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897B1 -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897B1
KR100581897B1 KR1020030086058A KR20030086058A KR100581897B1 KR 100581897 B1 KR100581897 B1 KR 100581897B1 KR 1020030086058 A KR1020030086058 A KR 1020030086058A KR 20030086058 A KR20030086058 A KR 20030086058A KR 100581897 B1 KR100581897 B1 KR 10058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image
data
detecting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194A (ko
Inventor
주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897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과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프레임간 화소비교에 의하여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1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1 움직임 검출부; 현재 프레임의 영상의 에지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에지를 검출하고, 상기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2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움직임 검출부; 및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논리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상처리장치에 의하면, 동영상을 판별함에 있어서, 프레임간 움직임검출 및 프레임간 에지의 움직임검출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정지영상에서 국부적인 잡음성 영상변화, 명암만이 변화한 경우 등 실제적인 움직임이 없는 영역은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별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동영상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잡음에 의한 화소 데이터의 변화나, 정지영상에서 명암만이 변경되는 경우 등은 동영상으로 검출하지 않으므로써, 동영상 영역을 기준으로 수행되는 영상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 panel}
도 1은 통상적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통상적인 구동 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Y 전극 라인들에 대한 통상적인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 구동 방법을 보여준다.
도 4는 동영상 의사윤곽 발생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동영상 검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움직임 검출부(61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에지 검출부(700) 및 제2에지 검출부(702)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PDP)의 영상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영상 의사윤곽을 저감하는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앞쪽 및 뒤쪽 글라스 기판들(100, 106)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 m), 유전층(102, 110), Y 전극 라인들(Y1, ... , Yn), X 전극 라인들(X1, ... , Xn), 형광층(112), 격벽(114) 및 보호층으로서 예컨대 일산화마그네슘 (MgO)층(104)이 마련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은 뒤쪽 글라스 기판(106)의 앞쪽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아래쪽 유전층(110)은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의 앞쪽에 도포된다. 아래쪽 유전층(110)의 앞쪽에는 격벽(114)들이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격벽(114)들은 각 디스플레이 셀의 방전 영역을 구획하고, 각 디스플레이 셀 사이의 광학적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형광층(112)은, 격벽(114)들 사이에서 형성된다.
X 전극 라인들(X1, ... , Xn)과 Y 전극 라인들(Y1, ... , Yn )은 어드레스 전 극 라인들(A1, A2, ... , Am)과 직교되도록 앞쪽 글라스 기판(100)의 뒤쪽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각 교차점은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셀을 설정한다. 각 X 전극 라인(X1, ... , Xn)과 각 Y 전극 라인(Y1, ... , Yn)은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의 투명 전극 라인(Xna, Yna)과 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금속 전극 라인(Xnb, Ynb)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앞쪽 유전층(102)은 X 전극 라인들(X1, ... , Xn)과 Y 전극 라인들(Y1, ... , Yn)의 뒤쪽에 전면(全面) 도포되어 형성된다. 강한 전계로부터 패널(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04) 예를 들어, 일산화마그네슘(MgO)층은 앞쪽 유전층(102)의 뒤쪽에 전면 도포되어 형성된다. 방전 공간(108)에는 플라즈마 형성용 가스가 밀봉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구동 방식은, 초기화, 어드레스 및 디스플레이 유지 단계가 단위 서브-필드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되게 하는 방식이다. 초기화 단계에서는 구동될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가 균일하게 된다. 어드레스 단계에서는, 선택될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와 선택되지 않을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가 설정된다. 디스플레이 유지 단계에서는, 선택될 디스플레이 셀들에서 디스플레이 방전이 수행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방전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들의 플라즈마 형성용 가스로부터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이 플라즈마로부터의 자외선 방사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셀들의 형광층(112)이 여기되어 빛이 발생된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반적인 구동 장치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통상적인 구동 장치는 영상 처리부(200), 제어부(202), 어드레스 구동부(206), X 구동부(208) 및 Y 구동부(204)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200)는 외부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영상 신호 예를 들어, 각각 8 비트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영상 데이터, 클럭 신호,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제어부(202)는 영상 처리부(200)로부터의 내부 영상 신호에 따라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을 발생시킨다. 어드레스 구동부(206)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어드레스 신호(SA)를 처리하여 표시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표시 데이터 신호를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X 구동부(208)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X 구동 제어 신호(SX)를 처리하여 X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Y 구동부(204)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Y 구동 제어 신호(SY)를 처리하여 Y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구동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 구동방법이 미국특허 제554161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Y 전극 라인들에 대한 통상적인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Address-Display Separation) 구동 방법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위 프레임은 시분할 계조 표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정 개수 예컨대 8 개의 서브필드들(SF1, ..., SF8)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필드(SF1, ..., SF8)는 리셋 구간(미도시)과, 어드레스 구간(A1, ..., A8)및, 유지방전 구간(S1, ..., S8)로 분할된다.
