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656B1 -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656B1
KR100584656B1 KR1020040029306A KR20040029306A KR100584656B1 KR 100584656 B1 KR100584656 B1 KR 100584656B1 KR 1020040029306 A KR1020040029306 A KR 1020040029306A KR 20040029306 A KR20040029306 A KR 20040029306A KR 100584656 B1 KR100584656 B1 KR 100584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aircraft
simulation
fligh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073A (ko
Inventor
최공순
Original Assignee
최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공순 filed Critical 최공순
Priority to KR102004002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65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2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disc-like, i.e. diameter substantially greater than width
    • A61H2015/0035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disc-like, i.e. diameter substantially greater than width multiple on the same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에 대한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조종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대응된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발생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영상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모멘트 제어 신호에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출력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 제어신호발생부, 디스플레이부 및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항공기, 모의비행,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 모션플랫폼

Description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Simulat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1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의 모션플랫폼을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부 110 : 조종간
120 : 트로틀 레버 130 : 이산 스위치
200 : 제어신호발생부 210 : 결과데이터발생장치
220 :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230 : 데이터베이스
300 : 디스플레이장치 400 : 구동부
430 : 모션플랫폼 500 : 제어부
본 발명은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상황과 동일한 조건에서 항공기의 조종 훈련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 장치는 모의실험을 의미하며, 주로 항공기, 선박, 철도차량 또는 각종 건설장비의 조종 훈련용으로 이용되며, 동일한 조건과 상황이 주어지고 기구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현실감을 느끼면서 실제 상황에서의 조작 기술을 연습하기 위한 것이다.
1930년대에 미국에서 고안되어 실용화되기 시작한 기계식 배행훈련장치는 1950년대에 접어들면서 컴퓨터와 접목되어 플라이트 구동부(Flight Simulator)로 진보되고, 이후 1980년대에 들어 컴퓨터 그래픽이 고성능화되어 주변의 화상도 동일시간에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의 대부분은 하나의 영상 표시 장치에 화면을 분할하여 시뮬레이션 될 항공기의 복수개의 영상 신호를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실제 항공기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환상의 사실감이 크게 저하되었다.
또한, 모션플랫폼이 실제 항공기의 속도나 고도 등의 변화에 대하여, 좌우로만 작동되거나 또는 전후로만 작동되는 2차원적 구동부로서, 사용자에게 실제 비행과 같은 보다 사실적인 현실감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대하여 모션플랫폼의 움직임이 덜하여 환상의 몰입감과 만족감이 크게 저하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항공기 내부의 각종 계기 등을 포함한 비행의 전반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장치들 각각에 대응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표시장치들이 실제 위치된 곳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여 가상 현실에 대한 사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공기의 비행 화면에 따른 모션플랫폼이 전후좌우 3차원으로 작동되어 역동적인 모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에 대한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조종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대응된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발생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영상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모멘트 제어 신호에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출력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 제어신호발생부, 디스플레이부 및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모멘트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조종간; 엔진의 추력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트로틀 레버; 및 비행표준데이터와 자동항법비행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발생부는, 상기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시뮬레이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상기 시뮬 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조종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결과데이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영상 제어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그래픽보드;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비행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전방시현 표시장치;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수직, 수평, 속도, 자세, 위치 및 고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계기 표시장치; 및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항법, 통신, 피아식별 및 조종사 오류와 관련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비행상황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모멘트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컨트롤 랙과, 상기 컨트롤 랙으로부터 전송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3차원으로 작동되기 위한 모션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기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에 