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409B1 -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 Google Patents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409B1
KR100581409B1 KR1020030098974A KR20030098974A KR100581409B1 KR 100581409 B1 KR100581409 B1 KR 100581409B1 KR 1020030098974 A KR1020030098974 A KR 1020030098974A KR 20030098974 A KR20030098974 A KR 20030098974A KR 100581409 B1 KR100581409 B1 KR 10058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lock
groove block
clip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651A (ko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김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김용식 filed Critical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to KR102003009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4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12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a general shape differing from that of a parallelepiped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홈 블록을 형성함에 있어서, 홈 블록의 중앙부 전면으로 반타원형의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내면 양측으로 미세 장홈을 형성하여 그 사이로 클립을 삽입함으로써 홈 블록 내로 삽입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견고하게 지지되며, 블록 조적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홈 블록(10)과 클립(20)으로 구성되며, 폭과 높이는 동일하고 두께가 그 보다 얇은 직육면체 형태의 홈 블록(10)의 중앙부 전면으로는 반타원형 형태의 홈(11)이 형성되어 그 내부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내재되게 되며, 상기 홈(11)의 내부 양측면 수직방향으로는 미세 장홈(12)이 형성되어 클립(20)이 끼움됨으로써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홈(11)의 원형부(11a) 측으로 밀착되어지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홈 블록의 중앙부 전면으로는 반타원형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내면 양측단으로 미세 장홈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클립을 삽입함으로써, 벽체 내로 매립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홈 블록 내에 용이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 블록의 폭과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수평 및 수직 배관 조적 시 시공성이 좋고, 블록과 벽돌 작업에 공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블록의 일측 전면으로 반타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타측 중앙으로는 사각 통공을 형성한 또 다른 형태의 블록은, 홈이 홈 블록의 편심에 위치하여 배관 간격 조정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홈 블록 내로 매립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홈의 원형부와 유격이 생기지 않고 밀착됨으로써 블록 조적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홈 블록, 설비 배관, 콘크리트 블록, 벽돌

Description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 groove block for electric wire and pipe laying }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직 쌓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 쌓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 2실시 예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 2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직 쌓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직 쌓기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평 쌓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홈 블록 11 : 홈
11a : 원형부 11b : 개구부
12 : 미세 장홈 13 : 통공
20 : 클립 21a, 21b : 굴곡부
30 : 전선 및 설비 배관 40 : 블록
본 발명은 홈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홈 블록을 형성함에 있어서, 홈 블록의 중앙부 전면으로는 반타원형의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내면 양측 수직방향으로 미세 장홈을 형성하여 그 사이로 클립을 삽입함으로써 홈 블록 내로 삽입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견고하게 지지되며, 블록 조적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시설이나 공장, 사무실 등을 신축할 경우에는 실내로 전기선 등을 인입하거나, 각종 설비 배관을 벽체에 매립하여 외관상으로 전기선이나 각종 설비 배관이 돌출되지 않도록 시공되는 바, 이를 위해서는 블록의 일측면에 반원형 홈이 가공된 홈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을 조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홈 블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블록을 쌓기 전에 전선 보호관 이나 설비 배관을 수직으로 세우고 철사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블록을 쌓아 나가야 하는데 전선 보호관 및 설비 배관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해 정확하게 블록을 쌓아 올리기가 난해하며, 홈 블록 내에서 전선 및 설비 배관에 유격이 발생되어 미장 모르타르로 마감 시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홈 블록의 폭과 높이가 서로 상이하고, 홈이 홈 블록의 중앙에 위치하여 수평 및 수직배관 조적 시에는 별도의 조정 작업이 필요하였으며, 전선 및 설비 배관을 홈 내부에 고정 시에는 별도의 시멘트 못 등에 의한 결속 작업이 필요한 또 다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블록 조적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며, 이로 인해 공사 기간과 공사 비용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홈 블록의 중앙부 전면으로는 반타원형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내면 양측단으로 미세 장홈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클립을 삽입함으로써, 벽체 내로 매립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홈 블록 내에 용이하게 고정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홈 블록의 폭과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수평 및 수직 배관 조적 시 시공성이 좋고, 블록과 벽돌 작업에 공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블록의 일측 전면으로 반타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타측 중앙으로는 사각 통공을 형성한 또 다른 형태의 블록은, 홈이 홈 블록의 편심에 위치하여 배관 간격 조정 작업이 용이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홈 블록 내로 매립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홈의 원형부와 유격이 생기지 않고 밀착됨으로써 블록 조적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 시키고,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음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홈 블록을 형성함에 있어서, 홈 블록의 중앙부 전면으로 반타원형의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내면 양측으로 미세 장홈을 형성하여 그 사이로 클립을 삽입함으로써 홈 블록 내로 삽입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견고하게 지지되며, 블록 조적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홈 블록(10)과 클립(20)으로 구성되며, 폭과 높이는 동일하고 두께가 그 보다 얇은 직육면체 형태의 홈 블록(10)의 중앙부 전면으로는 반타원형 형태의 홈(11)이 형성되어 그 내부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내재되게 되며, 상기 홈(11)의 내부 양측면 수직방향으로는 미세 장홈(12)이 형성되어 클립(20)이 끼움됨으로써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홈(11)의 원형부(11a) 측으로 밀착 되어지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홈 블록(10)은 콘크리트로 제작 된 블록으로서 폭과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두께는 폭과 높이보다 얇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되, 중앙부 전면으로는 반타원 형태의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1)의 내부 양측으로는 미세 장홈(12)이 수직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클립(20)이 미세 장홈(12)에 수직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미세 장홈(12)의 위치는 홈(11)의 개구부(11b) 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홈(11)의 원형부(11a) 측으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내재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클립(20)은 탄성을 가진 금속 혹은 비금속의 재질로 형성되며, 일정한 굵기의 철사의 형태로 형성되되, 이를 사행(蛇行)의 형태로 구부려서 제작하며, 일측 굴곡부(21a)로부터 타측 굴곡부(21b)까지의 길이는 상기 홈(11)에 가공된 미세 장홈(12)의 심부 사이의 길이와 부합되도록 제작한다.
