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517B1 -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517B1
KR100582517B1 KR1020040057754A KR20040057754A KR100582517B1 KR 100582517 B1 KR100582517 B1 KR 100582517B1 KR 1020040057754 A KR1020040057754 A KR 1020040057754A KR 20040057754 A KR20040057754 A KR 20040057754A KR 100582517 B1 KR100582517 B1 KR 10058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over
suction
brush assembly
turbin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322A (ko
Inventor
송화규
김화중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433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5296621A/ja
Priority to US11/013,024 priority patent/US7334291B2/en
Priority to CNB2005100062969A priority patent/CN1325009C/zh
Priority to AU2005200611A priority patent/AU2005200611B2/en
Priority to RU2005104021/12A priority patent/RU2286077C2/ru
Priority to DE102005008472A priority patent/DE102005008472A1/de
Priority to IT000293A priority patent/ITMI20050293A1/it
Priority to GB0503943A priority patent/GB2413062B/en
Priority to NL1028419A priority patent/NL1028419C2/nl
Priority to FR0501932A priority patent/FR2868681B1/fr
Publication of KR2005010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2Dis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33Toothed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6Nozzles with cleaning cloths, e.g. using disposal fabrics for covering the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입브러시 조립체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피청소면과 접촉되는 청소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회전체와 상기 몸체사이에 형성된 결합틈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의 하부로 유출되므로서 상기 회전체에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체, 흡입유로, 관통공, 흡음재, 고주파소음

Description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A suction brush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라 절개한 유로형성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브러시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을 따라 절개한 유로형성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을 따라 절개한 유로형성부재의 단면도,
도 8은 흡입브러시 조립체의 소음 측정 실험조건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도 8의 조건에 따른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2...커버 124,126...제1 및 제2커버
127,128...제1 및 제2개구 130...몸체
134...흡입유로 136...흡입구
150...유로형성부재 156...흡음재 장착부
158...관통공 160...흡음재
161...유로격벽 162...몸체 바닥판
164...상부격벽 166...측부격벽
170...동력전달수단 172...웜
174...웜휠 180...회전체
181...결합틈 182...청소부재
184...청소부재 장착부 190...터빈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의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고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내장된 진공청소기 본체(1), 상기 본체(1)에 연결되는 연장유로(10), 상기 연장유로(10)에 연결되며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부분인 흡입브러시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연장유로(10)는 흡입브러시 조립체(20)에 연결되는 연장관 컨넥터(12), 상기 연장관컨넥터(12)에 연결되는 연장관(14), 일단은 상기 연장관(14)과 연결되며 타단은 진공청소기 본체(1)에 연결되는 흡입호스(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흡입브러시 조립체(20)에서 흡입된 오물은 연장관컨넥터(12), 연장관(14), 흡입호스(16)를 순서대로 거쳐 진공청소기 본체(1)에 설치된 집진실(미도시)에 포집된다.
흡입브러시 조립체(20)는 커버(22), 상기 커버(22)에 결합되며 하면에 흡입구(36)가 형성된 몸체(30), 상기 몸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팬(90), 하단에 물걸레와 같은 청소부재(82)가 장착되는 회전체(80), 상기 회전체(80)의 상부에 형성되는 웜휠(74)과, 상기 웜휠(74)에 대응되며 터빈팬(90)과 동축상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축상에 형성되는 웜(7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80)는 몸체(30)에 형성된 회전체수납실(38)의 회전체장착보스(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진공청소기 본체(1)에 내장된 모터(미도시)가 작동하면, 몸체(3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36)에 흡입력이 형성되어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흡입된 공기는 터빈팬(90)에 형성된 터빈블레이드(92)에 부딪쳐서 터빈팬(90)을 회전시키게 된다. 터빈팬(90)이 회전하면, 터빈팬(90)과 동축상에 형성된 웜(72)이 회전하게 되고, 이 웜(72)은 웜휠(74)에 동력을 전달한다. 웜휠(74)에 전달된 동력은 웜휠(74)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80)를 회전시키며, 회전체(80)의 하부에 설치되는 청소부재(82)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청소부재(82)의 회전에 의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80)가 회전하여 청소부재(82)가 피청소면을 청소하면서 회전체수납실(38, 도 1참조)의 바닥판(39)과 회전체(80)의 청소부재장착부(84) 사이로 오물이 유입된다. 