104d)는 제2 연료 유로(102)와 일체로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다. 이들 개구부는 하방향으로 제2 연료 유로와 연통된다.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이들 개구부에는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가 삽입된다. 연통부(105a 내지 105d)는 제1 유로(101) 및 제2 연료 유로(102)와 연통된다. 연통부(105a 내지 105d)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common rail 1000 is manufactured using an aluminum die casting method. In particular, using the core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eft or right direction), and using the cor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uel flow path 101, the second fuel flow path 102, the inserting portion 104a to 104d), communication portions 105a to 105d, opening portions of fuel discharge portion 106, and opening portions of sensor attachment portion 107 are formed. In the case where the core is used to form the first fuel passage 101 and the second fuel passage 102 during casting, the partition plate 11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12 of the piping main body 100. . The first fuel passage 101 and the second fuel passage 102 are separated by the partition plate 111 in the pipe main body 100 and are formed substantially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 left end of the first fuel passage 101 has an opening 103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pening 103 constitutes a fuel introduction section 103. In addition, the right end of the first fuel passage 101 includes a fuel discharge portion 106 formed integrally. The fuel discharge portion 106 has an opening. The relief valve 4 is attached to the opening of the fuel outlet 106. The sensor attachment portion 107 extends upward and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fuel passage 101. The sensor attachment portion 107 has an opening, which is opened upwardly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uel flow path 101. The fuel pressure sensor 5 is attached to the opening of the sensor attachment part 107. The opening 108 has a second fuel flow passage 102 that ope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eft side (left end). Plug 109 fits into opening 108 for closure.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fuel passage 102 and have openings. These openings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uel passage in the downward direction. Fuel injection devices 2a to 2d are inserted into these openings of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ssage 101 and the second fuel flow passage 102.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삽입 방향(도2 및 도3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면, 연통부(105a 내지 105d)의 개구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개구 범위 내에 포함된다.As seen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the arrow directions in Figs. 2 and 3) of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the openings of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are included in the opening range of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도4a 내지 도4c는 도2 및 도3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삽입부(104a)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로서, 도4a 내지 도4c는 삽입부(104a)와 연통부(105a)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다른 삽입부(104b 내지 104d)와 연통부(105b 내지 105d) 사이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도4a에서, 삽입부(104a)는 연통부(105a)의 개구와 동축이고 연통부(105a)의 개구는 삽입부(104a)보다 더 작다. 도4b에서, 삽입부(104a)는 연통부(105a)의 개구와 동축이 아니지만 연통부(105a)의 개구보다 더 크다. 도4c에서, 삽입부(104)의 개구는 연통부(105a)와 동축이고 삽입부의 개구와 같은 직경을 갖는다. 연통부(105a 내지 105d)의 개구는 도4a 내지 도4c의 어느 하나의 크기 및 위치 관계에서 형성된다.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s 104a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s in FIGS. 2 and 3. As an example, FIGS. 4A-4C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erting portion 104a and the communicating portion 105a. The same appli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insertion portions 104b to 104d and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b to 105d. In Fig. 4A, the inserting portion 104a is coaxial with the opening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105a and the opening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105a is smaller than the inserting portion 104a. In Fig. 4B, the inserting portion 104a is not coaxial with the opening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105a but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105a. In Fig. 4C, the opening of the insert 104 is coaxial with the communicating portion 105a and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opening of the insert. The openings of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are formed in the size and positional relationship of any one of Figs. 4A to 4C.

연통부(105a 내지 105d)의 개구가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개구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공통 코어는 공통 레일(1000)이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 공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상호 상응하는 연통부(104a 내지 104d)를 동시에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연통부(105a 내지 105d) 및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개구가 동축이고 같은 직경을 갖는 경우에는, 코어를 형성하기 용이하다. 또한, 주조 단계 완료 후에, 절삭 드릴이 삽입부(104a 내지 104d)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통부(105a 내지 105d) 및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개구는 한번의 개구 작업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openings of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are formed to be included within the opening ranges of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the common cores correspond to mutually corresponding communicating portions when the common rail 1000 is manufactured by the aluminum die casting method. It is used to simultaneously form 104a to 104d. When the openings of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and the insertion portions 104a to 104d are coaxial and have the same diameter, it is easy to form a core. Also, after completion of the casting step, a cutting drill is used to open the inserts 104a-104d. The openings of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and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in one opening operation.

