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383B1 -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 Google Patents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383B1
KR100578383B1 KR1020040065551A KR20040065551A KR100578383B1 KR 100578383 B1 KR100578383 B1 KR 100578383B1 KR 1020040065551 A KR1020040065551 A KR 1020040065551A KR 20040065551 A KR20040065551 A KR 20040065551A KR 100578383 B1 KR100578383 B1 KR 10057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sebacate
biodegradable polymer
di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048A (ko
Inventor
최인성
윤국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4006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383B1/ko
Priority to US10/974,118 priority patent/US7642075B2/en
Publication of KR2006001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2Carbox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2Carboxylic acid esters
    • C12P7/625Polyesters of hydroxy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2차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다가 알콜 단량체와 디카르복실기를 가진 산 단량체를 효소촉매 존재 하에 축합 중합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는 축합중합 과정 시 효소를 사용하여 중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자연 친화적이고, 중합 반응시 반응 시간에 따라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어 약물 방출 시스템에서의 약물량 조절, 조직공학에서의 환자가 원하는 생체조직 재생을 위한 지지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A proces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elastomer using an enzyme catalyst and biodegradable elastomer prepared by the sam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의 FT-IR 스펙트럼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의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의 열중량분석기(TGA)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단순 가수분해 또는 효소의 작용으로 체내에서 분해 소멸 될 수 있는 고분자로서, 그 종류로는 폴리(ε-카프로락톤)[poly(ε -ca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포스파진(polyphosphagene),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등이 있다.
폴리(ε-카프로락톤)은 녹는점이 59~64℃로 낮고, 용해도가 우수하여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생체 물질로 응용되고 있으며, 폴리(글리콜산)이나 폴리(락트산)보다 생분해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연구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고분자는 대부분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상처를 접합하기 위한 흡수성 봉합사, 조직 접합제, 골 접합제, 약물 전달체, 조직공학 등과 같이 고부가가치의 의료용 재료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교토대학의 고바야시시로(小林四朗)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PPS)를 상회하는 고내열성을 가지면서 40℃의 저온, 상압에서 부생성물이 물밖에 없는 결정성 폴리머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oxide; PPO)"를 시작으로, 최근에 동북알프스와 공동 개발한 "아세틸렌기 함유 페놀수지"는 실용화에 근접하고 있으며, 기존의 고분자를 상회하는 고기능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가고 있는 동시에 온화한 반응 조건에 의한 제조공정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에 대한 제조방법은 많이 알려져 있으며, 야동 왕(Yadong Wang) 등에 의해 글리세롤과 세바신산을 금속촉매하에 축합 중합 반응을 시켜 생분 해성 고분자인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poly(glycerol-sebacate), PGS]를 제조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Yadong Wang, Guillermo A. Ameer, Barbara J. Sheppard, Robert Langer, Nature Biotechnology, vol. 20, June 2002, 602~606).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금속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감압하에서 열을 가하는 등 반응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체에 해가되지 않으며, 반응공정이 간단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효소를 촉매로 사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하게 되었다. 효소를 촉매로 한 고분자의 중합 공정 개발은 효소에 의한 고분자의 특이한 구조제어 및 기능의 부가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내열성 고분자의 개발 및 기존의 플라스틱의 공정 전환, 신기능의 부여 등을 목표로 응용분야에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효소촉매반응의 특징은 종래의 중합반응에서는 실현할 수 없었던 저온, 상압조건하에서 행하는 동시에 부생물이 적고, 경우에 따라서는 물과 탄산가스만이라는 조건에서 공정이 가능하게 된다. 고기능 고분자 및 고분자 중간물을 환경부하가 적은 효소산소 공정으로 제조하는 길이 열리게 되어, 조기의 실용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체외에서 효소를 이용한 유기반응은 잠재적인 응용가능성으로 인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효소를 이용한 유기반응은 첫째, 온도, 압력, pH 등 온화한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고 에너지 효율 면에서 높게 평가되며, 둘째, 제약이나 농예 화학에서 규칙적인 입체 화학을 통하여 새로운 반응의 개발이 가능하고, 셋째, 그린화학에서 요구하는 인체에 무해한 자연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효소를 이용한 고분자 중합반응은 락톤계(lactones)의 고리 열림 중합, 디애시드(diacid) 유도체와 디올(diol)의 축합 중합, 히드록시애시드(hydroxyacid)와 에스테르(ester)의 축합 중합이 있다. 화학반응에서 효소가 촉매로 사용된 메커니즘으로는 리파제로 촉매화된 아실레이션(lipase-catalysed acylation) 및 제거반응(elimination)이 알려져 있고, 인체에 적용되는 물질 생산에서 인체에 해롭지 않은 촉매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상기 중합 반응 중 디애시드(diacid) 유도체와 디올(diol)의 축합 중합 반응의 경우, 대부분이 1차 알콜기를 가진 디올만 사용하였고, 2차 알콜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2차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다가 알콜 단량체와 디카르복실기를 가진 산 단량체를 효소촉매 존재 하에 축합 중합 반응시켜 생분해성 고분자를 제조하게 되었으며, 이렇게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가 자연 친화적이며, 중합 반응시 반응 시간에 따라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를 제공하고자 한 다.
