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370B1 -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370B1
KR100578370B1 KR1019990019414A KR19990019414A KR100578370B1 KR 100578370 B1 KR100578370 B1 KR 100578370B1 KR 1019990019414 A KR1019990019414 A KR 1019990019414A KR 19990019414 A KR19990019414 A KR 19990019414A KR 100578370 B1 KR100578370 B1 KR 100578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nner case
roller support
support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060A (ko
Inventor
강호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1999001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370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4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by gripper or dummy shuttl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내부에 사용되는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지지장치는, 냉장고의 인너케이스 내부로 돌출한 내측단부에는 롤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인너케이스 외측으로 삽입되는 롤러지지부재와; 상기 롤러지지부재의 중심부분을 삽입한 상태로,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촉지지되는 보강부재; 그리고 상기 롤러지지부재의 외측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롤러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강부재의 내측단부는 인너케이스에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삽입된 보강부재의 내측단부에는, 롤러지지부재의 외주연에 성형된 지지플랜지와 접촉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은 보강부재에 의하여 지지되고, 롤러지지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력에 의하여 고정된다.
냉장고, 롤러

Description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Roller supporting device used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롤러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롤러 14 ..... 롤러지지부재
16 ..... 보강부재 18 ..... 체결부재
20 ..... 인너케이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내부에 사용되는 롤러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및 롤러상에 걸리는 부하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용도로 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의 원활한 출입을 위하여 선반이 롤러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사용되기도 한다. 또는 싱싱실과 같은 다소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싱싱실을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또는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김치전용 냉장고에 있어서는, 김치를 보관하는 용기가 냉장고의 도어와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도어를 서랍식으로 냉장고 본체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가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롤러가 장착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이와 같은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롤러(2)는 냉장고의 내부에서 롤러지지부재(4)의 단부에,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물론 상기 롤러(2)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냉장고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 또는 김치냉장고에서의 도어를 지지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출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롤러(2)는 롤러지지부재(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롤러지지부재(4)는, 냉장고의 내벽을 형성하는 인너케이스(10)에 관통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지지부재(4)의 중심부분에는 지지플랜지(4a)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상태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플랜지(4a)는 인너케이스(10)의 내측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인너케이스(10)를 관통하고 있는 롤러지지부재(4)의 좌측단부에는 너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체결부재(6)에 의하여 나사결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롤러지지부재(4)의 좌측단부의 외주연은 나사처리되어 있고, 체결부재(6)은 상기 롤러지지부재(4)의 좌측단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처리된 나사공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지지부재(4)와 체결부재(6)가 서로 나 사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롤러지지부재(4)가 인너케이스(10)에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인너케이스(10)의 외측부분은 발포단열재를 충진하는 것에 의하여 발포단열층(In)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롤러지지부재(4)를 체결부재(6)를 이용하여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부재(6)와 롤러지지부재(4) 사이에 충분한 체결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재(6)를 충분하게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롤러지지부재(4)와의 사이에 강한 체결력을 부여하면, 이러한 체결력은 인너케이스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6)와 롤러지지부재(4) 사이의 체결압력에 의하여 인너케이스(10)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인너케이스(10)가 변형된다는 것은, 냉장고의 내면에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냉장고의 문을 열었을 경우 외관상의 단점은 물론, 변형된 인너케이스(10)는 충분한 지지력에 견딜 수 없는 단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하중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2)는 그 상부에 걸쳐지는 선반 등(김치전용 냉장고에 있어서는 김치저장용기를 지지하고 있는 도어)에 의하여 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일정한 하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지지부재(4)가 하방으로 하중을 받으면, 롤러지지부재(4) 자체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되는 단점도 있음은 물론, 이러한 하중은 결국 인너케이스(10)에 작용하게 되어, 인너케이스(10)의 변형도 우려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롤러지지장치에 의하면 롤러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관찰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롤러지지부재(4)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력과, 롤러(2)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위한 반력이 단순히 체결부재(6) 하나에만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재(6)에 의하여, 롤러지지부재(4)를 체결하는 체결력과 롤러(2)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부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재(6) 하나에 의한 지지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내부에 체결되어 소정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지지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력과,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힘을 각각 분산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지지장치는, 냉장고의 인너케이스 내부로 돌출한 내측단부에는 롤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인너케이스 외측으로 삽입되는 롤러지지부재와; 상기 롤러지지부재의 중심부분을 삽입한 상태로,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촉지지되는 보강부재; 그리고 상기 롤러지지부재의 외측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롤러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은 롤러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롤러지지부재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다. 