또한, 본체 부착부(110a 내지 110d)는 배관 본체(10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관통 구멍은 본체 부착부(110a 내지 110d)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공통 레일(1000)이 부착될 때, 볼트는 본체 부착부(110a 내지 110d)의 관통 구멍에 관통되고, 볼트를 체결하여 배관 본체(100)를 엔진 기통 블록에 고정한다. 이 때, 삽입부(104a 내지 104d)에 삽입되는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는 배관 본체(100)의 상부 및 하부의 기통에 의해 수직(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부터 고정된다.In addition, the body attachment parts 110a to 110d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pipe main body 100.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attaching portions 110a to 110d. When the common rail 1000 is attached, the bolt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main body attaching parts 110a to 110d and fastens the bolt to fix the pipe main body 100 to the engine cylinder block. At this time, the fuel injection devices 2a to 2d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are fixed from the vertical (upper and lower) directions by the cylinder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pe main body 100.

(1-2) 작용(1-2) Action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예의 공통 레일(1000)에서, 연료 탱크(10)로부터의 연료는 연료 도입부(103)를 통해 도입되고, 연통부(105a 내지 105d)를 거쳐 제1 연료 유로(101) 및 제2 연료 유로(102) 내에 채워진다. 연료는 제1 연료 유로(101) 및 제2 연료 유로(101)에 축적된다. 그 후, 연료 압력 센서(5)에 의해 측정된 연료 압력이 소정값으로 되면, 소정량의 연료가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로부터 각각의 상응하는 기통으로 소정의 순서대로 빠르게 분사된다. 또한, 연료 분사 직후, 연료는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 바로 위에 위치하는 연통부(105a 내지 105d)를 거쳐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에 빠르게 공급된다. 연료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릴리프 밸브(4)는 개방되고 배관 본체(100) 내의 연료는 연료 압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 탱크(10) 내에 복귀된다.In the common rail 1000 of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from the fuel tank 10 is introduced through the fuel introduction portion 103, and the first fuel flow path 101 and the communication portions 105a to 105d. The second fuel flow passage 102 is filled in. Fuel is accumulated in the first fuel passage 101 and the second fuel passage 101. Then, when the fuel pressure measured by the fuel pressure sensor 5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a predetermined amount of fuel is rapidly injected from each fuel injector 2a to 2d into each corresponding cylinder in a predetermined order. . In addition, immediately after the fuel injection, the fuel is quickly supplied to the fuel injection devices 2a to 2d via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fuel injection devices 2a to 2d. When the fuel pressure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the relief valve 4 is opened and the fuel in the piping main body 100 is returned in the fuel tank 10 to prevent the fuel pressure from being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또한, 배관 본체(100)의 내부벽에 가해지는 후프 응력은 제1 및 제2 연료 유로(101 및 102)에 제공된 두 개의 연료 유로로 분산된다. 종래의 배관 구조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연료 유로에 의해 확보된 같은 값을 갖는 배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5.5mm의 배관 두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후프 응력은 필요한 강도가 감소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연료 유로에 의해 분산된다.(흩어 없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배관 두께는 4mm이다. 따라서, 공통 레일(1000)의 경량화, 소형화 및 제조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op stress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main body 100 is dispersed into two fuel flow path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fuel flow paths 101 and 102.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iping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ipe thickness of 5.5 mm in order to secure the pipe strength having the same value secured by one fuel passage.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hoop stress is dispersed (dissipated) by two fuel flow paths so that the required strength can be reduced. The pipe thickness in this embodiment is 4 mm. Therefore, weight reduction, miniaturization and manufacturing cost reduction of the common rail 1000 can be achieved.

