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620B1 -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620B1
KR100579620B1 KR1020040025036A KR20040025036A KR100579620B1 KR 100579620 B1 KR100579620 B1 KR 100579620B1 KR 1020040025036 A KR1020040025036 A KR 1020040025036A KR 20040025036 A KR20040025036 A KR 20040025036A KR 100579620 B1 KR100579620 B1 KR 10057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c
high frequency
level
recor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822A (ko
Inventor
노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2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6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B42F7/065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 및 각종 디스크의 기록 층의 고주파(RF) 펄스 신호를 검출하여 기 설정된 레벨 값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디스크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구성은 렌즈를 최하의 위치로 이송하고, 고주파(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하는 수단과, 렌즈를 최하에서 최상의 위치로 이송하는 수단과, 렌즈의 이송과 동시에, 광원에서 투사한 레이저광을 렌즈를 통해 디스크 내 기록 층에 상을 맺히게 하는 수단과,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카운트를 시작하는 수단과,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카운트를 정지하는 수단과, 카운트된 값과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콤보 제품의 일체형 트레이를 통해 다양한 디스크가 삽입될 경우에도 해당 디스크를 에러 없이 재생, 혹은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DISC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검출장치를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별 검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검출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이송 제어부
30 : 대물 렌즈 40 : 타이머
50 : 광원 60 : 디스크
본 발명은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로그래픽 롬(Holographic ROM) 디스크 및 각종 디스크를 각각 구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를 포함한 대부분의 현대적 처리 시스템들은 한 형태 또는 그 이상의 광학적 데이터 기억 장치에 의존한다. 그 예로, CD-롬 드라이브는 현 출시되는 모든 PC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표준 장비이다. 그리 고, 비디오게임, 지도, 백과사전 등을 포함하는 모든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는 CD-롬 디스크에 저장되어 판매된다. 또한, 콤팩트디스크는 음악 레코딩을 위한 가장 널리 보급된 저장매체이며, 최근에 개발된 표준 CD 기술의 저장 용량을 대략 1.5 GByte 에서 5 GByte로 확장시킨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가 소개되어졌다.
이러한 CD-롬 디스크와 DVD는 대용량 저장 용량을 개발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는 바, 상대적으로 저장 용량이 큰 광학 저장 매체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CD-롬 디스크와 DVD 기술 개발의 한계가 있어 이를 대신할 수 있는 광학 저장 시스템의 용량과 속도를 계속 개선시키기 위해, 연구는 점차적으로 CD-크기의 저장매체에 수백 기가바이트를 저장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와, 상술한 CD-롬 디스크와 DVD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콤보 시스템은 현 시점에서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필수 항목으로 구분되어 진다. 즉, 콤보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장치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는데, 콤비네이션 시스템(combination system), 혹은 콤보 시스템(combo-system)이라 칭한다. 이러한 복합 제품의 종류로는, VCR(video cassette recorder)의 기능과 TV를 일체화한 VCR/TV 콤보 시스템, 또는 VCR 데크(deck)와 DVD 플레이어를 하나로 일체화한 DVD/VCR 콤보 시스템, 혹은 DVD와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를 동시에 읽을 수 있는 DVD/홀로그래픽 콤보 시스템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DVD/홀로그래픽 콤보 시스템은 DVD와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 중 일 체형의 트레이를 통해 어느 하나가 삽입될 경우, 삽입된 디스크를 판별하여 해당 디스크를 재생하거나, 혹은 기록해야 하지만, 현재 개발되는 콤보 시스템에서는 삽입된 디스크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검출 기능이 없어 해당 디스크를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 및 각종 디스크의 기록 층의 고주파(RF) 펄스 신호를 검출하여 기 설정된 레벨 값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디스크를 판별할 수 있는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크 검출장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레이저광을 투과하여 디스크 내 기록 층의 상을 맺히게 하는 렌즈와, 렌즈를 걸은 다음 상/하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걸림 부재와, 렌즈를 상/하 위치로 이송하도록 구동하는 이송 구동부와, 렌즈를 최하의 위치로 이송하고, 고주파(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한 상태에서, 렌즈를 최하의 위치에서 최상의 위치로 이송함과 동시에, 광원에서 투사한 레이저광을 렌즈를 통해 디스크 내 기록 층에 상을 맺히게 하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카운트하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카운트 정지하며, 카운트된 값과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크 검출방법은 렌즈를 최하의 위치로 이송하고, 고주파(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한 후, 렌즈를 최하에서 최상의 위치로 이송하는 제1단계와, 렌즈의 이송과 동시에, 광원에서 투사한 레이저광을 렌즈를 통해 디스크 내 기록 층에 상을 맺히게 하는 제2단계와,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카운트를 시작하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카운트를 정지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카운트된 값과 제1단계에서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검출장치를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디스크(60)내 기록 층(S1)을 검출하기 위해 렌즈(30)에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광원(50)과, 광원(50)으로부터 입사되는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층(S1)의 상을 맺히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렌즈(30)와, 기록 층(S1)을 내부적으로 갖는 디스크(60)와, 렌즈(30)를 걸은 다음 렌즈(30)가 상/하 위치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 걸림 부재(70)와, 렌즈(30)를 상/하 위치로 이송하도록 구동하는 이송 구동부(20)와, 이송 구동부(20)를 제어하여 렌즈(30)의 위치를 최하의 위치(S4)로 이송한 다음에 고주파(Radio Frequency, 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한 상태에서, 이송 구동부(20)를 일정 속도로 제어하여 렌즈(30)의 위치를 최하의 위치(S4)에서 최상의 위치(S5)로 이송하도록 함과 동시에, 기록 층(S1)으로부터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검출될 때, 검출된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타이머(40)를 통해 카운트하며, 이어서, 기록 층(S1)으로부터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검출될 때, 검출된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타이머(40) 카운트를 정지하며, 그동안 카운트된 값과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각종 디스크 및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를 각각 판별하는 마이컴(10)과, 마이컴(10)의 타이머 구동신호에 의해 카운트하는 타이머(40)를 포함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마이컴(10)은 이송 구동부(20)를 제어하여 렌즈(30)의 위치를 최하의 위치(S4)로 이송하도록 제어한 후, 내부적으로, 고주파(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한다.
