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183B1 -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183B1
KR100584183B1 KR1019980027713A KR19980027713A KR100584183B1 KR 100584183 B1 KR100584183 B1 KR 100584183B1 KR 1019980027713 A KR1019980027713 A KR 1019980027713A KR 19980027713 A KR19980027713 A KR 19980027713A KR 100584183 B1 KR100584183 B1 KR 10058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udio
file
still image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066A (ko
Inventor
김병진
서강수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1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에 정지영상(still picture)을 기록한 다음에 그 정지영상과 관련된 오디오데이터를 사후기록하는 경우 상기 정지영상 및 상기 사후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에서의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한 파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상에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가 기록될 영역을 구분 확보하는 제 1단계; 및 기록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상기 확보된 영역에 순차 기록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에서의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두 파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확보된 데이터 기록영역의 충만시, 소정 크기 이상의 빈 공간을 탐색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탐색된 빈 공간을 확보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본 발명은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에 정지영상(still picture)을 기록한 다음에 그 정지영상과 관련된 오디오데이터를 사후기록하는 경우 상기 정지영상 및 상기 사후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이하, "사후기록 오디오(after-recorded audio) 데이터"라고 지칭함]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는 CD가 보급되면서 일반화 되었으며,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규격이 나오면서 더욱 기대가 되고 있다. 광 디스크에는 재생 전용의 CD-ROM, DVD-ROM 등 외에, 1회 기록 가능한 CD-R, DVD-R이 있으며, 재기록 가능한 CD-RW, DVD-RAM 또는 DVD-RTRW와 같은 디스크의 규격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현재 기록재생이 가능한 DVD-RAM의 통일 규격을 위한 워킹 그룹의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재기록 가능한 DVD-RAM, DVD-RTRW 등은 대용량의 기록매체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다양한 동영상(movie picture) 또는 정지영상(still picture)을 기록하고 또한 그 정지영상에 대한 오디오데이터도 기록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기록하게 되면, 이후의 색인 및 재생을 위한 정보가 영상의 기록과 함께 생성되어 기록매체의 재생제어정보[내비게이션(navigation) 정보] 파일에 기록되게 된다.
상기 재생제어정보 파일은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게 되는 데, 이중 정지 영상 보브(VOB) 정보 필드(field)(S_BOBI#i)와 셀(cell) 정보필드(Cell#i)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동적 영상물 또는 정지영상이 기록될 때마다 생성되어 상기 재생제어정보 파일에 삽입되게 되고, 이와 같이 생성기록된 재생제어정보 파일은, 재생시에 독출되어 그 내용이 메모리에 모두 저장된 뒤, 저장된 메모리의 재생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요청되는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물 또는 정지영상을 기록매체로부터 검색하여 이를 재생하게 된다.
그런데, 그 크기가 대용량인 동적 영상물 대신 그 크기가 작은 정지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수많은 정지영상이 기록되게 된다. 예를 들어, 4.7GByte의 기록매체에 대해서 약 6만개 이상의 정지영상이 기록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기록매체에 정지영상만으로 기록되게 되면, 재생제어 및 색인을 위해 생성되는 정보의 양은 매우 커지게 된다. 하나의 정지영상( 또는 이와 함께 연계되어 기록되는 오디오 데이터 )의 기록시마다 생성되는 상기의 두 정보필드( 정지 영상 보브 정보필드 및 셀 정보필드)가 차지하는 크기는, 도1에서 예약영역(reserved area)을 포함하여 84바이트(byte) (=S_VOB(36바이트)+2*Cell(2*24바이트))이므로, 상기 예를 든 조건하에서 생성되는 상기 두 필드의 정보의 양은 약 5040Kbyte (=84*60000)가 된다. 