각 어드레스 구간(A1, ..., A8)에서는,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도 1의 AR1, AG1, ..., AGm, ABm)에 표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각 Y 전극 라인(Y1, ..., Yn)에 상응하는 주사 펄스가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각 유지방전 구간(S1, ..., S8)에서는, Y 전극 라인들(Y1, ..., Yn)과 X 전극 라인들(X1, ..., Xn)에 디스플레이 방전용 펄스가 교호하게 인가되어, 어드레스 구간(A1, ..., A8)에서 벽전하들이 형성된 방전셀들에서 표시 방전을 일으킨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는 단위 프레임에서 차지하는 유지방전 구간(S1, ..., S8)내의 유지방전 펄스 개수에 비례한다. 1 화상을 형성하는 하나의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와 256 계조로 표현되는 경우에, 각 서브필드에는 차례대로 1, 2, 4, 8, 16, 32, 64, 128의 비율로 서로 다른 유지펄스의 수가 할당될 수 있다. 만일 133 계조의 휘도를 얻기 위해서는, 서브필드1 기간, 서브필드3 기간 및 서브필드8 기간 동안 셀들을 어드레싱하여 유지방전하면 된다.
각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유지방전 수는, APC(Automatic power control) 단계에 따른 서브필드들의 가중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유지방전 수는. 감마특성이나 패널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서브필드4에 할당된 계조도를 8에서 6으로 낮추고, 서브필드6에 할당된 계조도를 32에서 34로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프레임을 형성하 는 서브필드의 수도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PDP는, 전자빔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밝기를 조절하는 CRT(Cathode Ray Tube)와는 달리,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지방전 구간에서의 펄스수 조절 방식을 통해 밝기를 표현한다.
도 4는 동영상 의사윤곽 발생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의사윤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필드의 조합에 의하여 영상을 표시할 때, 인간의 시각 특성에 의해 발생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계조 127과 128이 나란히 있는 영상이 오른쪽으로 속도 1로 움직일 경우, 도 3의 서브필드 배열에 의해 도 4와 같이 표시되며, 인각 시각은 영상 움직임을 따라가는 특성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계조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계조 127과 128 사이에 255와 같은 의사윤곽이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종래의 동영상 검출부의 블록도이다. 메모리 제어부(500)는 입력 영상(IN)을 프레임 메모리(502)내의 N-1프레임 메모리(502A)와 N프레임 메모리(502B)에 쓰기 및 읽기하여, N-1프레임 영상(504)과 N프레임 영상(506)을 출력한다.
프레임간 화소비교부(508) N-1프레임 영상(504)과 N프레임 영상(506)에서 동일 위치의 화소간에 계조의 차이를 검출하여 동영상을 판별한다.
그러나, 단순히 프레임간 화소비교에 의해서만 동영상을 판별하는 종래의 방법은, 잡음에 의한 화소 데이터의 변화도 동영상으로 오검출할 수 있고, 정지영상에서 명암만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동영상으로 오검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동영상으로 검출된 영역에는, 의사윤곽을 저감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된 다. 또한 동영상으로 검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잔상방지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따라서 오검출된 동영상 영역을 기준으로 의사윤곽 저감 알고리즘 및 잔상방지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면, 오히려 영상이 심하게 왜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질적인 움직임이 있는 영역만을 동영상 영역으로 검출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처리장치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과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프레임간 화소비교에 의하여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1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1 움직임 검출부; 현재 프레임의 영상의 에지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에지를 검출하고, 상기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2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움직임 검출부; 및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논리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움직임 검출부는,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 제1에지를 검출하는 제1에지 검출부; 현재 프레임 영상에서 제2에지를 검출하는 제2에지 검출부; 및 상기 제1에지와 상기 제2에지를 비교하여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2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에지 비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비교부는, 제1에지와 제2에지의 변동을 라인별로 검출함으로써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2데이터를 라인플래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지 검출부 및 상기 제2에지 검출부는 각각, 영상내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필터; 및 상기 검출된 에지를 임계값을 기준으로 양자화하는 양자화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프레임간의 화소의 계조차이에 의해 움직임이 검출되고, 에지의 움직임이 검출된 영역을 동영상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제1움직임 검출부(608), 제2움직임 검출부(610) 및 논리곱부(616)을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메모리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IN)을 프레임 메모리(602)내의 N-1프레임 메모리(602A)와 N프레임 메모리(602B)에 쓰기 및 읽기하여, 현재 프레임 영상(604)과 이전 프레임 영상(606)을 출력한다.