유입된 오물은 회전체(80)와 회전체 장착보스(40) 사이에 쌓일 뿐만 아니라, 회전체수납실(38)가지 유입되어 웜(72, 도 1참조) 및 웜휠(74, 도 1참조)에도 쌓이게 된다. 이러한 오물의 유입으로 인해 회전체(80)는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이 회전체(80)와 함께 회전하는 청소부재(82)가 원활히 피청소면의 오물을 닦을 수 없게된다. 즉, 청소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36)와 터빈팬(90)까지의 도달거리가 짧아, 터빈팬(90) 및 각종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은 흡이부(36)를 통하여 흡입브러시 조립체(20)의 외부로 방출된다. 외부로 방출된 소음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특히, 고주파영역대의 소음에 사용자는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냅로 우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빈팬 및 각종부품의 작동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 영역대의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브러시 조립체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외부공기가 흡입 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피청소면과 접촉되는 청소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회전체와 상기 몸체사이에 형성된 결합틈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터빈팬과,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터빈팬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유로격벽을 포함하는 흡입브러시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와 상기 몸체사이의 결합틈을 통하여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터빈팬과 각종 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브러시 조립체는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피청소면을 닦을 수 있도록 청소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제1개구가 형성된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제2개구가 형성된 제2커버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팬과, 상기 터빈팬의 동력을 상기 회전체에 전달하는 웜 및 웜휠과, 흡입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유로형성부재와, 상기 관통공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장착되는 흡음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2개구 및 제1개구를 통하여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회전체장착보스 사이에 형성된 결합틈을 통과하여 몸체의 하부로 유출된다. 이에 의해 상기 결합틈을 통해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체로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호전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결국,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터빈팬 및 각종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특히 고주파 대역의 소음은 흡입유로를 통하여 상기 흡입구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흡음재에 흡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특히 민감한 고주파 대역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브러시 조립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브러시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이브러시 조립체는, 커버(122), 상기 커버(122)와 결합되며 하부에는 흡입구(136)가 형성된 몸체(130), 상기 몸체9130)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팬(190), 터빈팬(19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몸체(130)에 설치되는 유로형성부재(150), 몸체(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터빈팬(19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체(180), 터빈팬(190)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회전체(18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70)을 포함한다.
커버(122)는 회전체(180) 및 터빈팬(190)을 덮을 수 있도록 몸체(130)에 결 합되는 제1커버(124)와, 제1커버(124)의 상부에 위치하며 몸체(130)와 결합되는 제1커버(126)를 구비한다. 제1커버(124)가 직접 회전체(180) 및 터빈팬(190)을 덮고, 상기 제1커버(124)의 상부를 제2커버(126)가 덮음으로서, 터빈팬(190)과 회전체(180)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제1 및 제2커버(124,126)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커버(124,126)는 각각 외부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개구(127,128)가 형성된다.
몸체(130)에는 회전체(180)가 수납되는 회전체수납실(138)이 형성되며, 이 회전체수납실(138)에는 상기 회전체(180)가 장착되는 회전체장착보스(140)가 형성된다. 회전체(180)는 이러한 호전체장착보스(14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몸체(130)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개구(127,128)를 통하여 흡입된 외부공기는 이 회전체수납실(138)로 안내된다.
터빈팬(190)은 상기 몸체(13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터빈팬(190)은 복수의 터빈블레이드(192)를 구비하며, 흡입구(136)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터빈블레이드(192)에 부딪혀서 터빈팬(190)이 회전하게 된다.