도2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정지영상 생성시마다 보브 정보와 셀 정보가 각각 생성되어 상호 연계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정지영상만을 기록한 기록매체의 재생제어 정보파일의 크기는 적어도 5MByte 이상이 되고, 재생시에 해당 파일의 내용을 모두 독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뒤, 그 내용에 따라 원하는 정지영상을 검색하고 이를 재생하여야 하므로, 상기 재생제어 정보파일내의 내용의 저장만을 위해서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만일 재생제어 정보파일의 내용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의 크기를, 예를 들어 512KByte로 제한하는 경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정지영상의 수가 제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영상의 속성(예를 들면 영상 사이즈, 리졸루션, 오디오 음질 등)을 고정하고 여러장의 정지영상을 촬영한 다음에 그 속성을 바꾸는 경향이 있는 점에 착안하여, 정지영상의 속성 및 정지영상의 최대 개수에 따라 그룹핑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즉, 이 방식에서는 정지영상을 기록하는 경우, 정지영상 각각에 대해 재생제어정보 및 색인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되는 각 정지영상 포착시의 속성(attribute) 또는 상기 정지영상에 연계된 오디오의 속성의 동일성에 따라 다수의 정지영상이 그 재생을 위한 제어정보를 공유하고, 그 공유되는 재생제어정보에 연계하여 정지영상의 색인정보를 그룹화하여 기록(즉, 동일한 속성을 갖는 각 정지영상을 색인하기 위한 위치정보는 공유되는 재생정보에 연계하여 그룹화하여 기록)함으로써, 대용량의 기록매체에 수많은 정지영상을 기록함에 따라 생성되는 재생 제어정보 및 색인정보의 양을 축소하여, 장치의 소 용량의 자원(resource)에 의해서 수많은 정지영상의 액세스(acess) 및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정지영상은 촬영(포착)시 오디오신호의 삽입 여부에 따라 하나의 비데오 파트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하나의 비데오 파트와 하나의 오디오 파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정지영상/오디오 집합체인 보브(VOB; Video OBject)는 동일한 속성을 가진 정지영상들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속성은 영상 사이즈(종횡비; aspect ratio) 및 리졸루션(resolution) 등과 같은 비데오 속성과, 오디오의 음질(sampling ratio) 등과 같은 오디오 속성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방식에서는 정지영상/오디오 기록집합체 재생정보(VOBI; 이하, "보비" 라고 칭함) 필드(S_BOBI#i)에 동일 속성을 갖는 다수의 정지영상(Video Part #i)과 이에 연동되어 원래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Audio Part #i)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며, 그 정보중에는 각 정지연상 및 오디오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어드레스도 포함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정보로서는 첫번째 정지영상(Video Part #i)의 시작 어드레스만을 절대 어드레스로 사용하고 각각의 정지영상 및 오디오에 대하여 상대 어드레스로서 사이즈를 사용함으로써, 어드레스 맵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원(one) 파일 관리방식과 투(two) 파일 관리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원(one) 파일 관리방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정지영상 및 오디오데이터와 함께 하나의 파일로 관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two) 파일 관리방식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영상 및 오디오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하나의 파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도 6a 내지 6c는 상기 투 파일 관리방식에 채용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로서, 정지영상 AV파일 정보테이블, 정지영상 AV파일 정보 및 정지영상 보비(VOBI; 정지영상/오디오 집합체 재생정보), 정지영상 보브(VOB; 정지영상/오디오 집합체) 스트림 정보 및 오리지널 AV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지영상 AV파일 정보테이블(S_AVFIT)는 정지영상 AV파일 정보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정지영상 AV파일 정보테이블 정보영역(S_AVFITI)과, 정지영상 AV파일 정보가 기록되는 정지영상 AV파일 정보영역들(S_AVFI#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영상 AV파일 정보영역(S_AVFI#i)은 정지영상 AV파일 일반정보영역(S_AVFGI), 다수의 정지영상 오리지널 보비영역들(S_O_VOBI#1∼S_O_VOBI#n) 및 다수의 사후기록 오디오 보비영역들(S_AR_VOBI#1∼S_AR_VOBI#n)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정지영상 오리지널 보비영역들(S_O_VOBI#1∼S_O_VOBI#n)에서 관리하는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 데이터는 하나의 파일로 관리되며, 또한 사후기록 오디오 보비영역들(S_AR_VOBI#1∼S_AR_VOBI#n)에서 관리하는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는 다른 하나의 파일로 관리된다.