제1 움직임 검출부(608)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604)과 이전 프레임의 영상(606)의 프레임간 화소비교에 의하여 움직임 영역을 검출한다. 다시말해, 동일 위치의 화소의 계조차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를 움직임 화소로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결과를 제1데이터(612)로서 출력한다.
제2 움직임 검출부(610)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604)의 에지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606)의 에지를 검출하고,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결과를 제2데이터(614)로서 출력한다. 에지는 영상내에서 물체의 윤곽선에 해당하는 것으로 계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계이다. 따라서, 에지가 움직인다는 것은 그 에지를 윤곽으로 하는 물체가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논리곱부(616)는, 제1데이터(612)와 제2데이터(614)를 논리곱하여 출력한다. 논리곱부(616)의 출력 결과는, 본 발명의 영상처리장치에 의한 동영상 검출 영역이 된다. 논리곱부(616)의 출력은, 프레임간의 동일 위치 화소의 계조차 변화 영역에서, 에지의 움직임이 없는 영역을 제외한 결과가 된다. 따라서, 정지된 영상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에 명암만이 변동되면, 에지의 움직임은 검출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는 동영상 영역에서 제외된다.
동영상을 판별하는 종래의 방법은, 잡음에 의한 화소 데이터의 변화도 동영상으로 오검출할 수 있고, 정지영상에서 명암만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동영상으로 오검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동영상으로 검출된 영역에는, 의사윤곽을 저감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된다. 또한 동영상으로 검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잔상방지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따라서 오검출된 동영상 영역을 기준으로 의사윤곽 저감 알고리즘 및 잔상방지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면, 오히려 영상이 심하게 왜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잡음에 의한 화소 데이터의 변화나, 정지영상에서 명암만이 변경되는 경우 등은 동영상으로 검출하지 않으므로써, 전술한 종래 동영상 검출법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움직임 검출부(61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제1에지 검출부(700), 제2에지 검출부(702), 및 에지 비교부(708)를 구비한다.
제1에지 검출부(700)는, 이전 프레임 영상(IN1)에서 제1에지(704)를 검출한다. 제2에지 검출부(702)는, 현재 프레임 영상(IN2)에서 제2에지(706)를 검출한다.
에지 비교부(708)는 제1에지(704)와 제2에지(706)를 비교하여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여기서 에지 비교부(708)는 제1에지(704)와 제2에지(706)의 위치를 비교하여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에지 비교부(708)는, 에지의 변동이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된 경우에, 에지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에지 비교부(708)는 라인별로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 라인플래그(OUT)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라인플래그(OUT) 출력은 도 6의 제2데이터(614)가 된다.
이 때 결국, 논리곱(616)의 출력은, 에지의 움직임이 검출된 라인에서, 프레임간 계조차가 소정값 이상 발생한 화소만을 동영상 영역으로 판단한다.
도 8은 도 7의 제1에지 검출부(700) 및 제2에지 검출부(702)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에지필터(800)와 양자화부(802)를 구비한다.
에지필터(800)는 영상내의 에지를 검출한다. 에지는 영상내에서 물체의 윤곽선에 해당하는 것으로 계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계이다.
