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642B1 -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642B1
KR100579642B1 KR1020040091747A KR20040091747A KR100579642B1 KR 100579642 B1 KR100579642 B1 KR 100579642B1 KR 1020040091747 A KR1020040091747 A KR 1020040091747A KR 20040091747 A KR20040091747 A KR 20040091747A KR 100579642 B1 KR100579642 B1 KR 10057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light
mirror
annular
conical mirror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9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4Reflector;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기술에 관한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광에서 신호광과 기준광을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와, 빔 스플리터로부터 전달된 신호광을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비트 패턴에 따라 데이터 신호광으로 변환하고 이를 기록 매체의 상부면에 투과시키는 데이터 마스크와, 빔 스플리터로부터 전달된 기준광을 미러 경사면을 통해서 반사하는 코니컬 미러와, 코니컬 미러에서 반사된 기준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제 1 환형 미러와, 제 1 환형 미러에서 전달된 기준광을 기록 매체의 하부면에 반사하는 제 2 환형 미러를 포함하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제 1 환형 미러와 제 2 환형 미러를 통해서 기록 매체의 안쪽에 전달되고,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기록 매체의 바깥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코니컬 미러 대신 환형 미러를 하나 더 추가하고 코니컬 미러에서 기록 매체인 디스크 하부면에 전달되는 기준광 경로를 조절하여 디스크에 조사되는 기준광 강도를 균일하게 하며, 종래와 비교하여 기준광 조절 장치에 프리즘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디스크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기준광 강도에 의해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어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중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니컬 미러, 홀로그래픽 롬, 기준광

Description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RECORDING DEVICE FOR CONTROLLING A REFERENCE BEAM OF THE HOLOGRAPHIC ROM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일반적인 코니컬 미러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광 조절 장치와 코니컬 미러 및 환형 거울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광 조절 장치를 갖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라 각각 코니컬 미러를 통해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에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원 104, 118, 130, 136 : 미러
112 : 빔 스플리터 122 : 코니컬 미러
124 : 제 1 환형 미러 126 : 제 2 환형 미러
144 : 데이터 마스크 146 : 기록 매체인 디스크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 매체인 디스크에 입사되는 기준광 강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의 대용량화, 처리 속도의 고속화가 요구된다. 현재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의 대용량 및 고속 처리를 위해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 수∼ 수백 Gbytes를 저장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메모리, 그 중에서도 홀로그래픽 롬(HROM: Holographic ROM)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롬은 CD, DVD 등과 같은 광 디스크의 한 비트에 대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하기 때문에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빠르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홀로그래픽 롬은 차세대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니컬 미러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홀로그래픽의 기록 매체인 디스크(50) 상부에 데이터 마스크(data mask)(미도시됨)가 있으며 디스크(50) 하부에 코니컬 미러(conical mirror)(32)가 있다. 데이터 기록시, 데이터 마스크 상부에 신호광(signal beam)이 입사되면, 이 신호광은 데이터 마스크내 홀 형태의 비트 패턴(bit pattern)(미도시함)을 통과하여 디스크(50)에 제공된다. 이와 동시에 디스크(50) 하부에 기준 광(reference beam)이 입사되면, 코니컬 미러(32)의 경사면에 의해 기준광이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어 디스크(50)의 반지름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 신호광과 기준광이 디스크(50)내 기록 물질층에서 서로 간섭을 일으켜 데이터 마스크의 비트 패턴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와 같은 홀로그래픽 롬은 데이터 마스크와 경사 각도가 다른 코니컬 미러를 사용하여 디스크(50)에 새로운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중첩 기록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는 광원(10), 미러들(14, 28, 34, 40), 빔 스플리터(beam spliter)(22), 코니컬 미러(32), 데이터 마스크(48), 기록 매체인 디스크(50)로 구성된다. 여기서 12는 셔터, 16은 HWP(Half Wave Plate), 18은 공간 필터, 20은 확대 렌즈를 나타낸다. 24, 36은 HWP, 26, 38은 편광기, 30, 42는 공간 필터, 그리고 44는 확대 렌즈를 나타낸다.