(1-3 효과)(1-3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공통 레일(1000)에 있어서, 연료 분사를 통해 각각의 삽입부(104a 내지 104d) 근방에 위치한 공통 레일의 일부분에서 연료 압력이 감소되어도, 연료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개구 범위 내에 포함된 연통부(105a 내지 105d)를 거쳐 삽입부(104a 내지 104d)로 빠르게 공급된다. 따라서, 연료 분사 직후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e) 사이의 연료 압력의 회복에 있어서의 지연은 균일화될 수 있고 각각의 연료 분사량의 편차는 감소될 수 있다.In the common rail 1000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uel pressure is reduced in a part of the common rail located near each of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via fuel injection, the fue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It is quickly supplied to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via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included in the opening range of 104d). Therefore, the delay in the recovery of the fuel pressure between each fuel injection device 2a to 2e immediately after the fuel injection can be made uniform and the variation in the respective fuel injection amounts can be reduced.

또한, 고압관(3) 및 복귀 관(8)은 제1 연료 유로(101)에서 서로 연통되기 때문에, 연료 분사에 의해 발생되는 맥동은 제2 연료 유로(102)의 내부와 칸막이 판(111)에 의해 감소되고, 제1 유로(101)를 거쳐 고압 공급관(3) 및 복귀 관(8)을 향해 전파되는 맥동은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igh pressure tube 3 and the return tube 8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fuel passage 101, the pulsation generated by the fuel injection is caused by the inside of the second fuel passage 102 and the partition plate 111. Pulsation propagated toward the high pressure supply pipe 3 and the return pipe 8 via the first flow path 101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공통 레일(1000)에 있어서,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 사이의 연료 분사량의 편차는 복수의 연통부(105a 내지 105d)에 의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복귀 시스템을 구성하는 압력 조절기는 특별히 설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수는 감소된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Further, in the common rail 1000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ation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between each fuel injection device 2a to 2d can be reduced by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105a to 105d. As such, the pressure regulator constituting the fuel return system does not need to be specially installed. Thus,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공통 레일에 있어서, 후프 응력은 복수의 연료 유로(제1 연료 유로(101) 및 제2 연료 유로(102))에 의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배관 강도는 감소될 수 있고 배관의 두께는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경량화,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공통 레일(1000)의 소형화에 의해 엔진 레이아웃 조건의 영향을 덜 받게되고 이상한 맥동음을 감소하기 위한 충분한 용적이 확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상한 맥동음 발생에 대한 대책인 방음 프로텍터가 특별히 필요치 않다. 따라서, 부품 수의 감소 및 제조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 공법이 공통 레일(1000)을 제조하는데 적용된 경우, 배관 본체(100)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수축 공동 및 밀도의 편차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제1 실시예의 공통 레일(1000)에 따르면, 배관 본체(100)의 두께는 얇아질 수 있고, 수축 공동 및 밀도의 편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mmon rail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op stress can be dispersed by a plurality of fuel flow paths (the first fuel flow path 101 and the second fuel flow path 102), the required pipe strength is required. Can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pipe can be made thinner. Therefore, weight reduction, miniaturization and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mmon rail 1000 is less influenced by the engine layout conditions and sufficient volume can be secured to reduce abnormal pulsations. As a result, there is no particular need for a soundproof protector, which is a countermeasure against abnormal pulsation. Thus,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and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can be achieved. In addition, when the aluminum die casting method is applied to manufacture the common rail 1000, the thickness of the pipe main body 100 becomes thick,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deviation of the shrinkage cavity and the density occurs. However, according to the common rail 10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pipe main body 100 can be thi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ariations in the shrinkage cavity and the dens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레일(1000)에 있어서, 칸막이 판(111)은 외주벽(112)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부품의 수는 감소될 수 있고 제조 공정은 간략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통 레일(1000)의 제조 비용은 절감될 수 있다.In the common rai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plate 11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12. Thus,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mmon rail 1000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공통 레일(1000)에 있어서, 연통부(105a 내지 105d)의 개구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개구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호 상응하는 연통부(105a 내지 105d)를 삽입부(104a 내지 104d)와 함께 동시에 주조하는데 공통 코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주조 공정 후, 절삭 드릴이 삽입부(104a 내지 104d) 및 연통부(105a 내지 105d)를 개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연통부(105a 내지 105d) 및 삽입부(104a 내지 104d)는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은 간략해질 수 있고 제조 비용은 절감될 수 있다.Further, in the common rail 1000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s of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are formed to be included within the opening ranges of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Thus, a common core can be used to simultaneously cast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together with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Alternatively, after the casting process, a cutting drill is used to open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and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Thus, the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and the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can be easily manufactured.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제2 실시예)(2nd Example)

