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850B1 -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850B1
KR100582850B1 KR1020040015358A KR20040015358A KR100582850B1 KR 100582850 B1 KR100582850 B1 KR 100582850B1 KR 1020040015358 A KR1020040015358 A KR 1020040015358A KR 20040015358 A KR20040015358 A KR 20040015358A KR 100582850 B1 KR100582850 B1 KR 10058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transverse frame
transvers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799A (ko
Inventor
강봉길
Original Assignee
보광건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광건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광건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8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기둥의 골조에 연결되는 횡 골조의 연결부위에 적용되는 거푸집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설계된 기둥의 단면적과 동일한 규격과 형태의 내면 공간을 갖는 판상의 지지틀을 횡 골조의 전 높이에 걸쳐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 거푸집을 구성토록 한 것이다.
횡골조 연결부위의 기둥면의 수직도와 평활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여 기둥의 몰딩구조에 정밀성을 부여하여 건물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양생된 기둥을 다듬기 위한 번거로운 후가공의 필요성이 배제되어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통해 시공비의 절감과 공기의 단축 및 시공 상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건물기둥, 횡골조, 거푸집, 지지틀

Description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THE MOLD FOR JOINT PART OF HORIZONTAL FRAME TO PILLA}
도 1은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평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상태에서의 종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에서의 측면 예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둥골조
2 : 횡 골조
10 : 거푸집 본체
11 : 공간부
12 : 골조 장착홈
20 : 고정 부착부
본 발명은 건물 기둥의 골조에 연결되는 횡 골조의 연결부위에 적용되는 거 푸집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설계된 기둥의 단면적과 동일한 규격과 형태의 내면 공간을 갖는 판상의 지지틀을 횡 골조의 전 높이에 걸쳐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 거푸집을 구성토록 한 것이다.
즉, 횡골조 연결부위의 기둥면의 수직도와 평활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여 기둥의 몰딩구조에 정밀성을 부여하여 건물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양생된 기둥을 다듬기 위한 번거로운 후가공의 필요성이 배제되어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통해 시공비의 절감과 공기의 단축 및 시공 상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 세우는 기둥은 "H"형의 철재 빔을 이용하여 골조를 세우고 이 기둥골조의 측면에 각 건물의 바닥과 천장을 이루는 층간을 형성하도록 는 횡 골조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기둥골조에는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하여 살을 붙여 주는 슬라브를 시공하게 되는 것이며 몰탈을 수용, 양생하기 위하여 기둥 골조의 외부에 거푸집을 구성하게 된다.
기존에 사용되는 거푸집은 기둥의 일변의 폭을 가지며 측단부에 체결용 부착부가 있는 긴 직각의 절곡체를 결합시켜 사각의 틀을 짜 거푸집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절곡체상의 거푸집은 기둥골조에 있어 횡 골조가 없는 부분까지만 형성되고 횡골조가 형성되어 있는 복잡한 공간에는 적용하기 불가능하여 이 부분에는 별도로 작은 조각의 거푸집편을 제작하여 결합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여러 개로 분할된 작은 거푸집 편을 하나로 결합하는 과정이 복잡하며 연결부위가 많고 결속력이 강하지 못하여 거푸집이 완성된 후 콘크리트 몰탈을 유입시키면 몰탈의 압력에 의해 벽체를 이루고 있는 거푸집의 연결부위가 벌어져 무단으로 결속이 와해되거나,
세팅시켜 놓은 거푸집의 평활도나 수직도가 변형되는 문제가 초래되어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거푸집을 제거하고 난 후에 보면 기둥의 슬라브의 수직도와 표면의 평활도가 불량하여 추가적으로 기둥의 슬라브 표면을 다듬는 후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많아짐으로 인한 작업능률의 저하와 시공비의 증가, 공기의 연장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평활도가 불량한 표면에 마감용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타일의 접착성이 불량하게 되어 타일의 박리나 건물의 미관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해당 횡 골조가 있는 기둥 부위가 차기의 기둥을 구성하는 기준 부위가 됨으로 인해 층이 올라 갈수록 편차의 증가가 심해져 건물의 안전도를 위협하게 되는 폐단이 초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거푸집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횡 골조가 연결되는 기둥면의 수직도와 평활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여 기둥의 슬라브에 정밀성을 부여하여 건물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양생된 기둥을 다듬기 위한 번거로운 후가공의 필요성이 배체되어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통해 시공비의 절감과 공기의 단축 및 시공 상의 편의 성을 부여할 수 있는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된 기둥의 단면적과 동일한 규격과 형태의 내면 공간을 갖는 판상의 지지틀을 횡 골조의 전 높이에 걸쳐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 거푸집을 구성토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은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평단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상태에서의 종단면 예시도를 보인 것이다.
기둥골조(1)의 사방 측부에 건물의 층간을 형성하기 위한 횡 골조(2)를 일체로 연결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설정된 기둥의 슬라브(S)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 및 규격을 갖는 공간부(11)를 가지며 상기 횡 골조(2)의 높이 전체에 걸쳐 구성되는 판재상의 거푸집 본체(10)와;
상기 거푸집 본체(10)의 각 변에 구성되는 골조 장착홈(12)의 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횡 골조(2)의 측면에 밀접 상태로 고정 지지되는 고정 플렌지(2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30)은 횡 골조 이외의 부위에 설치되는 절곡체로 구성되는 거푸집을 보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기둥골조(1)에 연결된 횡 골조(2)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거푸집 본체(10)는 특정의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접 등을 통한 횡 골조(2)와의 직접 연결이 가능하고 몰탈의 내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지지강도가 뛰어난 금속의 강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골조 장착홈(12)을 통해 횡 골조(2)와 결합된 거푸집 본체(10)는 필요에 따라 고정 부착부(20)의 구성없이 골조 장착홈(12)의 연부와 횡골조(2)의 접촉부분을 직접 용접 부착시킬 수 있으며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 부착부(20)를 이용하여 볼트를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횡 골조(2)와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횡 골조(2)에 거푸집 본체(10)를 고정 설치하고 기둥골조(1)의 나머지 부분에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기존에서 사용되는 절곡체로 구성되는 거푸집(30)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둥골조(1)에 있어 횡골조(2)가 있는 부분과 기타 부분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게 되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몰탈이 거푸집의 내부 공간 형상으로 기둥골조(1) 전체와 횡 골조(2)중 거푸집 본체(10)내에 위치된 부분에 슬라브(S)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작은 조각의 판체를 이용하였던 것에서 벗어나 거푸집 본체(1)를 횡골조(2)와 일체화되는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이 고 견고하여 해당 부위의 슬라브 면의 수직도 및 직진, 평활도 등을 매우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횡골조에 직접 판재형의 거푸집을 결합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기둥의 슬라브의 수직도와 평활도를 정밀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건물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양생된 기둥을 다듬기 위한 번거로운 후가공의 필요성이 배제됨으로 인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통해 시공비의 절감과 공기의 단축 및 시공 상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기둥골조(1)의 측부에 건물의 층간을 형성하기 위한 횡 골조(2)를 일체로 연결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기둥의 슬라브(S)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 및 규격을 갖는 공간부(11)와 횡 골조(2)가 통과되도록 임의 변에 골조 장착홈(12)을 구비시킨 거푸집 본체(10)를 상기 횡 골조(2)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장착홈(12)의 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횡 골조(2)의 측면에 밀접상태로 고정 지지되는 고정 부착부(2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KR1020040015358A 2004-03-03 2004-03-03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KR10058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358A KR100582850B1 (ko) 2004-03-03 2004-03-03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358A KR100582850B1 (ko) 2004-03-03 2004-03-03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720U Division KR200342691Y1 (ko) 2003-10-30 2003-10-30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799A KR20040027799A (ko) 2004-04-01
KR100582850B1 true KR100582850B1 (ko) 2006-05-26