광원(10)의 레이저 광은 한 가지 타입의 선형 편광(linear polarization)으로서, 예를 들면 P형이나 S형의 편광 특성을 갖으며 셔터(12) 내지 확대 렌즈(20)를 통해 빔 스플리터(22)에 전달된다.
빔 스플리터(22)는 두 개의 광 경로(S1, S2)를 위하여 그대로 레이저 광을 투과시켜 기준광을 제공하고 레이저 광을 반사시켜 신호광을 제공한다.
빔 스플리터(22)에서 확대 렌즈(44)까지 진행되는 S1의 신호광 경로는 미러(34)를 통해 반사된 신호광을 HWP(36) 및 편광기(38)를 통해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다른 미러(40)에 전달하고, 미러(40)에서 신호광을 반사시켜 공간 필터(42)에 전달한다. 공간 필터(42)는 신호광의 불완전한 편광 성분을 제거하고 순수한 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킨다. 공간 필터(42)를 투과한 신호광은 확대 렌즈(44)를 통해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되고 데이터 마스크(48)의 비트 패턴을 통해서 데이터 신호광으로 변환되고 이를 기록 매체인 디스크(50) 상부면에 입사된다.
그리고 빔 스플리터(22)에서 코니컬 미러(32)까지 진행되는 S2의 기준광 경로는 HWP(24) 및 편광기(26)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기준광을 미러(28)를 통해 반사하고 공간 필터(30)에 전달하고 공간 필터(30)에서 기준광의 불완전한 편광 성분을 제거하고 순수하게 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킨다. 공간 필터(30)를 투과한 기준광은 코니컬 미러(32)의 경사면에 조사되고 코니컬 미러(32)의 경사면을 통해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어 디스크(50) 하부면에 조사된다.
이에 따라 신호광과 기준광이 디스크(50)내 기록 물질층에서 서로 간섭을 일으켜 데이터 마스크의 비트 패턴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때 디스크(50)에 조사되는 신호광 및 기준광은 동일한 편광 타입이어야만 간섭을 일으키는데, 예를 들어, 신호광이 S형 편광일 경우 기준광도 S형 편광이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 있어서 코니컬 미러에 입사되는 기준광 직경이 23mm일 경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디스크 하부에 도달하는 기준광 직경이 120mm로 된다. 면적으로 보면 약 27배 광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코니컬 미러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는 코니 컬 미러의 경사면에 의해 기준광이 디스크로 반사될 경우 코니컬 미러의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 바깥쪽으로 전달되고, 코니컬 미러의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 안쪽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코니컬 미러 안쪽과 바깥쪽에서 교차반사되어 디스크에 전달되는 기준광은 동일한 광 강도 배율로 반사되지 않는다.
더욱이 코니컬 미러의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 바깥쪽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디스크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멀어질수록 기준광 강도가 세져 전체 디스크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광 강도가 중심과 바깥쪽에서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러한 기준광 강도의 차이는 불균일한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기록을 야기시켜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중첩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환으로, 코니컬 미러를 하나 더 추가하고 기록 매체인 디스크 하부면에 전달되는 기준광 경로를 조절하여 디스크에 조사되는 기준광 강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2004년 9월 3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준광 조절 장치를 갖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이의 기준광 조절 방법'이란 제목으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4-0070405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다중 중첩 기록을 위한 고가의 코니컬 미러를 하나 더 제작해야만 하는 부담을 앉고 있다. 즉, 기준광의 강도를 디스크 전역에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코니컬 미러를 추가로 제작해야만 하는데 코니컬 미러 하나만의 제작비용을 고려해 볼 때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현한 것으로, 제 2의 코니컬 미러 대신 제 2의 환형 미러를 기준빔단에 배치하여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기록 매체의 안쪽에 전달되고,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기록 매체의 바깥쪽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기준광의 강도를 균일하게 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기록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로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광에서 신호광과 기준광을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와, 빔 스플리터로부터 전달된 신호광을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비트 패턴에 따라 데이터 신호광으로 변환하고 이를 기록 매체의 상부면에 투과시키는 데이터 마스크와, 빔 스플리터로부터 전달된 기준광을 미러 경사면을 통해서 반사하는 코니컬 미러와, 코니컬 미러에서 반사된 