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461B1 -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461B1
KR101891461B1 KR1020180005878A KR20180005878A KR101891461B1 KR 101891461 B1 KR101891461 B1 KR 101891461B1 KR 1020180005878 A KR1020180005878 A KR 1020180005878A KR 20180005878 A KR20180005878 A KR 20180005878A KR 101891461 B1 KR101891461 B1 KR 10189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acility
cut
front por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권
Original Assignee
문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권 filed Critical 문재권
Priority to KR102018000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전선관 매입공간 양측에 위치하는 조적벽돌 사이에 판상의 고정부를 안착시키고, 판상의 고정부에 형성된 복수의 홀에 모르타르를 침투시킴으로써 조적벽돌과 판상의 고정부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넓은 판 형상의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가 있어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의 몸체부는 전방 중앙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돌 조적조에 미리 설치해둔 상태에서 전방 중앙에 절단 형성된 공간을 통해 복수의 설비전선관을 쉽게 설치 및 매입할 수가 있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CRACK PREVENTION DEVICE OF BRICK WALL}
본 발명은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 조적조에 설비전선관이 매입된 후 벽돌 조적조의 설비전선관 매입 부분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벽돌 조적조에 설치되는 설비전선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벽돌 조적조(1)에 설비전선관(2)을 매입하기 위해서는 벽돌 조적조(1)를 할석하거나, 설비전선관(2)이 매입될 부분을 남겨놓고 벽돌 조적조(1)를 쌓아 매입공간(8)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매입공간(8)에 설비전선관(2)과 매입박스(4)를 설치한 후 설비전선관(2) 매입공간(8)을 모르타르로 채운다. 설비전선관(2) 매입공간(8)을 모르타르로 채운 후 마무리 모르타르 미장 후 벽돌 조적조(1)를 도색하여 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벽돌 조적조(1)가 설치된 후 일정기간 경과시 설비전선관(2) 매입부분(8)에서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돌 조적조에 설비전선관 매입시 설치되는 매쉬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벽돌 조적조(1)의 표면에 매쉬 와이어(3)가 설치된다. 벽돌 조적조(1)의 표면에 설치되는 매쉬 와이어(3)는 설비전선관(2) 매입공간(8)을 포함하는 소정의 면적에 설치된다. 설비전선관(2) 매입공간(8)을 포함하는 소정면적에 매쉬 와이어(3)가 설치된 후 매쉬 와이어(3)를 덮도록 미장 모르타르(5)가 미장된다. 벽돌 조적조(1)에 미장 모르타르(5)가 미장된 후 미장 모르타르(5)를 도색(6)하여 공사를 완료한다.
도 2의 방법은 매입공간(8)을 경계로 양측에 있는 벽돌 조적조(1)를 서로 단단히 고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설비전선관(2) 매입부분(8)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일정기간 동안은 방지할 수 있으나 오랜기간이 경과하면 여전히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또 다른 방법을 살펴본다.
도 3은 종래의 벽돌 조적조에 매입되는 설비전선관과 매입부분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설비전선관(2) 매입공간(8)에 설비전선관(2)을 설치한 후 벽돌 조적조(1)를 쌓아 올라가는 일정 간격마다 지름 2mm의 와이어(9)가 설비전선관(2)을 감싸도록 U자형으로 휘어서 벽돌 조적조(1) 사이에 설치하고 와이어(9)가 있는 부분에 미장 모르타르(5)를 바른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벽돌 조적조(1)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와이어(9)를 설치한다.