상기 정지영상 오리지널 보비영역(S_O_VOBI#i)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영상 보브 일반 정보영역(S_O_VOBIGI), 정지영상 보브 스트림 정보영역(S_O_VOB_STI) 및 오리지널 AV맵영역(O_AV_MAP)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리지널 AV맵영역(O_AV_MAP)은 보브의 기본 개체인 하나의 비데오파트(오디오파트도 포함)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다수의 맵(O_MAP#1∼O_MAP#n)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후기록 오디오 보비영역(S_AR_VOBI#i)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후기록 오디오 보브 일반 정보영역(S_AR_VOBIGI), 사후기록 오디오 보브 스트림 정보영역(S_AR_VOB_STI) 및 사후기록 오디오 맵영역(AR_MAP)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후기록 오디오 맵영역(AR_MAP)은 사후기록 오디오 보브의 기본 개체인 하나의 사후기록 오디오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다수의 사후기록 오디오 맵(AR_MAP#1∼AR_MAP#n)으로 구성된다.
도 7a 내지 7c는 상기 원 파일 관리방식에 채용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로서, 정지영상 AV파일 정보테이블, 정지영상 AV파일 정보 및 정지영상 보비(VOBI; 정지영상/오디오 집합체 재생정보), 정지영상 보브(VOB; 정지영상/오디오 집합체) 스트림 정보 및 오리지널 AV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지영상 AV파일 정보테이블(S_AVFIT)는 정지영상 AV파일 정보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정지영상 AV파일 정보테이블 정보영역(S_AVFITI)과, 정지영상 AV파일 정보가 기록되는 정지영상 AV파일 정보영역들(S_AVFI#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영상 AV파일 정보영역(S_AVFI#i)은 정지영상 AV파일 일반정보영역(S_AVFGI), 다수의 정지영상 보비영역들(S_VOBI#1∼S_VOBI#n)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 보비영역(S_VOBI#1∼S_VOBI#n)은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에 대하여 구분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구분하지 않고 영상 및 오디오의 속성에 따라 보브단위로 그룹핑하고(하나의 보브에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가 동시에 존재 가능함), 그 보브에 대한 재생정보를 보비영역에 기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정지영상 보비영역들(S_VOBI#1∼S_VOBI#n)에서 관리하는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 데이터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하나의 파일로 관리된다.
상기 정지영상 보비영역(S_VOBI#i)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영상 보브 일반 정보영역(S_VOBIGI), 정지영상 보브 스트림 정보영역(S_VOB_STI) 및 AV맵영역(AV_MAP)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AV맵영역(AV_MAP)은 보브의 기본 개체인 하나의 정지영상 비데오파트(오리지널 오디오파트도 포함될 수 있음)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거나 또는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맵(MAP#1∼MAP#n)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원 파일 방식에서는 정지영상들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들에 대하여 각각 맵영역을 분리하여 관리하지 않고,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순서에 따라 각각에 대한 맵을 생성하여 하나의 AV맵영역(AV_MAP)으로 관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 파일 방식 및 투 파일 방식에 대한 내비게이션 구조를 비교해보면, 상기 원 파일 방식은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투 파일 방식에 비해 내비게이션 구조가 간단하지 않고(획일적이지 않고), 이에 따라 파일의 관리가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도 8은 종래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영상을 촬영시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할 경우에는 "V1,A1", "V2,A2", "V5,A5", "V6,A6", "V9,A9", "V11,A11"과 같이 정지영상과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되어 기록되고, 오디오의 기록없이 정지영상을 촬영할 경우에는 V3, V4, V7, V12, V13과 같이 정지영상만 기록되며, 사후 오디오 기록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V2,V1,V6,V3,V8,V5,V7,V10,V9,V11에 대한 사후기록 오디오데이터(A2',A1',A6',A3',A8',A5',A7',A10',A9',A11')가 그 기록위치에서 기록된다.
도 9a는 각 파일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엔트리(file entry)의 개념도로, 파일 엔트리는 파일이 기록매체에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구간들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할당정보(allocation descriptors)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파일할당정보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position) 필드와 적어도 하나의 길이(length) 필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파일이 기록매체상에서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일할당정보영역은 위치 및 길이 필드가 각각 하나만 기록되고, 하나의 파일이 기록매체상에서 N개 영역에 분리되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일할당정보영역은 위치 및 길이 필드가 각각 N개씩 기록된다. 상기 위치정보(position)는 기록매체상의 물리적 어드레스로서, 하나의 파일에 있어서 연속되는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이고, 예를 들면 4바이트로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정보(length)는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하나의 파일에서 연속되는 영역의 상기 위치정보부터 그 영역의 마지막까지의 길이정보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상에 정지영상과 사후기록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원 파일 방식 및 투 파일 방식에 있어서 각각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가 어떻게 기록되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상에 정지영상과 사후기록오디오 데이터가 두 개 영역으로 분리 기록되어 있으므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는 첫 번째 영역(V1,A1,…A5',A7')에 대하여 시작어드레스(Add1)와 그 영역의 길이(Size 1)가 각각 위치정보(position)와 길이정보(length)로 기록되고, 두 번째 영역(V10,V11,…A9',A11')에 대하여 시작어드레스(Add2)와 그 영역의 길이(Size 2)가 각각 위치정보와 길이정보로 기록된다.
