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379B1 -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379B1
KR100568379B1 KR1019980030967A KR19980030967A KR100568379B1 KR 100568379 B1 KR100568379 B1 KR 100568379B1 KR 1019980030967 A KR1019980030967 A KR 1019980030967A KR 19980030967 A KR19980030967 A KR 19980030967A KR 100568379 B1 KR100568379 B1 KR 10056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esentative image
recorded
representative
recor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203A (ko
Inventor
김병진
서강수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3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기록집합체에 대한 대표영상을 신속하게 억세스할 수 있고, 또한 대표영상 기록영역을 최적화 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록된 데이터에서 대표영상을 추출하여 기록하고, 상기 추출된 대표영상에 대응되는 관리데이터에 해당 대표영상의 잠정삭제 상태 여부를 표시한다. 그후, 대표영상 관리데이터에서 잠정삭제 상태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잠정삭제 상태에 대응되는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새로이 추출된 대표영상의 기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표영상 기록영역을 최적화 하여 관리할 수 있는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집합체에 대한 대표영상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는 CD가 보급되면서 일반화 되었으며,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규격이 나오면서 더욱 기대가 되고 있다. 광 디스크에는 재생 전용의 CD-ROM, DVD-ROM 등 외에, 1회 기록 가능한 CD-R, DVD-R이 있으며, 재기록 가능한 CD-RW, DVD-RAM 또는 DVD-RTRW와 같은 디스크의 규격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현재 기록재생이 가능한 DVD-RTRW의 통일 규격을 위한 워킹 그룹의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재기록 가능한 DVD-RAM, DVD-RTRW 등은 대용량의 기록매체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다양한 기록데이터(동영상, 정지영상, 동영상/오디오, 정지영상/오디오 등)을 기록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기록매체에 다양한 기록 데이터들이 기록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상에 기록데이터의 기록집합체[VOB(Video OBject); VOB#i]단위로 기록되고, 이 기록집합체 재생정보[VOBI(Video OBject Informastion); VOBI#i]가 각 기록집합체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또한 각 기록집합체(VOB#i)에 대응하여 기록집합체 재생순서정보(Cell; C#i)가 생성되어 오리지널 프로그램 체인[Original ProGram Chain(PGC); 이하, "오리지널 재생순서정보 집합체"라고 칭함]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기록데이터가 기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재생요청이 있으면, 기록집합체 재생순서정보(C#i) 및 기록집합체 재생정보(VOBI#i)를 이용하여, 기록된 기록데이터를 기록집합체(VOB#i) 단위로 순차적으로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록데이터를 기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록데이터의 재생순서를 편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록집합체 VOB#1∼VOB#3을 선택하면 사용자정의 프로그램 체인(user defined PGC; 이하, "사용자정의 재생순서정보 집합체"라고 칭함)에 상기 선택된 기록집합체들(VOB#1∼VOB#3)에 대하여 하나의 재생순서정보(C#1)가 생성되고, 그후 기록집합체 VOB#6∼VOB#7을 선택하면 사용자정의 프로그램 체인에 상기 선택된 기록집합체들(VOB#6∼VOB#7)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재생순서정보(C#2)가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여기서, 사용자의 선택단위는 기록집합체 단위가 아니라, 실제로는 기록집합체를 구성하는 각 기록체(하나의 영상 또는 오디오 등) 단위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편집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편집에 따른 재생시에는, 사용자가 편집한 순서에 따라 기록집합체 VOB#1∼VOB#3이 재생된 다음에 기록집합체 VOB#6∼VOB#7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기록된 영상 기록집합체들(VOB#i)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기록된 영상물의 내용(타이틀, 테마 등)에 따라 다수의 프로그램(도 1에서 O_PG#1∼O_PG#p 참조)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 분리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물 중 하나의 대표영상(thumb-nail picture)을 선택하여 이를 메뉴화면에 각각의 색인정보로서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 생성된 대표영상은 두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중 하나는 오리지널 재생순서정보 