설비전선관(2)과 와이어(9)를 전부 설치한 다음 매입공간(8)을 모르타르로 채운다. 설비전선관(2) 매입공간(8)을 모르타르로 채운 후 마무리 모르타르 미장 후 벽돌 조적조(1)를 도색하여 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입공간(8)을 지름 2mm의 와이어(9)로 보강하는 경우 매입공간(8)을 경계로 양측에 있는 벽돌 조적조(1)를 어느 정도는 고정할 수가 있으나, 이 방법 역시 오랜기간이 지나면 와이어(9)가 벽돌 조적조(1) 사이에서 완전히 일체화되지 못하고 유격(裕隔)이 발생하게 되어 매입공간(8)에서 발생하는 벽돌 조적조(1)의 크랙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등록실용 제20-0204072호(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용 매쉬 와이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비전선관 매입공간 양측에 위치하는 조적벽돌 사이에 판상의 고정부를 안착시키고, 판상의 고정부에 형성된 복수의 홀에 모르타르를 침투시킴으로써 조적벽돌과 판상의 고정부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넓은 판 형상의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가 있어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의 몸체부는 전방 중앙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돌 조적조에 미리 설치해둔 상태에서 전방 중앙에 절단 형성된 공간을 통해 복수의 설비전선관을 쉽게 설치 및 매입할 수가 있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돌 조적조에 설비전선관이 매입된 후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로서,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의 양측에서 상부 조적벽돌과 하부 조적벽돌 사이에 안착되며 조적벽돌 사이에 시공되는 모르타르에 의해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 위치하여, 상하로 길게 뻗어 나가는 복수의 설비전선관을 내측에 수용하며, 전방 중앙의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전방 중앙의 절단 형성된 부분 양측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몸체부의 전방 양측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판상의 고정부는 2~2.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모르타르가 침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리 형상의 몸체부는 6~8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리 형상의 몸체부는 중앙의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 형성되고 절단된 공간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부; 상기 전방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설비전선관의 뒤쪽에 형성되는 후방부; 및 상기 좌, 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핀이 끼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핀은 연결부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각 결합핀은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분할편은 중앙부가 바깥으로 펼쳐져 있고 선단부와 후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측면에서 힘을 가하면 펼쳐져 있던 중앙부가 안쪽으로 오므라들고, 힘을 해제하면 오므라들었던 중앙부가 다시 바깥으로 펼쳐지며, 상기 핀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결합핀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핀결합부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커지다가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다시 서서히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부는 상기 판상의 고정부와 연결되는 바깥쪽에 형성되며 제1 너비를 갖는 제1 전방부와 제1 전방부로부터 상기 절단된 공간 측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너비보다 작은 제2 너비를 갖는 제2 전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결합부는 상기 제2 전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전방부에서 제2 전방부로 너비가 변경되는 부분은 제1 전방부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너비에서 제2 너비를 뺀 만큼에 해당하는 제3 너비를 가지며, 연결부의 양 단부는 상기 제1 전방부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끼움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조적벽돌 사이에 안착되는 판상의 고정부와 판상의 고정부에 형성된 복수의 홀에 미장 모르타르를 바름으로써, 벽돌 조적조 사이에서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가 있어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의 몸체부는 전방 중앙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돌 조적조의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 일정 간격마다 미리 설치해둔 상태에서 전방 중앙에 절단 형성된 공간을 통해 복수의 설비전선관을 쉽게 설치 및 매입할 수가 있어 크랙 방지장치의 설치와 설비전선관의 매입이 간편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또한, 전방 중앙에 절단된 공간을 통해 설비전선관을 설치 후 몸체부 전방 중앙의 절단 형성된 부분 양측에 연결부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설비전선관이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으며, 설비전선관의 설치를 쉽게 마무리 할 수가 있다.
나아가, 전자파 차단부재를 이용하여 설비전선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는 친환경적인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돌 조적조에 설치되는 설비전선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벽돌 조적조에 설비전선관 매입시 설치되는 매쉬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벽돌 조적조에 매입되는 설비전선관과 매입부분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a)와 정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의 모양이 단계별로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의 결합된 모습(a)과 분해된 모습(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설비전선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전자파 차단부재의 정면도(a)와 측면도(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가 벽돌 조적조 사이의 매입공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
도 4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고하면,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100)는 벽돌 조적조(1)에 설비전선관(2)이 매입된 후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로서, 판상의 고정부(110), 고리 형상의 몸체부(14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판상의 고정부(110)는 설비전선관(2) 매입공간(8)의 양측에서 상부 조적벽돌(1)과 하부 조적벽돌(1) 사이에 안착되며 조적벽돌 사이에 시공되는 모르타르(5)에 의해 고정된다.
고리 형상의 몸체부(140)는 좌, 우측의 고정부(110)에서 안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설비전선관(2) 매입공간(8)에 위치하여, 상하로 길게 뻗어 나가는 복수의 설비전선관(2)을 내측에 수용하며, 전방 중앙의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되어 절단된 공간(105)을 형성한다.