기준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제 1 환형 미러와, 제 1 환형 미러에서 전달된 기준광을 기록 매체의 하부면에 반사하는 제 2 환형 미러를 포함하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제 1 환형 미러와 제 2 환형 미러를 통해서 기록 매체의 안쪽에 전달되고,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기록 매체의 바깥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데이터 마스크의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비트 패턴을 통해 투과된 데이터 신호광과 기준광을 기록 매체에 조사하여 이들 광 사이의 간섭에 의해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기록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 기준광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기준광을 기록 매체 하부에 위치한 코니컬 미러에 조사하여 미러 경사면을 통해 반사시키는 단계와, 코니컬 미러에서 반사된 기준광을 제 1 환형 미러를 통해 일정 각도로 다시 반사시키는 단계와, 반사된 기준광을 기록 매체 하부에 위치한 제 2 환형 미러의 반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단계와, 제 2 환형 미러의 반사면을 통해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기록 매체의 안쪽에,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기록 매체의 바깥쪽으로 직진성으로 주어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광 조절 장치와 코니컬 미러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의 기준광 조절 장치는 제 2 환형 미러(126)에 의해 반사되어 기록 매체인 디스크(146)에 조사되는 기준광 경로를 조절하여 디스크(146)에 조사되는 기준광의 강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디스크(146) 안쪽 및 바깥쪽에서 모두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 안쪽은 디스크 중심에서 가까운 부분을, 바깥쪽은 디스크 중심에서 먼 부분을 나타낸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광 조절 장치는, 디스크(146) 하부면에 설치된 제 2 환형 미러(126)와, 이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서로 얼라인된 위치에 설치된 코니컬 미러(122)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환형 미러(124)로 구성된다.
제 1 환형 미러(124)는 코니컬 미러(122) 주변에 배치되어 코니컬 미러(122)에서 반사된 기준광을 다시 반사시켜 제 2 환형 미러(126)의 반사면으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기준광 조절 장치는 기준광 직경이 r2-r1일 경우 코니컬 미러(122)의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 r2(실선)가 제 1 환형 미러(124)에 의해 반사되고, 제 1 환형 미러(124)의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부에 있는 제 2 환형 미러(126)의 반사면으로 전달된다. 이에 제 2 환형 미러(126)의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 r2(실선)는 디스크(146) 안쪽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코니컬 미러(122)의 안쪽은 디스크(146)에서 멀며 원주 크기가 작은 부분을, 코니컬 미러(122)의 바깥쪽은 디스크(146)에서 가까우며 원주 크기가 큰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동시에 코니컬 미러(122)의 바깥쪽 경사면에서 반사된 기준광 r1(점선)이 제 1 환형 미러(124)에 의해 반사된다. 이때 기준광 r1(점선)은 예를 들어 제 1 환형 미러(124)의 높은 지점에서 반사되는 반면에, 코니컬 미러(122)의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 r2(실선)는 제 1 환형 미러(124)의 중간 높이에서 반사될 수 있다. 제 1 환형 미러(124)의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기준광 r1(점선)은 상부에 있는 제 2 환형 미러(126)의 상단 반사면으로 전달된다. 이에 제 2 환형 미러(126)의 상단에서 반사된 기준광 r1(점선)은 디스크 바깥쪽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준광 조절 장치는 코니컬 미러(122)와 제 1 및 제 2 환형 미러(124, 126) 사이에서 기준광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코니컬 미러(122)의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 r2를 제 2 환형 미러(126)의 하단을 통해 디스크(146)의 안쪽으로 전달하고, 코니컬 미러(122)의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 r1을 제 2 환형 미러(126)의 상단을 통해 디스크(146)의 바깥쪽으로 전달함으로써 코니컬 미러(122)의 기준광 r1, r2가 디스크(146)에 동일한 광 강도 배율로 증가하게 된다. 즉, 코니컬 미러(122)의 경사면 안쪽과 바깥쪽에서 반사되는 기준광이 디스크(146) 안쪽과 바깥쪽에 동일한 배율로 증가되므로 디스크(146) 전체에는 균일한 기준광이 조사됨에 따라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광 조절 장치를 갖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는 광원(100), 미러들(104, 118, 130, 136), 빔 스플리터(112), 제 1코니컬 미러(122), 환형 미러(124)와 프리즘(126)을 갖는 기준광 조절 장치와, 제 2코니컬 미러(128), 데이터 마스크(144), 기록 매체인 디스크(146),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102는 셔터, 106, 114, 132는 HWP를 나타낸다. 108, 120, 138은 공간 필터, 110, 140은 확대 렌즈, 그리고 116, 134는 편광기를 나타낸다.