집합체(ORG_PGC)와 연관되어 선택생성되는 오리지널 대표영상 집합체(ORG_TH#i)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정의 재생순서정보 집합체(UD_PGC)와 연관되어 선택생성되는 사용자정의 대표영상 집합체(UD_TH#i)이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O_PG#i;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및 이들의 조합)은 하나의 기록집합체 재생순서정보(cell)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기록집합체 재생순서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정의 재생순서정보 집합체(UD_PGC#i)는 각각을 "재생순서 리스트(Play List)"라고도 일컬으며, 각각의 재생순서 리스트(PL#1,PL#2,…,PL#p)에 대응하여 하나의 대표영상이 선택 생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재생순서 리스트를 구성하는 엔트리 포인트[entry point; 챕터(chapter)라고도 함]에 대응하여 하나의 대표영상이 선택 생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대표영상이 각 재생순서 리스드에 대응하여 하나가 선택 생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 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재생순서 리스트 및 엔트리 포인트는 하나의 기록집합체 재생순서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기록집합체 재생순서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선택 생성된 대표영상들(ORG_TH#i, UD_TH#i)은 모두 하나의 대표영상 파일로 구성되며, 오리지널 대표영상(ORG_TH#i)과 사용자정의 대표영상(UD_TH#i)이 디스크상에서 물리적으로 영역분할되어 기록될 수 있고, 생성순서대로 혼재되어 기록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기록된 대표영상들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재생개시 시점에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화면(C)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대표영상들에 대한 정보가 내비게이션 데이터영역에 없기 때문에, 대표영상들을 메뉴화면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또는 재생순서 리스트 단위로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대표영상을 탐색 및 독출하여 메뉴화면을 재구성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 생성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재생순서 리스트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삭제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대표영상도 삭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어떻게 삭제 요청된 대표영상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등을 포함하는 대표영상의 효율적 관리에 대한 연구가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기록집합체에 대한 대표영상을 신속하게 억세스할 수 있고, 또한 대표영상 기록영역을 최적화 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은, 기록된 데이터에서 대표영상을 추출기록하는 1단계; 및 상기 추출된 대표영상에 대응되는 관리데이터에 해당 대표영상의 잠정삭제 상태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은, 대표영상 관리데이터에서 잠정삭제 상태여부를 확인하는 1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잠정삭제상태에 대응되는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새로이 추출된 대표영상의 기록여부를 결정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에 채용되는 내비게이션 관리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한 것으로, 본 관리테이블은 종래 테이블과 비교하여 볼 때 대표영상(thumb-nail) 관리정보 테이블(TMIT)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대표영상 관리정보 테이블(TMIT)의 일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리지널 재생순서정보(ORG_PGC)와 연관되어 프로그램(PG) 단위로 선택 생성된 대표영상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대표영상 관리정보 테이블(PG_TMIT)과; 사용자정의 재생순서정보(UD_PGC)들과 연관되어 재생순서 리스트(PL) 단위로 선택 생성된 대표영상들을 관리하기 위한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 관리정보 테이블(PL_TMIT)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 대표영상 관리정보 테이블(PG_TMIT)은 프로그램 대표영상의 시작 어드레스인 프로그램 대표영상 탐색 포인터(PG_T_SRP)와 프로그램 대표영상 관리정보(PG_TMI)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 대표영상 관리정보(PG_TMI)는 각각의 프로그램 대표영상에 대하여 잠정 삭제 정보(TH_VD)와 해당 대표영상의 크기(TH_SZ)로 구성된다. 상기 잠정 삭제 정보(TH_VD)는 예를 들면 1비트로 구성되어, 해당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삭제되는 경우 해당 대표영상도 삭제되어야 하므로, "1"으로 표시해두고, 그후 새로운 프로그램이 기록될 때 그 새로이 선택 생성되는 대표영상을 잠정 삭제 정보(TH_VD)가 "1"로 표시된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표영상의 크기(TH_SZ)는 기록된 대표영상의 섹터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 관리정보 테이블(PL_TMIT)은 재생순서 리스트에 대한 대표영상의 시작 어드레스인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 탐색 포인터(PL_T_SRP)와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 관리정보(PL_TMI)로 구성된다. 