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058B1 -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058B1
KR100585058B1 KR19990003221A KR19990003221A KR100585058B1 KR 100585058 B1 KR100585058 B1 KR 100585058B1 KR 19990003221 A KR19990003221 A KR 19990003221A KR 19990003221 A KR19990003221 A KR 19990003221A KR 100585058 B1 KR100585058 B1 KR 100585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sd
caption
video
mp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0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883A (ko
Inventor
유한주
정돈희
왕혁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999000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058B1/ko
Priority to US09/484,974 priority patent/US6961382B1/en
Priority to JP2000020868A priority patent/JP4695240B2/ja
Publication of KR2000005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엠펙 스트림을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엠펙 디코더를 제공한다. 엠펙 디코더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타를 추출하는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한다. 헤더 메모리는 추출된 사용자 데이타를 저장한다. 중앙 처리 장치(CPU)는 메모리, 사용자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고, 캡션 데이타를 OSD목표 데이타로 변환한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은 OSD목표 데이타를 소정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픽셀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픽셀 데이타를 출력한다. 비디오 믹싱 수단은 변환된 픽셀 데이타와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타를 믹싱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엠펙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에서 추출된 사용자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션 데이타를 OSD모듈을 이용하여 OSD데이타로 출력함으로써 캡션 기능을 없는 일반 텔레비젼에서도 캡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MPEG decoder and decoding method for caption display}
도 1은 종래의 엠펙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엠펙 디코더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엠펙 디코더에서 수행되는 엠펙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엠펙 디코더(Moving Picture Experts Group decoder:MPEG decod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션 기능은 영화 또는 텔레비젼 시청 시에 한글 또는 영문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말한다. 종래에는 캡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타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데이타를 캡션 데이타로서 비디오 인코더(160)에 인가하여 내부 캡션 신호를 만들어줌으로써 캡션 문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즉, 엠펙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되는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시퀀스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헤더와, 다수 개의 픽쳐들로 이루어진 GOP(GROUP OF PICTURE)가 복수 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 때, 각 GOP는 GOP헤더 및 다수 개의 픽쳐들 예를 들어, I픽쳐, P픽쳐, B픽쳐와 같은 픽쳐들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GOP헤더에는 사용자 데이타 영역이 존재한다. 즉, 비디오 스트림에서는 제21번째 수평 라인을 사용자 데이타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캡션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데이타 (USER_DATA)를 추출하여 캡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엠펙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MPEG 디멀티플렉서(100), 오디오 D/A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110), 비디오 디코더(120), 헤더 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130),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140) 및 비디오 믹서(15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디오 인코더(160)가 함께 도시된다.
엠펙 A/V디멀티플렉서(100)는 입력 단자 MIN으로부터 인가되는 엠펙 스트림을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으로 각각 분리한다. 오디오 디코더(105)는 엠펙 A/V디멀티플렉서(100)에서 분리된 디지탈 형태의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오디오 D/A변환기(DAC)(110)는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출력 단자 A_OUT를 통하여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120)는 엠펙 A/V디멀티플렉서(100)에서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GOP헤더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타 (USER_DATA)를 추출한다.
헤더 FIFO메모리(130)는 GOP헤더에서 추출된 사용자 데이타를 저장한다.
CPU(150)는 헤더 FIFO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타 (USER_DATA)를 입력하고, 사용자 데이타가 캡션 정보라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 데이타(USER_DATA)를 캡션 정보로서 출력한다.
비디오 믹서(150)는 비디오 디코더(120)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와 OSD제어부(미도시)에서 인가되는 OSD데이타를 믹싱하여 비디오 인코더(160)로 출력한다.