유로형성부재(150)는 양측에 슬라이딩홈(154)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라이딩홈(154)에 대응되게 몸체9130)에 슬라이딩돌기(152)가 형성되어, 상기 유로형성부재(150)를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시켜 몸체(130)에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유로형성부재(150)는 터빈팬(190)의 전방에 설치되어, 흡입구(136)로 흡입된 공기를 터빈팬(190)으로 안내한다. 이 유로형성부재(150)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는 흡입구(136)로부터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흡입된 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한다. 이에 의해 터빈팬(190)은 보다 더 높은 회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로형성부재(150)의 상부에는 흡음재(16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흡음재 장착부(156)가 형성되며, 흡입재 장착부(156)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관통공(158)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158)은 흡입유로(134, 도 7참조)까지 관통형성되어 흡입유로(134)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회전체(180)는 회전체수납실(138)에 형성된 회전체장착보스(14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돈다. 회전체(180)의 하부에는 청소부재(182)가 착탈가능하도록 청소부재 장착부(184)가 형성된다. 청소부재(182)로는 물걸레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부재(182)는 터빈팬(19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180)와 함께 회전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닦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체(180)는 회전체장착보스(140)와의 사이에 결합틈(181, 도 5참조)이 형성된다. 상기오 같은 구조로 도 4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커버(124,126)에 형성된 제1 및 제2개구(127,128)를 통하여 회전체수납실(138)로 흡입된 외부공기는 이 결합틈(181)을 통하여 몸체(130)의 하부로 유출되게 된다. 그리고, 몸체(130)의 하부로 유출된 외부공기는 다시 흡입구(136)로 흡입된다. 이에 의해, 결합틈(181)을 통하여 회전체수납실(138)로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동력전달수단(170)은 터빈팬(190)에 의해 발생돈 동력을 회전체(18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170)은 터빈팬(190)의 동축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된 웜(172)고 상기 웜(172)에 대응되게 회전체(180)의 상부에 형성된 웜휠(174)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수단으로 터빈팬(190)으 로부터 회전체(180)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서, 회전체(180)에 오물의 유입이 방지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커버(124,126, 도 4참조)에 형성된 제1 및 제2개구(127,128, 도 4참조)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는 회전체수납실(138, 도 4참조)에 형성된 진공에 의하여 회전체수납실(138)로 유입된다. 회전체수납실(138)에 유입된 외부공기는 회전체장착보스(140)와 웜휠(174), 회전체장착보스(140)와 회전체(180), 및 회전체수납실(138)의 바닥판(139)과 청소부재 장착부(184) 사이에 형성된 결합틈(181)을 통하여 화살표 방향과 같이 몸체(130)의 하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피청소면의 오물이 몸체(130)의 하부에서 상기 결합틈(181)을 통하여 회전체(180), 웜휠(174), 웜(172,, 도 4참조)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회전체(180)의 회전을 원활히 할 수 있어 청소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유로형성부재를 Ⅵ-Ⅵ 및 Ⅶ-Ⅶ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로서, 터빈팬(190) 및 각종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흡입구(136, 도 4참조)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터빈팬(190)까지 안내하는 흡입유로(134)는 유로형성부재(150)에 형성된 유로격벽(16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유로격벽(161)은 흡입유로(134)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격벽(164)과, 흡입유로(134)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부격벽(166)과, 흡입유 로(134)의 바닥을 형성하는 몸체(130)의 바닥판(162)으로 둘러 쌓여있다. 또한, 상부격벽(164)에는 복수개의 관통공(158)이 형성되며, 관통공(158)이 형성된 상부격벽(164)의 상면에는 흡음재(160)가 설치된다.
터빈팬(190) 및 각종 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은 상기 흡입유로(134)를 따라, 흡입구(136)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상부격벽(164)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158)은 상기 흡입유로(134)상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서, 터빈팬(190)으로 발생된느 소음을 관통공(158)을 통하여 흡음재(160)에 흡수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음재(160)를 설치하였으나, 흡음재(160)가 생략되고 상기 관통공(158)만 형성되더라도, 터빈팬(190)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음이 실험으로 증명되었다. 이러한 실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158)은 상부격벽(164) 이외에 상기 측부격벽(166) 또는 몸체(130)의 바닥판(16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흡입브러시 조립체로 부터 발생되는 고주파 소음을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조건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9는 상기의 실험조건으로 부터 계측된 데이타에 따른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며, 우선 흡입브러시 조립체를 피청소면으로 부터 100mm 이격하여 진공청소기를 가동시켰으며, 흡입브러시 조립체로부터 1000mm 떨어진 거리에서 음압을 계측하였다. 그리고, 시험샘플로는 (가) 관통공(158)이 형성되지 않은 흡입브러시 조립체(이하 "C"로 표시함)와, (나) 상부격벽(164)에 복수개의 관통공(158)이 형성된 흡입브러시 조립체(이하 "R1"으로 표시함)와, (다) 상부격벽(164) 에 복수개의 관통공(158)을 형성하고 상부격벽(164)의 상면에 흡음재(160)를 설치한 흡입브러시 조립체이하 "R2"로 표시함)를 채택하였다. 또한, 관통공(158)의 지름은 2.3mm 이며 관통공(158)수는 30개를 적용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흡입브러시 조립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상기 주파수에 따른 음압(Sound Pressure)을 나타낸다. 각각의 단위는 헤르쯔(Hz)와, 데시벨(dB)이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분 흡입브러시 조립체의 피크(Peak) 소음 전체소음
2113 Hz(P1) 4216 Hz(P2) 6336 Hz(P3)
C 68.2 dB 67.2 dB 67.2 dB 73.0 dB
R1 57.9 dB 55.8 dB 63.2 dB 70.0 dB
R2 57.5 dB 55.6 dB 60.0 dB 69.6 dB
상기 표의 피크 소음이란, 주파수 분석상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일반적으로 7dB 이상)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달받았을 경우, 가장 민감하게 불쾌감을 느끼는 소음이다. 이러한 피크 소음이 도 6a의 P1, P2, P3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피크 소음은 상기 관통공(158)만 형성된 흡입브러시 조립체(R1)의 경우에 현저하게 저감되었으며, 상기 관통공(158)이 형성된 상부격벽(164)에 흡음재(160)를 부착하므로서 보다 더 피크 소음이 저감되었다.