에지필터(800)는 가장 간단하게는 빼기 연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차분연산에 의한 에지에는 수평에지와 수직에지가 있다. 수직 에지는 예컨대 영상을 왼쪽으로 소정 화소 이동한 영상에서 원래영상을 빼기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수평 에지는 영상을 위쪽으로 소정 화소 이동하고 초기 영상에서 빼기함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빼기 연산의 결과는 계조차이로써 출력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에지필터(800)는 검출될 수평에지의 사양에 따라 적당한 개수의 라인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에지필터(800)로는 전술한 빼기 연산에 의한 것 이외에도, 널리 알려진 에지필터 그래디언트 연산자를 이용하는 소벨필터, 프레위트필터, 로버츠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양자화부(802)는 에지필터(800)에서 검출된 에지를 임계값을 기준으로 양자화한다. 즉 양자화부(802)는 계조차이로써 출력된 에지에 임계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프레임 영상의 평균신호레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는, 컴퓨터상에서 스키매틱(schematic) 또는 초고속 집적회로 하드웨어 기술언어(VHDL) 등에 의해 작성되고, 컴퓨터에 연결되어 프로그램 가능한 집적회로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 의해 논리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경우에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영상처리부(2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처리장치에 의하면 동영상을 판별함에 있어서, 프레임간 움직임검출 및 프레임간 에지의 움직임검출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정지영상에서 국부적인 잡음성 영상변화, 명암만이 변화한 경우 등 실제적인 움직임이 없는 영역은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별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동영상을 판별할 수 있다.
동영상을 판별하는 종래의 방법은, 잡음에 의한 화소 데이터의 변화도 동영상으로 오검출할 수 있고, 정지영상에서 명암만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동영상으로 오검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동영상으로 검출된 영역에는, 의사윤곽을 저감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된다. 또한 동영상으로 검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잔상방지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따라서 오검출된 동영상 영역을 기준으로 의사윤곽 저감 알고리즘 및 잔상방지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면, 오히려 영상이 심하게 왜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잡음에 의한 화소 데이터의 변화나, 정지영상에서 명암만이 변경되는 경우 등은 동영상으로 검출하지 않으므로써, 동영상 영역을 기준으로 수행되는 영상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현재 프레임의 영상과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프레임간 화소비교에 의하여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1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1 움직임 검출부;
    현재 프레임의 영상의 에지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에지를 검출하고, 상기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2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움직임 검출부; 및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논리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움직임 검출부는,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 제1에지를 검출하는 제1에지 검출부;
    현재 프레임 영상에서 제2에지를 검출하는 제2에지 검출부; 및
    상기 제1에지와 상기 제2에지를 비교하여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2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에지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비교부는
    제1에지와 제2에지의 변동을 라인별로 검출함으로써 에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2데이터를 라인플래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지 검출부 및 상기 제2에지 검출부는 각각,
    영상내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필터; 및
    상기 검출된 에지를 임계값을 기준으로 양자화하는 양자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20030086058A 2003-11-29 2003-11-29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KR100581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058A KR100581897B1 (ko) 2003-11-29 2003-11-29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058A KR100581897B1 (ko) 2003-11-29 2003-11-29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194A KR20050052194A (ko) 2005-06-02
KR100581897B1 true KR100581897B1 (ko) 2006-05-23

Family

ID=3724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058A KR100581897B1 (ko) 2003-11-29 2003-11-29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721B1 (ko) 2005-10-21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방법
KR100747286B1 (ko) 2005-12-20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상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984B1 (ko) * 1995-08-31 1999-07-15 전주범 물체의 윤곽선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추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984B1 (ko) * 1995-08-31 1999-07-15 전주범 물체의 윤곽선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추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194A (ko)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21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yscale of plasma display panel
EP1406236A2 (en)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03311B1 (ko)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KR100603297B1 (ko) 패널 구동 방법, 패널 구동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89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KR10057312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KR20050052193A (ko) 패널구동장치
KR100581896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오차확산장치
KR2006008506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6371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잔상 발생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0522706B1 (ko) 디더링 노이즈가 방지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5981B1 (ko)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KR100544141B1 (ko)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KR20010058723A (ko)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911005B1 (ko) 외부 압력에 따라 휘도가 조정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24264B1 (ko) 초기 상태의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구동 방법
KR100581883B1 (ko)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KR2005012186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62608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62608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708728B1 (ko) 정확한 어드레싱 방전을 위한 방전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50112571A (ko) 잔상 방지 방법, 그 기록매체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04B1 (ko) 패널구동방법
KR100573125B1 (ko) 안정된 표시-유지 방전을 위한 방전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070094093A (ko) 유지 펄스가 전기적인 플로팅의 영역을 포함하는 방전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