몸체부(140)는 작업자가 손으로 구부렸다 펼 수 있는 재질로서 설비전선관(2)을 한번에 여러 개 수용할 때는 전방의 절단된 공간(105)이 넓어지게 벌린 다음 설비전선관(2)를 모두 수용한 후 다시 원위치 할 수 있다.
연결부(150)는 몸체부(140) 전방 중앙의 절단 형성된 부분 양측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몸체부(140)의 전방 양측을 연결 및 고정시킨다. 전방의 절단된 공간(105)를 통해 설비전선관(2)을 모두 수용한 다음 연결부(150)를 몸체부(140) 전방 중앙의 절단 형성된 부분 양측에 각각 끼움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9를 참고하면, 벽돌 조적조(1) 사이에서 모르타르(5)로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110)는 2~2.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모르타르(5)가 침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공(1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두께가 2mm 이하로 너무 얇으면 강도가 약하여 끊어질 염려가 있으며, 2.5mm 를 초과하면 너무 두꺼워져 벽돌 조적조(1) 사이의 틈이 벌어질 염려가 있다.
판상의 고정부(110)의 상면 및 하면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관통공(111) 사이에도 모르타르(5)가 침투함으로써 벽돌 조적조(1)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될 수가 있다.
고리 형상의 몸체부(140)는 6~8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40)는 매입공간(8)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판상의 고정부(110)보다 두껍게 형성되어도 문제가 안되며, 아래에서 살펴볼 핀결합부(121)를 형성하기 위해서 위해서는 다소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고리 형상의 몸체부(140)는 전방부(120)와 후방부(130) 그리고 핀결합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부(120)는 중앙의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 형성되고 절단된 공간(105)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후방부(130)는 전방부(120)에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설비전선관(2)의 뒤쪽에 형성된다.
핀결합부(121)는 좌, 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부(120)에 각각 형성되며 연결부(150)에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핀(151)이 끼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핀결합부(121)는 결합핀(151)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연결부(150)에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핀(151)은 연결부(15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각 결합핀(151)은 복수 개의 분할편(151a, 151b, 151c, 151d)으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분할편은 반드시 4개(151a, 151b, 151c, 151d)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개수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할편(151a, 151b, 151c, 151d)은 중앙부가 바깥으로 펼쳐져 있고 선단부와 후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측면에서 힘을 가하면 펼쳐져 있던 중앙부가 안쪽으로 오므라들고, 힘을 해제하면 오므라들었던 중앙부가 다시 바깥으로 펼쳐진다.
도 5(a)는 연결부(150)를 핀결합부(121)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 5(b)는 연결부(150)를 핀결합부(121)에 결합시킬 때 연결부(150)의 결합핀(151)이 핀결합부(121)의 작은 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중앙부가 안쪽으로 오므라든 상태를 보여준다.
도 5(c)는 연결부(150)의 결합핀(151)이 핀결합부(12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오므라들었던 중앙부가 다시 바깥으로 펼쳐져 원상 회복된 모습을 보여준다.
핀결합부(121)는 연결부(150)에 구비되는 결합핀(151)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핀결합부(121)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커지다가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다시 서서히 작아진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핀결합부(121)와 핀결합부(121)에 삽입되는 결합핀(151)의 모양은 동일하게 생겼으며, 핀결합부(121)의 후방 삽입부 측과 결합핀(151)의 후단부 측은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를 형성하나, 핀결합부(121)의 전방측과 결합핀(151)의 선단부 측은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제2 각도(θ2)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각도(θ1) > 제2 각도(θ2) 인 관계를 형성한다. 제1 각도(θ1)를 제2 각도(θ2) 보다 크게 함으로써 결합핀(151)이 핀결합부(121)의 내측에 삽입된 후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단단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즉, 결합핀(151)의 후단부(제1 각도(θ1) 측)가 선단부(제2 각도(θ2) 측) 보다 더 넓게 벌어져 있기 때문에 잡아 당겨도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형성한다. 한번 설치 및 고정되면 연결부(150)를 분리시킬 경우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아래에서 살펴볼 제2 실시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전자파 차단부재(3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전자파 차단부재(300)는 전자파 차단부(310)와 모르타르 접착부(320)로 구성된다.