한편, 투 파일 방식에 있어서는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 데이터가 하나의 정지영상 파일로 관리되고,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다른 하나의 파일로 관리되므로, 정지영상 파일 및 사후기록 오디오 파일에 대하여 각각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가 생성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상에 정지영상과 사후기록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정지영상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정지영상 영역의 시작어드레스(Ad1,Ad3,Ad5,Ad7,Ad9,Ad11) 및 각 정지영상 영역의 길이(S1,S3,S5,S7,S9,S11)가 각각 위치정보와 길이정보로 기록된다. 그리고, 사후기록 오디오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는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후기록 오디오 영역의 시작어드레스(Ad2,Ad4,Ad6,Ad8,Ad10) 및 각 사후기록 오디오 영역의 길이(S2,S4,S6,S8,S10)가 각각 위치정보와 길이정보로 기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 파일 방식 및 투 파일 방식에 대하여 파일 엔트리의 구조를 비교해보면, 상기 투 파일 방식은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원 파일 방식에 비해 파일 엔트리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파일 엔트리의 데이터량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에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원 파일 방식은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투 파일 방식에 비해 내비게이션 구조가 간단하지 않고(획일적이지 않고), 이에 따라 파일의 관리가 복잡해질 우려가 있는 반면, 종래 투 파일 방식은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원 파일 방식에 비해 파일 엔트리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파일 엔트리의 데이터량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는 내비게이션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고(획일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일의 관리를 단순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투 파일 방식에 있어서는 파일 엔트리의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망에 부응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서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와 사후기록 오디오를 두개의 파일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투 파일 방식에 있어서 파일 엔트리의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서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와 사후기록 오디오를 하나의 파일로 관리하는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는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은,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에서의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한 파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상에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가 기록될 영역을 구분 확보하는 제 1단계; 및 기록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상기 확보된 영역에 순차 기록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은,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에서의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두 파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확보된 데이터 기록영역의 충만시, 소정 크기 이상의 빈 공간을 탐색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탐색된 빈 공간을 확보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있어서, 투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상에 다수의 기록된 영역[RA1,RA2,RA3; 동영상(movie picture)등에 의해 기록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투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지영상이 기록될 충분한 영역(예를 들면, 500섹터 이상)을 확보하고 그 영역에 정지영상을 기록한다. 즉, 도 11에서 Ad_1위치에서부터 정지영상("V1,A1",V2, …, V13)을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정지영상의 기록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모드가 설정되면, 사후기록 오디오를 기록할 영역으로서 소정 크기(N; 예를 들면, 10섹터, 100섹터 등) 이상의 영역을 확보하고 그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도 11에서 Ad_2위치에서부터 기록영역(RA2)사이에 위치한 영역[영역크기(Sz_2) > N ]을 탐색하여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으로 확보하고, 그 시작 위치(Ad2)에서부터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A2',A1',…,A7',A10')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그후, 상기 확보된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꽉차게 되면, 이후의 사후기록 오디오를 기록할 영역으로서 소정 크기(N; 예를 들면, 10섹터, 100섹터 등) 이상의 영역을 탐색하게 되는데, 이때 크기가 N이하인 영역(도 11에서 J)은 무시한다. 즉, 도 11에서 Ad_3위치에서부터 빈 영역을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으로 확보하고, 그 시작 위치(Ad_3)에서부터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A9',A11')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투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의해, 기록매체상에 정지영상 및 사후기록 오디오를 도 11과 같이 기록한 경우, 정지영상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영역에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영상 영역의 시작어드레스(Ad_1) 및 정지영상의 기록영역의 길이(Sz_1)가 위치정보와 길이정보로 기록된다. 