비디오 인코더(160)는 비디오 믹서(150)의 출력과 CPU(14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타(USER_DATA) 즉, 캡션 데이타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결과를 비디오 출력 단자 V_OUT를 통하여 출력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MPEG디코더에서는, 캡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MPEG비디오 스트림의 헤더에서 추출된 사용자 데이타(USER_DATA)를 비디오 인코더(160)로 직접 출력하기 때문에, 캡션 기능이 부가된 고가의 인코더나 TV에 의해서만 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일반 텔레비젼에서는 캡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엠펙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고, OSD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캡션 데이타를 출력함으로써 일반 텔레비젼으로 캡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엠펙 디코더에서 수행되는 디코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엠펙 스트림을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엠펙 디코더를 제공한다. 엠펙 디코더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타를 추출하는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한다. 헤더 메모리는 추출된 사용자 데이타를 저장한다. 중앙 처리 장치(CPU)는 메모리, 사용자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고, 캡션 데이타를 OSD목표 데이타로 변환한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은 OSD목표 데이타를 소정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픽셀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픽셀 데이타를 출력한다. 비디오 믹싱 수단은 변환된 픽셀 데이타와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타를 믹싱하여 출력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엠펙 디코딩 방법을 제공한다. 엠펙 비디오 스트림은 디코딩되고, 사용자 데이타는 엠펙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로부터 추출된다. 캡션 데이타는 사용자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생성된다. 캡션 데이타는 OSD목표 데이타로 변환되어 버퍼에 저장된다. OSD목표 데이타는 OSD 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면 픽셀 데이타로 픽셀 데이타로 변환된다. 픽셀 데이타는 비디오 데이타와 믹싱되고 그 결과는 출력으로서 제공된다.
전술한 것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이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서로 다른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들은 반드시 확대 강조될 필요는 없으며, 다만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엠펙 A/V디멀티플렉서(200), 오디오 D/A변환기(210), 입력 버퍼(220), 비디오 디코더(230), 헤더 FIFO메모리(260), CPU(270), OSD 제어부(280), 비디오 믹서(2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비디오 디코더(230)는 MPEG스트림 디코더(232), 역 양자화기(234), 역DCT부(236), 프레임 메모리(237), 움직임 보상부(238) 및 가산기(239)를 포함한다. 또한, OSD제어부(280)는 OSD버퍼(282)와 OSD처리부(284)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디오 인코더(290)가 함께 도시된다.
엠펙 A/V디멀티플렉서(200)는 입력 단자 MIN를 통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엠펙 스트림(MPEG STREAM)을 입력하고, 입력된 엠펙 스트림을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한다. 여기에서, 엠펙 스트림은 외부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CDP), 디지탈 다기능 디스크 플레이어(Digital Verstile Disc Player:DVDP)와 같은 장치의 내부 데이타 프로세서에서 인가되거나, 컴퓨터인 경우에는 하드 디스크 또는 컴팩트 디스크 등에서 인가되어질 수 있는 신호이다.
오디오 디코더(205)는 엠펙 A/V디멀티플렉서(200)에서 분리된 디지탈 형태의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오디오 D/A변환기(DAC)(210)는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단자 A_OUT을 통하여 출력한다.
입력 버퍼(220)는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결과를 비디오 디코더(230)로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230)는 입력 버퍼(220)에서 버퍼링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결과를 비디오 믹서(250)로 출력한다. 즉, 비디오 디코더(236)는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역양자화 및 역DCT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움직임을 보상하여 비디오 믹서(250)로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 디코더(230)는 비디오 스트림의 GOP헤더 정보로부터 사용자 데이타(USER_DATA)를 추출한다.
헤더 FIFO메모리(260)는 비디오 디코더(23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데이타 (USER_DATA)를 저장한다.
CPU(270)는 헤더 FIFO메모리(260)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데이타(USER_DATA) 를 내부에서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고, 캡션 데이타를 OSD목표 데이타(OSD_OBJ)로 변환하여 OSD제어부(280)의 OSD버퍼(282)에 저장한다. 여기에서, OSD목표 데이타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될 OSD문자의 위치, 크기 및 칼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타를 나타낸다.
또한, CPU(270)는 캡션 데이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OSD_EN)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OSD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OSD_EN)는 OSD목표 데이타(OSD_OBJ)의 시작 비트를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여 OSD처리부(284)로 출력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CPU(270)는 RISC 프로세서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
OSD제어부(280)는 OSD 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OSD_EN)에 응답하여 CPU(270)에서 출력된 OSD목표 데이타(OSD_OBJ)를 픽셀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픽셀 데이타를 비디오 믹서(250)로 출력한다.
비디오 믹서(250)는 비디오 디코더(230)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와 OSD제어부(280)에서 출력되는 픽셀 데이타를 믹싱하여 출력한다.
비디오 인코더(230)는 비디오 믹서(25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인코딩하여 비디오 출력 단자 V_OUT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 때, 오디오 출력 단자 A_OUT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와, 비디오 출력 단자 V_OUT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는 TV 모니터를 통하여 재생된다.
