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813B1 -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가능한 화재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가능한 화재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813B1
KR100584813B1 KR1020030049697A KR20030049697A KR100584813B1 KR 100584813 B1 KR100584813 B1 KR 100584813B1 KR 1020030049697 A KR1020030049697 A KR 1020030049697A KR 20030049697 A KR20030049697 A KR 20030049697A KR 100584813 B1 KR100584813 B1 KR 10058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splay
switching
fire
scree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435A (ko
Inventor
박주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씨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03004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8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관련 정보에 대한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가 지원되는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는 상기 화재 감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 장치, 소방 설비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와 상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텍스트 모드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는 주제어 장치, 상기 주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 장치로부터의 상기 표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생성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 및 상기 주제어 장치의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표시 신호 절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다운 등으로 인한 그래픽 모드의 오동작시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텍스트 모드 디스플레이로 절환한다.
화재 수신기, 텍스트 모드 디스플레이,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가능한 화재 수신기{FIRE ALARM SYSTEM COMPRISING DISPLAY MODE SWITCHING FUNCTION}
도 1a 및 도 1b는 각각 텍스트 모드 디스플레이 및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의 일례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수신기가 설치된 판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수신기(100)를 구성하는 각 콤포넌트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신호 절환 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를 사용하여 GUI 화면 처리 장치가 오동작할 때 표시 신호를 절환하는 절차를 주제어 장치의 동작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5b는 GUI 화면 처리 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한 화면 전환 후 GUI 화면 처리 장치가 정상 동작할 때 표시 장치를 그래픽 모드로 자동 복귀시키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화재 수신기 110 : 판넬
122 : 표시 장치 162 : GUI 화면 처리 장치
170 : 주제어 장치 172 : 통신 제어 장치
174 : 중계기 180 : 표시 신호 절환 장치
182 : 절환 신호 입력부 184 : 절환 제어부
186 : 신호 절환부
본 발명은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관련 정보에 대한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가 지원되는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단지 등 대형 건물에는 화재로 인한 인적, 물적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화재 경보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화재 경보 설비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화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발견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에 의해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화재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및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신기는 방화 대상물을 경계 구역마다 구분하고 임의의 구역 내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가 발생한 장소를 표시하며 음향 장치를 통하여 경보를 발하게 하는 장치로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GP, GR형 수신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P형 수신기는 감지기, 발신기, 경종 등을 실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중소규모 건물에 많이 사용되며, R형 수신기는 감지기 및 발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중계기를 접속하여 연결되며,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여지는 신호를 고유의 신호로서 수신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회선수가 많거나 한 구내의 다수동 건물을 집중 관리하고자 할 때 또는 회선수의 증설계획이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편, GP, GR형 수신기는 P형 또는 R형 수신기에 가스 누설 탐지 기능이 부가된 수신기를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화재 수신기는 통상 관리하는 여러 구역의 화재 감시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 주기 위해 음극선관 모니터 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한 화면에 여러 곳에 설치된 감지기의 명칭, 설치 위치, 감지 시간, 화재 감지 여부 및 감지기의 정상 동작 여부 등의 정보를 텍스트로 나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나열된 텍스트 위주의 화면에서 감시자가 필요한 정보를 식별해 내기는 어려우며, 특히 감지기 등의 정상 동작 여부 또는 정확한 화재 발생 위치를 즉각적으로 인식하기에는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화재 발생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처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최근에는 건물의 조감도, 평면도 및 배치도 등을 배경 화면으로 하고 구역 확대 및 축소 등 다양한 그래픽 기능들을 지원함으로써 감시자가 감시 상황을 보다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한다)에 기반한 감시 화면을 제공하는 수신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비교를 위해 텍스트 기반 디스플레이와 그래픽 기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 1a 및 도 2a에 각각 도시하였다.