한편, 상기 클립(20)의 길이는 홈(11)의 원형부(11a)에 내재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30)의 중량 등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미세 장홈(12) 사이에 끼움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작되는 클립(20)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되, 부식의 우려가 없고 높은 지지력이 요구될 경우에는 철금속을 이용하여 클립(20)을 제작하고, 부식의 우려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력이 필요할 경우에는 비철금속 재질의 클립(20)을 이용하며, 부식의 우려가 높고 상대적으로 약한 지지력이 필 요한 경우에는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클립(20) 등으로 선택적으로 제작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과정을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이는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수직 2열로 형성된 것으로, 우선, 통상의 블록(40)을 조적하여 벽체를 구성하되, 벽체 내부로 매입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위치한 곳에 홈 블록(10)을 끼움하여 홈 블록(10)의 원형부(11a)측으로 밀착되게 한 다음, 홈 블록(10)의 미세 장홈(12)에 클립(20)을 끼워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지지하도록 한 후, 홈 블록(10)의 양측으로 블록(40)을 수평으로 조적하여 제 1열을 완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홈 블록(10)의 상단으로 또 다른 홈 블록(10)을 조적하되, 제 1열의 홈 블록(10)과 상호 연통되도록 조적한 다음, 상기와 마찬가지로 홈(11)에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클립(20)을 통해 고정시킨 후, 홈 블록(10)의 양측으로 블록(40)을 수평으로 조적하여 제 2열을 완성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제 3열, 제 4열...을 조적한 다음, 홈(11)과 블록(40) 외면에 미장 모르타르층을 형성하여 벽체를 완성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 쌓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수평으로 1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우선, 통상의 블록(40)을 순차적으로 조적하여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설치될 위치까지 조적한 다음, 블록(40)의 상측으로 홈 블록(10)을 조적하되, 홈(11)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홈 블록(10)을 눕혀서 조적한 다음, 홈(11) 내부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삽입한 후, 홈(11)의 미세 장홈(12)에 클립(20)을 끼워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고정시킨 다음, 홈(11)과 블록(40)의 외면에 미장 모르타르층을 형성하여 벽체를 완성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전체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시 예와 대동소이한 형태로 구성되는 바, 폭과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두께는 폭과 높이보다 얇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되, 특히 일측 전면으로는 반타원 형태의 홈(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중앙으로는 통공(13)이 형성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홈(11)의 내부 양측으로는 미세 장홈(12)이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클립(20)이 미세 장홈(12)에 수직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설치 과정을 도 7과 도 8을 통해 살펴보면, 이는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수직으로 2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우선, 통상의 블록(40)을 조적하여 벽체를 구성하되, 벽체의 내부로 매입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위치한 곳에 홈 블록(10)을 끼움하여 홈 블록(10)의 원형부(11a)측으로 밀착되게 한 다음, 홈 블록(10)의 미세 장홈(12)에 클립(20)을 끼워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지지하도록 한 후, 홈 블록(10)의 양측으로 블록(40)을 수평으 로 조적하여 제 1열을 완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홈 블록(10)의 상단으로 또 다른 홈 블록(10)을 조적하되, 제 1열의 홈 블록(10)과 엇갈리도록 상하로 180°회전시켜 조적함으로써 상 ·하단 홈 블록(10)의 홈(11)은 상호 연통되나 흠 블록(10)의 조적 상태는 통상 블록(40)의 조적 형태로 조적되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홈(11)에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클립(20)을 통해 고정시킨 후, 홈 블록(10)의 양측으로 블록(40)을 수평으로 조적하여 제 2열을 완성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제 3열, 제 4열...을 조적한 다음, 홈(11)과 블록(40) 외면에 미장 모르타르층을 형성하여 벽체를 완성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수평으로 1열 형성되도록 나타낸 것으로, 우선, 통상의 블록(40)을 순차적으로 조적하여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설치될 위치까지 조적한 다음, 블록(40)의 상측으로 홈 블록(10)을 조적하되, 홈(11)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홈 블록(10)을 눕혀서 조적한 다음, 홈(11) 내부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삽입한 후, 홈(11)의 미세 장홈(12)에 클립(20)을 끼워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고정시킨 다음, 홈(11)과 블록(40)의 외면에 미장 모르타르층을 형성하여 벽체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홈 블록의 중앙부 전면으로는 반타원형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내면 양측단으로 미세 장홈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클립을 삽입함으로써, 벽체 내로 매립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홈 블록 내에 용이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 블록의 폭과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수평 및 수직 배관 조적 시 시공성이 좋고, 블록과 벽돌 작업에 공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블록의 일측 전면으로 반타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타측 중앙으로는 사각 통공을 형성한 또 다른 형태의 블록은, 홈이 홈 블록의 편심에 위치하여 배관 간격 조정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홈 블록 내로 매립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이 홈의 원형부와 유격이 생기지 않고 밀착됨으로써 블록 조적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홈 블록에 있어서,