대한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조종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대응된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발생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영상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모멘트 제어 신호에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출력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 제어신호발생부, 디스플레이부 및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모멘트 데이터, 엔진의 추력 데이터 및 비행표준데이터와 자동항법비행데이터에 대한 조종 제어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제1 단계; 상기 제어신호발생부가 상기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영상 제어 신호로 변환한 후 해당 제어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한 제3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모멘트 제어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해당 제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모션플랫폼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은,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물리적 정보에 근거하여 항공기의 무게, 무게중심 및 관성 모멘트를 구하기 위한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비행에 적용되는 대기 정보와 돌풍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에 대한 공기의 역학적 정보, 상기 항공기의 무게, 무게중심 및 관성 모멘트 및 상기 대기 정보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동체축에 대한 힘과 모멘트를 계산하기 위한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추력 정보와 상기 입력부의 추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엔진에 대한 추력을 계산하기 위한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모멘트 정보와 상기 입력부의 모멘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구동기에 대한 모델 정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착륙 장치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단계; 상기 구동기의 모 델 정보, 동체축에 대한 힘과 모멘트 정보, 착륙 장치에 대한 힘과 모멘트 정보 및 돌풍의 모델 정보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운동 방정식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 상기 운동 방정식에 따라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오일러 각(Euler angle), 비행경로 각, 무게 중심 및 가속도를 계산하기 위한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제어 법칙 데이터를 계산하고, 상기 오일러 각, 비행경로 각, 무게 중심 및 가속도에 따라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에 대한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00), 입력부(100)에 입력된 조종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대응된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발생부(200), 제어신호발생부(200)의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0), 제어신호발 생부(300)의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3차원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동부(400) 및 상기 각 구성부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종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항공기의 모멘트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조종간(110), 엔진의 추력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트로틀 레버(120) 및 비행표준데이터와 자동항법비행 훈련시 거리, 도착지, 연료계산, 비행시간 등의 각종 비행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이산 스위치(130)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신호발생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00)의 조종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결과데이터발생장치(210), 결과데이터발생장치(2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100)의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시뮬레이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220) 및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시뮬레이션 될 항공기 자체의 물리적 정보와 각 비행 조건에서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의 역학적 정보 및 각 비행 조건에서 항공기 각각의 조종면의 유압 구동기에 작용하는 모멘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공기의 역학적 정보는, 항공기의 모든 조종면들이 편향되지 않았을 때의 기본 공력계수와 각 조종면의 편향각에 대한 공력계수를 포함한다. 공기의 역학적 정보 및 모멘트 정보는,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에 대한 풍동 시험에 의하여 설정된 함수들에 의하여 구해지며, 상기 함수의 변수는, 비행고도, 받음각(Angle of attack) 및 항공기의 각 조종면의 편향각에 상응한다.
도 3은 도 1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알고리즘(220)은 결과데이터발생장치(2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100)의 조종 제어 신호와 데이터베이스(230)의 항공기 비행 정보에 따라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알고리즘(220)은 형상모듈(221), 대기모듈(222), 동체축모듈(223), 엔진모듈(224), 구동모듈(225), 착륙모듈(226), 방정식모듈(227), 감지모듈(228) 및 제어모듈(229)을 포함한다.
형상모듈(221)은 데이터베이스(230)의 물리적 정보에 근거하여 항공기의 무게, 무게중심 및 관성 모멘트를 구하고, 대기모듈(222)은 항공기의 비행에 적용되는 대기 정보와 돌풍정보를 산출한다.
동체축모듈(223)은, 데이터베이스(230)의 공기의 역학적 정보, 형상모듈(221)에 의해 산출된 항공기의 무게, 무게중심 및 관성 모멘트 및 대기모듈(222)의 대기 정보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동체축에 대한 힘과 모멘트를 계산한다.
엔진모듈(224)은 데이터베이스(230)의 추력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부(100)의 트로틀 레버(120)로부터 추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엔진의 추력을 계산한다.
구동모듈(225)은 데이터베이스(230)의 모멘트 정보와 입력부(100)의 조종간(110)으로부터 모멘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 구동기의 모델 정보를 발생시킨다.
착륙모듈(226)은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착륙 장치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 정보를 산출한다.
방정식모듈(227)은, 구동모듈(225)에 의해 산출된 유압 구동기의 모델 정보, 동체축모듈(223)에 의해 산출된 동체축에 대한 힘과 모멘트 정보, 착륙모듈(226)에 의해 산출된 힘과 모멘트 정보 및 대기모듈(222)에 의해 산출된 돌풍의 모델 정보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운동 방정식을 설정한다.
감지모듈(228)은, 방정식모듈(227)에 의해 산출된 운동 방정식에 따라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오일러 각(Euler angle), 비행경로 각, 무게 중심 및 가속도를 계산한다.