(2-1) 구조(2-1) structure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공통 레일(2000)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선 Ⅵ-Ⅵ'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통부(205a 내지 205d)는 각각의 삽입부(204a 내지 204d)에 상응하게 위치되지 않고, 각각의 삽입부(204a 내지 204d)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2000 in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 of FIG. 5. In the second embodiment, each communicating portion 205a to 205d is not locat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serting portions 204a to 204d, and is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each of the inserting portions 204a to 204d.

(2-2) 작용 및 효과 (2-2) Actions and Effects

연통부(205a 내지 205d)는 제2 실시예의 공통 레일(2000)에서 삽입부(204a 내지 204d)의 바로 위에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삽입부(204a 내지 204d) 부근에 발생되는 압력 맥동은 발산되고(난반사)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맥동은 연통부(205a 내지 205d)를 거쳐 고압 공급관(3) 및 복귀 관(8)에 전달되어, 이상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ng portions 205a to 205d are not disposed directly above the inserting portions 204a to 204d in the common rail 200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sure pulsations generated near the insertion portions 204a to 204d can be diverged (scattered reflection) and reduced. Therefore, the pressure pulsation is transmitted to the high pressure supply pipe 3 and the return pipe 8 via the communicating portions 205a to 205d, so that the occurrence of abnormal noise can be prevent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3-1) 구조(3-1) structure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공통 레일(3000)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선 Ⅶ-Ⅶ'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료 유로(30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통하는 연료 배출부(106 및 206)가 형성되지 않는다. 개구(108 및 208)는 제1 연료 유로(302)의 우단부에 형성되지 않는다. 개구(308)는 제2 연료 유로(302)의 좌단부에 형성된다. 개구부(303)는 연료 도입부(303)로서 설정되고, 개구부(308)는 연료 배출부(308)로서 설정된다. 연료 도입부(303)는 고압 공급관(3)에 접속된다. 릴리프 밸브(4)는 연료 배출부(308)에 배치된다. 반대로, 개구부(303)는 연료 배출부(303)로서 설정되고, 개구부(308)는 연료 도입부(308)로서 설정된다. 릴리프 밸브(4)는 연료 배출부(303)에 배치될 수 있고 고압 공급관(3)은 연료 도입부(308)에 접속될 수도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3000 in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In this embodiment, the fuel discharge portions 106 and 206 communicating upward from the first fuel passage 301 are not formed. Openings 108 and 208 are not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first fuel passage 302. The opening 308 is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second fuel passage 302. The opening 303 is set as the fuel inlet 303, and the opening 308 is set as the fuel outlet 308. The fuel introduction portion 303 is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supply pipe 3. The relief valve 4 is arranged at the fuel outlet 308. In contrast, the opening portion 303 is set as the fuel discharge portion 303, and the opening portion 308 is set as the fuel introduction portion 308. The relief valve 4 may be arranged in the fuel outlet 303 and the high pressure supply pipe 3 may be connected to the fuel inlet 308.

