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274B1 - 침대의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침대의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274B1
KR100585274B1 KR1020040056209A KR20040056209A KR100585274B1 KR 100585274 B1 KR100585274 B1 KR 100585274B1 KR 1020040056209 A KR1020040056209 A KR 1020040056209A KR 20040056209 A KR20040056209 A KR 20040056209A KR 100585274 B1 KR100585274 B1 KR 10058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ed
heat
h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338A (ko
Inventor
권명하
Original Assignee
서울경금속열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경금속열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경금속열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2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17Connections between supply and inlet or outlet of central heating radiators
    • F24D19/0024Connections for plat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18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04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 F28D2020/0008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the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e.g. in plates having internal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의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에 온수가 순환되는 방열기(放熱器)가 장착되어 복사열에 의한 온돌효과와 함께 대류에 의한 실내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져 난방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사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지주(11)들에는 프레임(12)이 사각 틀을 이루어 결합되고, 프레임(12)의 내부에는 매트리스 받침용 지지봉(13)들이 장착된 침대(10)에 있어서, 온수 온수관(21)들의 외부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방열핀(21a)들이 수평을 이루는 상부 방열판(22)의 하부에 연속 고정되어 복수의 온수관(21)들이 연속 장착되고, 각각의 온수관(21)들 하부에는 방열핀(21a)과 연결되는 지지판(23)들이 각각 장착된 방열기(20)와; 상기 온수관(21)들의 전,후방에 각각 접속된 연결관(30)들에 의하여 온수관(21)들이 지그재그식으로 연결되어 온수가 순환되고, 온수관(21)들의 양측에 각각 접속된 온수 공급관(31)과 회수관(32)에는 플렉시블호스(31a)(32a)들이 각각 접속되어 보일러로부터 유입된 온수가 온수관(21) 내부를 순환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대(10)의 지지봉(13)들 위에 방열기(20)가 수평으로 장착되어 상부 방열판(22)에 부착된 장판(50)에 직접가열이 이루어지는 복사난방과 아울러 방열핀(21a)에서 발산된 열이 지지판(23)들의 사이를 통해 침대(10)의 하부로 방열되어 대류에 의한 공기 가열이 이루어지는 대류난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난방장치 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침대의 난방장치{a heating apparatus for 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열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 공급관과 회수관이 플렉시블호스에 의하여 분기관에 접속된 상태를 예시한 장치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침대 11 : 지주
12 : 프레임 13 : 지지봉
20 : 방열기 21 : 온수관
21a : 방열핀 21b : 라이너
22 : 방열판 23 : 지지판
30 : 연결관 31 : 공급관
31a, 32a : 플렉시블호스 32 : 회수관
33 : 에어밸브 40 : 난방배관
50 : 장판 51 : 축열판
52 : 단열판 60 : 브래킷
본 발명은 침대의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에 온수가 순환되는 방열기(放熱器)가 장착되어 복사열에 의한 온돌효과와 함께 대류에 의한 실내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져 난방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바닥의 일정높이에서 수면이나 휴식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므로 방열기나 온풍기와 같은 난방장치로 실내의 공기온도를 높여주는 대류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온돌과 같이 열이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한 난방을 선호하는 우리의 실정으로는 침대 생활을 기피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침대에 전기담요를 깔아서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때에는 전열선에 의한 유해 전자파의 발생, 화재의 위험 및 전력의 사용량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므로 결국 전기담요와 같은 직접가열 장치는 임시적으로 사용하는 수단에 불과하였다.
더욱이, 전기담요는 침대와는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침대에 일체화된 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직접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돌 효과와 함께 대류에 의한 실내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난방장치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침대에 온수가 순환되는 방열기(放熱器)가 장착되어 복사열에 의한 온돌효과와 함께 대류에 의한 실내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져 난방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침대의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지주(11)들에는 프레임(12)이 사각 틀을 이루어 결합되고, 프레임(12)의 내부에는 매트리스 받침용 지지봉(13)들이 장착된 침대(10)에 있어서, 온수 온수관(21)들의 외부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방열핀(21a)들이 수평을 이루는 상부 방열판(22)의 하부에 연속 고정되어 복수의 온수관(21)들이 연속 장착되고, 각각의 온수관(21)들 하부에는 방열핀(21a)과 연결되는 지지판(23)들이 각각 장착된 방열기(20)와; 상기 온수관(21)들의 전,후방에 각각 접속된 연결관(30)들에 의하여 온수관(21)들이 지그재그식으로 연결되어 온수가 순환되고, 온수관(21)들의 양측에 각각 접속된 온수 공급관(31)과 회수관(32)에는 플렉시블호스(31a)(32a)들이 각각 접속되어 보일러로부터 유입된 온수가 온수관(21) 내부를 순환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대(10)의 지지봉(13)들 위에 방열기(20)가 수평으로 장착되어 상부 방열판(22)에 부착된 장판(50)에 직접가열이 이루어지는 복사난방과 아울러 방열핀(21a)에서 발산된 열이 지지판(23)들의 사이를 통해 침대(10)의 하부로 방열되어 대류에 의한 공기 가열이 이루어지는 대류난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난방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10)의 사방에서 수직으로 장착된 지주(11)들에는 프레임(12)이 사각 틀을 이루어 결합되어 있고, 프레임(12)의 내부에는 복수의 지지봉(13)들이 장착되어 매트리스 등이 놓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침대(10)는 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침대(10)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방열기(20)의 구성에 있다.
