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831B1 - 고용해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고용해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831B1
KR100577831B1 KR1020000005938A KR20000005938A KR100577831B1 KR 100577831 B1 KR100577831 B1 KR 100577831B1 KR 1020000005938 A KR1020000005938 A KR 1020000005938A KR 20000005938 A KR20000005938 A KR 20000005938A KR 100577831 B1 KR100577831 B1 KR 10057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acid ester
polyhydric alcohol
compositio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477A (ko
Inventor
오사카미쓰아키
아사히요시오
가이토미쓰마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투명 음료 등에 첨가할 때에 고도로 용해·분산시켜 침전 또는 석출물, 탁도 등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에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를 배합한다.
고용해성 조성물, 식품,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다관능성 카복실산, 글리세라이드.

Description

고용해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High-solubility composition and food product contain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HLB(친수 친유 평형)가 5 이상인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동시에 물에 잘 용해되는 고용해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것은 특히 투명한 식품에 첨가하는 데 적절하다.
식품용의 첨가제로서는 여러가지가 공지되어 있으며 각각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첨가제의 한종류인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도 예를 들면, 향료, 전분, 유지 성분, 단백질, 생리 활성 물질의 분산, 가용화 등의 용도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안전성이 높은 유화제이며, 각종 식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기의 종류 및 에스테르화도에 따라 다양한 것이 시판되고 있지만, 이중에는 분산, 가용화 작용과 함께 높은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있으며 커피 음료 등에 첨가하여 응집물이나 침전의 생성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열 아포균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도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와 동일하게 지방산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이며 유화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와 동일하게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PET 병 등의 투명 용기에 투입된 음료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명한 외관을 갖는 음료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한 외관을 갖는다」란 문자 그대로 투명한 것 이외에 불용성 성분, 난용성 성분, 착색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이것이 고도로 유화 내지는 분산되어 있으며 관능적으로 투명하게 보이는 것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투명한 외관을 갖는 식품의 개발은 의외로 곤란하다. 예를 들면, 이들 식품에 항균, 유화 등의 목적으로 고친수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하면 식품중의 공존 성분의 영향에 따라 보존중에 탁도 또는 침전이 생겨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은 첨가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자체가 석출하여 탁도 또는 침전으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식품중의 공존 성분과 함께 석출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첨가한 투명한 외관을 갖는 식품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보존하는 데는 첨가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석출을 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용해성이 개선된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이의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고용해성 조성물은 HLB가 5 이상인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식품은 상기한 조성물을 함유하고 있어서 장기간에 걸쳐 석출물 또는 응집물의 발생으로 인해 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는 HLB가 5 이상이다. HLB가 5 미만에서는 용해성이 낮으며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와 병용해도 충분한 용해성이 수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의 HLB는 7 이상, 특히 8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HLB는 아틀라스 계산식에 의해 산출한다. 아틀라스 계산식은 HLB=20×(1-검화가/중화가)에 의해 계산된다(고쇼보 히다카 도오루저「식품용 유화제」제2판). 검화가는 다가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1g을 수산화칼륨으로 가수분해할 때에 소비되는 수산화칼륨의 mg수이고, 중화가는 다가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구성 지방산 1g을 중화하기 위해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mg수이고, 각 각 다가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구조식으로부터 계산하거나, 일반적인 유지 분석방법(마루젠가부시키가이샤 니혼유가가쿠교가이편 유지화학 편람 등)에 따라 실측할 수 있다.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의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 탄소수 6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2,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구성 지방산의 탄소쇄 길이가 짧으면 특이한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탄소쇄 길이가 너무 길면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의 용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산을 예시하면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엘카산 등이다.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용해성이 낮지만, 이들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도 본 발명에 따라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와 조합함으로써 용해성이 높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 식품 첨가물로서 인정되는 것이라든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친수성이 높은 것이 수득되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모노에스테르 함량이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모노에스테르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에 투명성이 충분하지 않거나 장기간의 보존중에 탁도 또는 침전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모노에스테르 함량이 80중량% 이상, 특히 90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예시하면 자당 모노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자당 모노팔미트산 에스테르, 자당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자당 모노베헨산 에스테르 등이다.