그리고, 사후기록 오디오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후기록 오디오 영역의 시작어드레스(Ad_2,Ad_3) 및 각 사후기록 오디오의 기록영역의 길이(Sz_2,Sz_3)가 각각 위치정보와 길이정보로 기록된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의하면, 종래 방법에 비하여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될 영역으로서 소정 크기 이상의 영역(N)을 탐색함으로써, 너무 작은 크기의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데이터를 기록됨에 따라 파일이 작게 쪼개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의 증가도 예방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있어서, 원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상에 다수의 기록된 영역[RA1,RA2; 동영상(movie picture)등에 의해 기록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원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지영상이 기록될 충분한 크기(M; 예를 들면, 500섹터 이상)를 갖는 영역을 확보하고 그 영역에 정지영상을 기록한다. 즉, 도 13에서 Ad_1위치에서부터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정지영상의 기록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모드가 설정되면, 사후기록 오디오를 기록할 영역으로서 소정 크기(N; 예를 들면, 10섹터, 100섹터 등) 이상의 영역을 확보하고 그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도 13에서 Ad_2위치에서부터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그후, 상기 확보된 정지영상 영역에 정지영상 데이터가 충만되게 되면, 이후의 정지영상을 기록할 영역으로서 소정 크기(M; 예를 들면, 500섹터 등) 이상의 영역을 탐색하여 도 13에서 Ad_3위치에서 기록영역(RA2)사이의 빈 영역[크기(M') ≥ M]을 정지영상 기록영역으로 확보하고, 그 시작 위치(Ad_3)에서부터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한편, 확보된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꽉차게 되면, 이후의 사후기록 오디오를 기록할 영역으로서 소정 크기(N; 예를 들면, 10섹터, 100섹터 등) 이상의 영역을 탐색하여 도 13에서 Ad_4위치에서부터의 빈 영역중 소정 크기(N)의 영역을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으로 확보하고, 그 시작 위치(Ad_4)에서부터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원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의해, 기록매체상에 정지영상 및 사후기록 오디오를 도 13과 같이 기록한 경우, 정지영상 및 사후기록 오디오가 하나의 파일로 관리되므로, 정지영상 및 사후기록 오디오의 기록영역은 전체적으로 2개 영역[즉, 시작어드레스(Ad_1)에서부터 (Sz_1 + Sz_2 + Sz_3)의 길이를 갖는 영역과, 시작어드레스(Ad_4)에서부터 (Sz_4)의 길이를 갖는 영역]으로 쪼개져 있다. 따라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영역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어드레스(Ad_1; Ad_4) 및 정지영상의 기록영역의 길이(Sz_1 + Sz_2 + Sz_3; Sz_4)가 위치정보와 길이정보로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 정지영상의 기록영역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영역을 구분 설정하여 기록할 경우에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대한 재생제어정보(내비게이션 정보)를 투 파일방식과 동일하게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의하면, 종래 방법에 비하여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내비게이션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광 디스크 기록매체에 신호를 기록하고, 기록신호를 재생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player)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15의 기록/재생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도 15의 구성을 살펴보면, 광 기록매체(OD)에 신호를 기록하고, 또한 이로부터 신호를 검출해내는 광픽업(10); 재생 고주파신호를 여파정형화하여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고 기록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부(20); 디지탈 데이터의 분해 및 합성, ECC블럭 코딩 및 디코딩, 그리고 데이터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상기 광픽업(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처리부(30);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이하, 'A/V 데이터'라고 함 )를 복호출력하고,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A/V 데이터로 부호화하는 A/V 처리부(40); 신호의 재생을 위한 내비게이션(navigation) 데이터 및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50); 및 상기 각 신호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임시저장을 위한 다수의 메모리(M1,M2,M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M1)에는 파일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FMP영역과, 파일 관리 테이블(FMT)가 저장되는 FMT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는 각 파일의 파일 엔트리가 포함되어 있다.
도15의 장치에서, 기록매체에 정지영상 및 사후기록 오디오를 기록할 경우,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 제어부(50)은 정지영상 기록영역과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을 확보하고 최초 입력되어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지영상의 물리적 시작 어드레스를 위치정보(position)로서, 상기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 저장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기록하고, 상기 확보된 정지영상 기록영역 및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의 크기를 길이정보(length)로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기록한다.