제어모듈(229)은, 시뮬레이션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제어 법칙 데이터를 계산하고, 감지모듈(228)에 의해 산출된 오일러 각, 비행경로 각, 무게 중심 및 가속도에 따라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시뮬레이션 알고리즘(2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써, 실제 항공기 내부의 각종 계기 장치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 장치들이 실제 위치된 곳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실제 항공기와 동일한 사실감과 만족감을 느낄수 있도록, 그래픽보드(310), 전방시현 제어화면(320), 수직정보 제어화면(330), 기체상황 제어화면(340), 비행상황 제어화면(350), 비행속도 제어화면(360) 및 비행고도 제어화면(370) 등과 같은 다수개의 제어화면을 포함한다.
그래픽보드(310)는 시뮬레이션 알고리즘(220)의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영 상 제어 신호로 변환시킨다.
전방시현 제어화면(320)은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실제 비행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수직정보 제어화면(330)은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수직 상태의 계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기체상황 제어화면(340)은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자세 및 현재 위치의 계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비행상황 제어화면(350)은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항법, 통신, 피아식별 및 조종사 오류와 관련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비행속도 제어화면(360)은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보정된 공기 속도, 실제 공기 속도 및 지상 속도의 계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비행고도 제어화면(370)은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지상 고도 및 해발 고도에 대한 계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1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의 모션플랫폼을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는 상기 시뮬레이션 알고리즘(2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에 따라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3차원적인 모션을 것으로써,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모멘트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컨트롤 랙(410)과 컨트롤 랙(410)으로부터 전송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기 위한 모션플랫폼(430)을 포함한다.
컨트롤 랙(410)은 중앙제어장치(미도시)와 A/D 또는 D/A 변환 기능을 가지는 인터페이스 장치인 I/O 인터페이스(미도시)가 내장된다.
모션플랫폼(430)은, 상판(431)과 상판(431)과 이격된 하판(432)으로 이루어지고, 상판(431)과 하판(432) 사이에 다수의 푸시로드(433)가 연결된다. 상판(431)과 하판(432)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판(432)의 각 요부에는 소정 크기의 지지플레이트(434)가 구비되고, 각 지지플레이트(434)의 상면에는 복수의 구동모터(435)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각 구동모터(435)는 일측에 크랭크 로드(436)가 구비되어 이 크랭크 로드(436)의 일측 단부가 구동모터(435)의 회전축(437)에 볼 조인트(43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 로드(436)의 타단은 상판(431)의 요부로부터 연장하여 구비되는 상기 푸시로드(433)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푸시로드(433)의 하단과 크랭크 로드(436)가 연결되는 하부조인트부(439)와 상판(431)의 요부와 푸시로드(433)의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조인트부(440)는 각각 볼 조인트(438)를 통한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좌우 및 전후 방향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구동부(400)는 시뮬레이션 알고리즘(220)의 모멘트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435)의 작동시 구동모터(435)의 회전축(437)을 따라 크랭크 로드(436)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각 크랭크 로드(436)에 연결된 푸시로드(433)가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연동하여 상판(431)을 움직이게 된다.
한편,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부(100), 디스플레이부(300) 및 구동부(4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구성부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 램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중앙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결과데이터발생장치(210)의 결과 데이터인 영상 제어 신호와 모멘트 제어 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부(300)와 구동부(40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영상화면에 따라 구동부(400)가 대응되도록 작동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조종사에 의해 입력부(100)의 조종간(110), 트로틀 레버(120), 이산 스위치(130)로부터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모멘트 데이터, 엔진의 추력 데이터 및 비행표준데이터와 자동항법비행 훈련시 거리, 도착지, 연료계산, 비행시간 등의 각종 비행 데이터에 대한 조종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600 단계).
이후, 제어신호발생부(200)의 결과데이터발생장치(210)는 상기 조종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시뮬레이션 알고리즘(220)을 실행하여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610 단계).
이후, 디스플레이부(300)의 그래픽보드(310)는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영상 제어 신호로 변환한 후 해당 제어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시킨다(620 단계).