또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글리세린 중합도는 임의적이지만 4 이상, 특히 6 이상인 것이 친수성이 높고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HLB는 6 이상, 특히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은 상기한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에 가용화제로서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를 배합한 것이다.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로서는 모노에스테르 함량이 4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이고, 또한 구성 지방산의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 탄소수 6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2,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인 것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는 글리세린에 다관능성 카복실산과 지방산이 1개씩 결합된 락트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석신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시트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50중량% 이상, 특히 6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것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석신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시트르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디아세틸타르타르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용해력이 높은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시판하는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일반적으로 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이다.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는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의 1중량부에 대해 0.05중량부 이상으로 되도록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0.07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한다. 상한은 2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로서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1중량부에 대해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가 0.1중량부 이상, 특히 0.2중량부 이상으로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의 상한은 0.7중량부 이하, 특히 0.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상기한 범위에서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분산, 용해시키는 작용이 특히 강하 게 발현된다.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방법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를 적당한 용매에 첨가하여 균일한 용액 내지는 분산액으로 한 다음, 용매를 증류 제거하는 방법,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를 혼합하여 분쇄 내지는 혼련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은 식품중에 통상적으로 1 내지 10000ppm으로 되도록 함유시킴으로써 탁도 또는 침전을 발생시키지 않고 조성물 중의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가 소정의 효과를 발현한다. 예를 들면,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조성물을 항균, 유화를 목적으로 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식품에 대하여 3 내지 5000pp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ppm 내지 1000ppm으로 되도록 첨가함으로써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미리 조성물을 형성시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각 성분을 따로따로 첨가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첨가할 때에는 조성물 또는 이의 각 성분을 미리 물 등에 용해시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은 국수 국물, 조미용 양념 국물, 스프, 커피, 홍차, 녹차, 과즙, 또는 젤리나 한천 제품 등에 종래부터 자당 지방산 에스 테르를 위시해서 유화제 등을 첨가하는 것이 권장되는 식품 일반에 광범위하게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은 pH 4.5 내지 7의 약산성 식품, 또는 pH 2.0 내지 4.5의 산성 식품중의 어디에 첨가하는 경우에도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pH 4.5 내지 7의 약산성 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맛 조미료, 콩자반, 국수 국물, 야채 국물, 식물로부터의 추출액, 조미용 양념 국물, 간장 등의 조미료, 스프, 반찬, 푸린, 달걀 두부, 단술 맛 조미료, 농축 엑기스, 꼬치 등의 식품, 블랙 커피, 감미료 투입 커피 등의 밀크를 함유하지 않는 커피류, 녹차, 볶은 차, 엽차, 옥로차, 우롱차, 홍차 등의 차잎 추출액을 함유하는 차음료, 보리차, 율무차, 현미차, 옥수수차, 콩차 등의 곡물차, 또는 두충차, 제비집차, 감미차, 쟈스민차, 벚나무잎차, 모시 삼잎차, 다시마차, 삼백초차, 푸알차, 김네마차, 마테차, 얼룩조릿대차, 루이보스차, 기타 식물을 원료로 하는 차 및 이들 몇가지를 혼합한 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H가 2 내지 4.5인 산성 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젤리, 드레싱, 과일 가공품에 사용하는 시럽, 채소 절임, 채소 절임 국물, 토마토 조림, 과즙, 말산, 시트르산, 인산 등의 산미료를 함유하는 식품, 과일 음료, 과즙 투입 청량음료, 벌꿀 투입 음료, 과일즙 음료, 과육 음료, 과육 투입 과일음료, 과육 투입 청량음료, 토마토 음료, 야채 음료, 야채 투입 혼합 과즙음료, 레몬 티, 기능성 음료, 영양 음료, 디저트 드링크, 스포츠 드링크, 기타 과즙, 말산, 시트르산, 인산 등의 산미료를 함유하는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pH가 낮은 식품의 경우에는 이의 산성도에 따라 첨가하는 고용해성 조성물 중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분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식품의 pH는 3 이상이며, 3.