본 발명은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은 2차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다가 알콜 단량체와 디카르복실기를 가진 산 단량체를 효소촉매 존재 하에 축합 중합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며,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4037194024-pat00001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2차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다가 알콜 단량체는 글리세롤,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및 2,4-펜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디카르복실기를 가진 산 단량체는,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단량체이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세바신산(sebacic acid)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효소촉매는, 가수분해효소인 리파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캔디다 안탁티카 리파제 B(Candida antarctica lipase B)가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는 세린-히스티딘-아스파탐(Ser-His-Asp)의 아미노산을 가진다. 상기 효소는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사의 노보짐 435 (Novozym 435)]. 공지된 제조방법의 예로, 칸디다 균주들은 동화가능한 탄소 및 질소원 뿐만 아니라 필수 무기질, 미량원소 등을 함유한 영양배지에서 호기성 조건하에서 배양될 수 있고 이 배지는 관행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배양후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여 액체효소 농축액을 만들고, 그런 다음 배양액을 증발 또는 역삼투로 농축할 수 있다. 농축액을 염 또는 물과 혼합될 수 있는 용매, 예컨대 에탄올로 침전시키거나 또는 공지방법에 따라 분무건조 따위의 건조에 의해 고체 효소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용매는, 톨루엔 또는 자 일렌 중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며, 기질과 반응생성물이 매우 잘 녹고 효소가 양호한 안정성과 활성을 유지하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프로판-1,2-디올-세바케이트[poly(propan-1,2-diol-sebacate); PPS], 폴리(부탄-1,3-디올-세바케이트[poly(butan-1,3-diol-sebacate); PBS], 폴리(부탄-2,3-디올-세바케이트)[poly(butan-2,3-diol-sebacate); PBS] 및 폴리(펜탄-2,4-디올-세바케이트)[poly(pentan-2,4-diol-sebacate); PPS]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는 축합중합 과정 시 효소를 사용하여 중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자연 친화적이고, 중합 반응시 반응 시간에 따라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어 약물 방출 시스템에서의 약물량 조절, 조직공학에서의 환자가 원하는 생체조직 재생을 위한 지지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폴리 (글리세롤- 세바케이트 )[poly(glycerol- sebacate ); PGS ]의 제조
세바신산(sebacic acid, 0.2㏖)이 녹아 있는 톨루엔 30㎖에 글리세롤(0.2㏖)을 첨가하고, 아르곤(argon) 분위기에서 한시간 동안 55℃에서 교반하였다. 촉매로 효소 B(5 wt%)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100℃에서 72시간 반응시켰다. 딘-스탁 랩(dean-stark trap) 장치를 이용하여 축합 반응시켰다. 최종 생성물을 24시간 동안 감압하에 건조하였다.