Family

ID=3733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358A KR100582850B1 (ko) 2004-03-03 2004-03-03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8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799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741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20150060107A (ko)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JP2017515999A (ja) 韓屋及び木造住宅を現代建築に導入した建築構造
KR100979264B1 (ko) 골판지소재의 거푸집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JP4962772B2 (ja) 壁面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前記取付構造に使用する壁面パネルと軟質部材
KR102120884B1 (ko) Rc 벽체와 합성보 간 접합구조가 개선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0582850B1 (ko)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KR20100123231A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슬라이드형 보시공용 판넬
KR200342691Y1 (ko) 건물 기둥의 횡 골조 연결부위용 거푸집구조
WO2016203483A1 (en) Composite framing and wall
KR20180001212A (ko) 강성구조를 갖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칼럼용 영구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0569598B1 (ko) 건축용벽체 가시설 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220010301A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EP3404155A1 (en) A balcony or an attached terrace
RU2008105317A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лко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JP2001173240A (ja) 補強外壁及び外壁の補強工法
JP7244327B2 (ja) ピット蓋受け部材及びピット形成方法
CN212200894U (zh) 一种加强型预制墙板立柱结构
KR20170037061A (ko) 개량형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JP3015819U (ja) 木造建築物のパネル取付構造およびパネルユニット
JPH11148213A (ja) 曲がり階段の段板装置
JP2017125306A (ja) 室内用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