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성 식품에 제공하는 경우,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로서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은 매우 용해성이 양호하며, 이를 첨가한 식품은 장기간 보존해도 응집, 석출, 침전 등의 식품 외관을 손상시키는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보존중에 응집, 석출, 침전 등이 일어나면 외관이 악화되어 상품가치를 상실시키는 식품, 예를 들면, 차음료 또는 각종 과즙의 맛을 내는 물에 유사한 음료 등에 적절하게 적용된다. 또한, 과육 또는 펄프 등이 현탁되어 있는 음료 등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음료도 외관이 투명한 음료와 같이 보존중에 응집, 석출, 침전 등이 일어나면 외관이 악화되어 상품가치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한 외관」이란 바람직하게는 탈염수를 대조로 하여 광로 길이 10mm에서 650nm에서의 흡광도가 0.5 이하인 투명성,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의 투명성인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흡광도 0.5 이하의 투명한 외관을 갖는 음료란 예를 들면, 무색 투명한 산성 음료에서는 흡광도 0.00 내지 0.02, 바람직하게는 0.00 내지 0.01, 유색 투명한 산성 음료에서는 흡광도 0.00 내지 0.05, 바람직하게는 0.00 내지 0.02, 혼합차에서는 흡광도 0.00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0 내지 0.01, 홍차, 우롱차에서는 흡광도 0.01 내지 0.3, 바람직하게는 0.00 내지 0.15의 투명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첨가하는 식품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상기와 같은 외관이 투명한 식품이며, 고용해성 조성물을 첨가하기 전의 광로 길이 10mm에서 650nm에서의 흡광도와 첨가하여 충분하게 균일하게 한 후의 광로 길이 10mm에서 650nm에서의 흡광도와의 차(첨가후의 흡광도-첨가전의 흡광도)가 0.04 이하인 것이다. 이러한 차가 큰 것은 첨가한 조성물로부터 빛을 확산하는 미세한 부유물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장기 보존중에 침전 또는 탁도가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흡광도 차는 0.03 이하가 바람직하며, 0.0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장기 보존 후에도 고용해성 조성물 첨가시의 흡광도가 유지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외관에 상품가치를 두는 식품은 PET 병, 유리병, 또한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기타 투명한 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유통 과정에서 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지 않는 것이 상품가치를 유지하는 데에 필요불가결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HLB가 5 이상인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지지만, 경우에 따라 이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동식물유 등의 유지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알콜류, 향료, 영양 성분, 비타민류, 카테킨류, 식물 추출 엑기스, 동물 추출 엑기스, 색소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표 1에 기재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와 표 2에 기재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고,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로서 표 3에 기재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6 및 비교예 1 내지 4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를 배합하고, 여기에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의 농도가 1%로 되도록 탈염수를 가하여 용해시켜 고용해성 조성물의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100ml의 샘플병에 시판되는 투명한 혼합차(pH 6.3)를 80g 투입하고, 항온수조 속에서 70℃로 한 다음, 여기에 상기에서 조제한 수용액을 표 4에 기재된 첨가 농도로 되도록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2분 동안 방치한 후에 수냉각하였다. 이것을 5℃의 냉장고에 28일 동안 정치 보관하였다. 이에 관해서 육안으로 외관 관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침전물을 현탁시키기 위해 진탕시킨 다음, 650nm에서의 흡광도 측정을 수행하여 고용해성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은 물을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완전히 동일하게 조제하여 보관한 것과의 흡광도 차를 구하였다.
흡광도의 측정은 분광광도계(시마쓰세이사쿠쇼 UV-150-0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판되는 혼합차의 초기의 흡광도는 0.045이고, 여기에 고용해성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물을 첨가하여 28일 동안 보관한 후의 흡광도는 0.043였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표중 외관(○, △, ×)은 하기의 기준으로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 부유물, 침전 없음.
△: 가벼운 진탕으로 소실하는 미량의 부유물, 침전이 있다.