실시예 2 : 폴리 (프로판-1,2- 디올 - 세바케이트 )[poly( propan -1,2- diol -sebacate); PPS ]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리세롤 대신 1,2- 프로판디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폴리 (부탄-1,3- 디올 - 세바케이트 )[poly( butan -1,3- diol -sebacate); PBS ]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리세롤 대신 1,3-부탄디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폴리 (부탄-2,3- 디올 - 세바케이트 )[poly( butan -2,3- diol -sebacate); PBS ]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리세롤 대신 2,3-부탄디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폴리 (펜탄-2,4- 디올 - 세바케이트 )[poly( pentan -2,4- diol -sebacate); PPS ]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리세롤 대신 2,4-펜탄디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구조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고분자를 1H-NMR 스펙트럼, 13C-NMR 스펙트럼, G-IR 스펙트럼,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y; GPC) 및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1. 1 H- NMR 스펙트럼, 13 C- NMR 스펙트럼
1H-NMR 스펙트럼은 200㎒, 400㎒ 1H NMR 분광계(Bruker, AVANCE 4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 폴리 (글리세롤- 세바케이트 )[ PGS ]
1H-NMR (200㎒, CDCl3) δ4.40-4.00(m, -(C=O)OCH 2 CH (OH)CH 2 O(C=O)-), 4.00-3.60(m, HOCH 2 CH(OH)-), 2.35(t, -OCCC=O)CH2-), 1.63(m, -OCCC=O)CH 2 CH 2 -), 1.31(m, -(CH2)4-)
13C NMR (CDCl3) δ173.9, 70.2, 68.1, 65.1, 65.0, 53.4, 34.2, 34.0, 31.9, 29.6, 29.6, 29.3, 28.8, 24.7, 22.6, 14.0. (173.9 ppm에서의 피크는 합성된 고분자의 에스테르(C=O) 특정 피크이다.)
고분자 모양 : 경화된 노란색 고체
2) 폴리 (프로판-1,2- 디올 - 세바케이트 )[ PPS ]
1H-NMR (200㎒, CDCl3) δ5.18(m, methine H), 4.23 및 4.00(m, -CH2O(C=O)-), 2.29(m, -OCCC=O)CH2-), 1.69(m, -OCCC=O)CH2 CH 2 -), 1.30(m, -(CH2)4-), 1.27(d, J = 6.5㎐, -CH3);
13C NMR (CDCl3) δ173.3, 173.1, 173.0, 67.9, 67.8, 65.9, 34.5, 34.4, 34.2, 29.1, 29.0, 28.0, 28.9, 24.9, 16.3.(173.3, 173.1 및 173.0 ppm 에서의 피크는 에스테르의 특정 피크이다.)
고분자 모양 : 고체
3) 폴리 (부탄-1,3- 디올 - 세바케이트 )[ PBS ]
1H-NMR (200㎒, CDCl3) δ5.00(m, methine H), 4.08(t, J= 6.4㎐, -CH2O(C=O)-), 2.26(m, -OCCC=O)CH2-), 1.84(m, -OCH(CH3)CH2-) 1.58(m, -OCCC=O)CH2 CH 2 -), 1.27(m, -(CH2)4-), 1.21(d, J= 6.3㎐, -CH3);
13C NMR (CDCl3) δ173.6, 173.2, 67.5, 64.8, 61.5, 60.5, 38.0, 34.8, 34.5, 34.2, 34.1, 29.0, 24.9, 24.8, 23.4, 20.0.(173.6 및 173.2 ppm 에서의 피크는 에스테르(C=O)의 특정 피크이다.)
고분자 모양 : 점성이 있는 무색 용액
4) 폴리 (부탄-2,3- 디올 - 세바케이트 )[ PBS ]
1H-NMR (500㎒, CDCl3) δ4.96, 4.84 및 4.74(m, -CHO(C=O)C-), 2.20(m, -O(C=O)CH2-), 1.59(m, -O(C=O)CH2CH 2 -), 1.29(m, -(CH2 )4-), 1.17(d, J=6.5㎐, -CH3);
13C NMR (120㎒, CDCl3) δ173.5, 74.5, 34.5, 29.0, 28.0, 24.9,14.1.(173.5 ppm 에서의 피크는 에스테르(C=O)의 특정 피크이다.)
5) 폴리 (펜탄-2,4- 디올 - 세바케이트 )[ PPS ]
1H-NMR (500㎒, CDCl3) δ5.13, 5.02 및 4.77(m, -CHO(C=O)C-), 2.31(m, -O(C=O)CH2-), 2.00~2.80(m, -OCHCH 2 CHO-) 1.59(m, -O(C=O)CH2 CH 2 -), 1.28(m, -(CH2)4-), 1.23(d, J= 6.5㎐, -CH3);
13C NMR (120㎒, CDCl3) δ173.3, 65.8, 41.8, 34.5, 28.9, 24.8, 20.7.(173.3 ppm 에서의 피크는 에스테르(C=O)의 특정 피크이다.)