상기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 관리정보(PL_TMI)는 각각의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에 대하여 잠정 삭제 정보(TH_VD)와 해당 대표영상의 크기(TH_SZ)로 구성된다. 상기 잠정 삭제 정보(TH_VD) 및 대표영상의 크기(TH_SZ)는 상기한 프로그램 대표영상 관리정보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물의 기록과 함께 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의 종래 예와 다른 점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대표영상들의 각각에 대하여 대표영상 정보가 생성되어 있는 점이 다. 즉, 각 대표영상(PG_TH#i,PL_TH#i)의 선택 생성시점에 대표영상 정보(PG_THI#i,PL_TH#i)가 내비게이션 영역에 생성된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PG#i)나 재생순서 리스트(PL#i)에는 각 대표영상(PG_TH#i, PL_TH#i)에 대한 인덱스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대표영상의 생성 및 삭제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서는 각 대표영상의 기록영역이 오류정정부호(ECC)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32K byte로 고정되어 있고, 최대 프로그램의 개수가 P개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프로그램(PG#1)이 기록되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기록된 프로그램(PG#1)에 대한 대표영상(TH#1)이 선택되어 프로그램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기록된다. 그후, 기록되는 프로그램(PG#2,PG#3)가 기록되면 마찬가지로 대표영상(TH#2,TH#3)이 선택되어 프로그램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다음에,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기 기록된 프로그램들(PG#1,PG#2,PG#3)에 의하여 재생순서를 편집한 재생순서 리스트(PL#1)가 기록될 때,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기록된 재생순서 리스트(PL#1)에 대한 대표영상(TH#1)이 선택되어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기록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도 6과 같이 프로그램 대표영상 집합체(PG Thumb-nail) 및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 집합체(PL Thumb-nail)가 기록매체상에 기록된다. 여기서, 각 대표영상에 할당된 기록영역은 32K byte이다.
상기한 도 6과 같이 각 대표영상이 기록될 때, 내비게이션 데이터영역의 프로그램 대표영상정보 및 재생순서 대표영상정보에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각 대표영상에 대하여 잠정 삭제정보(VD)로서 "0", 대표영상 크기(SZ)로서 각각의 기록된 대표영상이 점유하는 섹터수로서, "A","B", …,"G"가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대표영상 기록집합체 및 대표영상 정보가 생성된 상태에서, 도 6의 프로그램(PG#4)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삭제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삭제 요청된 프로그램(PG#4)이 삭제되고, 이에 대응하는 대표영상(TH#4)도 삭제된 것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대표영상 정보영역에서 대표영상(TH#4)에 대한 잠정 삭제정보(VD)를 "0"에서 "1"로 갱신한다.
그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새로운 프로그램(PG#i+1)이 기록되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기록된 프로그램(PG#i+1)에 대한 대표영상(TH#i+1)이 선택되어 프로그램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기록되는데, 이때 프로그램 대표영상 정보영역을 탐색하여 기 기록된 대표영상의 개수가 최대개수에 도달한 경우 잠정 삭제정보(VD)가 "1"인 대표영상이 있는지 확인하여, 잠정 삭제정보(VD)가 "1"인 대표영상이 있는 경우 해당 대표영상에 대한 기록 위치를 프로그램 대표영상 기록영역상에서 탐색하여 그 위치에 새로 선택 생성된 대표영상(TH#i+1)을 기록하고, 잠정 삭제정보(VD)를 "1"에서 "0"으로 갱신하고 대표영상 크기(SZ)로서 대표영상(TH#i+1)의 기록 섹터수를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PG#i) 및 재생순서 리스트(PL#i)는 해당 대표영상에 대한 인덱스를 가지고 있고 대표영상의 기록영역의 크기가 예를 들면 32K byte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대표영상의 기록영역을 탐색하여 독출할 수 있다. 상기 대표영상의 독출시, 대표영상 정보영역에서 잠정 삭제정보(VD) 및 크기정보(SZ)를 확인하여, 해당 정지영상의 기록영역(32K byte)중 상기 정지영상의 크기(섹터수)만큼만 독출한다. 이는 재생장치의 디지털 신호처리부 및 엠펙 디코더부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대표영상의 기록시 대표영상의 크기가 15K byte이면 대표영상의 크기로서 8(섹터)이 기록되지만, 실제로는 8번째 섹터의 일부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으므로, "0" 또는 "1"을 패딩(padding)한다.