도 2에 도시된 엠펙 디코더의 비디오 디코더(23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엠펙 스트림 디코더(232)는 입력 버퍼(220)를 통하여 인가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DCT계수와 움직임 정보(MOT_INF)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움직임 정보(MOT_INF)는 비디오 신호의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한 움직임 벡터값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DCT계수는 역양자화기(234)에서 역양자화되고, 역양자화된 결과는 역DCT부(236)에서 역 DCT변환된다.
또한, 움직임 보상부(238)는 MPEG스트림 디코더(232)에서 출력된 움직임 벡 터에 의해 프레임 메모리(237)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픽쳐 및 현재 픽쳐 사이의 움직임을 보상한다. 가산기(239)는 움직임 보상부(238)에서 보상된 결과와 역 DCT부(236)에서 출력된 결과를 더하여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가산기(239)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과거 픽쳐로서 프레임 메모리(237)에 저장 되고, 이후에 인가되는 픽쳐의 움직임 보상을 위해 이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엠펙 디코더는 MPEG스트림의 GOP헤더 내에 있는 사용자 데이타를 추출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캡션 데이타를 OSD데이타로 변환한 후 OSD모듈을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캡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엠펙 디코더의 OSD제어부(280)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OSD버퍼(282)와 OSD처리부(284)를 포함한다.
OSD버퍼(282)는 일반적으로 디램과 같은 메모리 내부에 구현되며, CPU(270) 로부터 인가되는 OSD목표 데이타(OSD_OBJ)를 저장한다. 즉, OSD목표 데이타 (OSD_OBJ)는 캡션 기능 수행 시에는 캡션 정보에 의해 변환된 데이타라고 할 수 있지만, 일반 기능 수행 시에는 일반적인 OSD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타가 된다.
OSD 처리부(284)는 OSD버퍼(282)로부터 OSD목표 데이타를 독출하고, 독출된 OSD목표 데이타를 픽셀 데이타로 변환한다. OSD처리부는 버퍼 인터페이스부(32), 텍스트 OSD모듈(T_OSD)(34), 비트 맵 OSD모듈(B_OSD)(36), 텍스트 칼라 룩업 테이블(T_CLUT)(35), 비트맵 칼라 룩업 테이블(B_CLUT)(39) 및 OSD믹서(37)를 포함한다. 또한, OSD처리부(284)는 텍스트 OSD모듈(T_OSD)(34) 또는 비트 맵 OSD모듈(B_OSD)(36) 중에서 어느 하나의 OSD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OSD믹서(37)는 이용되지 않으며 텍스트 칼라 룩업 테이블 (T_CLUT)(35)과 비트맵 칼라 룩업 테이블(B_CLUT)(39) 중에서 하나의 룩업 테이블만이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OSD처리부(284)에 관하여 기술된다. 버퍼 인터페이스부(32)는 OSD버퍼(282)에 저장된 OSD목표 데이타(OSD_OBJ)를 입력하여 OSD처리부(284)의 내부 블럭으로 전달한다.
T_OSD모듈(34)은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블럭이며, OSD 목표 데이타(OSD_OBJ)를 텍스트 OSD 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텍스트 OSD정보를 픽셀 데이타로 변환한다. 또한, T_OSD모듈(34)은 비트맵 폰트를 로딩하기 위한 폰트 룩업 테이블을 내부에 구비한다.
B_OSD모듈(36)은 OSD버퍼(282)에 저장된 OSD데이타를 비트맵 OSD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비트맵 OSD정보를 픽셀 데이타로 변환한다.
T_CLUT(35)는 텍스트 OSD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칼라 정보들을 저장하고, B_CLUT(39)는 비트맵 OSD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칼라 정보들을 저장한다.
OSD믹서(35)는 T_OSD모듈(34)에서 출력된 텍스트 픽셀 데이타와 B_OSD모듈 (36)에서 출력된 비트맵 픽셀 데이타를 입력하여 믹싱하고, 믹싱된 결과를 출력 단자 OSD_OUT을 통하여 비디오 믹서(250)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션 데이타로부터 변환된 OSD목표 데이타(OSD_OBJ)는 T_OSD모듈(34)에서 픽셀 데이타로 변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엠펙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로부터 사용자 데이타를 추출하는 단계(제400~410단계), 사용자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션 데이타를 OSD목표 데이타로 변환하는 단계(제420~430단계), OSD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인가되었으면 OSD데이타를 픽셀 데이타로 변환한 후 비디오 데이타와 믹싱하여 출력하는 단계(제440~470단계)를 포함한다.
