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079B1 - 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079B1
KR100585079B1 KR1019990062764A KR19990062764A KR100585079B1 KR 100585079 B1 KR100585079 B1 KR 100585079B1 KR 1019990062764 A KR1019990062764 A KR 1019990062764A KR 19990062764 A KR19990062764 A KR 19990062764A KR 100585079 B1 KR100585079 B1 KR 10058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guide
tray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473A (ko
Inventor
안철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0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 G11B17/0407Closing mechanism, e.g. door controlling the loading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38Centering or locking of a plurality of discs in a single cartridge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크를 수용하는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 이격된 상태로 디스크를 지지하는 한편, 디스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가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만큼 이격되어 지지됨으로써, 디스크 플레이어 본체의 높이를 그 소정 높이만큼 낮출 수 있어 슬림화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디스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직타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도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Disk player}
도 1은 종래 디스크 플레이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턴 테이블의 설치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디스크의 지지가 해제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디스크의 클램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디스크 10...하우징
31...턴 테이블 40...디스크 가이드 부재
41...가이드부 411...핀(Pin)
42...탄성 부재 43...가이드 레버
44...힌지(Hinge) 45...장공(長孔)
46...경사면 47...지지면
48...가이드면 49...연결부
50...디스크 트레이 51...디스크 수용부
52...돌기부 53...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크 트레이에 수용되는 디스크를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높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디스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플레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출입구 (11)를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데크 플레이트(30)와, 이 데크 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핀들 모터(32)와, 이 스핀들 모터(32)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하우징내로 삽입된 디스크(1)가 안착되는 턴 테이블(31)과, 상기 턴 테이블(31)과 함께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클램프(12)와, 상기 디스크 출입구(11)를 통해 하우징(10) 내외로 디스크 (1)를 이송하는 디스크 트레이(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20)는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하우징(10)의 내외부로 직선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1)가 안착되는 디스크 수용부(21)를 갖 는다.
이러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디스크 수용부(21)의 바닥면에 디스크(1)가 놓여진 채로 디스크 트레이(20)가 하우징(10) 내로 직선 이송되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30)의 상승운동에 의해 상기 턴 테이블(31)이 소정 높이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1)는 디스크 수용부(21)의 바닥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면서 턴 테이블(31) 상에 안착되고 상기 클램프(12)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디스크 (1)는, 디스크 수용부(2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위치되므로, 플레이 동작시 상기 디스크 트레이에 간섭받지 않고 스핀들모터(3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디스크(1)를 수용한 디스크 트레이(20)가 하우징(10) 내외로 이송될 때, 그 디스크(1)가 턴 테이블(31)과 간섭되지 않도록, 이송되는 디스크(1)의 하면과 턴 테이블(31)의 상부 사이에는 적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디스크가 디스크 수용부(21)의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턴 테이블(31)의 상부와 디스크 수용부(21)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적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높이는,상기 턴 테이블(31)의 상부와 디스크 수용부(21)의 바닥면 사이에 마련되어야 할 적정한 간격을 고려하여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디스크 플레이어의 슬림화에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설치공간이 협소하거나 한 경우 등 필요시에는 하우징의 본체를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하우징 본체를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하게 되면, 디스크 트레이(20)의 이동시에 디스크가 디스크 수용부(21)상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탈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안착된 디스크를 지지하여, 하우징(10)을 수직으로 세웠을 때에도 디스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디스크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디스크 트레이에 복수의 디스크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디스크 수용부에 안착된 디스크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부품수의 과다한 증가를 초래하여 조립공수를 증가시키고 생산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디스크 플레이어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디스크 트레이의 디스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디스크를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고정 지지함으로써,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고, 또한 본체를 수직으로 세웠을 경우에도 디스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디스크가 수용되는 디스크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디스크를 그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는, 하우징(10)과, 디스크 트레이(50)와, 디스크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 가이드 수단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50)의 디스크 수용부(51)에 수용된 디스크(1)를 그 디스크 수용부(51)의 바닥면(53)에 대해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크 가이드 부재(40)와, 탄성 부재(42)와, 가이드 레버(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 가이드 부재(40)는, 디스크 수용부(51) 내의 디스크 테두리부와 직접 접촉하여 디스크(1)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41)와,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4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부(41)들은, 도 2에서와 같이, 디스크(1)의 두 곳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디스크(1)를 지지하도록 디스크 수용부(51)로 진입하는 제1방향 및 그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이며 디스크(1)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디스크 트레이(50)에 설치된다. 또, 상기 각 가이드부(41)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수용부(51)의 바닥면보다 소정 높이(H)만큼 높은 위치에 있는 지지면(47)과, 그 지지면(47)의 상방에 위치되어 지지면(47)과 대면하는 경사면(46)을 가진다. 상기 지지면(47)은 디스크 (1)의 테두리부 하면과 접촉하여 디스크를 소정 높이(H)의 위치에서 지지하며, 상 기 경사면(46)은 디스크(1)의 상측 테두리부와 접촉하며 지지면(47)과 함께 디스크 (1)를 지지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1)는, 지지면(47)과 경사면(46) 사이로 디스크의 진입을 보다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지지면(47)의 끝단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면(48)을 더 구비한다.
