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512B1 - 녹색 형광 단백질과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색 형광 단백질과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512B1
KR100577512B1 KR1020040034598A KR20040034598A KR100577512B1 KR 100577512 B1 KR100577512 B1 KR 100577512B1 KR 1020040034598 A KR1020040034598 A KR 1020040034598A KR 20040034598 A KR20040034598 A KR 20040034598A KR 100577512 B1 KR100577512 B1 KR 10057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fl
gfp
expression vector
apoptosis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553A (ko
Inventor
김철우
고재균
양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인프라
김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인프라, 김철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인프라
Publication of KR2004010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6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spectroscopic/fluorescent detection, e.g.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38Shutter clean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8Sealings for gu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chitectur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색 형광 단백질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과 항-세포사멸 단백질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항암제 또는 기타 세포 증식증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Bfl-1, 녹색 형광 단백질, 세포사멸, 항암제

Description

녹색 형광 단백질과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DUCING APOPTOSIS COMPRISING A FUSION PROTEIN OF Bfl-1 AND GREEN FLUORESCENT PROTEIN OR A GENE ENCODING SAME}
도 1은 HEK 293T 세포를 (a) GFP와 Bcl-xL 발현벡터; (b) GFP와 Bfl-1 발현벡터; (c) GFP-Bcl-xL 발현벡터; 및 (d) GFP-Bfl-1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감염 (transfection)시키고 24시간 경과 후에 세포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고,
도 2는 HEK 293T 세포를 GFP와 Bfl-1 발현벡터; GFP-Bcl-xL 발현벡터; 및 GFP-Bfl-1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감염시키고 48시간 경과 후에 세포 추출물을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결과이고,
도 3은 GFP 발현벡터; Bfl-1과 GFP 발현벡터; Bcl-xL과 GFP 발현벡터; GFP-Bcl-xL 발현벡터; 및 GFP-Bfl-1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감염시킨 HEK 293T 세포에서 형질감염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포사멸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GFP 발현벡터; Bfl-1의 N-말단에 GFP를 융합시킨 GFP-Bfl-1 발현벡터; 및 Bfl-1의 C-말단에 GFP를 융합시킨 Bfl-1-GFP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감염시킨 HEK 293T 세포에서 유도된 세포사멸 정도를 비교한 것이고,
도 5는 GFP 발현벡터; Bfl-1의 N-말단에 GFP를 융합시킨 GFP-Bfl-1 발현벡터; β-갈락토시다제 발현벡터; 및 Bfl-1의 N-말단에 β-갈락토시다제를 융합시킨 GalF-Bfl-1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감염시킨 HEK 293T 세포에서 유도된 세포사멸 정도를 비교한 것이고,
도 6은 GFP-Bfl-1 융합단백질에서 Bfl-1의 일부 도메인이 제거된 결실 돌연변이들과 Bfl-1의 N-말단에 β-갈락토시다제를 융합시킨 GalF-Bfl-1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GFP, GFP-Bcl-xL, GFP-Bax, GFP-Bfl-1 및 이의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감염된 HEK 293T 세포에서 유도된 세포사멸 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GFP, GFP-Bcl-xL, GFP-Bax, GFP-Bfl-1 및 GFP-BC 발현벡터 각각으로 HEK 293T 세포를 형질감염시키고 48시간 경과 후에 세포 추출물을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녹색 형광 단백질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과 항-세포사멸 단백질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Bcl-2 상동성 (Bcl-2 homology, BH) 도메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l-2 패밀리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들은 세포사멸의 중심적인 조절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Adams JM, et al., Science 281(5381): 1322-1326, 1998).