텍스트 기반의 화재 수신기가 도스(DOS) 운영 체제를 채용하고 있는 반면, GUI 기반의 화재 수신기는 그래픽 기능의 지원을 위해 윈도우즈(Windows) 등의 운용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GUI 기반의 운용 시스템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여러 가지 이유로 시스템이 다운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시스템의 오류를 확인하고 재부팅하더라도 재부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경보 시스템이 한동안 마비되므로 안정성을 요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는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본 발명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텍스트 모드 및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를 선택적으로 지원 가능한 화재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으로 텍스트 모드 및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동시에 시스템 다운 등에 의해 상기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가 오동작시 이를 감지하여 텍스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화재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방 설비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화재 감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재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 장치, 상기 소방 설비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와 상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텍스트 모드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는 주제어 장치, 상기 주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 장치로부터의 상기 표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생성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 및 상기 주제어 장치의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표시 신호 절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화재 수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제어 장치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는 각각 통신 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통신 포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화재 수신기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정상 동작 및 오동작 여부를 상기 주제어 장치로 감지하고, 오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주제어 장치가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절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환 장치는 상기 주제어 장치로부터의 상기 절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절환 제어 신호 입력부, 상기 절환 신호 입력부로부터 상기 절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절환 신호를 생성하는 절환 제어부 및 상기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와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를 절환하는 신호 절환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 절환부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오동작시 상기 절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로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오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정상 동작시 상기 절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로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자동적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정상 동작 및 오동작 여부는 수신 확인 신호의 존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방 설비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화재 감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재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 장치, 상기 소방 설비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 상기 소방 설비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텍스트 모드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주제어 장치 및 상기 주제어 장치의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표시 신호 절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화재 수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정상 동작 또는 오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에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는 상기 주제어 장치의 절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로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 또는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가 설치된 판넬(110)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110)은 크게 표시부(120), 스위치 조작부(130), 소화용수 감시 제어부(140), 전원부(150) 및 GUI 화면 처리부(160)를 포함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판넬(110)의 내부에 설치된 주제어 장치, 통신 장치, 표시 신호 절환 장치 및 기타 주변 장치들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20)는 CRT 또는 LCD로 된 표시 장치(12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모니터는 외부의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화재 감시 상황을 표시한다. 상기 스위치 조작부(130)는 스위치 조작 장치(134) 및 일련의 표시 소자(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조작부(130)는 감시자가 조작 장치(134)의 조작을 통해 화재 모사(simulation) 상황 등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를 체크할 수 있으며, 경종 등의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을 임의로 정지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화 용수 감시 제어부(140)는 화재시 사용될 소화 용수 저장 장치에 용수량이 필요 수량을 충족하는지 여부 및 소화 용수 장치의 고장 여부를 감시한다.
상기 전원부(150) 상기 화재 수신기의 각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GUI 화면 처리부(160)는 주제어 보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화재 감시 상황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탑재된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이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한다. 상기 GUI 화면 처리부(160)는 이를 위해 펜티엄 컴퓨터와 같은 GUI 화면 처리 장치(162)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제어 장치, 통신 장치, 표시 신호 절환 장치 및 기타 주변 장치들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를 구성하는 각 콤포넌트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는 표시 장치(122),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 주제어 장치(170), GUI 화면 처리 장치(162), 통신 제어 장치(17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는 기억 장치(171), 스위치 조작 장치(134) 및 외부 입출력 장치(190), 전원부(150) 및 소화용수 감시 제어 장치(14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는 중계기(174)를 통해 건물 등의 소정 지점에 위치한 소방 설비(176)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174)는 상기 소방 설비(176)의 숫자에 따라 적절한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재 수신기(100)는 반드시 중계기(174)를 경유하여 소방 설비(176)와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중계기(174) 없이 상기 소방 설비(176)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방 설비(176)는 화재 감지기, 화재 경보기 등의 화재를 감지하고 통보하는 소극적 소방 수단 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 피해를 억제하기 위한 방화문 및 제연팬 등의 적극적 소방 수단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와 상기 중계기(174)는 RS485, RS482 또는 트랜지스터 드라이브 방식과 같은 통상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중계기(174)가 설치된 경우에는 송수신 잡음을 배제하기 위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구체적인 통신 방식의 구현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주제어 장치(1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방 설비(176)로부터 화재 감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122)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소방 설비의 종류, 설치 위치, 화재 발생 여부 및 정상 동작 여부, 통신 시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122)에 디스플레이 될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는 전술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22)의 화면상에 텍스트로 디스 플레이하기 위한 신호이다. 생성된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122)는 항상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로 공급된다.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생성된 표시 데이터를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는 윈도우즈와 같은 GUI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 체제에 의해 구동되는 컴퓨터이다.