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366B1 -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그 갈조류 - Google Patents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그 갈조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366B1
KR100581366B1 KR1020040000578A KR20040000578A KR100581366B1 KR 100581366 B1 KR100581366 B1 KR 100581366B1 KR 1020040000578 A KR1020040000578 A KR 1020040000578A KR 20040000578 A KR20040000578 A KR 20040000578A KR 100581366 B1 KR100581366 B1 KR 100581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algae
sheet
printing
printing unit
laser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527A (ko
Inventor
박청식
Original Assignee
(주)대명건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건해 filed Critical (주)대명건해
Priority to KR102004000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36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04F5/461Adjustable nozz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15Means for applying permanent coating, e.g. in-situ coating
    • H01L2224/7518Means for blanket deposition
    • H01L2224/75184Means for blanket deposition for spray coating, i.e. nozz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갈조류에 관한 것으로, 김과 같이 건조된 시트상의 갈조류 표면에 국부 가열구이에 의한 인쇄부를 형성하여서 상품의 식벽렬을 갖게하는 상표 또는 광고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김 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에 구이편차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할 수 있게 시트상 갈조류(10)를 이송하는 이송콘베어장치(110)와, 상기 이송콘베어장치(110)의 상측에서 이송되는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을 국부가열에 의한 국부구이작업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하는 레이저조사장치(120)와, 상기 레이저조사장치(120)와 이송콘베어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레이저조사장치(120)로 인쇄부(11)를 위한 문자 또는 도형등의 인쇄안을 입력할 수 있게한 인쇄단말기(130)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김 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에 구이편차에 의하여 인쇄부를 형성하므로서 포장지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소비자가 생산지와 상표를 구비한 수 있어 상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광고효가 극대회되는 것이다.
시트상 갈조류

Description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그 갈조류{Printing method of sheet type brown algae and its system, its brown alga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주요 구성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상 갈조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김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 만들어진 김밥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상 갈조류 11 : 인쇄부
20 : 김밥
110 : 이송콘베어장치 120 : 레이저조사장치
130 : 인쇄단말기
본 발명은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갈조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과 같이 건조된 시트상의 갈조류 표면에 국부 가열구이에 의한 인쇄부를 형성하여서 상품의 식벽렬을 갖게하는 상표 또는 광고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자라는 미역이나 김등과 같은 갈조류 식물은 요오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식물이다. 이중 김의 경우에는 시트상으로 건조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포장지에 넣어 포장된 후 상기 포장지에 생산지 또는 상품명이 인쇄되어서 유통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김은 생산지와 가공도에 따라 그 맛이 구분되나 생산지 및 상품명의 표시가 포장지에만 표기되어 있어 일반 가정에서 사용시 포장지가 벗겨지게 되면 생산지와 상품명을 알 수 가 없어 상품의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김의 경우에는 소비자가 이를 더욱 확인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트상 갈조류의 가공과정에 있어 구이편차에 따라 표면에 문자 또는 도형 등과 같은 인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김 등과 같은 시트상의 갈조류에 분자 또는 도형 등과 같은 인쇄부를 형성하여 생산지와 상품명의 식별력을 유지하며 홍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김 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를 이송콘베어장치(110)에 의하여 이송시키면서 상기 시트상 갈조류(10)의 상면에서 레이저조사장치(120)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레이져 빛을 조사하여서 국부가열에 의한 국부 구이작업을 통하여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에 문자 또는 도형 등과 같은 인쇄부(11)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을 국부가열하는 국부구이 작업을 통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인쇄부(11)는 시트상 갈조류의 다른 부위가 인쇄부보다 더 많이 구워지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을 국부가열하는 국부구이 작업을 통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인쇄부(11)는 시트상 갈조류의 다른 부위보다 더 많이 구워지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김 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의 상품 식별력을 가지게 함과 더불어 광고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표면에 구이편차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쇄부(11)는 김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로 김밥을 만들어 일정크기로 절단 하였을 때 각각의 토막김밥에 인쇄부가 형성되게 1~5cm 의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김 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에 구이편차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할 수 있게 시트상 갈조류(10)를 이송하는 이송콘베어장치(110)와, 상기 이송콘베어장치(110)의 상측에서 이송되는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을 국부가열에 의한 국부구이작업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하는 레이저조사장치(120)와, 상기 레이저조사장치(120)와 이송콘베어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레이저조사장치(120)로 인쇄부(11)를 위한 문자 또는 도형등의 인쇄안을 입력할 수 있게한 인쇄단말기(130)로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시트상 갈조류(10)를 이송하는 이송콘베어장치(110)와, 상기 이송콘베어장치(110)의 상측에서 이송되는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을 국부가열에 의한 국부구이작업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하는 레이저조사장치(120)와, 상기 레이저조사장치(120)와 이송콘베어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레이저조사장치(120)로 인쇄부(11)를 위한 문자 또는 도형등의 인쇄안을 입력할 수 있게한 인쇄단말기(130)로 구성한 본 발명에 김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를 공급하게 되면 레이저조사장치(120)의 국부가열에 의한 구이편차에 의하여 표면에 인쇄부(11)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김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에 인쇄부(11)을 형성하므로서 포장지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인쇄부(11)에 의하여 형성된 상표 또는 광고 도안이 잔류하게 되어 소비자가 생산지와 상표 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또한, 김밥(20)으로 가공시는 절단되 하나 하나의 김밥토막마다 인쇄부(11)가 표현되어서 광고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김 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에 구이편차에 의하여 인쇄부를 형성하므로서 포장지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소비자가 생산지와 상표를 구비한 수 있어 상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광고효가 극대회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6)