2. G-IR 스펙트럼,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 및 열중량분석기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 측정
G-IR 스펙트럼 측정은 FT-IR 분광측정기(spectrophotometer)( Thermonicolet, Nicolet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R 결과는 도 1, GPC 결과는 도 2, 및 TGA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FT-IR 스펙트럼으로 관찰한 결과, 합성된 고분자의 특성 피크인 1740 cm-1 (-C=O)와 28 cm-1 (-CH)이 부근에서 보임으로써, 합성된 생분해성 고분자임을 예상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로 관찰한 결과, 합성된 고분자의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 량이 5000 이고, 무게평균 분자량이 15000 정도이었다. 측정 고분자는 정제 전 샘플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열중량분석기(TGA)로 관찰한 결과, 합성된 고분자의 10% 무게 감소는 (a)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가 193℃, (b) 폴리(프로판-1,2-디올-세바케이트)가 233℃, (c) 폴리(부탄-1,3-디올-세바케이트)가 324℃, (d) 폴리(부탄-2,3-디올-세바케이트)가 257℃, 및 (e) 폴리(펜탄-2,4-디올-세바케이트)는 242℃ 였다 .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는 축합중합 과정 시 효소를 사용하여 중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자연 친화적이고, 중합 반응시 반응 시간에 따라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어 약물 방출 시스템에서의 약물량 조절, 조직공학에서의 환자가 원하는 생체조직 재생을 위한 지지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2차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다가 알콜 단량체와 디카르복실기를 가진 산 단량체를 캔디다 안탁티카 리파제 B 존재 하에 축합 중합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다가 알콜 단량체는 글리세롤,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및 2,4-펜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기를 가진 산 단량체는 세바신산(sebac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프로판-1,2-디올-세바케이트)[poly(propan-1,2-diol-sebacate); PPS].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부탄-1,3-디올-세바케이트)[poly(butan-1,3-diol-sebacate); PBS].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부탄-2,3-디올-세바케이트)[poly(butan-2,3-diol-sebacate); PBS].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펜탄-2,4-디올-세바케이트)[poly(pentan-2,4-diol-sebacate); PPS].
KR1020040065551A 2004-08-19 2004-08-19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KR10057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51A KR100578383B1 (ko) 2004-08-19 2004-08-19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US10/974,118 US7642075B2 (en) 2004-08-19 2004-10-27 Process of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 using an enzyme catalyst and a biodegradable polymer prepared through the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51A KR100578383B1 (ko) 2004-08-19 2004-08-19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048A KR20060017048A (ko) 2006-02-23
KR100578383B1 true KR100578383B1 (ko) 2006-05-11

Family

ID=3590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551A KR100578383B1 (ko) 2004-08-19 2004-08-19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42075B2 (ko)
KR (1) KR100578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99B1 (ko) 2007-03-21 2009-01-30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온 빔 조사에 의해 제조된 분자량이 조절된 생분해성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34215B (en) * 2007-01-26 2010-12-01 Advanced Semiconductor Eng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cap
KR101001855B1 (ko) * 2008-10-22 2010-12-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분해성 및 생체친화성이 우수한 조직재생용 주입형 온도감응성 플루로닉 유도체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TWI568768B (zh) * 2015-12-25 2017-02-01 國立清華大學 生物可分解的聚酯型彈性體之製備方法
JP2022504369A (ja) 2018-10-03 2022-01-13 エコ パッケージング エイピーエス 二酸化炭素ニュートラルかつ生分解性ポリマーの生成方法及びその生成された包装製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5868A1 (en) 1989-06-21 1990-12-27 Novo Nordisk A/S Immobilized lipas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for ester synthesis
KR980009309A (ko) * 1996-07-10 1998-04-30 김상웅 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WO1999042514A1 (de) 1998-02-19 1999-08-26 Bayer Aktiengesellschaft Biologisch abbaubare polyesteramide mit aliphatisch-aromatischen strukturen
US20040019718A1 (en) 2002-07-25 2004-01-29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for receiving user defined frame information structure (FIS) types in a serial-ATA (SATA) system
KR20040066372A (ko) * 2003-01-17 2004-07-27 한국과학기술원 효소를 이용하여 고체 기재의 표면을폴리(1,4-디옥산-2-온)으로 코팅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3898A (en) * 1986-10-17 1993-12-28 Noro Nordisk A/S Thermally stable and positionally non-specific lipase isolated from Candida