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는 상기 주제어 장치(170)로부터 전송된 표시 데이터로부터 상기 표시 장치(122)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는 상기 주제어 장치(170)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수신된 표시 데이터를 가공하여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다. 생성된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는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를 거쳐 상기 표시 장치(122)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제어 장치(170)와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간의 통신은 RS232C 또는 RS485 등의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CAN 통신 방식을 통해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는 상기 표시 장치(122)에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 또는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는 상기 주제어 장치(170)의 절환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주제어 장치(170)는 표시 장치(122)에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가 공급되고 있을 때,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에 절환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표시 장치(122)에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전술한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절환 제어 명령은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의 절환 제어 신호 입력부(182)로 입력된다. 입력된 절환 제어 신호는 절환 제어 신호 입력부(182)를 거쳐 컨트롤러 등에 의해 구현되는 절환 제어부(184)에 전송된다. 상기 절환 제어부(184)는 상기 절환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 절환부(186)를 구동하여 상기 신호 절환부(186)가 GUI 화면 처리 장치(162) 또는 주제어 장치(170)의 출력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환 제어부(184)는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 또는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표시 장치(122)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 절환부(186)는 예컨대 릴레이 또는 기타 스위치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정상 동작 여부를 감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에 의한 선택적인 표시 신호 전송 기능에 상기 주제어 장치(170)에 의해 수행되는 GUI 화면 처리 장치(162) 감시 기능을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는 표시 장치(122)에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스위치 조작 장치(134)는 감시자가 화재 상황 모사,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 제어 및 화재 기록의 호출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다. 상기 스위치 조작 장치(134) 입력은 상기 주제어 장치(170)로 전달되며,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장치로 적절한 명령을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스위치 조작 장치(170)의 입력에 따라 소정 위치에 설치된 경보기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억 장치(171)는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를 구성하는 각 장치에 관련된 정보, 소방 설비에 관련된 정보, 화재 기록 및 상기 스위치 조작 장치의 조작 기록 등을 기억하는 장치이다. 상기 기억 장치(171)에 기록된 정보는 상기 주제어 장치(100)의 동작 수행시 참조되거나 조작자의 요청에 의해 열람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190)는 주제어 장치의 제어 하에 방송 장비 등에 화재 방송 신호를 송출하거나, 미믹 보드(mimic board)와 같은 별도의 주변 장치에 화재 감시 정보를 전송하거나, 화재시 엘리베이터와 같은 외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등을 출력한다.
상기 소화 용수 감시 제어 장치(142)는 소화 용수 저장 장치에 용수량이 필요 수량을 충족하는지 여부 및 소화 용수 장치의 고장 여부를 감시한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스위치 조작 장치(134), 외부 입출력 장치(190) 및 소화 용수 감시 제어 장치(142)가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에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 버튼들을 마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자가 상기 컨트롤 버튼을 마우스 등으로 클릭하면,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이를 상기 스위치 조작 장치(134),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190) 또는 상기 소화 용수 감시 제어 장치(142)로부터의 입력과 동일하게 인식하고 해당 명령을 대응 소방 설비에 지시할 수 있다. 물론, 화재 수신기(100)의 동작 안정성을 고려할 때,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에 컨트롤 버튼이 마련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에는 전술한 스위치 조작 장치(134), 외부 입출력 장치(190) 및 소화 용수 감시 제어 장치(14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100)는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고장시에도 화재 감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이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GUI 화면 처리 장치가 오동작할 때 표시 신호를 절환하는 절차를 주제어 장치의 동작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소방 설비(176)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통신 제어 장치(172)를 경유하여 주제어 장치(170)로 입력된다(S110).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 전송한다(S120).
상기 표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Ack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130). 여기서, 상기 수신 확인 신호는 주제어 장치(170)가 송신한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GUI 화면 처리 장치가 발신하는 응답 신호이다. 수신 확인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다시 전술한 절차(S110 내지 S130)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만약, 표시 데이터의 전송 후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 카운터를 1씩 증가시킨다(S150). 이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S170)는 에러 카운터가 소정의 설정값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50). 에러 카운터가 소정의 설정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주제어 장치(S120)는 다시 GUI 화면 처리 장치(S162)로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고(단계 S120), S130 내지 S150의 단계를 반복한다. 에러 카운터가 소정의 설정값과 일치하면,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로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160). 이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로 텍스트 모드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표시 장치(122)가 텍스트 모드로 디스플레이 하게 한다.
이상 도 5a를 참조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횟수를 기준으로 표시 신호를 절환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다른 대체 수단, 예컨대 타이머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표시 신호를 절환하는 방법에 의해 대체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대체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신호 절환 과정에서 상기 주제어 장치(170)가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오류 발생 후에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를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는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고장 여부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로 전송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 절환 과정은 표시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GUI 화면 처리 장치(162)가 전송하는 수신 확인 신호의 존부를 기준으로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수신 확인 신호는 통신 방식에 따라 그 포맷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인 데이터의 전송 제어에 사용되고 있는 신호이므로, 상기 주제어 장치(170)와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통신 방식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b는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오동작으로 인한 화면 전환 후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가 정상 동작하게 되면 상기 표시 장치(122)를 그래픽 모드로 자동 복귀시키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172)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다(S210). 이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 전송한다(S220). 이와 동시에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표시 데이터를 기초로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표시 신호 절환 정치(180)로 전송한다(S250).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표시 데이터의 전송 후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를 검출한다(S230). 수신 확인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다시 단계 S210 및 단계 S220 의 절차를 반복 수행한다.