(3-2) 작용 및 효과(3-2) Actions and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공통 레일(3000)에서는, 제1 연료 유로(301) 및 제2 연료 유로(302)가 형성된다. 동시에, 연료 도입부(303) 및 연료 배출부(308)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도입부(106 및 206)를 특별히 형성하는 것이 필요치 않다. 제조 공정은 간략해질 수 있고 제조 비용은 절감될 수 있다.In the common rail 300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uel passage 301 and the second fuel passage 302 are formed. At the same time, a fuel introduction portion 303 and a fuel discharge portion 308 may be formed.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ically form the fuel introduction portions 106 and 206.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제4 실시예)(Example 4)

(4-1) 구조(4-1) structure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통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10은 선 Ⅹ-Ⅹ'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연통부(405a 내지 405d)의 수가 삽입부(404a 내지 404d)의 수보다 적어진다. 제4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연통부(405a 내지 405c)가 배관 본체(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삽입부(404a 내지 404d)의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of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number of communicating portions 405a to 405d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inserting portions 404a to 404d. In the fourth embodiment, each communication portion 405a to 405c is disposed at approximately the middle portion of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404a to 404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main body 400.

(4-2) 작용 및 효과(4-2) Actions and Effects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통 레일(4000)에서는, 연통부(405a 내지 405c)의 수가 삽입부(405a 내지 405c)의 수보다 적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삽입부(404a 내지 404d)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통부(405a 내지 405c)는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의 연료 회복의 편차가 감소되는 것을 가능케한다. 각각의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에 대해 연료 분사량의 균일 분사가 달성될 수 있다.In the common rail 4000 of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the number of communicating portions 405a to 405c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inserting portions 405a to 405c.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mmunicating portions 405a to 405c disposed near the inserting portions 404a to 404d enable the variation in fuel recovery of the fuel injectors 2a to 2d to be reduced. Uniform injection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can be achieved for each fuel injection device 2a to 2d.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연료 유로(101 및 102)가 제공된다. 그러나, 세 개의 연료 유로(도11에 도시된 101, 102 및 102A) 및 연료 도입부가 임의의 연료 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호 인접하는 연료 유로는 다른 연료 유로와 연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공통 레일(1000)의 내부벽에 가해지는 후프 응력은 더욱 분산되고, 배관 두께는 얇아질 수 있다. 도11에서, 도면부호 '111A'는 칸막이 판(111)과는 다른 칸막이 판을 나타내고, 연통부(105A, 105B, 105C 및 105D)가 형성되고, 제3 연료 유로(102A)가 형성되고, 다른 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wo fuel flow paths 101 and 102 are provided. However, three fuel flow paths (101, 102 and 102A shown in Fig. 11) and a fuel introduc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y fuel flow path, and adjacent fuel flow paths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other fuel flow paths. In this case, the hoop stress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mmon rail 1000 is further dispersed, and the pipe thickness can be made thinner. In FIG. 11, reference numeral 111A denotes a partition plate different from the partition plate 111, communication portions 105A, 105B, 105C, and 105D are formed, a third fuel flow passage 102A is formed, and another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s typically the same as shown in FIG.

일본 특허 출원 제2002-317565호(2002년 10월 31일 일본에서 출원됨)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다. 본 발명의 범주는 다음의 청구항을 참조로 한정된다.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2-317565 (filed October 31, 2002 in Japa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 연료 배관에 있어서 높은 연료 압력 하에서도 연료 분사량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을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tion in fuel injection amount can be reduced even at high fuel pressure in the high pressure fuel pipe, and the high pressure fuel pip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low cos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의 내연 기관의 고압 배관이 적용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uel supply system to which high pressure pip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applied in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의 공통 레일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3은 도2에 도시된 선 Ⅲ-Ⅲ'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shown in FIG.