상기 방열기(20)는 침대(10)의 넓이 와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 방열판(22), 방열핀(21a)들을 갖는 온수관(21)들 및 온수관(21)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 는 지지판(23)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온수관(21)들의 외부에는 방열핀(21a)들이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수평을 이루는 상부 방열판(22)의 하부에 복수의 온수관(21)들이 일정 간격을 이루어 연속 장착되어 있다.
상기 온수관(21)들은 방열핀(21a)에 의하여 상부 방열판(22)과 연결되어 있고, 온수관(21)의 외부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된 방열핀(21a)들 중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돌출된 방열핀(21a)이 상부 방열판(22)의 하부에 고정되어 온수관(21)들이 연속 장착된다.
상기 온수관(21)들 하부에는 지지판(23)들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지지판(23)들도 방열핀(21a)에 의하여 온수관(21)과 연결된다. 즉, 상기 온수관(21)의 외부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된 방열핀(21a)들 중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돌출된 방열핀(21a)이 지지판(23)의 상부에 고정되어 온수관(21)들 하부에 지지판(23)들이 각각 장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부 방열판(22), 방열핀(21a)을 갖는 온수관(21)들, 지지판(23)들은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수관(21)의 내부에는 동(銅) 재질의 내식성(耐蝕性) 라이너(21b)가 삽입되어 있고, 라이너(21b)는 온수관(21)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관 내부에 잔류하는 스케일을 없애고 열전도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수 온수관(21)의 전방에는 온수 공급관(31)이 접속되어 있고, 온수 온수관(21)의 후방에는 온수 회수관(32)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관(21)들의 전,후방에는 연결관(30)들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30)에 의하여 온수관(21)들이 지그재그식으로 연결되어 온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온수관(21)들의 양측에는 온수 공급관(31)과 회수관(32)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온수관(21)의 내부에 라이너(21b)가 삽입된 경우에는 연결관(30), 온수 공급관(31) 및 회수관(32)이 라이너(21b)에 직접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 공급관(31)과 회수관(32)에는 플렉시블호스(31a)(32a)들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플렉시블호스(31a)(32a)들은 보일러와 연결되는 난방배관(40)에 각각 접속되어 온수관(21)의 내부로 온수를 연속 순환시켜 방열핀(21a)들에 의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호스(31a)(32a)들은 난방배관(40)에 각종 커플링으로 결합되고, 유연하게 굽힘되어 실내에 설치된 침대(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방열기(20)는 침대(10)의 사각 프레임(12) 내부에 장착되고, 방열기(20)의 하부 지지판(23)들이 사각 프레임(12)의 내부 지지봉(13)들에 놓여져 방열기(20)가 고정된다. 상기 방열기(20)의 상부 방열판(22) 표면에는 장판(50)이 부착되어 있고, 열을 저장하였다가 서서히 방출하는 축열성 장판(5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3은 온수 회수관(32)에 장착되어 배관 내부의 공기를 자동 배출시켜 온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밸브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에어밸브(33)가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플렉시블호스(31a)(32a), 공급관(31) 및 회수관(32)으로 구성된 온수순환 시스템을 통해 침대(10)에 수평으로 장착된 방열기(20)의 온수관(21)들 내부로 순환시키면 온수에서 발산되는 일부의 열이 방열핀(21a)을 통해 상부 방열판(22)으로 직접 전달되어 장판(50)이 깔려진 상부 방열판(22)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데워지는 것이므로 복사열에 의한 바닥난방이 이루어져 온돌과 같은 쾌적한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방열핀(21a)에서 발산된 나머지 약 70∼80%의 열은 지지판(23)들과 침대(10)의 지지봉(13)들 사이를 통해 침대(10)의 하부로 방열되어 상승되고 차가워진 후 다시 하강되는 대류에 의한 공기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실내의 공기를 훈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복사열에 의한 온돌효과와 함께 대류에 의한 실내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져 난방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방열판(22)과 장판(50)의 사이에는 축열판(51)이 삽입되어 일단 상부 방열판(22)을 가열시킨 후 보일러의 가동을 정지시키더라도 데워진 상부 방열판(22)의 온도를 상당 시간 보존하여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방열판(22)의 하부에는 단열판(52)을 부착하여 가열된 방열판(22)의 열이 하부로 배출되어 빼앗기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부 방열판(22)의 열 손실을 최소화시켜 온돌효과를 오랜시간 지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침대(10)에 수평으로 장착된 방열기(20)의 온수관(21)들 내부로 순환시키면 온수에서 발산되는 일부의 열이 방열핀(21a)을 통해 상부 방열판(22)으로 직접 전달되어 장판(50)이 깔려진 상부 방열판(22)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데워지는 것이므로 복사열에 의한 바닥난방이 이루어져 온돌과 같은 쾌적한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방열핀(21a)에서 발산된 나머지 열들은 지지판(23)들과 침대(10)의 지지봉(13)들 사이를 통해 침대(10)의 하부로 신속하게 방열되어 상승되고 차가워진 후 다시 하강되는 대류에 의한 공기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실내의 공기를 훈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복사열에 의한 온돌효과와 함께 대류에 의한 실내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져 난방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실내를 대류 난방하기 위한 방열기가 벽 근처에 설치되어 전체적인 실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방열기의 설치에 상당한 장소를 차지하였으나, 본 발명은 방열기가 실내에 장착되어 전체적인 실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사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지주(11)들에는 프레임(12)이 사각 틀을 이루어 결합되고, 프레임(12)의 내부에는 매트리스 받침용 지지봉(13)들이 장착된 침대(10)에 있어서,