상기에서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표영상의 기록영역을 32K byte단위로 고정하여 대표영상을 기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표영상의 기록영역을 고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대표영상의 기록영역을 고정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프로그램(PG#i) 및 재생순서 리스트(PL#i)가 해당 대표영상 정보(PG_TH#i,PL_TH#i)에 대한 인덱스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즉, 첫 번째 대표영상 정보의 어드레스가 TH_AD이고, 잠정 삭제정보(VD) 및 정지영상 사이즈(SZ)가 3byte로 표현되면, 프로그램(PG#i)에 대한 대표영상 정보의 어드레스는 [(TH_AD + 3byte * (인덱스-1 )]로 표현될 수 있다(여기서, 인덱스는 일련번호 이다). 따라서, 상기 대표영상의 독출시, 대표영상 정보영역을 탐색하여 잠정 삭제정보(VD) 및 크기정보(SZ)를 확인하여, 해당 정지영상의 시작 어드레스를 산출한다. 여기서, 시작어드레스는 도 4의 프로그램 대표영성 탐색 포인터(PG_T_SRP)에 기록된 프로그램 목표영상 시작 어드레스(PG_TH_SA)에다 해당 프로그램 대표영상 정보 직전까지의 대표영상들에 대한 사이즈를 모두 가산하여 구할 수 있다. 그후, 상기 산출된 시작어드레스부터 해당 대표영상의 사이즈 만큼을 독출하면 된다.
한편,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번째 프로그램 및 세 번째 프로그램의 대표영상이 삭제되어 해당 정지영상 정보영역의 잠정 삭제 정보(VD)가 "1"로 설정되어 있고, 해당 정지영상의 크기가 각각 24(섹터), 16(섹터)인 경우, 다음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의 대표영상을 기록할 때 먼저 정지영상 정보영역의 잠정 삭제 정보(VD)를 확인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정지영상의 크기 보다 큰 영역이 있으면 그 영역에 기록하고자하는 대표영상을 기록하고, 나머지 여분의 영역을 "0" 도는 "1"로 패딩하면 된다. 그러나, 기록하고자 하는 대표영상의 크기가 26섹터인 경우에는, 잠정 삭제정보가 인접하여 "1"로 설정된 영역의 선두부터 대표영상을 기록하고, 상기 인접 대표영상 정보중 첫번째 대표영상 정보의 잠정 삭제정보(VD)를 "0"으로 갱신하고, 크기를 "26"으로 기록한 다음에, 상기 인접 대표영상 정보중 두번째 대표영상 정보의 크기(SZ)를 "14"로 갱신하면 된다.
도 12는 광 디스크 기록매체에 신호를 기록하고, 기록신호를 재생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player)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2의 구성을 살펴보면, 광 기록매체(OD)에 신호를 기록하고, 또한 이로부터 신호를 검출해내는 광픽업(10); 재생 고주파신호를 여파정형화하여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고 기록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부(20); 디지탈 데이터의 분해 및 합성, ECC블럭 코딩 및 디코딩, 그리고 데이터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상기 광픽업(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처리부(30);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이하, 'A/V 데이터'라고 함 )를 복호출력하고,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A/V 데이터로 부호화하는 A/V 처리부(40); 신호의 재생을 위한 내비게이션(navigation) 데이터 및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50); 및 상기 각 신호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임시저장을 위한 다수의 메모리(M1∼M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2의 장치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광 기록매체(OD)에 기록된 기록데이터(동영상, 정지영상, 동영상/오디오, 정지영상/오디오 등)의 집합인 기록집합체들를 기록할 때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부(50)는 상기 각 프로그램의 대표영상(thumbnail picture)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대표영상을 생성하여, 기록매체상의 프로그램 대표영상 기록영역상에 기록함과 더불어 내비게이션 데이터영역의 해당 대표영상 정보에 잠정 삭제정보로서 "0"을 기록하고, 기록된 정지영상의 크기로서 섹터수를 기록한다.
그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기 기록된 프로그램들에 대하여 재생순서를 편집한 재생순서 리스트(PL#1)가 기록될 때, 제어부(50)는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기록된 재생순서 리스트(PL#1)에 대한 대표영상(TH#1)을 선택하여 재생순서 리스트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기록함과 더불어, 내비게이션 데이터영역의 해당 대표영상 정보에 잠정 삭제정보로서 "0"을 기록하고, 기록된 정지영상의 크기로서 섹터수를 기록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프로그램들이 기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요청에 의해 소정 프로그램이 삭제되는 경우, 제어부(50)는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대표영상정보 영역의 잠정 삭제정보(VD)를 "0"에서 "1"로 갱신한다.