이후, 구동부(400)의 컨트롤 랙(410)은 상기 시뮬레이션 제어 신호를 모멘트 제어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해당 제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모션플랫폼(430)을 작동 시킨다(630 단계).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실제 비행 과정과 동일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이에 대응되도록 구동부의 모션플랫폼이 좌우, 전후 및 상하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항공기 내부의 각종 계기 등을 포함한 비행의 전반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 장치들 각각에 대응된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표시 장치들이 실제 위치된 곳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항공기와 동일한 사실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비행 과정과 동일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이에 대응되도록 구동부의 모션플랫폼이 좌우, 전후 및 상하로 작동함으로써,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 조종사에게 보다 현실에 가까운 가상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조종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조종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시뮬레이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 상기 시뮬레이션제어신호를 영상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대응된 움직임을 출력하는 모션플랫폼을 가지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실제 비행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전방시현 표시장치에 대응된 전방시현 제어화면,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수직 상태의 계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수직정보 표시장치에 대응된 수직정보 제어화면,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자세 및 현재 위치의 계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체상황 표시장치에 대응된 기체상황 제어화면,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항법, 통신, 피아식별 및 조종사 오류와 관련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비행상황 표시장치에 대응된 비행상황 제어화면,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보정된 공기 속도, 실제 공기 속도 및 지상 속도의 계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비행속도 표시장치에 대응된 비행속도 제어화면 및 시뮬레이션 대상 항공기의 지상 고도 및 해발 고도에 대한 계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비행고도 표시장치에 대응된 비행고도 제어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40029306A 2004-04-28 2004-04-28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0584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306A KR100584656B1 (ko) 2004-04-28 2004-04-28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306A KR100584656B1 (ko) 2004-04-28 2004-04-28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778U Division KR200361221Y1 (ko) 2004-04-28 2004-04-28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73A KR20050104073A (ko) 2005-11-02
KR100584656B1 true KR100584656B1 (ko) 2006-05-30

Family

ID=3728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306A KR100584656B1 (ko) 2004-04-28 2004-04-28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263B1 (ko) * 2008-12-09 2011-08-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를 위한 항공기 임베디드 시스템
US20120308965A1 (en) * 2011-06-06 2012-12-06 The DiSTI Corporation Aircraft Maintenance Training Simulator Apparatus and Method
KR101131093B1 (ko) * 2011-10-14 2012-04-03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지리정보를 이용한 4d 기반의 비행선 체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416824B1 (ko) * 2013-04-30 2014-08-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유무인 혼용기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200441B1 (ko) * 2019-04-02 2021-01-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Hmd 기반 혼합 현실 기술을 이용한 모의 항공 cpt 시뮬레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73A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770B1 (ko) 특별한 현실감을 갖는 비행 시뮬레이터의 작동 장치 및 방법
CN101714302B (zh) 一种飞机自动驾驶模拟装置
US6000942A (en) Parachute flight training simulator
KR20050001381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2164274A (zh) 一种飞机飞行控制模拟系统
CN113496635A (zh) 飞行模拟器和飞行训练模拟方法
CN103886782A (zh) 一种360度全向过载飞行仿真模拟器
CN105632271A (zh) 一种低速风洞模型飞行实验地面模拟训练系统
KR100584656B1 (ko)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0257409B1 (ko) 항공기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200361221Y1 (ko) 항공기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14869B1 (ko) 실 선박 운동방정식을 적용한 소형 선박 시뮬레이터
JP4344080B2 (ja) フライトシミュレータ装置
US622600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pseudo-three-dimensional image and 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computer program
CN108847086B (zh) 一种飞行模拟机的驾驶操作系统的控制加载系统
CN207780525U (zh) 一种用于直升机效能评估的综合航电仿真系统
KR101831364B1 (ko) 운동량 연동 비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비행훈련장치
Tseng et al. Implementation of a driving simulator based on a stewart platform and computer graphics technologies
KR100915511B1 (ko) 헬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용 모멘트전달장치
JP4386049B2 (ja) 飛翔体評価装置
CN112735223A (zh) 一种飞行模拟训练装置
CN112201115A (zh) 飞行模拟器
KR20160013481A (ko) 시뮬레이션용 조종석 시현장치 및 그 방법
JPH0746943Y2 (ja) フライトシミュレータ
KR20230095399A (ko) 드론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