또한, 상기 표의 전체소음은 도 9에 도시된 주파수의 전범위를 적분한 값으로서, 관통공(158)만 형성된 흡입브러시 조립체(R1)의 경우에 3dB 정도 저감됨을 나타냈으며, 흡음재(160)가 부착된 경우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흡입유로(134)상에 관통공(158)을 형성하므로서, 흡입브러시 조립체의 소음이 감소되고, 또한, 흡음재(160)를 적용시 더욱 소음저감효과는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결과와 같이 사용자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고주파의 소음, 특히, 고주파에서의 피크 소음은 더욱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커버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회전체수납실로 안내된 외부공기가 회전체와 회전체장착보스 사이에 형성된 결합틈을 통하여 몸체의 하부로 유출됨으로서 피청소면의 오물이 회전체 및 동력전달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이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을 원활히 할 수 있어 결국, 청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유로상에 관통공 및 그 상부에 흡음재를 적용함으로서 흡입브러시 조립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된다. 특히, 사용자에게 매우 민감한 고주파영역에서 피크소음은 더욱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피청소면과 접촉되는 청소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회전체와 상기 몸체사이에 형성된 결합틈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브러시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팬; 및,
    상기 터빈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브러시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터빈팬과 동축상에 형성된 웜과, 상기 웜에 대응되게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형성된 웜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브러시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상에 결합되는 제1커 버와, 상기 제1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브러시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40057754A 2004-04-13 2004-07-23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58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4974A JP2005296621A (ja) 2004-04-13 2004-11-18 吸入ブラシ組立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US11/013,024 US7334291B2 (en) 2004-04-13 2004-12-15 Suction brush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B2005100062969A CN1325009C (zh) 2004-04-13 2005-02-02 抽吸刷组件以及具有所述抽吸刷组件的真空清洁器
AU2005200611A AU2005200611B2 (en) 2004-04-13 2005-02-11 Suction brush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005104021/12A RU2286077C2 (ru) 2004-04-13 2005-02-15 Узел всасывающей щетки (варианты) и пылесос с такой щеткой
DE102005008472A DE102005008472A1 (de) 2004-04-13 2005-02-24 Saugbürstenanordnung und ein dieselbe aufweisender Staubsauger
IT000293A ITMI20050293A1 (it) 2004-04-13 2005-02-24 Complesso di spazzola di aspirazione e aspirapolvere avente il medesimo
GB0503943A GB2413062B (en) 2004-04-13 2005-02-25 Suction brush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NL1028419A NL1028419C2 (nl) 2004-04-13 2005-02-25 Zuigborstelsamenstelling en een stofzuiger daarvan voorzien.
FR0501932A FR2868681B1 (fr) 2004-04-13 2005-02-25 Ensemble de brosse d'aspiration et aspirateur pourvu de celui-c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183 2004-04-13
KR20040025183 2004-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322A KR20050100322A (ko) 2005-10-18
KR100582517B1 true KR100582517B1 (ko) 2006-05-23

Family

ID=3727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754A KR100582517B1 (ko) 2004-04-13 2004-07-23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2517B1 (ko)
IT (1) ITMI20050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066B1 (ko) * 2020-08-07 2022-06-22 주식회사 휴스톰 무선 듀얼스핀 물걸레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20050293A1 (it) 2005-10-14
KR20050100322A (ko)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291B2 (en) Suction brush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613102B1 (ko)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5991969A (en) Noise absorb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0129653Y1 (ko) 청소기의 흡입구체
KR100233513B1 (ko) 진공청소기의 공기유로구조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US20060185119A1 (en) Brush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KR20060122521A (ko) 진공청소기
US20060257269A1 (e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582517B1 (ko) 흡입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0010709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10063157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100710392B1 (ko) 진공청소기
CN217539120U (zh) 一种降噪效果好的表面清洁机
JPH0913579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0710270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챔버
KR100767679B1 (ko) 진공청소기
US20230045149A1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 sound attenuator
KR19980017825A (ko) 진공청소기의 모터 장착구조
KR100634790B1 (ko) 진공청소기
JPS6137391Y2 (ko)
KR100539745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유동발생장치
KR200229287Y1 (ko) 진공청소기
KR200167702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