Bcl-2 패밀리에 속하는 단백질들은 세포의 생존에 관여하는 효과에 따라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단백질과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로 나눌 수 있다.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친-세포사멸 단백질 (pro-apoptotic protein)로는 Bax, Bak, Bok, Bcl-Xs, Bid, Bad, Bik 등이 있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항-세포사멸 단백질 (anti-apoptotic protein)로는 Bcl-2, Bcl-xL, Bfl-1, Bcl-w, Mcl-1, E1B-19K, Ced-9 등이 있다.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Bfl-1은 다양한 사멸 신호에 대하여 항-세포사멸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Bfl-1은 Reh 인간 B 림프구 세포 및 몰트-4 인간 T 림프구 세포에서 스타우로스포린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였다 (Ko JK, et al., Oncogene 22(16): 2457-2465, 2003; 및 Shim YH, et al., Int. J. Hematol. 72(4): 484-490, 2000). 이 경우에, Bfl-1은 Bid, 캐스페이즈 3, 캐스페이즈 8 및 캐스페이즈 9의 절단을 억제하고, 미토콘드리아의 막횡단 전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im YH, et al., Int. J. Hematol. 72(4): 484-490, 2000).
그러나,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항-세포사멸 단백질이라도 단백질 분해효소 (proteinase)에 의한 절단 등에 의해서 그 활성이 전환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항-세포사멸 단백질인 Bcl-2 및 Bcl-xL은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환경에서 캐스페이즈-3에 의해 절단된다. 캐스페이즈-3에 의해 절단된 Bcl-2 및 Bcl-xL은 캐스페이즈들을 활성화시키고 시토크롬 c의 방출을 촉진시켜 세포사멸 활성을 나타내는 친-세포사멸 단백질로 전환된다 (Heng EH, et al., Science 278(5345): 1966-1968, 1997; 및 Clem RJ,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 554-559, 1998).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Bcl-2 패밀리에 속하는 항-세포사멸 단백질과 친-세포사멸 단백질은 그들의 3차원 구조가 유사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Schendel SL, et al., Cell Death Differ. 5(5): 372-80, 1998). 그러나, 구조적인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어떻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세포사멸을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Bcl-2 패밀리에 속하는 항-세포사멸 단백질인 Bfl-1이 GFP에 융합되어 항암활성을 나타내고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친-세포사멸 활성을 갖게 됨을 발견하고 상기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이 암 및 세포 증식증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GFP와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GFP와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GFP와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Bfl-1은 Bcl-2 패밀리에 속하며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항-세포사멸 단백질로서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737개의 염기서열을 갖는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다 (GenBank 등재번호 U27467). 상기 서열번호: 1의 유전자로부터 코딩되는 Bfl-1 단백질은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175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Bcl-2 상동성 (Bcl-2 homology, BH) 도메인으로 아미노산 서열 71 내지 90에 해당하는 BH1 도메인 및 아미노산 서열 133 내지 145에 해당하는 BH2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147 내지 175에 해당하는 Bfl-1의 C-말단 부위는 막관통 도메인 (transmembrane domain)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에서 Bfl-1 단백질의 서열번호: 2의 전장 Bfl-1 단백질 또는 서열번호: 2의 147 내지 175번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그의 단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에서 GFP는 Bfl-1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말단에 결합된다.
GFP 단백질은 해파리에서 발견된 단백질로서 야생종 GFP 단백질이 클로닝된 이후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리포터 단백질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Inouye S, et al., FEBS Letters, 351(2): 211-4, 1994). 본원에서는 GFP 발현벡터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벡터, 바람직하게는 pEGFP-C1 (Clontech사)을 사용한다. pEGFP-C1이 코딩하는 GFP 단백질은 야생종 GFP의 돌연변이체로서 녹색 형광을 더욱 강하게 발현하도록 변형된 것이다. 또한, pEGFP-C1 벡터의 다중 클로닝 부위 (multiple cloning site)에 외래 유전자를 삽입하면 삽입된 외래 유전자는 GFP 단백질과 융합된 형태로 발현된다.
