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651B1 - 연료 탱크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651B1
KR100584651B1 KR1020007011981A KR20007011981A KR100584651B1 KR 100584651 B1 KR100584651 B1 KR 100584651B1 KR 1020007011981 A KR1020007011981 A KR 1020007011981A KR 20007011981 A KR20007011981 A KR 20007011981A KR 100584651 B1 KR100584651 B1 KR 10058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bracket
injection pump
fuel
suct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097A (ko
Inventor
크누트 마이어
Original Assignee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filed Critical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4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clip or snap fit fi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75And jet-aspiration type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91Resiliently mounted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 탱크(1)는 그 내부에 배치된 흡입 분사 펌프(9)를 갖는다. 상기 흡입 분사 펌프(9)는 가요성 탄성 브래킷(8)에 의해 연료 탱크(1)의 내벽에 대해 프리스트레스를 받으므로 고정된다. 따라서, 흡입 분사 펌프(9)는 연료 이송 유닛(4)과 함께 개구(3)를 통해 연료 탱크(1)의 내부 공간 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흡입 분사 펌프(9)의 조립이 현저히 간단해지고, 특히 흡입 분사 펌프(9)의 고정을 위한 연료 탱크(1) 내의 부가의 조립구가 필요 없다.

Description

연료 탱크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내벽에 배치되고 연료 이송 유닛에 접속된 흡입 분사 펌프를 갖춘 연료 탱크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흡입 분사 펌프(ejector pump)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 내에 조립되므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펌프는 연료를 연료 탱크의 한 챔버로부터 이송관을 통해 제 2 챔버로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제 2 챔버 까지 뻗은 튜브가 이송관으로서 연료 탱크에 배치된 흡입 분사 펌프에 고정된다. 이러한 흡입 분사 펌프에서는 종종 내연기관의 분사 장치로부터 역류관을 통해 역류하는 연료가 상기 흡입 분사 펌프용 추진제로 사용된다.
공지된 흡입 분사 펌프에서는 상기 펌프의 이송관 및 연료 이송 유닛이 상당히 큰 부품을 형성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것은 연료 탱크에 조립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공지된 흡입 분사 펌프는 설치 클램프를 갖는다. 상기 클램프는 연료 탱크 내에서 흡입 분사 펌프의 미끌어짐을 방지하고 흡입 분사 펌프를 그 예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설치 클램프를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가 조립구가 연료 탱크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립구에서는 그것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내밀성(permeation-tightness) 저하 및 캡의 장착에 수반되는 부가의 조립 작업이 단점으로 나타난다.
또한, 흡입 분사 펌프을 고정시키지 않고 연료 탱크의 내부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 분사 펌프는 이리 저리 출렁이는 연료의 영향 하에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고, 다만 이송관에 의해 이동 자유가 제한된다. 이 경우, 연료 탱크의 내벽을 따라 미끌어지는 흡입 분사 펌프가 오래 동안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탱크의 내부에서 흡입 분사 펌프의 고정이 가급적 간단하도록 연료 탱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 기술에 따라 흡입 분사 펌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연료 탱크에 배치된, 설치 클램프용 특수한 조립구가 필요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흡입 분사 펌프가 가요성 탄성 브래킷에 의해 연료 탱크의 내벽에 대해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받음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디자인은 조립시, 처음에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브래킷이, 연료 이송 유닛의 조립을 위해 연료 탱크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흡입 분사 펌프에 문제 없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흡입 분사 펌프가 연료 탱크의 내벽에 대해 프리스트레스를 받음으로써 그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브래킷이 연료 탱크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설치 클램프 또는 그밖의 고정 수단을 위한 부가의 조립구가 필요 없다.