만약, 수신 확인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180)로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S240), 절차는 도 5a의 단계 S110으로 복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22)는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부터의 수신 확인 신호가 존재할 때 그래픽 모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복귀 시점은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그래픽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시점과 정확히 일치한다. 왜냐하면,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가 상기 수신 확인 신호를 발하는 시점은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의 통신 포트 또는 통신 컨트롤러를 제어하고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정상 동작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방 설비로부터의 화재 감시 정보가 통신 제어 장치(172)로부터 주제어 장치(170)로 전송되며, 주제어 장치(170)가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재 감시 정보는 GUI 화면 처리 장치(162)와 주제어 장치(170)에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즉, GUI 화면 처리 장치(162)는 통신 제어 장치(172)로부터 직접 화재 감시 정보를 입력 받아 이로부터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 통신 제어 장치(172) 및 주제어 장치(170)간의 통신은 CA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통신 제어 장치(172)와 GUI 화면 처리 장치(162)간을 별도의 통신 포트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정상 동작 여부의 확인은 주제어 장치(170)가 상기 GUI 화면 처리 장치(162)로 더미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수신 확인 신호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GUI 화면 처리 장치(162)의 오작동 여부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표시 화면을 절환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하는 데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텍스트 모드 및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를 선택적으로 지원 가능한 화재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는 그래픽 모드 디스플레이를 기본적으로 지원하여 감시자로 하여금 화재 감시 상황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시스템 다운 등에 의해 상기 그래픽 모드의 오동작시 이를 감지하여 텍스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재 수신기는 그래픽 모드의 제공이 허여되는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자동적으로 그래픽 모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Claims (12)

  1. 소방 설비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화재 감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재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 장치;
    상기 소방 설비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와 상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텍스트 모드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는 주제어 장치;
    상기 주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 장치로부터의 상기 표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생성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 및
    상기 주제어 장치의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표시 신호 절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정상 동작 및 오동작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절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화재 수신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장치는
    상기 주제어 장치로부터의 상기 절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절환 제어 신호 입력부;
    상기 절환 신호 입력부로부터 상기 절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절환 신호를 생성하는 절환 제어부; 및
    상기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와 상기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를 절환하는 신호 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인 화재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절환부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화재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오동작시 상기 절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로 텍스트 모드 표시 신호를 공급하는 것인 화재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신호 절환 장치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정상 동작시 상기 절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로 그래픽 모드 표시 신호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것인 화재 수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의 정상 동작 및 오동작 여부는 수신 확인 신호의 존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화재 수신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처리 장치는 각각 통신 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통신 포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인 화재 수신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30049697A 2003-07-21 2003-07-21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가능한 화재 수신기 KR10058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97A KR100584813B1 (ko) 2003-07-21 2003-07-21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가능한 화재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97A KR100584813B1 (ko) 2003-07-21 2003-07-21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가능한 화재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435A KR20050010435A (ko) 2005-01-27
KR100584813B1 true KR100584813B1 (ko) 2006-05-30

Family

ID=3722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697A KR100584813B1 (ko) 2003-07-21 2003-07-21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가능한 화재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3501B (zh) * 2016-06-20 2018-01-02 福州台江区超人电子有限公司 仓库环境信息采集报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435A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7300B2 (en) User interface for fire detection system
US7380210B2 (en) User interface with installment mode
KR101364813B1 (ko) 스마트형 소방 방재시스템
KR20210020392A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0273A (ko) 소방관리용 가스 소화설비 시스템
KR100584813B1 (ko) 디스플레이 모드 절환 가능한 화재 수신기
KR101655827B1 (ko) 위치확인 기반의 주소형 중계기 및 주소형 화재발신기
JPH08115482A (ja) 防災システムの表示装置
JP2017068524A (ja) 防災設備盤
KR100312078B1 (ko) 화재 감시 및 관리장치
JP3743854B2 (ja) 防災システム装置
JPH10326395A (ja) 防災集中監視制御システム
TWM456558U (zh) 消防監控系統
KR20200136628A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JP7019486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JP6941583B2 (ja) 自動火災報知設備および自動火災報知設備の音響警報表示方法
JP2004110641A (ja) 火災受信機
JP2794374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100312077B1 (ko) 화재 감시 및 관리장치의 중계장치
CN218886664U (zh) 一种就地火灾报警信息显示装置以及火灾报警系统
KR102324531B1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장치
JP3308109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機能を有する防災システム
JP3627520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機能を有した自火報システム
KR200429451Y1 (ko) 소방관리용 p형복합식 수신기
JP2002251679A (ja) 防災監視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