    폭과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두께는 폭과 높이보다 얇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되, 전면 중앙부에 반타원 형태의 홈(11)이 형성되며, 상기 홈(11)의 내부 양측 수직방향으로 미세 장홈(12)이 형성된 홈 블록(10)과,
    철사의 형태로 형성되되, 이를 사행(蛇行)의 형태로 구부려서 제작한 클립(20)으로 구성되어,
    상기 홈(11)의 내부로 전선 및 설비 배관(30)을 삽입한 후, 클립(20)을 미세 장홈(12)에 끼움으로써 전선 및 설비 배관(30)이 홈(11)의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여 블록(40) 조적 작업의 능률이 향상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홈 블록(10)의 전면 일측으로는 반타원 형태의 홈(11)이 형성되고, 타측 중앙으로는 통공(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KR1020030098974A 2003-12-29 2003-12-29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KR100581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974A KR100581409B1 (ko) 2003-12-29 2003-12-29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974A KR100581409B1 (ko) 2003-12-29 2003-12-29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486U Division KR200345088Y1 (ko) 2003-12-29 2003-12-29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651A KR20040012651A (ko) 2004-02-11
KR100581409B1 true KR100581409B1 (ko) 2006-05-23

Family

ID=3732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974A KR100581409B1 (ko) 2003-12-29 2003-12-29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771A (zh) * 2010-12-15 2011-05-25 成都市第四建筑工程公司 建筑废渣免烧结预埋管线槽砖及其使用方法
CN110924692A (zh) * 2019-12-02 2020-03-27 中建三局第三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砌体管线直埋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88B1 (ko) * 2006-10-27 2007-12-12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관용 벽돌과 매립용박스 트렌치블럭을 이용하여 배관 설치구 및 홈을 더해 조적작업과 배관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시공방법
KR200451961Y1 (ko) * 2008-11-04 2011-01-25 이승수 웨이브퍼머장치
ES2324811B1 (es) * 2009-02-03 2010-03-12 Rafael Garcia Quesada Ladrillo ceramico extrusionado preparado para ubicacion de instalaciones sin apertura de rozas.
KR101323638B1 (ko) * 2012-12-05 2013-11-07 원지영 조적식 외부벽돌벽
KR101891461B1 (ko) * 2018-01-17 2018-08-23 문재권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KR102278060B1 (ko) * 2019-11-04 2021-07-16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771A (zh) * 2010-12-15 2011-05-25 成都市第四建筑工程公司 建筑废渣免烧结预埋管线槽砖及其使用方法
CN110924692A (zh) * 2019-12-02 2020-03-27 中建三局第三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砌体管线直埋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651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033B2 (en) Wall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US4314431A (en) Mortar-less interlocking building block system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20060008324A1 (en) Wire mesh screed
US8448404B2 (en) Bond beam rebar positioner
NZ588004A (en) Prefabricated self-supporting construction panel with insulation and ribs on one side for enabling concrete to be formed on panel
KR100581409B1 (ko)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KR200345088Y1 (ko)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KR100623581B1 (ko) 조적용 벽돌과 브라켓을 이용한 내진설계용 조적구조
CN107002405B (zh) 用于建造墙壁的建筑组件
KR20020024843A (ko) 춤이 깊은 건축용 합성 데크플레이트
JPH0739700B2 (ja) 断熱壁式構造
US11591791B2 (en) Masonry block system
JP6506436B1 (ja) 設備機器の設置構造
KR100511594B1 (ko) 건축물의 티형 결속 블록 결합 구조
US2072386A (en) Wall construction
RU2242570C1 (ru) Стен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RU2651858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KR101622343B1 (ko) 공동주택용 인방
KR100562516B1 (ko)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KR200426159Y1 (ko) 슬래브 매입형 배관 연결장치
KR200282443Y1 (ko) 벽체 연결용 연결철물
US11512482B2 (en) Device for connecting and separating masonry units
KR100703545B1 (ko) 콘크리트 구조체와 조적벽체 연결을 위한 익스펜션 조인트
KR200421503Y1 (ko) 조적용 벽돌과 브라켓을 이용한 내진설계용 조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