한편,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 제어부(50)는 정지영상 기록영역을 확보하고. 최초 입력되어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지영상의 물리적 시작 어드레스를 위치정보(position)로서, 상기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 저장된 정지영상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기록하고, 그후 기록되는 정지영상 영역의 크기를 길이정보(length)로서 정지영상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기록한다. 그후,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면, 제어부(50)는 소정 크기 이상의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을 확보하고, 상기 확보된 영역에 최초 입력되어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사후기록 오디오의 물리적 시작 어드레스를 위치정보(position)로서, 상기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 저장된 사후기록 오디오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기록하고, 그후 기록되는 사후기록 오디오 영역의 크기를 길이정보(length)로서 사후기록 오디오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기록한다.
그후, 상기 제어부(50)는 기록모드의 종료시 상기 메모리(M1)의 FMT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으로서, 투 파일방식의 경우에 대하여,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정지영상 기록모드가 설정되면 이를 확인하여 데이터의 기록제어를 수행하게 된다(스텝 S11). 이어서, 제어부(50)는 기록매체상에서 정지영상을 기록하기 위해 충분한 영역을 정지영상 기록영역으로서 확보하고 상기 확보된 영역에 정지영상을 기록한다(스텝 S12,S13).
그후, 제어부(50)는 FMP영역에 저장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MT영역에 저장된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서 정지영상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상기 기록된 정지영상의 시작어드레스를 위치정보(position)로서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정지영상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크기를 길이정보(length)로서 기록한다(스텝 S14).
이어서, 제어부(50)는 후속하는 기록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스텝 S15), 입력되는 기록데이터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스텝 S16). 상기 스텝 S16의 확인결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아닌 경우(즉,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확보된 정지영상 기록영역에 상기 입력된 기록데이터를 순차 기록하고(스텝 S17),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서 정지영상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상기 기록된 정지영상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크기를 갱신한다(스텝 S18).
이어서, 제어부(50)는 상기 설정된 정지영상 기록영역에 빈 공간이 잔존하는지를 확인하고(스텝 S18A), 잔존하지 않는 경우 기록 매체의 빈 공간을 탐색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영역을 새로운 정지영상 기록영역으로 확보한다(스텝 S18B).
그후,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오디오 사후기록모드가 종료되는지를 확인하여(스텝 S19), 종료되지 않으면 상기한 스텝 S15로 되돌아가서 후속되는 기록데이터 입력에 따라 상기한 스텝 S15 이하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19에서 종료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M1)의 FMT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스텝 S20), 제어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6에서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50)는 기록매체상에서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소정 크기 이상을 갖는 빈 영역을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으로서 확보하고 상기 확보된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한다(스텝 S21,S22).
그후, 제어부(50)는 FMP영역에 저장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MT영역에 저장된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서 사후기록 오디오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상기 기록된 사후기록 오디오의 시작어드레스를 위치정보(position)로서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크기를 길이정보(length)로서 기록한다(스텝 S23).
이어서, 제어부(50)는 후속하는 기록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스텝 S24), 입력되는 기록데이터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스텝 S25). 상기 스텝 S25의 확인결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아닌 경우(즉,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한 스텝 S17로 진행하는 반면,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상기 확보된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에 상기 입력된 기록데이터를 순차 기록하고(스텝 S26),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서 정지영상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상기 기록된 사후기록 오디오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크기를 갱신한다(스텝 S27).
이어서, 제어부(50)는 상기 설정된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에 빈 공간이 잔존하는지를 확인하고(스텝 S28), 잔존하지 않는 경우 기록 매체의 빈 공간을 탐색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영역을 새로운 정지영상 기록영역으로 확보한 다음(스텝 S29), 상기한 스텝 S19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으로서, 원 파일방식의 경우에 대하여,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정지영상 기록모드가 설정되면 이를 확인하여 데이터의 기록제어를 수행하게 된다(스텝 S31). 이어서, 제어부(50)는 기록매체상에서 정지영상을 기록하기 위해 충분한 크기(M)의 영역을 정지영상 기록영역으로, 그리고 상기 확보된 정지영상 기록영역과 이어지는 소정 크기(N; M > N)의 영역을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으로서 확보한다. 그후, 제어부(50)는 상기 확보된 정지영상 기록영역에 정지영상을 기록한다(스텝 S32,S33).