도4a, 4b 및 4c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경우에서 각각의 연통부와 각각의 삽입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4A, 4B and 4C are explanatory view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municating portion and each inserting por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의 공통 레일을 설명하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mon rail in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도5에 도시된 선 Ⅳ-Ⅳ'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shown in FIG.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서의 공통 레일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in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도7에 도시된 선 Ⅶ-Ⅶ'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shown in FIG.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의 공통 레일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in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도9에 도시된 선 Ⅹ-Ⅹ'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shown in Fig. 9;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통 레일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연료 공급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1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other fuel supply system to which a common rail of a preferred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a 내지 2d: 연료 분사 장치2a to 2d: fuel injector

3: 고압 공급관3: high pressure feed pipe

10: 연료 탱크10: fuel tank

100, 200, 300, 400: 배관 본체100, 200, 300, 400: piping body

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 연료 유로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 fuel flow path

111, 211, 311, 411, 111A: 칸막이 판111, 211, 311, 411, 111A: partition plate

103, 203, 303, 403: 연료 도입부103, 203, 303, 403: fuel inlet

104a 내지 104d: 삽입부104a to 104d: insertion portion

105a 내지 105d: 연통부105a to 105d: communicating portion

308: 연료 배출부308: fuel outlet

1000, 2000, 3000, 4000: 공통 레일 1000, 2000, 3000, 4000: common rail

Claims (11)

연료 탱크(10) 및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가 각각 분배되는 복수의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이며,A high pressure fuel pip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a fuel tank 10 and a plurality of fuel injectors 2a to 2d through which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is distributed, 외주벽 및 상기 외주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칸막이 판(111, 211, 311, 411, 111A)을 갖는 배관 본체(100, 200, 300, 400)와,A pipe body (100, 200, 300, 400)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partition plates (111, 211, 311, 411, 111A)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상기 배관 본체의 칸막이 판에 의해 분할되고, 배관 본체의 내부 공간 내에 형성되며, 상호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및 제2 연료 유로(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와,At least two first and second fuel flow paths 101, 102, 201, 202, 301, 302, 401 which ar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of the piping body and ar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iping body and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 402), 상기 제1 연료 유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연료 도입부(103, 203, 303, 403)와,Fuel introduction portions 103, 203, 303, and 403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uel passage; 제2 연료 유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들 중 상응하는 하나의 연료 분사 장치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부(104a 내지 104d, 204a 내지 204d, 304a 내지 304d, 404a 내지 404d)와,A plurality of inserts 104a-104d, 204a-204d, 304a-304d, 404a-404d, which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uel passage, into which a corresponding one of the fuel injectors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Wow, 상기 제1 연료 유로와 제2 연료 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부(105a 내지 105d, 205a 내지 205d, 305a 내지 305d, 405a 내지 405d, 105A 내지 105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 A high pressur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105a to 105d, 205a to 205d, 305a to 305d, 405a to 405d, 105A to 105D which communicate the first fuel passage and the second fuel passage. Fuel pip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통부(105a 내지105d) 각각은, 삽입 방향에서 볼 때 복수의 연통부 각각의 개구가 상응하는 삽입부의 개구 범위 내에 포함되는 방법으로 복수의 삽입부(104a 내지 104d)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105a to 105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105a to 105d is included in a manner in which opening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are included within an opening range of a corresponding insertion portion when view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High pressure fuel pip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104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통부 각각은 복수의 삽입부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배관 본체의 위치에, 상응하는 삽입부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The high-pressure fuel