따라서 롤러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롤러지지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롤러 및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더욱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부재의 내측단부는 인너케이스에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인너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된 보강부재의 내측단부에는, 롤러지지부재의 외주연에 성형된 지지플랜지가 접촉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구조를 보인 도 1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단부(14a)(도면상에서는 우측단부)에 롤러(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재(14)의 외측단부(14b)(도면상에서는 좌측단부)는 인너케이스(20)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롤러지지부재(14)의 외측(도면상에서 좌측)은 보강부재(16)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고, 그 외측에는 체결부재(18)이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지지부재(14)의 중간부분에는 지지플렌지(14f)가 외주연에서 돌출된 상태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16)는, 롤러지지부재(14)를 밀착, 삽입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 기 때문에, 상기 롤러지지부재(14)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하중은 실질적으로 보강부재(16)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보강부재(16)의 일측면은, 비교적 넓은 표면적으로 인너케이스(20)와 접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6)의 내측단부(16a)는, 인너케이스(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인너케이스(20)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단부(16a)는 롤러지지부재(14)의 지지플랜지(14f)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물론 상기 보강부재(16)의 내측단부(16a)와 지지플랜지(14f)의 접촉점은 적어도 상기 인너케이스(20)의 내측면(냉장고의 내부의 면)과 동일하거나, 냉장고의 내부로 돌출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지지부재(14)의 외측단부(14b)의 외주면에는 나사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단부(14b)의 나사가공된 부분에는 체결부재(18)가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부재(18)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가공된 너트와 유사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롤러지지부재(14)의 외측단부는 체결부재(18)와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롤러지지부재(14)의 나사처리된 외측단부(14b)에 체결부재(18)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플랜지(14f)와 체결부재(18) 사이에서 보강부재가 충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18)를 회전시켜 조이면 된다.
이상과 같은 조립구성이 완료된 다음, 상기 인너케이스(20)의 외측부분에는 발포단열재가 충진되어, 냉장고의 외부케이싱(도시 생략)과의 사이에는 발포층(In)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되는 발포층(In)은, 인너케이스(20)의 외측과 냉장고의 외부케이싱(도시 생략) 사이에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보강부재(16)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12)를 지지하는 지지력은 다음과 같은 분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2)를 인너케이스(2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두가지의 힘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중 하나는 상기 롤러(12)를 지지하고 있는 롤지지지부재(14)를 인너케이스(20)의 내측에 고정(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수평방향의 체결력)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롤러(12)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하중(도면상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지지부재(12)를 인너케이스(20)의 외측에 체결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너트형상의 체결부재(18)이다. 즉 상기 체결부재(18)는, 롤러지지부재(12)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롤러지지부재(12)를 냉장고의 인너케이스(20) 측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12)에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화살표 참조)은, 보강부재(16)에 의하여 주로 지지되고 있다. 즉 롤러지지부재(14)가 상기 보강부재(16)의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롤러(12)에 의하여 롤러지지부재(14)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하중은, 주로 상기 보강부재(16)에 전달된다. 보강부재(16)는, 비교적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인너케이스(20)의 외측에 접촉상태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 여 하중을 지지하는데 더욱 유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12)를 지지하기 위한 롤지지부재(14)를 보강부재(16) 및 체결부재(18)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다. 즉, 체결부재(18)는 롤러지지부재(14)를 인너케이스(20)의 외측에서 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보강부재(16)는 롤러지지부재(14)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롤러(12)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부재(14)를 더욱 견고한 상태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롤러(12)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하게 견딜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롤러지지부재(14)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면에서 볼 때, 보강부재(16)를 사이에 두고 롤러지지부재(14)의 외측단부(14b)를 너트형상의 체결부재(18)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압에 의한 인너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재(18)의 체결압은 롤러지지부재(14)의 지지플랜지(14f)에 의하여 보강부재(16)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 인너케이스(20)에는 체결압이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롤러지지부재(14)의 고정을 위한 체결압에 의하여 인너케이스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지며, 인너케이스의 변형에 의하여 롤러지지부재와 인너케이스 사이에 유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롤러(12)의 동작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롤러(12)에 걸리는 하중은, 체결부재(18)와 롤러지지부재(14)의 사이에 삽입된 보강부재(14)에 주로 전달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충분히 무거운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다는 것은, 장기간 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서, 실질적으로 제품을 품질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Claims (3)

  1. 내측단부에는 롤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외측단부가 인너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는 롤러지지부재와;
    내부에 상기 롤러지지부재가 밀착 삽입된 상태로,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촉지지되는 보강부재; 그리고
    상기 롤러지지부재의 외측단부와 나사결합하여, 롤러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롤러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내측단부는 인너케이스에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냉장고의 롤러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인너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된 보강부재의 내측단부에는, 롤러지지부재의 외주연에 성형된 지지플랜지와 접촉한 상태 설치되는 냉장고의 롤러지지장치.