도 2~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의 동작 및 디코딩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엠펙 디코더의 비디오 디코더(230)에서는 엠펙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다(제400단계). 이 때, 엠펙 스트림 디코더(232)에서는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DCT계수와 움직임 정보(MOT_INF)를 생성한다, 상기 DCT계수는 역양자화 및 역 DCT변환 과정을 거쳐서 움직임 보상된 비디오 데이타와 가산되고, 가산된 결과는 비디오 믹서(250)로 인가된다. 제400단계에서 비트스트림이 디코딩 되었으면, 엠펙 스트림 디코더(232)는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로부터 사용자 데이타(USER_DATA)를 추출한다(제410단계). 제410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타 (USER_DATA)가 추출되었으면, 상기 사용자 데이타(USER_DATA)는 헤더 FIFO메모리 (260)를 통하여 CPU(270)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CPU(270)는 사용자 데이타 (USER_DATA)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한다(제420단계).
또한, CPU(270)는 입력된 캡션 데이타를 OSD목표 데이타(OSD_OBJ)로 변환하고, 변환된 OSD목표 데이타(OSD_OBJ)를 OSD버퍼(282)에 저장한다 (제430단계). 이 때, CPU(270)로부터 OSD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라는 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OSD_EN)가 인가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440단계).
즉, 제440단계에서 OSD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었으면, OSD처리부 (284)는 OSD버퍼(282)로부터 OSD목표 데이타를 독출하고, 독출된 OSD목표 데이타를 픽셀 데이타로 변환한다(제460단계). 즉, OSD처리부(284)의 T_OSD모듈(34)은 OSD 버퍼(282)에 저장된 OSD목표 데이타(OSD_OBJ)에 상응하는 픽셀 데이타를 구하여 OSD믹서(37)로 출력한다. 만일, OSD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으면, 엠펙 디코더는 제460단계로 복귀한다.
한편, 제460단계에서 OSD데이타가 픽셀 데이타로 변환되었으면, OSD 처리부 (284)는 상기 픽셀 데이타를 비디오 믹서(250)로 출력한다. 비디오 믹서(290)는 엠펙 비디오 디코더(236)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타와 상기 픽셀 데이타를 믹싱하여 출력한다(제470단계). 이 때, 출력된 데이타는 비디오 인코더(290)에서 인코딩되어 TV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엠펙 스트림을 디코딩함으로써 일반 텔레비젼에서도 캡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엠펙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에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션 데이타를 OSD모듈을 이용하여 OSD데이타로 변환한 후 출력함으로써 캡션 기능을 갖지않는 일반 텔레비젼에서도 캡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엠펙 디코더를 이용하는 많은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캡션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4)

  1. 화면에 캡션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캡션 정보를 생성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엠펙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엠펙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타를 추출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추출된 사용자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헤더 메모리;
    상기 사용자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캡션 데이타를 OSD목표 데이타로 변환하는 중앙 처리 장치;
    상기 OSD목표 데이타를 소정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픽셀 데이타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픽셀 데이타를 출력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 및
    상기 변환된 픽셀 데이타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생성된 비디오 데이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믹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OSD 목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OSD버퍼; 및
    상기 저장된 OSD목표 데이타를 독출하고, 상기 OSD목표 데이타를 픽셀 데이타로 변환하는 OSD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OSD 목표 데이타는 캡션 기능이 수행될 때는 캡션 정보로부터 변환된 데이타로서 정의되고, 일반 기능 수행 시에는 일반적인 OSD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타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디코더.
  2. 삭제
  3. 삭제
  4. (a)엠펙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b)상기 엠펙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로부터 사용자 데이타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사용자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캡션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
    (d)상기 캡션 데이타를 OSD목표 데이타로 변환하여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e)상기 OSD목표 데이타가 상기 버퍼에 저장되었으면, OSD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f)상기 OSD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었으면, 상기 OSD목표 데이타를 픽셀 데이타로 변환하는 단계; 및
    (g)상기 픽셀 데이타를 상기 엠펙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생성한 비디오 데이타와 믹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OSD 목표 데이타는 캡션 기능이 수행될 때는 캡션 정보로부터 변환된 데이타로서 정의되고, 일반 기능 수행 시에는 일반적인 OSD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타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디코딩 방법.