pip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corresponding insertion portion at a position of the pipe body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105a 내지 105d)의 수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4. The high pressure fuel pip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number of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d) is equal to the number of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통부(105a 내지 105c)는 복수의 삽입부(104a 내지 104d) 각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관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The high-pressure fuel pip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c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main body at positions deviating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105a 내지 105c)의 수는 삽입부(104a 내지 104d)의 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6. The high pressure fuel pip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or 5, wherein the number of communicating portions (105a to 105c)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inserting portions (104a to 104d).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른 연료 유로(102A)는 제1 및 제2 연료 유로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및 제2 연료 유로(101 또는 102)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6. The fuel cell of claim 1, wherein at least the other fuel flow path 102A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fuel flow paths an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uel flow paths 101 or 102. High pressure fuel pip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도입부(103)는 제1 연료 유로(101)의 개구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6. The high pressure fuel pip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wherein the fuel introduction portion (103) is formed at an opening end of the first fuel passage (10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배출부(308)는 제2 연료 유로의 개구 단부(30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6. The high pressure fuel pip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wherein the fuel discharge portion (308) is formed at an opening end (308) of the second fuel flow passage. 연료 탱크(10) 및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가 각각 분배되는 복수의 연료 분사 장치(2a 내지 2d)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배관을 생산하는 방법이며,I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pressure fuel pip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fuel tank 10 and a plurality of fuel injectors (2a to 2d) each of which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is distributed, 외주벽 및 상기 외주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칸막이 판(111, 211, 311, 411, 111A)을 갖는 배관 본체(100, 200, 300, 400)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piping body (100, 200, 300, 400)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partition plates (111, 211, 311, 411, 111A)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상기 배관 본체의 칸막이 판에 의해 분할되고, 배관 본체의 내부 공간 내에 형성되며, 상호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및 제2 연료 유로(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를 제공하는 단계와,At least two first and second fuel flow paths 101, 102, 201, 202, 301, 302, 401 which ar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of the piping body and ar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iping body and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402), 상기 제1 연료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료 도입부(103, 203, 303, 403)를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fuel introduction portions (103, 203, 303, 403)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uel passage; 상기 제1 및 제2 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 중 상응하는 연료 분사 장치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부(104a 내지 104d, 204a 내지 204d, 304a 내지 304d, 404a 내지 404d, 104A 내지 104D)를 형성하는 단계와,A plurality of inserts 104a-104d, 204a-204d, 304a-304d, 404a-404d in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and into which corresponding fuel injectors of the fuel injector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 104A to 104D), 상기 제1 연료 유로와 제2 연료 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부(105a 내지 105d, 205a 내지 205d, 305a 내지 305d, 405a 내지 405d, 105A 내지 105D)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Form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105a to 105d, 205a to 205d, 305a to 305d, 405a to 405d, 105A to 105D which communicate the first fuel passage and the second fuel passage with each other. Way.
KR1020030076292A 2002-10-31 2003-10-30 Highly pressurized fuel pip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853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7565 2002-10-31
JP2002317565A JP4134681B2 (en) 2002-10-31 2002-10-31 High pressure fuel pip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832A KR20040038832A (en) 2004-05-08
KR100585361B1 true KR100585361B1 (en) 2006-06-01