  1. 김 등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를 이송콘베어장치(110)에 의하여 이송시키면서 상기 시트상 갈조류(10)의 상면에서 레이저조사장치(120)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레이져 빛을 조사하여서 국부가열에 의한 국부 구이작업을 통하여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에 문자 또는 도형 등과 같은 인쇄부(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을 국부가열하는 국부구이 작업을 통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인쇄부(11)는 시트상 갈조류의 다른 부위보다 인쇄부가 더 많이 구워져서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을 국부가열하는 국부구이 작업을 통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인쇄부(11)는 시트상 갈조류의 다른 부위가 인쇄부보다 많이 구워지게 하여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4. 시트상 갈조류에 있어서;
    제 1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상품 식별력을 가지게 함과 더불어 광고효과를 가질 수 있게 표면에 구이편차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 갈조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11)는 김과 같은 시트상 갈조류(10)로 김밥을 만들어 일정크기로 절단 하였을 때 각각의 토막김밥에 인쇄부가 형성되게 1~5cm 의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 갈조류.
  6.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에 구이편차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할 수 있게 시트상 갈조류(10)를 이송하는 이송콘베어장치(110)와, 상기 이송콘베어장치(110)의 상측에서 이송되는 시트상 갈조류(10)의 표면을 국부가열에 의한 국부구이작업에 의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하는 레이저조사장치(120)와, 상기 레이저조사장치(120)와 이송콘베어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레이저조사장치(120)로 인쇄부(11)를 위한 문자 또는 도형등의 인쇄안을 입력할 수 있게한 인쇄단말기(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장치.
KR1020040000578A 2004-01-06 2004-01-06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그 갈조류 KR100581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578A KR100581366B1 (ko) 2004-01-06 2004-01-06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그 갈조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578A KR100581366B1 (ko) 2004-01-06 2004-01-06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그 갈조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227U Division KR200347136Y1 (ko) 2004-01-06 2004-01-06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장치와 그 갈조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527A KR20050072527A (ko) 2005-07-12
KR100581366B1 true KR100581366B1 (ko) 2006-05-23

Family

ID=3726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578A KR100581366B1 (ko) 2004-01-06 2004-01-06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그 갈조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3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527A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972B2 (en) Wire plate conveyor belt
CN100584701C (zh) 将信息从制造包装材料的设备传递到填充机器的方法
USD632896S1 (en) Paper product
CN104108493A (zh) 用于标记软体动物的装置及包括该装置的包装线
BRPI0507566A (pt) processo de fabricação e de recorte de elementos de formato relativamente pequeno, dispositivos correspondentes, elementos e folhas que comportam esses elementos
KR100581366B1 (ko)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와 그 갈조류
ATE337996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dern von flächigen produkten
KR200347136Y1 (ko) 시트상 갈조류의 인쇄장치와 그 갈조류
WO2016205606A1 (en) Plate conveyor belt
EP2348897B1 (en) An apparatus for marking olives
KR101064824B1 (ko) 잘림 자국이 들어간, 생선살을 으깨어 만든 식품의 제조장치
DE29604325U1 (de) Stapelkasten zum Transport von zu klimatisierenden Produkten wie z.B. Konditoreiwaren, Wurst- und Käsewaren, Getränke o.dgl.
ITBO20020485A0 (it) Impianto per formare contenitori , in particolare contenitori per prodotti alimentari
DE50003099D1 (de) Vorrichtung zur Entnahme von auf einer Fördervorrichtung in regelmässigen Abständen transportierten Druckprodukten
Cheruvu et al. Recent advances in food processing and packaging technology
MA27800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produits alimentaires sous forme de feuille
KR200231486Y1 (ko) 김 절단기
FR2861694B1 (fr) Banderole decorative, emballage alimentaire comprenant une telle banderole et procede de fabrication
ATE295251T1 (de) Vorrichtung zum aufschneiden von lebensmittelprodukten
WO2007011224A3 (en) Pack for plant products such as flowers
JP6600486B2 (ja) 断裁機による機械開封用封筒及びその製造方法
ITMI992582A0 (it) Contenitore in materiale in foglio ondulato per prodotti alimentarti i n particolare per torte e simili prodotti dolciari
ITMI20010214V0 (it) Contenitore in materiale in foglio, preferibilmente cartaceo, per prodotti alimentari
WO2008061909A3 (en) A method for writing alphanumeric characters and/or logos and the like on food products
JPS6225967A (ja) りん茎野菜の除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