그후,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 제어부(50)는 내비게이션 데이터영역의 대표영상정보 영역에서 잠정삭제정보(VD)가 "1"인 대표영상정보를 탐색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대표영상정보에 대응하는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대표영상을 기록하고, 상기 검출된 대표영상정보의 잠정삭제정보(VD)를 "0"으로 갱신함과 더불어 대표영상 크기(SZ)를 새로 기록된 대표영상의 크기로 갱신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에 의하면,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기록집합체에 대한 대표영상을 내비게이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대표영상 정보영역에 의하여 신속하게 억세스할 수 있으며, 또한 대표영상에 대하여 실제 기록된 섹터만큼만 독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재생장치의 하드웨어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기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재생순서 리스트를 삭제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데이터영역의 대표영상정보영역에 대응 대표영상에 대하여 잠정 삭제 정보를 설정하여 두고, 그후 새로운 프로그램 또는 재생순서 리스트의 기록시 새로운 대표영상에 기 삭제된 대표영상 기록영역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표영상 기록영역을 최적화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영상물의 기록과 함께 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대표영상의 생성 및 메뉴화면의 생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테이블화 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테이블에서 대표영상 관리정보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물의 기록과 함께 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영상 관리방법에 의한 대표영상의 생성 및 삭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영상 관리방법에 의해 도 6 내지 도 8에 대응하여 대표영상 관리정보의 변동상태를 테이블화 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a는 대표영상 기록단위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기록되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대표영상 기록단위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록되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대표영상 기록단위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에 의해 대표영상 관리정보의 변동상태를 테이블화 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player)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픽업(pick-up) 20 :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30 : 디지털 신호처리부 40 : A/V 처리부
50 : 제어부 M1∼M3 : 메모리
OD : 굉기록매체

Claims (3)

  1. 기록매체에 기록된 다수의 대표영상들 중, 새로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대표영상을 추출 기록하는 1단계; 및
    상기 추출된 대표영상에 대응되는 관리데이터에 해당 대표영상의 잠정삭제 상태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영상 한 개를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3. 대표영상 관리데이터에서 잠정삭제 상태여부를 확인하는 1단계;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잠정삭제상태에 대응되는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새로이 추출된 대표영상의 기록여부를 결정하는 2단계;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 새로이 추출된 상기 대표영상을, 상기 잠정삭제 상태에 대응되는 대표영상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3단계: 및
    상기 잠정삭제상태를 해제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KR1019980030967A 1998-07-30 1998-07-30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KR10056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967A KR100568379B1 (ko) 1998-07-30 1998-07-30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967A KR100568379B1 (ko) 1998-07-30 1998-07-30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03A KR20000010203A (ko) 2000-02-15
KR100568379B1 true KR100568379B1 (ko) 2006-06-29

Family

ID=1954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967A KR100568379B1 (ko) 1998-07-30 1998-07-30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951B1 (ko) * 2000-03-13 200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데이터 기록 관리방법
KR100857092B1 (ko) * 2000-11-08 200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데이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03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1669B2 (ja) 静止画のための情報の再生方法
KR100306195B1 (ko)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내비게이션데이터관리방법
KR100302497B1 (ko)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정지영상관리데이터의생성/기록방법
KR100769375B1 (ko)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 기록된 기록매체와, 그 재생장치 및방법
US7113694B2 (en)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naging navigation information in rewritabl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for
KR20030069638A (ko) 재기록 가능 고밀도 기록매체의 정지영상 관리방법
KR100326337B1 (ko)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데이터재생순서정보의생성기록방법
KR100800407B1 (ko) 재기록 가능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
KR100568379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대표영상 관리방법
KR100306193B1 (ko)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동영상데이터연결재생정보생성및갱신기록방법
KR100448453B1 (ko) 정지영상이 기록된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와, 그정지영상의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583564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에서 메뉴데이터를 이용한 재생순서정보생성방법 및 데이터 재생방법
KR100506846B1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비디오 맵 정보 생성 및 갱신기록방법
KR100595083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사후 기록 오디오 데이터 관리방법
KR100711336B1 (ko) 기록매체의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 재생방법
KR100573456B1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사후기록 오디오 관리정보 생성방법
KR100573454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 관리방법
KR100573457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사후기록 오디오 데이터 관리방법
KR100573455B1 (ko)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기록 오디오 재생 지정방법
KR100773619B1 (ko) 재기록 가능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
KR100940027B1 (ko) 프로그램별 리줌 마크 관리방법
KR20040083234A (ko)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 프로그램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