각 레벨을 설정한 상태에서, 마이컴(10)은 이송 구동부(20)를 일정 속도로 제어하여 렌즈(30)의 위치를 최하의 위치(S4)에서 최상의 위치(S5)로 일정하게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마이컴(10)은 광원(50)을 제어하여 레이저광이 렌즈(30)를 통해 기록 층(S1)에 상이 맺히도록 한다.
이후, 마이컴(10)은 디스크(60)내 기록 층(S1)으로부터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검출될 때, 검출된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타이머(40)를 통해 카운트한다.
이어서, 마이컴(10)은 디스크(60)내 기록 층(S1)으로부터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검출될 때, 검출된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타이머(40) 카운트를 정지하며, 그동안 카운트된 값과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각종 디스크 및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를 각각 판별한다.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검출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마이컴(10)은 이송 구동부(20)를 제어하여 렌즈(30)의 위치를 최하의 위치(S4)로 이송하도록 제어한 후(단계 301), 내부적으로, 고주파(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한다(단계 302). 여기서, 고주파(RF) 검출레벨은 한계 수준(threshold level)으로서, 펄스 전압의 값을 구분하는 경계점이 되는 레벨을 의미하며, 디스크 구분레벨은 해당 디스크를 구분하기 위한 기록 층(S1)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레벨을 설정한 상태에서, 마이컴(10)은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해 광원(50)을 제어한다(단계 303). 그러면, 광원(50)은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렌즈(30)에 레이저광을 출사한다(단계 304). 여기서, 렌즈(30)는 물체에 상을 맺힐 수 있도록 하는 대물렌즈를 사용한다.
광원(50)에 의해 레이저광이 출사됨과 동시에, 마이컴(10)은 이송 구동부(20)를 일정 속도로 제어하여 렌즈(30)의 위치를 최하의 위치(S4)에서 최상의 위치(S5)로 일정하게 이송하도록 한다(단계 305).
렌즈(30)는 이송 구동부(2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일정하게 최상의 위치(S5)로 이송하면서, 광원(50)으로부터 입사되는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층(S1)의 상 을 맺히게 한다(단계 306). 이때, 렌즈(30)는 이송 걸림 부재(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린 다음에, 이송 걸림 부재(70)를 기반으로 상/하 위치로 이송한다.
이후, 마이컴(10)은 디스크(60)내 기록 층(S1)으로부터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 즉 기록 층(S1)의 맨 밑단에 상이 맺혀 검출될 때, 검출된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큰가를 판단한다(단계 307).
상기 판단(307) 결과,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다시 말해서, 레이저광이 기록 층(S1)의 맨 밑단에 상이 맺힌 경우), 도 2a, b에 도시된 스타트(start) 시점이므로, 타이머(40)를 통해 카운트한다(단계 308). 상기 판단(307) 결과,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단계 307 과정을 수행한다.
렌즈(30)가 최상의 위치(S5)로 이동하면서 레이저광을 계속적으로 투과하여 기록 층(S1)의 맨 윗단에 상을 맺힌다(단계 309).
그러면, 마이컴(10)은 디스크(60)내 기록 층(S1)으로부터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검출될 때, 검출된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단계 310).
상기 판단(310) 결과,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은 경우(다시 말해서, 레이저광이 기록 층(S1)의 맨 윗단에 상이 맺힌 경우), 도 2a, b에 도시된 스탑(stop) 시점이므로, 타이머(40) 카운트를 정지한다(단계 311). 상기 판단(310) 결과,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단계 310 과정을 수행한다.
마이컴(10)은 타이머(40)를 통해 그동안 카운트된 값과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카운트된 값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큰가를 체크한다(단계 312).