광원(100)의 레이저 광은 한 가지 타입의 선형 편광으로서, 예를 들면 P형이나 S형의 편광 특성을 갖으며 셔터(102)의 개구부를 통해서 미러(104)에 전달된다.
미러(104)에서 반사된 레이저 광은 HWP(106) 내지 확대 렌즈(110)를 통해 빔 스플리터(112)에 전달된다.
빔 스플리터(112)는 확대 렌즈(110)의 레이저 광을 그대로 투과시키고 반사시켜 두 개의 광 경로(S1, S2)로 분리한다.
빔 스플리터(112)에서 확대 렌즈(110)까지 진행되는 S1의 신호광 경로는 미러(130)를 통해 반사된 신호광을 HWP(132) 및 편광기(134)를 통해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다른 미러(136)에 전달하고, 미러(136)에서 신호광을 반사시켜 공간 필터(138)에 전달한다.
공간 필터(138)는 신호광의 불완전한 편광 성분을 제거하고 순수한 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고, 공간 필터(138)를 투과한 신호광은 확대 렌즈(140)를 통해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된 후에 데이터 마스크(144)의 비트 패턴을 통해 데이터 신호광으로 변환되어 기록 매체인 디스크(146) 상부면에 조사된다.
그리고 빔 스플리터(112)에서 제 2 환형 미러(126)까지 진행되는 S2의 기준광 경로는 HWP(114) 및 편광기(116)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기준광을 미러(118)를 통해 공간 필터(120)로 반사하고, 공간 필터(120)에서 기준광의 불완전한 편광 성분을 제거하여 순수한 편광 성분만 투과시킨다.
공간 필터(120)를 투과한 기준광은 코니컬 미러(122)의 경사면에 조사되고 코니컬 미러(122)의 경사면을 통해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어 기준광 조절 장치의 제 1 환형 미러(124)에 전달된다.
기준광 조절 장치내 제 1 환형 미러(124)는 기준광을 제 2 환형 미러(126)의 반사면으로 반사시킨다.
제 2 환형 미러(126)의 반사면에서는 코니컬 미러(122)의 경사면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 r2를 하단 반사면에서 반사시키고, 코니컬 미러(122)의 경사면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 r1을 상단 반사면에서 반사시킨다.
이렇게 반사된 기준광 r1, r2는 디스크(146) 하부면에 조사된다.
디스크(146)는 상부면에서 데이터 마스크(144)를 통과한 데이터 신호광과 디스크(146) 하부면에서 제 2 환형 미러(126)에 의해 반사된 기준광이 내부 기록 물질층에서 서로 간섭을 일으켜 홀로그래픽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하나의 코니컬 미러(122)와, 두 개의 환형 미러(124, 126)를 구비한 기준광 조절 장치에 의해 기준광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크(146) 전체 기준광 강도가 코니컬 미러(122)의 경사면 전체에 대해 동일한 배율로 증가된다. 따라서 디스크(146)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기준광 강도에 의해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라 각각 코니컬 미러를 통해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에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는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R1)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의 바깥쪽(R4)으로,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바깥쪽(R2)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의 안쪽(R3)으로 조사된다.