×: 명확한 침전, 부유물이 있다.
실시예 17 내지 33 및 비교예 5 내지 12
음료를 시판되는 투명한 산성 과즙음료(pH 3.5)로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한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판되는 투명한 산성 음료의 초기 흡광도는 0.001이고, 여기에 고용해성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은 물을 첨가하여 28일 동안 보관한 후의 흡광도는 0.001이었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한다.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약칭 지방산 순도 HLB 비고
SE93 팔미트산 99% 10.9 모노에스테르 93%, 디에스테르 7%
P-1670 팔미트산 80% 10.4 모노에스테르 80%, 디에스테르 20%
S-1570 스테아르산 70% 9.5 모노에스테르 70%, 디에스테르 25%, 트리에스테르 5%
S-1170 스테아르산 70% 9 모노에스테르 60%, 디에스테르 30%, 트리에스테르 10%
S-570 스테아르산 70% 7.2 모노에스테르 30%, 디에스테르 35%, 트리에스테르 35%
표 1에서, SE93은 미쓰비시가가쿠후드가부시키가이샤제 료트슈가 에스테르 모노에스테르 P, P-1670은 미쓰비시가가쿠후드가부시키가이샤제 료트슈가 에스테르 P-1670, S-1570은 미쓰비시가가쿠후드가부시키가이샤제 료트슈가 에스테르 S-1570, S-1170은 미쓰비시가가쿠후드가부시키가이샤제 료트슈가 에스테르 S-1170, S-570은 미쓰비시가가쿠후드가부시키가이샤제 료트슈가 에스테르 S-570이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약칭 지방산 순도 HLB 비고
S-20D 스테아르산 70% 11.3 데카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
S-18.5T 스테아르산 70% 7.1 테트라글리세린 세스퀴스테아레이트
DM 미리스트산 80% 이상 7 이상 디글리세린 모노미리스테이트
표 2에서, S-20D는 미쓰비시가가쿠후드가부시키가이샤제 료트폴리글리에스테르 S-20D, S-18.5T는 사카모토야쿠힝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SY 글리스타 MS-310, DM은 리켄비타민가부시키가이샤제 포엠 DM-100이다.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
약칭 주성분 비고
DATEM1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포엠 W-20(*1) 산가 105mgKOH/g 검화가 497mgKOH/g
DATEM2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상소후트 제641D호(*2) 산가 98mgKOH/g, 검화가 403mgKOH/g
석신산 MG 석신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상소후트 제681NU호(*2)
시트르산 MG 시트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상소후트 제621B호(*2)
락트산 MG 락트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상소후트 제661AS호(*2)
(*1) 리켄비타민가부시키가이샤제 (*2) 니치린가가쿠가부시키가아샤제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 흡광도차 외관
번호 종류 첨가량/ppm 종류 첨가량/ppm
실시예 1 SE93 100 DATEM1 5 0.004
실시예 2 SE93 100 DATEM1 30 0.000
실시예 3 SE93 100 DATEM2 5 0.004
실시예 4 SE93 100 DATEM2 30 0.001
실시예 5 SE93 100 석신MG 5 0.001
실시예 6 SE93 100 석신MG 25 0.000
실시예 7 SE93 100 석신MG 50 0.000
실시예 8 SE93 100 시트르MG 5 0.002
실시예 9 SE93 100 시트르MG 25 0.001
실시예 10 SE93 100 시트르MG 50 0.000
실시예 11 SE93 100 락트산MG 25 0.007
실시예 12 P-1670 50 DATEM1 25 0.003
실시예 13 P-1670 50 DATEM1 50 0.006
실시예 14 P-1670 100 DATEM1 25 0.002
실시예 15 S-18.5T 100 DATEM1 50 0.037
실시예 16 DM 100 DATEM1 25 0.019
비교예 1 SE93 100 - 0 0.023 ×
비교예 2 P-1670 100 - 0 0.059 ×
비교예 3 S-18.5T 100 - 0 0.136
비교예 4 DM 100 - 0 0.071 ×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 흡광도차 외관
번호 종류 첨가량/ppm 종류 첨가량/ppm
실시예 17 SE93 100 DATEM1 5 0.016
실시예 18 SE93 100 DATEM1 30 0.002
실시예 19 SE93 100 DATEM2 5 0.022
실시예 20 SE93 100 DATEM2 30 0.000
실시예 21 SE93 100 시트르MG 5 0.032
실시예 22 SE93 100 시트르MG 50 0.011
실시예 23 P-1670 50 DATEM1 25 0.005
실시예 24 P-1670 50 DATEM1 50 0.014
실시예 25 P-1670 100 DATEM1 25 0.006
실시예 26 S-1570 100 DATEM1 25 0.006
실시예 27 S-1170 100 DATEM1 25 0.008
실시예 28 S-570 100 DATEM1 5 0.030
실시예 29 S-570 100 DATEM1 50 0.027
실시예 30 S-20D 100 DATEM1 5 0.013
실시예 31 S-20D 100 DATEM1 50 0.013
실시예 32 S-18.5T 100 DATEM1 50 0.040
실시예 33 DM 50 DATEM1 12.5 0.032