브래킷이 연료 이송 유닛에 고정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을 위해, 브래킷이 처음에는 연료 이송 유닛에 고정된 다음, 연료 이송 유닛과 함께 연료 탱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연료 탱크의 내부 공간에 연료 이송 유닛을 고정시킴으로써, 동시에 브래킷 및 흡입 분사 펌프도 고정된다. 이로 인해, 조립 작업이 감소되고, 고정 수단의 생략에 의해 동시에 필요한 부품의 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래킷이 연료 이송 유닛용 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연료 탱크 내벽의 섹션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브래킷이 비교적 짧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브래킷에 의해 전달 가능한, 내벽에 대한 흡입 분사 펌프의 압착을 위한 프리스트레스가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브래킷이 예컨대 클립 연결부에 의해 연료 탱크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풀려질 수 있는 연결부가 연료 이송 유닛에 인접한 연료 탱크의 섹션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래킷이 고정 수단에 의해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받는다. 상기 고정 수단은 연료 이송 유닛의 삽입을 위해 제공된 개구를 통해 연료 탱크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되고 브래킷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브래킷이 2개의 상이한 지지 장소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높은 압착력이 얻어질 수 있다.
매우 간단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은 분출벽이다. 연료 탱크 내부에서 연료의 바람직하지 않은 출렁거림을 피하기 위해 종종 사용되는 이러한 분출벽은 동시에 브래킷의 프리스트레스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의 고정 수단이 필요 없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연료 탱크의 내벽에 대해 프리스트레스를 받는 흡입 분사 펌프가 예컨대 호수 파이프로 구현된 이송관에 연결될 수 있고, 이송관은 연료 탱크의 내부 공간을 통해 자유로이 뻗는다. 이와는 달리, 이송관이 브래킷에 연결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이송관이 내부에 확실하게 뻗음으로써 연료 탱크 내부에 배치된 다른 삽입물에 의한 손상이 피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브래킷이 이송관과 함께 연료 탱크 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이송관이 합류관(combined-flow line) 및 유동관(propellant flow line)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흡입 분사 펌프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유동관이 합류관과 함께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다. 이송관 및 브래킷의 횡단면이 일렬로 또는 삼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리 조립되는 부품의 수가 증가되고, 동시에 최종 조립시 에러가 더욱 배제된다.
브래킷의 프리스트레스를 위해, 브래킷이 가요성 와이어를 갖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내식성 재료로 제조된 상기 와이어는 소정 프리스트레스력으로 최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브래킷의 실시예는 저렴하게 제조되며 여러 가지 연료 탱크 타입에 약간의 변경을 가해 적용될 수 있다.
이송관이 클립 연결부에 의해 브래킷에 연결되는 실시예가 특히 실용적이다. 흡입 분사 펌프는 이송관과 함께 미리 제조된 다음, 클립 연결부에 의해 브래킷에 연결되기만 하면 된다. 이로 인해, 예컨대 기존의 이송관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수의 클립 연결부가 사용되면, 이송관이 점 방식으로 브래킷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간단한 실시예에서는 브래킷이 가요성 이송관으로 구현된다. 이로 인해, 부가의 와이어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관이 동시에 이송관 및 브래킷으로 사용된다. 부가의 부품은 필요 없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래킷이 차량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료 탱크 내부에서 연료가 출렁이는 것은 주로 차량의 가속 및 제동에 의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차량의 종축에 대해 평행한 흐름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동력이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브래킷에 축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브래킷은 이것이 레버 암으로 작용하며 브래킷의 고정부가 현저한 부하를 받는 상태에서, 브래킷에 대해 횡으로 작용하는 힘 보다 더 큰 힘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 중 몇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의 측단면도,