하지만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환형 미러(124, 126)에 의해 디스크(146) 바로 아래 코니컬 미러(122)의 경사면 안쪽(R10)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의 안쪽(R12)으로, 코니컬 미러(122)의 바깥쪽(R11)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의 바깥쪽(R13)으로 조사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는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 및 바깥쪽 부분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그대로 디스크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코니컬 미러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디스크 전체에 대해 동일한 배율로 증가되어 전체적인 디스크 영역에서 기준광 강도로 균일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가의 코니컬 미러 대신 환형 미러를 하나 더 추가하고 코니컬 미러에서 기록 매체인 디스크 하부면에 전달되는 기준광 경로를 조절하여 디스크에 조사되는 기준광 강도를 균일하게 한다. 즉, 코니컬 미러 에 입사되는 기준광 직경이 23㎜일 경우 디스크 하부에 도달하는 기준광 직경이 120㎜로 증가되더라도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과 바깥쪽에서 반사되는 기준광이 디스크 안쪽 및 바깥쪽에 조사되는 기준광으로 동일한 배율로 증가되므로 디스크 전체에서는 기준광 강도가 균일하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종래와 비교하여 기준광 조절 장치에 프리즘이 필요치 않으므로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는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디스크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기준광 강도에 의해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어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중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기록 매체에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기록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로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광에서 신호광과 기준광을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와,
    상기 빔 스플리터로부터 전달된 신호광을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비트 패턴에 따라 데이터 신호광으로 변환하고 이를 기록 매체의 상부면에 투과시키는 데이터 마스크와,
    상기 빔 스플리터로부터 전달된 기준광을 미러 경사면을 통해서 반사하는 코니컬 미러와,
    상기 코니컬 미러에서 반사된 기준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제 1 환형 미러와,
    상기 제 1 환형 미러에서 전달된 기준광을 상기 기록 매체의 하부면에 반사하는 제 2 환형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상기 제 1 환형 미러와 상기 제 2 환형 미러를 통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안쪽에 전달되고, 상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상기 기록 매체의 바깥쪽으로 전달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환형 미러는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서로 얼라인된 위 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환형 미러는 기준광 조절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4. 데이터 마스크의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비트 패턴을 통해 투과된 데이터 신호광과 기준광을 기록 매체에 조사하여 이들 광 사이의 간섭에 의해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기록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 기준광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준광을 상기 기록 매체 하부에 위치한 코니컬 미러에 조사하여 미러 경사면을 통해 반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니컬 미러에서 반사된 기준광을 제 1 환형 미러를 통해 일정 각도로 다시 반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사된 기준광을 상기 기록 매체 하부에 위치한 제 2 환형 미러의 반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환형 미러의 반사면을 통해 상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상기 기록 매체의 안쪽에, 상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상기 기록 매체의 바깥쪽으로 직진성으로 주어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의 기준광 조절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미러의 반사면에서는 상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안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을 하단 반사면에서 반사시키고, 상기 코니컬 미러의 경사면 바깥쪽에서 반사된 기준광을 상단 반사면에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에서의 기준광 조절 방법.
KR1020040091747A 2004-11-11 2004-11-11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KR10057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747A KR100579642B1 (ko) 2004-11-11 2004-11-11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747A KR100579642B1 (ko) 2004-11-11 2004-11-11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642B1 true KR100579642B1 (ko) 2006-05-15

Family

ID=3718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747A KR100579642B1 (ko) 2004-11-11 2004-11-11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64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5646B1 (en) Optical pickup using objective lens compatible with a plurality of optical disks
JP2005209299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記録再生装置
EP1605443B1 (en) Holographic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140472A (ja) 光記録装置、光記録方法、記録媒体及び再生方法
JP4060813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装置、ホログラフィック再生装置、及びマスク
US5412635A (en) Optical disk with signal pit recording format, method of recording same and optical pickup
JP2005129196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デジタルデータ格納システムにおいてトラッキング及びフォーカシングサーボ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JP4470897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用データページ画素整形
KR10058894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EP1843224A2 (en)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for holographic optical information data
KR100579642B1 (ko)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JP4258624B2 (ja) 光情報記録装置
KR100588939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0579638B1 (ko)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JP2000501545A (ja) 異なる構造を有する光記憶媒体との間で書込みおよび/または読取りを行う装置
KR100588959B1 (ko)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 그 기준광 조절 방법
KR100569521B1 (ko) 기준광 조절 장치를 갖는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및이의 기준광 조절 방법
KR100626958B1 (ko) 레퍼런스빔 각도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홀로그래픽 롬시스템 및 방법
KR100578184B1 (ko) 편광형 데이터 마스크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KR100600308B1 (ko)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의 재생 방법
KR100578202B1 (ko) Dvd 호환용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의 데이터 마스크
JPWO2007026588A1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システム
KR100657685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기록 장치
KR100578204B1 (ko) 반사형 데이터 마스크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의기록 장치
KR100657676B1 (ko) 홀로그래픽 롬의 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