상기 탄성 부재(42)는 가이드부(41)의 후방, 즉, 제2방향측 단부와 디스크 트레이(50)의 소정 부위 사이에 압압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가이드 부재(40)는 디스크를 지지하는 제1방향쪽으로 상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버(43)는 디스크 트레이(50) 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44)가 결합되고, 이 힌지(44)를 기준으로 양단으로 연장되며 그 일단에는 장공(45)이 형성되어 이 장공(45)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41)의 핀(411)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는, 상기 디스크 수용부(51)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52)가 마련되어, 상기 디스크 가이드 부재(40)가 디스크(1)를 지지한 부위의 대향면에서 디스크(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하우징(10)에는, 디스크 트레이(50)가 내부로 진입되는 도중에, 상기 디스크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레버(43)의 단부와 접촉되어 그 가이드 레버(43)를 가압하는 가압부(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디스크를 하우징내로 운반하여 플레이시키기 위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50)가 하우징(10)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1)의 일측 테두리부를 가이드부(41)의 경사면(46)과 지지면(47)사이에 끼우며 디스크 가이드 부재(40)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디스크 가이드 부재(40)는 탄성 부재(42)를 탄성변형시키면서 뒤쪽으로 이동된다. 그 후, 디스크(1)의 타측 테두리부를 디스크 수용부(51)의 내주면상의 돌기부(52) 하방에 위치시켜 두면, 탄성변형되어 있던 탄성 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는 가이드부(41)와 돌기부(52)사이에 끼워져 밀착됨과 동시에 디스크 수용부(51)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H)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50)를 하우징(10)내로 이동시키면, 종래의 하우징(10)내의 턴 테이블(31)은 디스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 즉, 디스크의 하면과 적정 간격(k, 도 4 참조)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1)가 디스크 수용부(51)의 바닥면보다 소정 높이(H)만큼 상향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턴 테이블의 높이가 상기 높이(H)만큼 높게 위치되더라도,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적정 간격(k)이 유지되어, 운반되는 디스크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디스크(1)는 가이드부(41)의 경사면(46)과 디스크 트레이(50)의 돌기부(52)에 의해 디스크 수용부(51)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자세로 설치되더라도 디스크(1)는 디스크 수용부(5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하우징(10)내로 이송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디스크(1)를 수용한 디스크 트레이(50)가 하우징(10) 내부로 진입되고, 디스크 가이드 부재(40)의 디스크에 대한 지지가 해제된 뒤, 디스크 플레이를 위해 디스크가 클램핑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1)와 상기 돌기부(52) 하단에 지지되어 수용된 디스크 (1)는, 탄성 부재(42)에 의해 가이드부(41)에서 돌기부(52)쪽(제1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지지됨으로써, 디스크(1)의 중심위치는 디스크 트레이(50) 및 턴 테이블(31)의 중심위치로부터 소정 거리(X)만큼 편심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디스크가 수용된 디스크 트레이(50)가 하우징(10)내로 진입되면, 진입 도중에 가이드 레버(43)의 타단이, 하우징(10)내에 마련된 가압 부(13)에 각각 접촉되게 되고, 디스크 트레이(50)의 진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3)에 눌려 가이드 레버(43)의 힌지(44)를 기준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버(43)의 일단의 장공(45)에 끼워진 가이드부(41)의 핀(411)이 압압됨으로써, 디스크 가이드 부재(40)는 탄성 부재(42)를 압축시키면서 제2방향으로 후퇴되어 디스크의 지지를 해제하게 된다.