도 2는 분출벽을 가진 연료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또다른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에 고정된 브래킷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연료 탱크와 브래킷을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클립 연결부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1)의 측단면도이다. 연료 탱크(1)는 캡(2)에 의해 폐쇄된 개구(3)를 갖는다. 상기 개구(3)를 통해 연료 이송 유닛(4)이 연료 탱크(1)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연료 이송 유닛(4)은 분출 포트(5) 및 그 안에 삽입된, 점선으로 표시된 연료 펌프(6)를 포함한다. 연료 이송 유닛(4)은 분출 포트(5)의 외측면에 배치된 고정 장치(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장치 내에는 가요성 탄성 브래킷(8)이 고정된다. 브래킷(8)에 의해 흡입 분사 펌프(9)가 점선으로 도시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위치로부터, 연료 탱크(1)의 내벽(10)에 대해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받게 되므로, 브래킷(8)이 휘어진다. 브래킷(8)의 가요성 실시예에 의해, 연료 이송 유닛(4)이 연료 탱크(1)의 외부에서 브래킷(8)과 연결될 수 있고 완전하게 연료 탱크(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연료 탱크(1)의 내부에 연료 이송 유닛(4)을 고정시킴으로써, 동시에 브래킷(8)의 프리스트레스가 야기되므로 흡입 분사 펌프(9)가 내벽(10)에 대해 가압된다. 편의상, 흡입 분사 펌프(9)에 연결된 연결 부재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료 탱크(1)와는 다른 연료 탱크(11)의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도시한다. 거의 변경되지 않은 연료 이송 유닛(4)이 외측에 링크로 구현된 고정 장치(12)를 지지한다. 흡입 분사 펌프(9)를 고정시키는 브래킷(8)은 분출벽으로 구현된 고정 수단(13)에 의해 연료 탱크(11)의 내벽(14)에 대해 프리스트레스를 받는다. 이것을 위해 고정 수단(13)은 하부로 개방된 리세스(15)를 가지므로, 고정 수단(13)이 처음에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브래킷(8) 상에 장착되어 브래킷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브래킷(8)의 필요한 스트레스가 고정 수단(13)의 삽입에 의해서야 생긴다. 이로 인해, 캡(2)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3)를 통한 연료 이송 유닛(4)의 삽입 및 연료 탱크(11)의 내벽(14)에 대한 분출 포트(5)의 고정이 용이해진다. 편의상, 여기서도 연결 부재가 도시되지 않았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연료 탱크와는 다른 연료 탱크(16)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브래킷(17)은 내벽(18)의 하부 섹션에 고정된다. 전술한 브래킷 보다 더 짧은 브래킷(17)의 실시예는 유동력에 대해 비교적 짧은 레버 암에 의해 흡입 분사 펌프를 내벽(18)에 대해 가압하는 매우 높은 압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분사 펌프(9)를 고정시키는 브래킷(17)은 클립 연결부로 구현된 고정 수단(19)에 의해 내벽(18)에 고정된다. 따라서, 브래킷(17)은 연료 이송 유닛(4)과 무관하게 개구(3)를 통해 연료 탱크(16)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점선으로 도시된 이송관(20)은 자유로이 연료 탱크(16)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연료 이송 유닛(4)의 분출 포트(5)로 뻗는다.
도 4는 도 1과 유사한 실시예의 연료 탱크(21)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원리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한 것이므로, 도 2 및 3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가요성 탄성 브래킷(8)에 배치된 흡입 분사 펌프(9)는 분출 포트(5)에 배치된 고정 플랜지(7)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력(Fv)으로 내벽(10)에 대해 프리스트레스를 받는다. 브래킷(8)은 대략 동일하게 이격된 4개의 클립 연결부(22)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도시되지 않은 이송관을 브래킷(8)과 연결시킨다.
도 5는 클립 연결부(22)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클립 연결부(22)는 이송관(20)을 지지한다. 이송관(20)은 이 실시예에서 예컨대 자동차의 내연기관으 로부터 역류하는 연료 흐름을 흡입 분사 펌프로 안내하는 유동관(23), 및 합류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합류관(24)은 도시되지 않은 분출 포트에 연결된다. 클립 연결부(22)에 의해 유동관(23) 및 합류관(24)이 와이어로 구현된 브래킷(25)에 연결된다.