비교예 5 SE93 100 - 0 0.041 ×
비교예 6 P-1670 100 - 0 0.166 ×
비교예 7 S-1570 100 - 0 0.267 ×
비교예 8 S-1170 100 - 0 0.440 ×
비교예 9 S-570 100 - 0 0.132 ×
비교예 10 S-20D 100 - 0 0.019 ×
비교예 11 S-18.5T 100 - 0 0.203 ×
비교예 12 DM 50 - 0 0.104 ×
상기한 결과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서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음료의 투명성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Claims (8)

  1. HLB가 5이상인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해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가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해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카복실산이 결합된 글리세라이드가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석신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시트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해성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투명 음료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해성 조성물.
  5. 제1항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음료.
  6. 제1항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pH 4.5 이상의 식품.
  7. 제1항에 따르는 고용해성 조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pH 4.5 미만의 식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KR1020000005938A 1999-02-10 2000-02-09 고용해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KR100577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32514 1999-02-10
JP3251499 1999-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477A KR20010014477A (ko) 2001-02-26
KR100577831B1 true KR100577831B1 (ko) 2006-05-12

Family

ID=1236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938A KR100577831B1 (ko) 1999-02-10 2000-02-09 고용해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7831B1 (ko)
CN (1) CN1188423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8423C (zh) 2005-02-09
KR20010014477A (ko) 2001-02-26
CN1270171A (zh) 200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0016B2 (en) Flavor composition and stable transparent drink containing the same
JP2008178341A (ja) 多価不飽和脂肪酸含有組成物
US7939120B2 (en) Method of preventing flavor component from degradation
US5914149A (en) Transparent liquid food
US20200275674A1 (en) Creamers compositions with ultra-high oleic oils
KR100662318B1 (ko) 산성 음료 중에서 안정한 항균제 조성물
US5820905A (en) Antifoaming agent and canned drink using the same
US20190364918A1 (en) Creamers compositions
CN100456958C (zh) 香味成分的防劣化剂
JPH0527376B2 (ko)
KR100577831B1 (ko) 고용해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JP3596399B2 (ja) 高溶解性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食品
JP3419351B2 (ja) フレーバ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安定な透明飲料
KR101508375B1 (ko) 투명 유화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품, 식품
JP2000042395A (ja) 高溶解性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食品
JP2000300225A (ja) ショ糖脂肪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分散性組成物
JP3530075B2 (ja) 乳化剤組成物
JPH057968B2 (ko)
JP3704913B2 (ja) 酸性食品
CN115397253B (zh) 含有中链脂肪酸甘油三酯和抗坏血酸的经加热杀菌的容器装饮料
JP2021132582A (ja) 飲食品
Ruiter et al. Major food additives
JP6564201B2 (ja) 酸化防止用乳化組成物
JP2008086216A (ja) 乳飲料
KR101533381B1 (ko) 농축 액체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