    온수 온수관(21)들의 외부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방열핀(21a)들이 수평을 이루는 상부 방열판(22)의 하부에 연속 고정되어 복수의 온수관(21)들이 연속 장착되고, 각각의 온수관(21)들 하부에는 방열핀(21a)과 연결되는 지지판(23)들이 각각 장착된 방열기(20)와;
    상기 온수관(21)들의 전,후방에 각각 접속된 연결관(30)들에 의하여 온수관(21)들이 지그재그식으로 연결되어 온수가 순환되고, 온수관(21)들의 양측에 각각 접속된 온수 공급관(31)과 회수관(32)에는 플렉시블호스(31a)(32a)들이 각각 접속되어 보일러로부터 유입된 온수가 온수관(21) 내부를 순환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대(10)의 지지봉(13)들 위에 방열기(20)가 수평으로 장착되어 상부 방열판(22)에 부착된 장판(50)에 직접가열이 이루어지는 복사난방과 아울러 방열핀(21a)에서 발산된 열이 지지판(23)들의 사이를 통해 침대(10)의 하부로 방열되어 대류에 의한 공기 가열이 이루어지는 대류난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22), 방열핀(21a)을 갖는 온수관(21)들, 지지판(23)들은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온수관(21)의 내부에는 동(銅) 재질의 내식성 라이너(21b)가 삽입되어 온수관(21)의 부식을 방지하고 배관 내부에 잔류하는 스케일을 없앨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난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열판(22)과 장판(50)의 사이에는 축열판(51)이 삽입되어 데워진 상부 방열판(22)의 온도를 상당 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난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부 방열판(22)의 하부에는 단열판(52)이 부착되어 상부 방열판(22)의 열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난방장치.
KR1020040056209A 2004-07-20 2004-07-20 침대의 난방장치 KR10058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09A KR100585274B1 (ko) 2004-07-20 2004-07-20 침대의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09A KR100585274B1 (ko) 2004-07-20 2004-07-20 침대의 난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487U Division KR200365808Y1 (ko) 2004-07-19 2004-07-19 침대의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338A KR20060007338A (ko) 2006-01-24
KR100585274B1 true KR100585274B1 (ko) 2006-06-07

Family

ID=3711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209A KR100585274B1 (ko) 2004-07-20 2004-07-20 침대의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89B1 (ko) 2010-05-24 2011-05-31 박현우 난방기능을 갖는 스프링 매트리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272A1 (ko) * 2010-10-13 2012-04-19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보온막이 구비된 온돌침대
KR101404620B1 (ko) * 2012-01-10 2014-06-27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양면 난방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89B1 (ko) 2010-05-24 2011-05-31 박현우 난방기능을 갖는 스프링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338A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8926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空調機
JP2007078324A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KR100585274B1 (ko) 침대의 난방장치
US10663198B2 (en) Heat pump system and air-conditioner
KR200365808Y1 (ko) 침대의 난방장치
KR200379105Y1 (ko) 침대 부착형 난방장치
KR102310938B1 (ko) 열 순환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온수방열 온풍장치
JP2003130378A (ja) 暖房装置
CN209861404U (zh) 一种信息系统控制箱体的高效循环散热装置
KR101577054B1 (ko) 제습기능을 갖는 냉온수 공급유닛
JP4284312B2 (ja) 温風床暖房装置
JP2009162469A (ja) 暖冷房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KR200475893Y1 (ko) 하이브리드 방열패널
JP3187477U (ja) 結露防止用放熱器
JPH06257800A (ja) 空調装置
CN213300221U (zh) 一种便于维修更换的地暖
JPH0742017Y2 (ja) 可動型空気調和装置
US11243011B2 (en) Heat emitting radiator
JPH0658565A (ja) 空調システム
KR100664712B1 (ko) 냉난방장치
JP3133082U (ja) 流体加温パネルヒータ
JPH0657933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JP2005055130A (ja) 蓄熱式床暖房システム
JP2006105490A (ja) 冷暖房システム
JP2016161213A (ja) 床下温調システム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