그후, 제어부(50)는 FMP영역에 저장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MT영역에 저장된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상기 기록된 정지영상의 시작어드레스를 위치정보(position)로서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정지영상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크기를 길이정보(length)로서 기록한다(스텝 S34).
이어서, 제어부(50)는 후속하는 기록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스텝 S35), 입력되는 기록데이터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스텝 S36). 상기 스텝 S16의 확인결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아닌 경우(즉,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확보된 정지영상 기록영역에 상기 입력된 기록데이터를 순차 기록하고(스텝 S37),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상기 기록된 정지영상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크기를 갱신한다(스텝 S38).
그후,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오디오 사후기록모드가 종료되는지를 확인하여(스텝 S39), 종료되지 않으면 상기한 스텝 S35로 되돌아가서 후속되는 기록데이터 입력에 따라 상기한 스텝 S35 이하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39에서 종료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M1)의 FMT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스텝 S40), 제어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 S36에서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50)는 상기 스텝 S32에서 확보된 사후기록 오디오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한다(스텝 S41).
그후, 제어부(50)는 FMP영역에 저장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MT영역에 저장된 파일 관리 테이블(FMT)에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상기 기록된 사후기록 오디오의 시작어드레스를 위치정보(position)로서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크기를 길이정보(length)로서 기록하고(스텝 S42), 상기한 스텝 S39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원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의 실시예에 서는, 정지영상의 기록시 일차적으로 충분한 영역을 확보한 다음에 그 영역중 소정 크기(M)의 영역을 정지영상의 기록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다음의 소정크기(N; M > N)의 영역을 사후기록 오디오영역으로 설정하여, 정지영상과 사후기록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지영상의 기록시 일차적으로 충분한 영역을 확보한 다음에 그 영역에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도중에 사후기록 오디오가 기록되면, 상기 확보된 영역내에 있어서 이후 정지영상의 기록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정지영상이 최종기록된 위치에서 소정크기(M)만큼 떨어진 위치부터 소정크기(N; M > N)의 영역을 사후기록 오디오 기록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의하면, 원 파일 방식에 있어서 정지영상의 기록영역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영역을 구분 설정하여 기록할 경우에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대한 재생제어정보(내비게이션 정보)를 투 파일방식과 동일하게 구축할 수 있으므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내비게이션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의하면, 종래 방법에 비하여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테이블화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정지영상기록과 함께 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3은 종래 정지영상을 그룹핑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지영상 색인정보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파일[원(one) 파일]로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다른 파일[투(two) 파일]로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a는 도 5의 방법에 있어서 정지영상에 대한 내비게이션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b는 도 5에 도시한 오리지널 보비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c는 도 5에 도시한 사후기록 오디오 보비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a는 도 4의 방법에 있어서 정지영상에 대한 내비게이션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b는 도 4에 도시한 오리지널 보비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c는 도 4에 도시한 사후기록 오디오 보비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서 채용되는 것으로서, 각 파일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엔트리(file entry) 및, 파일할당정보(allocation descriptor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a는 도 8에 도시한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구조에서, 원 파일 방식을 적용할 경우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대한 기록목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 및 도 10c는 도 8에 도시한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와,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구조에서, 투 파일 방식을 적용할 경우, 정지영상 및 오리지널 오디오를 관리하는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대한 기록 목록 및, 사후기록 오디오를 관리하는 파일에 대한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대한 기록목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있어서, 투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한 데이터의 기록 구조에서, 투 파일 방식을 적용할 경우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대한 기록 목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에 있어서, 원 파일 방식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의 기록 구조에서, 투 파일 방식을 적용할 경우 파일 엔트리의 파일할당정보에 대한 기록 목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이 구현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픽업 20 :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30 : 디지털 신호처리부 40 : A/V 처리부
50 : 제어부 M1∼M3 : 메모리

Claims (3)

  1. 기록매체에서의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한 파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M 크기의 영역을 확보한 후,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1단계;