이 때, 디스크 트레이(50)와 턴 테이블(31)의 중심위치로부터 소정 거리(X)만큼 편심되어 지지되어 있던 디스크(1)가 디스크 가이드 부재(40)로부터 지지 해제됨과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의 하방에 위치하는 턴 테이블(31)이 상승한다. 턴 테이블(31)은 상부의 테이퍼면이 디스크(1)의 내주원 단부와 접촉하고, 디스크(1)는 턴 테이블(31)의 테이퍼면을 따라 미끄러져 안착된다. 따라서, 디스크(1)는 상기 돌기부(52)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소정 거 리(X)만큼 편심되어 있던 디스크(1)의 중심이 턴 테이블(31)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1)는 돌기부(52)로부터도 이격 위치됨으로써, 디스크 플레이시 간섭 받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50)의 인출시에는, 클램프(12)와 함께 디스크를 클램핑하고 있던 턴 테이블(31)이 하강 이격되어 디스크의 클램핑이 해제되고, 디스크 트레이(50)는 하우징(10)의 디스크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제1방향쪽으로 슬라이딩 이송되기 시작한다. 이 때, 상기 가압부(13)에 걸려 가압되어 있던 가이드 레버(43)는 가압부(13)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가이드 레버(43)는 가압부 (13)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41)는 탄성 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디스크 쪽을 향해 슬라이딩 이송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를 지지하는 위치로 원상 복귀된다.
따라서, 디스크가 가이드부(41)의 경사면(46) 및 지지면(47)과 디스크 트레이(50)의 돌기부(52)에 끼워지고, 디스크 수용부(51)의 바닥면(53)으로부터 소정 높이(H)만큼 다시 높게 지지된 상태로 디스크 트레이(50)는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 디스크는 종래의 디스크 수용부(21) 보다 소정 높이(H)만큼 높은 상태에서 지지되어 플레이 위치로 상승되므로, 디스크와 턴 테이블(31)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높이도 상기 소정 높이만큼 더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어의 높이를 그 소정 높이(H)만큼 단축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 디스크 트레이 (50)의 하우징내로의 출입시, 디스크는 상기 디스크 가이드 부재(40)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돌기부(52)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트레이(50)를 수직상태로 사용하더라도 디스크가 디스크 트레이(5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의 수용시,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향 지지되어 디스크와 관련부품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높이를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크 플레이어의 하우징 전체의 높이를 슬림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어의 슬림화에 유리하다.
또한, 디스크 가이드 수단과 돌기부에 의해 디스크를 탄성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디스크 트레이를 수직상태로 사용하더라도 디스크가 디스크 트레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복잡한 부품의 증가나 구조의 변경없이 간단한 구조로서 수직형의 모델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하우징과, 디스크가 수용되는 디스크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디스크를 그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가이드 수단은;
    상기 디스크 수용부의 바닥면보다 상기 소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있는 지지면과 그 지지면의 상방에 위치되어 지지면과 대면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디스크 수용부내의 디스크를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크 수용부로 진입하는 제1방향 및 그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이며 디스크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디스크 트레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 사이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1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디스크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가이드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디스크를 지지한 상태에서, 그 디스크의 상측 테두리부에 접촉되어 디스크의 상방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크 수용부의 내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가 진입되는 도중에 상기 가이드 레버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버의 타단이 접촉되어 가압되는 가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로 디스크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면의 끝단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KR1019990062764A 1999-12-27 1999-12-27 디스크 플레이어 KR100585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764A KR100585079B1 (ko) 1999-12-27 1999-12-27 디스크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764A KR100585079B1 (ko) 1999-12-27 1999-12-27 디스크 플레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473A KR20010060473A (ko) 2001-07-07
KR100585079B1 true KR100585079B1 (ko) 2006-06-01

Family

ID=1963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764A KR100585079B1 (ko) 1999-12-27 1999-12-27 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32B1 (ko) * 2002-08-16 2005-03-16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473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584B1 (ko) 디스크 장전용 장치를 갖춘 디스크 레코드 플레이어
EP0146179B1 (en) Disc player
US5191569A (en) Disk playback device
US6229781B1 (en) Disk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creased reliability of disk holding and clamping operations when installed in its vertical position
KR100585079B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100379349B1 (ko)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클램프 기구
KR100468730B1 (ko)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KR20020062422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WO2000033304A1 (fr) Mecanisme de serrage de disque pour dispositif a disque
US6421311B1 (en) Optical disk apparatus for preventing damage to an optical disk
KR970017398A (ko) 디스크 재생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0183829B1 (ko) 디스크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디스크 플레이어
KR19980060751A (ko) 디스크플레이어
KR100243165B1 (ko) 디스크카트리지 데크
KR100261100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
KR100219599B1 (ko) 디스크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디스크 플레이어
KR970004652B1 (ko) 콤팩트디스크 체인저의 디스크 클램핑장치
KR960008037B1 (ko) 미니디스크겸용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스핀들어셈블리 승강장치
JP2667658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装着装置
KR940005856B1 (ko) 양면 연주용 디스크 클램핑 장치
KR100266367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디스크언클램핑장치
KR200339947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 장치
KR100343680B1 (ko) 수직형드라이브의기록매체장착장치
KR930012158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프 장치
JPH0621079Y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