KR1019990019414A 1999-05-28 1999-05-28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 KR100578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414A KR100578370B1 (ko) 1999-05-28 1999-05-28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414A KR100578370B1 (ko) 1999-05-28 1999-05-28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060A KR20000075060A (ko) 2000-12-15
KR100578370B1 true KR100578370B1 (ko) 2006-05-11

Family

ID=1958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414A KR100578370B1 (ko) 1999-05-28 1999-05-28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7019B2 (en) 2004-02-11 2012-06-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56B1 (ko) * 2005-10-18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저장실용 롤러
CN104501496B (zh) * 2015-01-07 2017-01-1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DE102015212339A1 (de) * 2015-07-01 2017-01-0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reduzierter Wandstärke in einem Verschraubungsbereich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ushaltsgerä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072U (ko) * 1978-02-28 1979-09-07
JPS60167991U (ja) * 1984-04-16 1985-11-07 日幸工業株式会社 断熱箱体のねじ止め具
JPH03100795A (ja) * 1989-09-13 1991-04-25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冷却制御装置
JPH05180557A (ja) * 1991-10-14 1993-07-23 Hitachi Ltd 冷凍冷蔵庫
JPH08159648A (ja) * 1994-12-05 1996-06-21 Matsushita Refrig Co Ltd 引出し扉用ローラ部材および引出し扉用ローラ部材を備えた冷蔵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072U (ko) * 1978-02-28 1979-09-07
JPS60167991U (ja) * 1984-04-16 1985-11-07 日幸工業株式会社 断熱箱体のねじ止め具
JPH03100795A (ja) * 1989-09-13 1991-04-25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冷却制御装置
JPH05180557A (ja) * 1991-10-14 1993-07-23 Hitachi Ltd 冷凍冷蔵庫
JPH08159648A (ja) * 1994-12-05 1996-06-21 Matsushita Refrig Co Ltd 引出し扉用ローラ部材および引出し扉用ローラ部材を備えた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7019B2 (en) 2004-02-11 2012-06-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060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7716A (en) Lock mechanism
JP4222733B2 (ja) 冷却貯蔵庫
KR100578370B1 (ko) 냉장고용 롤러지지장치
CA2273475C (en) Refrigerator door epaulet
US6112344A (en) Grab bar
US20160244993A1 (en) Adjustable Rod Guide
JPH10323249A (ja) 組立て式箱体の転倒防止装置
JPH0868590A (ja) 冷蔵庫の箱体
WO2017087618A1 (en) Intermittent locking door mechanism
KR200220722Y1 (ko) 경대
KR100210104B1 (ko) 대형 냉장고용 도어의 힌지 구조
JPH0743422Y2 (ja) 仮設ハウス用取付枠の締付機構に用いるネジ付締付部材
KR20015116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버스의 화물칸 도어용 스테이
KR0117670Y1 (ko)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US11619257B2 (en) Universal joint assembly
KR200142486Y1 (ko) 냉장고의 내상과 지지구 결합장치
KR960006770Y1 (ko) 냉장고의 도어의 힌지장치
JP2595065B2 (ja) 冷蔵庫
KR200186553Y1 (ko) 가구용 받침구
KR200142549Y1 (ko) 차량용 도어 풀 핸들 설치구조
JPH1132858A (ja) 突っ張り固定型の収納棚
KR0114037Y1 (ko) 나사체결용 사다리형 보스구조
KR970005935Y1 (ko) 냉장고의 부품 고정구
KR200155490Y1 (ko) 냉장고 도어 상부 힌지 결합구조
KR200214205Y1 (ko) 해체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