상기 체크(312) 결과, 카운트된 값이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보다 클 경우, 도 2b와 같이, 기록 층의 두께가 넓은 파형(S3)이므로,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로 판별한다(단계 313). 반면에, 상기 체크(312) 결과, 카운트된 값이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보다 작을 경우, 도 2a와 같이, 기록 층의 두께가 좁은 파형(S2)이므로, 각종 디스크중 임의의 디스크(예로, DVD)로 판별한다(단계 314).
따라서, 디스크(60)내 기록 층(S1)의 두께만으로 디스크(60)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함으로서, 콤보 제품의 일체형 트레이를 통해 다양한 디스크가 삽입될 경우에도 해당 디스크를 에러 없이 재생하거나, 혹은 기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 및 각종 디스크의 기록 층의 고주파(RF) 펄스 신호를 검출하여 기 설정된 레벨 값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디스크를 판별함으로서, 콤보 제품의 일체형 트레이를 통해 다양한 디스크가 삽입될 경우에도 해당 디스크를 에러 없이 재생, 혹은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 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Claims (12)

  1. 렌즈를 최하의 위치로 이송하고, 고주파(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렌즈를 최하에서 최상의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렌즈의 이송과 동시에, 광원에서 투사한 레이저광을 상기 렌즈를 통해 상기 디스크 내 기록 층에 상을 맺히게 하는 수단과,
    상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카운트를 시작하는 수단과,
    상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카운트를 정지하는 수단과,
    상기 카운트된 값과 상기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디스크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은, 펄스 전압의 값을 구분하는 한계 수준(threshold level)의 경계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은, 해당 디스크를 구분하기 위한 기록 층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렌즈를 걸은 다음 상/하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걸림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검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레이저광을 투과하여 상기 기록 층의 상을 맺히게 하는 대물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검출장치.
  6.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상기 레이저광을 투과하여 디스크 내 기록 층의 상을 맺히게 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걸은 다음 상/하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걸림 부재와,
    상기 렌즈를 상/하 위치로 이송하도록 구동하는 이송 구동부와,
    상기 렌즈를 최하의 위치로 이송하고, 고주파(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렌즈를 최하의 위치에서 최상의 위치로 이송함과 동시에, 광원에서 투사한 레이저광을 상기 렌즈를 통해 상기 디스크 내 기록 층에 상을 맺히게 하며, 상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카운트하며, 상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카운트 정지하며, 상기 카운트된 값과 상기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는 디스크 검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은, 펄스 전압의 값을 구분하는 한계 수준의 경계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검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은, 해당 디스크를 구분하기 위한 기록 층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검출장치.
  9. 렌즈를 최하의 위치로 이송하고, 고주파(RF) 검출레벨 및 디스크 구분레벨을 기 설정한 후, 상기 렌즈를 최하에서 최상의 위치로 이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렌즈의 이송과 동시에, 광원에서 투사한 레이저광을 상기 렌즈를 통해 상기 디스크 내 기록 층에 상을 맺히게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1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클 경우 카운트를 시작하며, 상기 상이 맺힘에 따라 검출되는 제2 고주파(RF) 펄스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보다 작을 경우, 카운트를 정지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제1단계에서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 간을 비교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크 검출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고주파(RF) 검출레벨은, 펄스 전압의 값을 구분하는 한계 수준의 경계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검출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디스크 구분레벨은, 해당 디스크를 구분하기 위한 기록 층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검출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는, 이송 걸림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를 걸은 다음 상/하 위치로 이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디스크 검출방법.
KR1020040025036A 2004-04-12 2004-04-12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579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036A KR100579620B1 (ko) 2004-04-12 2004-04-12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036A KR100579620B1 (ko) 2004-04-12 2004-04-12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822A KR20050099822A (ko) 2005-10-17
KR100579620B1 true KR100579620B1 (ko) 2006-05-15

Family

ID=3727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036A KR100579620B1 (ko) 2004-04-12 2004-04-12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6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822A (ko) 200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2936B2 (en) Disc discriminat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reof
JPH11353785A (ja) 光ディスクの判別装置および判別方法
JP2851597B2 (ja) 光ディスク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ク自動判別方法及び装置
US6501718B1 (en) Disk,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KR100579620B1 (ko) 디스크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425448B1 (ko) 광디스크 판별 방법
JP367080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偏重心ディスク検知方法
JP2002050040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9161388A (ja) 光ディスク判別器
US20080205229A1 (en) Method of identifying optical disc
KR100209148B1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판별 장치 및 방법
JPH11288550A (ja) 光ディスク判別方法と光ディスク装置
JP3449783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554776B1 (ko) 멀티 레이어 광디스크의 유형 판별방법
KR100857082B1 (ko) 광 디스크 장치에서의 디스크 판별 방법
JPH09282783A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KR19990059555A (ko) 광디스크 판별장치
JP3526455B2 (ja) 光ディスク判別方法
KR100589608B1 (ko)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디스크 유무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0272377B1 (ko) 기록형 디스크의 데이터 재생방법
KR20000009364A (ko) 디스크 및 디스크 판별장치
JPH0935402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判別方法
KR19980078975A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유무 판별 장치 및 방법
KR20000014134A (ko) 광 디스크 시스템의 서보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06277848A (ja) 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ディスク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