Family

ID=3208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292A KR100585361B1 (en) 2002-10-31 2003-10-30 Highly pressurized fuel pip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16151B1 (en)
JP (1) JP4134681B2 (en)
KR (1) KR100585361B1 (en)
CN (2) CN100472062C (en)
DE (1) DE60318799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9913B2 (en) * 2004-09-10 2008-04-02 株式会社デンソー Joining member joining method and attachment stay joining method used in an accumulator fuel injection system
EP1705366A1 (en) * 2005-03-03 2006-09-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High-pressure fuel storage unit
US7699041B2 (en) * 2007-12-11 2010-04-20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distribution tube for direct injection fuel rail assemblies
JP2011069254A (en) * 2009-09-24 2011-04-07 Daihatsu Motor Co Ltd Fuel delivery pip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1069255A (en) * 2009-09-24 2011-04-07 Daihatsu Motor Co Ltd Fuel delivery pip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0051004A1 (en) * 2010-11-10 2012-05-10 Poppe & Potthoff Gmbh Fuel rail for fuel rail assembly, for use in fuel injection system, has cross hole, which guides from inside of fuel rail through its wall to its outer side
CN101984248B (en) * 2010-11-30 2012-01-04 天津雷沃动力股份有限公司 High-pressure oil rail with novel structure
DE102011112376A1 (en) 2011-09-02 2013-03-07 Poppe & Potthoff Gmbh Fuel rail for use in common-rail injection system of diesel engine, has connection fittings connected to outer side of base body, where one of fittings connect high-pressure supply line and branch pipe that is attached with branch line
DE102012206984A1 (en) * 2012-04-26 2013-10-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igh pressure fuel rail for a fuel injec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3214965A1 (en) * 2013-07-31 2015-02-05 Robert Bosch Gmbh Fuel distributor and fuel injection system
GB201514053D0 (en) * 2015-08-10 2015-09-23 Delphi Int Operations Lux Srl Novel fuel rail for injection system
GB2570114A (en) * 2018-01-10 2019-07-17 Delphi Tech Ip Ltd Fuel common rail
DE102018209130A1 (en) * 2018-06-08 2019-12-12 Robert Bosch Gmbh Fuel storage arrangement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uch an arrangement
CN109973269A (en) * 2018-12-11 2019-07-05 上海威克迈龙川汽车发动机零件有限公司 A kind of distribution pipe and its processing technology and engine high pressure oil rail assembly
DE102019204150A1 (en) * 2019-03-26 2020-10-01 Robert Bosch Gmbh High pressure accumulator for fuels, fuel system
CN110206668B (en) * 2019-04-19 2022-12-16 浙江派尼尔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oil rail suitable for digital air pressurization and adjustment of V6 engine
CN113931763A (en) * 2021-09-30 2022-01-14 东风商用车有限公司 High-pressure common rail pip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1275A (en) * 1982-08-23 1986-07-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rail
US5035221A (en) * 1989-01-11 1991-07-30 Martin Tiby M High pressure electronic common-rail fuel injection system for diesel engines
JP3355699B2 (en) * 1993-06-11 2002-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Accumulator
JPH07208298A (en) * 1994-01-27 1995-08-08 Aisin Seiki Co Ltd Fuel distributing pip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296768A (en) * 1996-05-01 1997-11-18 Denso Corp Fuel suppl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718242Y (en) 2005-08-17
DE60318799T2 (en) 2008-06-05
CN100472062C (en) 2009-03-25
DE60318799D1 (en) 2008-03-13
CN1499072A (en) 2004-05-26
EP1416151A3 (en) 2005-06-01
JP4134681B2 (en) 2008-08-20
KR20040038832A (en) 2004-05-08
JP2004150368A (en) 2004-05-27
EP1416151B1 (en) 2008-01-23
EP1416151A2 (en)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361B1 (en) Highly pressurized fuel pip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248514B2 (en) Liquid-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918238B2 (en) Fuel rail to attenuate radiation noise
EP0780569B1 (en) Accumulator fuel injection device
DE102006003639A1 (en) Fuel-injection system used in multicylinder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prises a volume in a high-pressure reservoir for damping pressure pulses between high-pressure reservoirs and between the reservoirs and a high-pressure pump
US5592968A (en) Pressure supply device
JP2001280219A (en) Supply device for common rail system of large diesel engine
US11199168B2 (en) Distributor apparatus of a common-rail system
US6742504B2 (en) Pressure wave attenuator for a rail
US8720418B2 (en) Fuel injection system
US20050166898A1 (en) Fuel injection system and cylinder head with a central fuel reservoir
US6260538B1 (en) Fuel system
US6935315B2 (en) High volume actuating fluid rail
CN104696100B (en) The vittat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ool in crankcase
US9644590B2 (en) Fuel injection pressure pulsation dampening system
JPH07208298A (en) Fuel distributing pip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233085A (en) Fuel supply device
JP6992556B2 (en) Engine fuel supply
GB2601191A (en) A rocker housin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844637B1 (en) A chain oil jet structure reducing oil microseism
EP2050953A2 (en) High-pressure oil manifold for a diesel engine
US20160348625A1 (en) Fuel injector rail
JP2009019542A (en) Fuel distribution structure of direct injection type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