    상기 정지영상 기록도중, 사후기록 오디오의 기록 모드가 설정되면, N (N<M) 크기의 영역을, 상기 M 크기의 영역에 인접하여 확보한 후, 사후기록 오디오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2단계;
    상기 확보된 M 크기의 영역에 정지영상을 모두 기록한 경우, M 크기의 영역을, 상기 N 크기의 영역에 인접하여 새로 확보한 후,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3단계; 및
    상기 확보된 N 크기의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를 모두 기록한 경우, N 크기의 영역을, 상기 새로 확보된 M 크기의 영역에 인접하여 새로 확보한 후, 사후기록 오디오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한 파일로 관리하되, 해당 파일 정보 내에, 상기 정지영상 및 사후기록 오디오가 연속 기록된 시작 기록위치와 길이 정보, 그리고, 상기 정지영상 또는 사후기록 오디오가 불연속 기록된 시작 기록위치와 길이 정보를 각각 기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2.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한 파일 내에서, 인접된 영역 내에 구분 기록되어 있되,
    해당 파일 정보 내에, 상기 정지영상 및 사후기록 오디오가 연속 기록된 시작 기록위치와 길이 정보, 그리고, 상기 정지영상 또는 사후기록 오디오가 불연속 기록된 시작 기록위치와 길이정보를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기록매체에서의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두 파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M 크기의 영역을 확보한 후,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1단계;
    상기 정지영상 기록도중, 사후기록 오디오의 기록 모드가 설정되면, N (N<M) 크기의 영역을, 상기 M 크기의 영역에 인접하여 확보한 후, 사후기록 오디오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2단계; 및
    상기 확보된 N 크기의 영역에 사후기록 오디오를 모두 기록한 경우, 그 이후의 기록위치에서, N 크기의 빈 기록 영역을 탐색하여 확보한 후, 사후기록 오디오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정지영상과 사후기록 오디오를 두 파일로 관리하되, 상기 정지영상의 파일 정보에는, 상기 정지영상의 시작 기록위치와 길이 정보를 기록 관리하고,
    상기 사후기록 오디오의 파일 정보에는, 상기 사후기록 오디오의 각 시작 기록위치와 각 길이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KR1019980027713A 1998-07-09 1998-07-09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KR10058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713A KR100584183B1 (ko) 1998-07-09 1998-07-09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713A KR100584183B1 (ko) 1998-07-09 1998-07-09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066A KR20000008066A (ko) 2000-02-07
KR100584183B1 true KR100584183B1 (ko) 2006-10-04

Family

ID=1954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713A KR100584183B1 (ko) 1998-07-09 1998-07-09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1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587A (ja) * 1989-03-03 1990-09-1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および音声の編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730886A (ja) * 1993-07-09 1995-01-31 Sony Corp 画像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19990070106A (ko) * 1998-02-17 1999-09-15 윤종용 정지영상에 음성 데이터를 부가하는 영상 기록 방법
KR20000002922A (ko) * 1998-06-24 2000-01-15 윤종용 정지화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및 기록재생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587A (ja) * 1989-03-03 1990-09-1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および音声の編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730886A (ja) * 1993-07-09 1995-01-31 Sony Corp 画像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19990070106A (ko) * 1998-02-17 1999-09-15 윤종용 정지영상에 음성 데이터를 부가하는 영상 기록 방법
KR20000002922A (ko) * 1998-06-24 2000-01-15 윤종용 정지화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및 기록재생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066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497B1 (ko)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정지영상관리데이터의생성/기록방법
JP4080499B2 (ja) 静止画のための情報の再生装置
JP3659881B2 (ja) 静止画のための情報の記録及び/または再生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7620300B2 (en)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navigation information in a rewritable recording medium
US7113694B2 (en)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naging navigation information in rewritabl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for
JP3285029B2 (ja) 記録媒体
JP3164107B2 (ja) 記録媒体
KR100584183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KR100448453B1 (ko) 정지영상이 기록된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와, 그정지영상의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506846B1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비디오 맵 정보 생성 및 갱신기록방법
KR100595083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사후 기록 오디오 데이터 관리방법
KR100573457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 관리방법
KR100573456B1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사후기록 오디오 관리정보 생성방법
KR100568379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KR100573455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기록 오디오 재생 지정방법
KR100573454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 관리방법
KR100579455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기록 정지영상 보호방법
JP3329338B1 (ja) 記録方法、記録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329339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031744A (ja) Av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2006033028A (ja) Av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2006033029A (ja) Av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2006031745A (ja) Av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