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454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454B1
KR100584454B1 KR1020040099459A KR20040099459A KR100584454B1 KR 100584454 B1 KR100584454 B1 KR 100584454B1 KR 1020040099459 A KR1020040099459 A KR 1020040099459A KR 20040099459 A KR20040099459 A KR 20040099459A KR 100584454 B1 KR100584454 B1 KR 10058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effec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원모
신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와의 비교를 원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이미지 효과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효과를 적용시킨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효과에 따라 변화된 정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이미지 효과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RING AN ORIGINAL IMAGE WITH AN IMAGE WHICH IS APPLIED IMAGE AFFECTION}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효과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언제라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여 사용자가 저장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변화를 주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이러한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저장한 이미지에 사용자에 의해 변화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의 (a)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도 1의 (b)는 사용자가 명암 효과를 선택하여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서 색감이 훨씬 밝아진 도 1의 (a)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화면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현재 등장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단순히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 뿐 아니라 사용자가 저장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도 1의 (a)와 (b)에서는 이미 저장된 이미지를 밝게 또는 어둡게 할 수 있는 명암 효과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를 보이고 있으나, 사용자가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는 명암 효과뿐만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러한 효과의 예를 들면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푸른 색, 또는 붉은 색 등 특정 색을 다른 색보다 훨씬 강조한 효과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효과를 이미지 효과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효과를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에 적용하는 경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와의 차이점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의 (a)와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 효과를 선택하고 이를 원본 이미지에 적용시켰을 경우, 적용된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한 후에 새로운 이미지를 다시 로드하여 확인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원본 이미지 또는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하나씩 번갈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사용자는 두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기가 쉽지 않았고, 만약 이미지 효과가 미세하게 적용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효과를 적용시킨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사용자가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는 비교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동시에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이미지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이 미지 효과를 적용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키가 입력되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1 이미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할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비교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와의 비교를 원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이미지 효과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부(202), 키 입력부(204), 표시부(206), 베이스밴드 처리부(208), 코덱(CODEC: Coder-Decoder)(212)이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 부(2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1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1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선택된 이미지에 특정 이미지 효과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비교키를 선택하였을 경우 상기 표시부(206)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각각 기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할 경우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2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RF부(210)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08)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08)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208)는 제어 부(200)와 RF부(2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210)에 인가하며, RF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연결된 코덱(212)은 증폭부(2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2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2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200)는 30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이미지 효과가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여기서 만약 사용자가 이미지 효과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302단계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미지 효과를 선택하 였다면 제어부(20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0단계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상기 302단계에서 선택된 이미지 효과를 적용하고,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표시부(206)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이미지 비교키를 선택하였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이미지 비교키는 상기 키 입력부(204)에 물리적으로 구비된 키중 어느 하나 일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206)에 디스플레이되는 소프트 키 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306단계에서 만약 사용자가 이미지 비교키를 선택하였다면 제어부(200)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206)의 디스플레이 영역을분할한다. 그리고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상기 308단계에서 상기 원본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분할된 영역과,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분할된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한 화면에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의 예를 하기 도 4에서 보이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였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체크한다.
한편 만약 상기 306단계에서 사용자가 이미지 비교키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제어부(200)는 바로 31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였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체크한다. 만약 이 312단계에서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였다면 제어부(200) 는 3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미지 효과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312단계에서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제어부(200)는 다시 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어느 다른 이미지 효과를 선택하였는지를 체크하고 만약 다른 이미지 효과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304단계에서 312단계에 이르는 과정들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의 (a)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이고 있으며, 도 4의 (b)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효과에 따라 상기 도 4의 (a)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변화된 화면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4의 (c)에서는 상기 도 4의 (a)에서 보인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상기 도 4의 (b)의 이미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4의 (c)는, 사용자가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비교키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비교키를 선택하였다면 제어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부(206)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고 310단계로 진행하여 각 분할된 영역에 상기 원본 이미지 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의 (c)는 바로 이 31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두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록 사용자가 미세한 이미지 효과를 적용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4의 (c)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을 세로로 분할하여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이미지에 따라 다른 형태로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원본 이미지가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로 길이가 더 긴 이미지가 아니라 세로 길이가 더 긴 이미지 일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을 세로로 분할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와의 비교를 원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이미지 효과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효과를 적용시킨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효과에 따라 변화된 정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는 비교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동시에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1 이미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키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소프 트 키(Soft Key)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5.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이미지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이미지 효과를 적용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키가 입력되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1 이미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할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비교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 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방법.
KR1020040099459A 2004-11-30 2004-11-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8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59A KR100584454B1 (ko) 2004-11-30 2004-11-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59A KR100584454B1 (ko) 2004-11-30 2004-11-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454B1 true KR100584454B1 (ko) 2006-05-26

Family

ID=3718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459A KR100584454B1 (ko) 2004-11-30 2004-11-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459B1 (ko) 2016-01-22 2018-04-10 주식회사 에벤에셀케이 이미지 변환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459B1 (ko) 2016-01-22 2018-04-10 주식회사 에벤에셀케이 이미지 변환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5860B2 (ja) 携帯端末、覗き見防止方法及び覗き見防止用プログラム
US79297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image color in image projector
US7580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proved character input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1713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using afterimage effec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122098B2 (en) Image display device, photograph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that adjusts display backlight luminance based on image tag information
JP2006146245A (ja) 改良された色相イメージ表示装置および方法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機
KR1005844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본 이미지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0989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pattern data in a mobile terminal
JPWO2007099944A1 (ja) 携帯電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画面表示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4094586B2 (ja) 携帯無線端末における液晶表示画面の照明制御方法および携帯無線端末
KR20050100253A (ko) 잔여 시간에 따른 알람 아이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032750A1 (en) Method for adjusting a ring tone volum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6444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폰북 형성 방법
KR10067813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표시화면 관리 방법
KR100640427B1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및 배경 색상변경 방법
KR2006007202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튜토리얼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80029416A (ko) 백라이트 밝기에 따른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0357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가 요청된 컨텐츠의 용도를지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56468A (ko) 카메라 튜닝 스크립트를 수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카메라 튜닝 스크립트 변경 방법
KR20060123917A (ko) 빛의 밝기에 따른 색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 통신단말기
JP3702804B2 (ja) 携帯電話機
KR20050030254A (ko) 이미지 처리 방법
JPWO2003017656A1 (ja) 無線移動機
JP2006338604A (ja) 通信端末装置及び画像通信方法
JP2002064598A (ja) 折畳式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