Claims (11)

  1. 흡입 분사 펌프 및 연료 이송 유닛을 통해 접근 가능한 개구를 구비한 연료 탱크로서, 상기 흡입 분사 펌프 및 상기 이송 유닛은 연료 탱크 내에 고정 가능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에 고정된 연료 이송 유닛;
    상기 연료 이송 유닛에 연결된 흡입 분사 펌프; 및
    상기 흡입 분사 펌프가 바이어스되어 탱크의 내벽에 접촉하도록, 상기 흡입 분사 펌프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료 이송 유닛에 다른 일 단부는 연결되는 가요성 탄성 브래킷을 포함하는, 연료 탱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8)이 고정 수단(13)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13)이 분출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5)에 이송관(2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20)이 합류관(24) 및 유동관(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8, 17, 25)이 가요성 와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20)이 클립 연결부(22)에 의해 상기 브래킷(2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8, 17)이 가요성 이송관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8, 17, 25)이 차량의 종축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KR1020007011981A 1998-04-29 1999-03-27 연료 탱크 KR100584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9117A DE19819117C1 (de) 1998-04-29 1998-04-29 Kraftstoffbehälter
DE19819117.0 1998-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097A KR20010043097A (ko) 2001-05-25
KR100584651B1 true KR100584651B1 (ko) 2006-05-30

Family

ID=786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981A KR100584651B1 (ko) 1998-04-29 1999-03-27 연료 탱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14995B1 (ko)
EP (1) EP1075395B1 (ko)
JP (1) JP4422896B2 (ko)
KR (1) KR100584651B1 (ko)
DE (2) DE19819117C1 (ko)
WO (1) WO1999055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9917B1 (en) * 2004-06-16 2006-08-15 Polaris Industries Inc. Snowmobile fuel system sump tank
DE102005017520A1 (de) * 2005-04-15 2006-10-19 Siemens Ag Förder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DE102007004565A1 (de) * 2007-01-30 2008-08-0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US8590565B2 (en) * 2007-11-27 2013-11-26 Honda Motor Co., Ltd. Fuel tank
US9567954B2 (en) 2012-09-18 2017-02-14 Aeromotive, Inc. Compressible baffle for a fuel tank
US8783287B2 (en) 2012-09-18 2014-07-22 Aeromotiv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a fuel tank to accept an in-tank fuel pump
US9517692B2 (en) * 2014-12-30 2016-12-13 Deere & Company Tank with inverted sump
US10131223B2 (en) * 2016-03-30 2018-11-20 Honda Motor Co., Ltd. Heat baffle clip shiel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5185C1 (ko) * 1989-05-10 1990-10-04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4123367A1 (de) * 1991-07-15 1993-01-21 Magenwirth Gmbh Co Gustav Einrichtung zum foe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behaelter
US5170764A (en) * 1991-12-23 1992-12-15 Walbro Corporation Fuel pump pick-up system
US5237977A (en) * 1992-11-16 1993-08-24 Walbro Corporation Attitude and lateral force activated valve
DE4426035C2 (de) 1994-07-22 2000-08-17 Mannesmann Vdo Ag Kraftstoff-Fördervorrichtung
DE19528182B4 (de) * 1995-08-01 2005-03-03 Robert Bosch Gmbh Kraftstoffördereinheit
DE19544577B4 (de) 1995-11-30 2005-01-27 Siemens Ag Saugstrahlpumpen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19117C1 (de) 1999-11-11
EP1075395B1 (de) 2006-05-24
JP2002513111A (ja) 2002-05-08
US6314995B1 (en) 2001-11-13
KR20010043097A (ko) 2001-05-25
WO1999055550A1 (de) 1999-11-04
EP1075395A1 (de) 2001-02-14
DE59913462D1 (de) 2006-06-29
JP4422896B2 (ja)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582B1 (ko) 분배 유닛
EP2075455B1 (en) Self-damping fuel rail
US4294215A (en) Fuel injection system
CN104246204B (zh) 具有燃料分配器和多个燃料喷射阀的布置
US6276339B1 (en) Fuel injector spring clip assembly
US6904894B2 (en) Pulsation reducing system for fuel line
KR100584651B1 (ko) 연료 탱크
US6901913B1 (en) Fuel pressure pulsation suppressing system
EP1199466A2 (en) Fuel rail with integral dampening features
US7475674B2 (en) Leakage connection for a fuel injector
US7448579B2 (en) Vibration dampening clip
JPH0154551B2 (ko)
JP2003120467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01935665B1 (ko) 내연 기관용의 연료 레일 조립체
JP2004278509A (ja) エンジンの燃料分配管保護構造
US6006712A (en) Resonator construc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92704B2 (en) Fuel delivery rail assembly
JP2000329030A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US5918572A (en) Structure for suction pipe of an engine
CN107701343B (zh) 内燃发动机
WO2001065106A1 (fr) Tube d'alimentation en combustible
JP4269245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428607B2 (ja) コモンレール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燃料噴射管
JP4152294B2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139001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