US5147791A (en) * 1989-04-06 1992-09-15 University Of New Mexico Enzyme catalyzed synthesis of polyesters
GB9225054D0 (en) * 1992-11-30 1993-01-20 Baxenden Chem Enzymatic synthesis
DE69826179T2 (de) * 1997-06-12 2005-11-17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 Laminierte Polyesterfoli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5868A1 (en) 1989-06-21 1990-12-27 Novo Nordisk A/S Immobilized lipas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for ester synthesis
KR980009309A (ko) * 1996-07-10 1998-04-30 김상웅 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WO1999042514A1 (de) 1998-02-19 1999-08-26 Bayer Aktiengesellschaft Biologisch abbaubare polyesteramide mit aliphatisch-aromatischen strukturen
US20040019718A1 (en) 2002-07-25 2004-01-29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for receiving user defined frame information structure (FIS) types in a serial-ATA (SATA) system
KR20040066372A (ko) * 2003-01-17 2004-07-27 한국과학기술원 효소를 이용하여 고체 기재의 표면을폴리(1,4-디옥산-2-온)으로 코팅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99B1 (ko) 2007-03-21 2009-01-30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온 빔 조사에 의해 제조된 분자량이 조절된 생분해성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39980A1 (en) 2006-02-23
US7642075B2 (en) 2010-01-05
KR20060017048A (ko)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nani et al. Enzymatic polyesterification in organic media. Enzyme‐catalyzed synthesis of linear polyesters. I.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linear hydroxyesters. II.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ϵ‐caprolactone
Nobes et al. Lipase-catalyzed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lactones: a novel route to poly (hydroxyalkanoate) s
Umare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biodegradable studies of 1, 3-propanediol based polyesters
CN106947067B (zh) 一种聚酯的制备方法
Liu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synthesis of biodegradable polyesters by sustainable polymerization: lipase-catalyzed polymerization
Stavila et al. Lipase-catalyzed ring-opening copolymerization of ε-caprolactone and β-lactam
Bizzarr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malolactonate polymers and copolymer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Huong et al. Pilot scale production of poly (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biopolymers with high molecular weight and elastomeric properties
Uyama et al. Enzymatic synthesis of aromatic polyesters by lipase-catalyzed polymerization of dicarboxylic acid divinyl esters and glycols
CN111592644B (zh) 一种环状单体开环聚合方法
Duchiron et al. Mixed systems to assist enzymatic ring opening polymerization of lactide stereoisomers
Bassanini et al. Dicarboxylic esters: Useful tools for the biocatalyzed synthesis of hybrid compounds and polymers
Jedliński et al. Novel synthesis of functionalized poly (3-hydroxybutanoic acid) and its copolymers
KR100578383B1 (ko) 효소촉매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Feng et al. Lipase‐catalyzed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3 (S)‐isopropylmorpholine‐2, 5‐dione
Kumar et al. Biocatalytic “Green” Synthesis of peg-based aromatic polyesters: Optimization of the substrate and reaction conditions
Jaipuri et al. Protic acid-catalyzed polymerization of β-lactones for the synthesis of chiral polyesters
Kumar et al. Chemo-enzymatic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functionalized amphiphilic polymers
Shuai et al. Enzymatic synthesis of polyesters from hydroxyl acids
JP5229917B2 (ja) 乳酸オリゴ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Mahapatro et al. Biodegradable poly-pentadecalactone (PDL) synthesis via synergistic lipase and microwave catalysis
Feng et al. Investigation on lipase-catalyzed solution polymerization of cyclic carbonate
CA2586040A1 (en) Sustained release of active molecules from polymers topically applied to skin or hair
Yu et al. Organocatalyzed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Functionalized Poly (4-allyloxymethyl-β-propiolactone) s
Farhat et al. Lactone monomers obtained by enzyme catalysis and their use in reversible thermoresponsiv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