전자파 차단부(310)는 일반 섬유에 니켈, 구리, 알루미늄 등을 도금 처리하여 전자파로부터 신체 등을 보호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니켈, 구리, 알루미늄 외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소재라면 다른 것도 가능하다.
모르타르 접착부(320)는 일반 천 또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르타르가 잘 흡수될 수 있는 원단이라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전자파 차단부재(3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공(305)이 형성된다. 연결부(150, 250)의 고리(153, 253)에 전자파 차단부재(300)의 관통공(305)을 끼워서 전자파 차단부재(300)를 설치하게 된다.
도 8(b)를 참고하면, 매입공간(8)에 있는 설비전선관(2)에 가까운 쪽으로 전자파 차단부(310)가 위치하고, 미장 모르타르(5)가 덮이는 쪽으로 모르타르 접착부(320)가 위치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연결부(150, 250)의 고리(153, 253)에 전자파 차단부재(300)의 관통공(305)을 끼워서 전자파 차단부재(300)를 설치하면, 설비전선관(2)이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그 위에 모르타르(5)를 채우게 된다.
결국, 설비전선관(2)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인체를 보호할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
도 7을 참고하면,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200)는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200)는 판상의 고정부(210), 고리 형상의 몸체부(240) 및 연결부(250)를 포함한다. 몸체부(240)는 전방부(220)와 후방부(230)로 구성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미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방부(220)는 제1 전방부(220a)와 제2 전방부(220b)로 구성된다.
제1 전방부(220a)는 판상의 고정부(210)와 연결되는 바깥쪽에 형성되며 제1 너비(w1)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매입공간(8)에 설치되지만 중앙측이 아닌 판상의 고정부(210)와 연결되는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2 전방부(220b)는 제1 전방부(220a)로부터 절단된 공간(205) 측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너비(w1)보다 작은 제2 너비(w2)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판상의 고정부(210)와 연결되는 바깥쪽이 아니라 좀 더 가운데에 형성되는 것이다.
핀결합부(221)는 제2 전방부(220b)에 형성된다. 따라서 핀결합부(221)의 길이는 제2 전방부(220b)의 제2 너비(w2)를 넘지 않을 것이다.
도 7(b)의 확대된 부분을 참고하면, 제1 전방부(220a)에서 제2 전방부(220b)로 너비가 변경(w1->w2)되는 부분은 제1 전방부(220a)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연결부(250)는 제1 너비(w1)에서 제2 너비(w2)를 뺀 만큼에 해당하는 제3 너비(w3)를 가지며, 연결부(250)의 양 단부는 제1 전방부(220a)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끼움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50)는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서 작업자는 연결부(250)를 약간 구부린 다음 일측을 제1 전방부(220a)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끼움 결합하고, 마찬가지로 타측을 제1 전방부(220a)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체결을 완료할 수가 있다.
결합핀(251)이 핀결합부(221)에 결합하는 것 외에 연결부(250) 양단부의 경사진 부분이 제1 전방부(220a)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 형성된 부분에 끼움 결합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 보다 더욱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돌 조적조 사이에서 크랙 방지장치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가 있어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벽돌 조적조의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 일정 간격마다 미리 설치해둔 상태에서 전방 중앙에 절단 형성된 공간을 통해 복수의 설비전선관을 쉽게 설치 및 매입할 수가 있어 크랙 방지장치의 설치와 설비전선관의 매입이 간편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설비전선관 매입공간 양측에 위치하는 조적벽돌 사이에 판상의 고정부를 안착시키고, 판상의 고정부에 형성된 복수의 홀에 모르타르를 침투시킴으로써 조적벽돌과 판상의 고정부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넓은 판 형상의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가 있어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벽돌 조적조
2...설비전선관
5...미장 모르타르
8...매입공간
9...와이어
100, 200...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110, 210...판상의 고정부
105, 205...절단된 공간
111, 211, 305...관통공
120, 220...전방부
220a...제1 전방부
220b...제2 전방부
121, 221...핀결합부
130, 230...후방부
140, 240...고리 형상의 몸체부
150, 250...연결부
151, 251...결합핀
151a, 151b, 151c, 151d...분할편
153, 253...고리
300...전자파 차단부재
310...전자파 차단부
320...모르타르 접착부
w1...제1 너비
w2...제2 너비
w3...제3 너비
C...가상의 중심선
θ1...제1 각도
θ2...제2 각도

Claims (6)

  1. 벽돌 조적조에 설비전선관이 매입된 후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로서,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의 양측에서 상부 조적벽돌과 하부 조적벽돌 사이에 안착되며 조적벽돌 사이에 시공되는 모르타르에 의해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비전선관 매입공간에 위치하여, 상하로 길게 뻗어 나가는 복수의 설비전선관을 내측에 수용하며, 전방 중앙의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전방 중앙의 절단 형성된 부분 양측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몸체부의 전방 양측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고정부는 2~2.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모르타르가 침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리 형상의 몸체부는 6~8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의 몸체부는