KR19990003221A 1999-02-01 1999-02-01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KR100585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03221A KR100585058B1 (ko) 1999-02-01 1999-02-01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US09/484,974 US6961382B1 (en) 1999-02-01 2000-01-18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ion display
JP2000020868A JP4695240B2 (ja) 1999-02-01 2000-01-28 キャプション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mpegデコー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03221A KR100585058B1 (ko) 1999-02-01 1999-02-01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883A KR20000054883A (ko) 2000-09-05
KR100585058B1 true KR100585058B1 (ko) 2006-06-01

Family

ID=1957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03221A KR100585058B1 (ko) 1999-02-01 1999-02-01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61382B1 (ko)
JP (1) JP4695240B2 (ko)
KR (1) KR100585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8762B (en) * 2004-11-10 2006-02-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Video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813961B1 (ko) * 2005-06-14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수신장치
US8004608B2 (en) * 2006-06-08 2011-08-23 Shenzhen Tcl New Technology Ltd Closed captioning data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6658145B (zh) * 2016-12-27 2020-07-0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直播数据处理方法和装置
US10885903B1 (en) * 2018-12-10 2021-01-05 Amazon Technologies, Inc. Generating transcription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keywor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701A (ko) * 1995-06-07 1997-01-28 제프리 엘. 포만 다수의 사용자 및 윈도에 기초한 컴퓨터 시스템 및 다수의 사용자에 기초한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KR19990070447A (ko) * 1998-02-20 1999-09-15 윤종용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캡션 방송장치
KR20000046164A (ko) * 1998-12-31 2000-07-25 구자홍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캡션 데이터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9770A (en) * 1995-05-24 1999-10-1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nimated "on-screen" display provisions for an MPEG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DE69713241T2 (de) * 1996-10-08 2003-02-20 Sony Corp Empfangsvorrichtung und -verfahren und Phasenregelkreis
US6369855B1 (en) * 1996-11-01 2002-04-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dio and video decoder circuit and system
US6226047B1 (en) * 1997-05-30 2001-05-01 Daewoo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in a settop box
JPH1127641A (ja) * 1997-07-07 1999-01-29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11196386A (ja) * 1997-10-30 1999-07-21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701A (ko) * 1995-06-07 1997-01-28 제프리 엘. 포만 다수의 사용자 및 윈도에 기초한 컴퓨터 시스템 및 다수의 사용자에 기초한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KR19990070447A (ko) * 1998-02-20 1999-09-15 윤종용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캡션 방송장치
KR20000046164A (ko) * 1998-12-31 2000-07-25 구자홍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캡션 데이터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883A (ko) 2000-09-05
US6961382B1 (en) 2005-11-01
JP4695240B2 (ja) 2011-06-08
JP2000236490A (ja) 2000-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457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ceiving digital video signals
US694748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struction driven digital video processor
US78361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overlays in a multimedia system
US6490324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output video decoder
JP3759167B2 (ja) 圧縮されたビデオデータを復号化し、表示するメモリコントローラ
KR20000075760A (ko) 비디오 영상에 대한 오류 은닉
JPH11122624A (ja) ビデオデコーダ処理量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900164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tion compensation instruction generator
US6529244B1 (en) Digital video decode system with OSD processor for converting graphics data in 4:4:4 format to 4:2:2 format by mathematically combining chrominance values
KR100334364B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롤 장치
KR20000028928A (ko) 비디오 신호 디코더 및 비디오 신호 디코더에서 메모리액세스를 감소시키는 방법
EP10246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tion compensation instruction generator
KR100585058B1 (ko)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US74468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GB2334644A (en) Decoding high definition TV signals for display as standard definition TV
EP18482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image aspect ratio conversion
KR100394013B1 (ko) 비디오 스냅 영상용 변환 부호화 장치
US5784055A (en) Color control for on-screen display in digital video
KR10110238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정지 영상 캡쳐 장치 및 방법
JP2000023167A (ja) 映像復号化装置とその方法、受信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2002016924A (ja) トランスコーダ装置およびトランスコード方法
JPH1093917A (ja) 画像処理装置
JP200605476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020078345A (ko) 썸네일 이미지 디코더를 내장하는 디지털 티브이 디코더
KR19990076382A (ko) 화상데이타의 저장이 가능한 디지탈tv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