    중앙의 일정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 형성되고 절단된 공간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부;
    상기 전방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설비전선관의 뒤쪽에 형성되는 후방부; 및
    상기 좌, 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핀이 끼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핀은 연결부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각 결합핀은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분할편은 중앙부가 바깥으로 펼쳐져 있고 선단부와 후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측면에서 힘을 가하면 펼쳐져 있던 중앙부가 안쪽으로 오므라들고, 힘을 해제하면 오므라들었던 중앙부가 다시 바깥으로 펼쳐지며,
    상기 핀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결합핀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핀결합부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커지다가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다시 서서히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는 상기 판상의 고정부와 연결되는 바깥쪽에 형성되며 제1 너비를 갖는 제1 전방부와 제1 전방부로부터 상기 절단된 공간 측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너비보다 작은 제2 너비를 갖는 제2 전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결합부는 상기 제2 전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부에서 제2 전방부로 너비가 변경되는 부분은 제1 전방부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너비에서 제2 너비를 뺀 만큼에 해당하는 제3 너비를 가지며, 연결부의 양 단부는 상기 제1 전방부의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깎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끼움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KR1020180005878A 2018-01-17 2018-01-17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KR101891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878A KR101891461B1 (ko) 2018-01-17 2018-01-17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878A KR101891461B1 (ko) 2018-01-17 2018-01-17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461B1 true KR101891461B1 (ko) 2018-08-23

Family

ID=6345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878A KR101891461B1 (ko) 2018-01-17 2018-01-17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4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072Y1 (ko) 2000-07-06 2000-11-15 주식회사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용 매쉬 와이어
KR20040012651A (ko) * 2003-12-29 2004-02-11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KR20170084970A (ko) * 2016-01-13 2017-07-21 김흥국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072Y1 (ko) 2000-07-06 2000-11-15 주식회사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용 매쉬 와이어
KR20040012651A (ko) * 2003-12-29 2004-02-11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전선 및 설비 배관용 홈 블록
KR20170084970A (ko) * 2016-01-13 2017-07-21 김흥국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9583B2 (en) Snap fitting for plumbing
RU261668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обетонированной трубы с кабель-каналом
KR101891461B1 (ko) 벽돌 조적조의 크랙 방지장치
CA3044210A1 (en) Method of repairing cracked concrete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KR101217703B1 (ko) 케이블 포설용 관통구와 이를 사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KR20150004532U (ko) 원형강 또는 사각형강 버팀보와 띠장의 연결재
KR20180058127A (ko) 손상배관 보수용 배관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손상배관 보수방법
KR100731957B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JP3222879U (ja) スラブ用スリーブ及びスリーブセット
KR102141577B1 (ko) 건축용 환기덕트 시공 방법 및 그 구조체
KR20190064049A (ko) 터널 구조물의 측부 방수 구조 및 터널 구조물의 측부 방수 구조 시공방법
JP5281117B2 (ja) ユニットタイル施工方法
JP3201881U (ja) 床スリーブ
KR20080040348A (ko) 접지선이 내장된 전선보호관
CN210669292U (zh) 一种易安装的变电站二次电缆铺设清洁保护装置
CN220014577U (zh) 一种墙面沉降缝处防辐射可变形伸缩装置
CA3067297A1 (en) Distribution cabling system
KR102178562B1 (ko) 건축 구조물의 전기 공사 시공 방법
CN210723949U (zh) 电气线管保护装置
KR102621650B1 (ko) 스프링클러 보호용 커버조립체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CN209606679U (zh) 一种雷电阻断盒的安装结构
US65307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a damaged section of a channel to which an inserted part has previously been affixed
AU2014246631A1 (en) Plumb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