본 발명자들은 GFP가 항-세포사멸 단백질인 Bfl-1에 융합되는 경우 Bfl-1의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GFP 발현벡터와 Bcl-xL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fl-1 발현벡터; Bcl-xL의 N-말단에 GFP가 융합된 GFP-Bcl-xL 발현벡터; 및 Bfl-1의 N-말단에 GFP가 융합된 GFP-Bfl-1 발현벡터로 각각 HEK 293T 세포를 형질감염시킨 후 세포사멸 유도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의 형태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GFP-Bfl-1 발현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에서만 세포사멸의 형태학적인 특징인 세포 찌그러짐, 세포질의 기포 형성, 세포판으로부터의 분리 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상기 GFP 발현벡터와 Bcl-xL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fl-1 발현벡터; 및 GFP-Bcl-xL 발현벡터로 각각 형질감염된 세포에서는 세포사멸이 거의 유도되지 않았다 (도 1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이 형질감염된 세포로부터 48시간 경과 후에 세포 추출물을 분리하여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결과, GFP-Bfl-1 발현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에서 염색체 분절이 관찰되었다. 이는 세포의 죽음이 세포괴사 (necrosis)가 아니라 세포사멸 (apoptosis)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도 2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이 세포를 형질감염시키고 12, 24, 36 및 48시간 경과 후에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한 결과, GFP-Bfl-1 발현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에서는 24시간 경과 후에 50% 이상, 48시간 경과 후에는 90% 이상의 세포사멸이 이루어진 반면, GFP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fl-1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cl-xL 발현벡터; 및 GFP-Bcl-xL 발현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에서는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세포사멸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도 3 참조).
Bfl-1에 융합되는 GFP의 위치가 세포사멸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GFP가 Bfl-1의 N-말단에 융합된 GFP-Bfl-1 발현벡터, 및 GFP가 Bfl-1의 C-말단에 융합된 Bfl-1-GFP 발현벡터를 제조한 후 각각을 세포에 형질감염시키고 세포사멸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GFP-Bfl-1 발현벡터가 형질감염된 세포에서 Bfl-1-GFP 발현벡터가 형질감염된 세포에 비해 약 1.7배정도 높은 비율로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4 참조). 따라서, 더욱 효율적인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GFP를 Bfl-1의 N-말단에 융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FP가 아닌 다른 단백질이 Bfl-1에 융합된 경우에도 세포사멸을 효율적으로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β-갈락토시다제의 일부 단편 (1 내지 147) (MacGregor GR, et al., Nucleic Acids Res. 17:2365, 1989)이 N-말단에 융합된 Bfl-1 발현벡터를 제조하여 상기와 같이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한 결과, GFP가 융합 된 경우가 β-갈락토시다제가 융합된 경우에 비해 8배정도 높은 비율로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도 5 참조). 이러한 결과는 Bfl-1의 N-말단에 임의의 단백질을 융합시키는 경우에 항상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단백질인 GFP를 융합시키는 경우에만 세포사멸이 유도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GFP-Bfl-1 융합단백질에서 Bfl-1은 이를 구성하는 도메인 중 일부가 결실된, 예컨대 Bfl-1의 N-말단 부위, BH1 도메인 및/또는 BH2 도메인이 결실된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Bfl-1을 구성하는 N-말단 부위, BH1, BH2 도메인 및 C-말단 부위 중 어떤 도메인이 세포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GFP-Bfl-1의 융합단백질에서 상기 각 도메인이 제거된 결실 돌연변이의 발현벡터를 제조한 후 이를 세포에 형질감염시켜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서열번호: 1의 Bfl-1 염기서열에서 1 내지 61에 해당하는 N-말단 부위가 결실된 GFPΔN; 1 내지 97에 해당하는 N-말단 부위 및 BH1 도메인이 결실된 GFPΔN1; 1 내지 146에 해당하는 N-말단 부위, BH1 및 BH2 도메인이 결실된 GFP-BC; 159 내지 175에 해당하는 C-말단 부위가 결실된 GFPΔBC; 119 내지 175에 해당하는 C-말단 부위 및 BH2 도메인이 결실된 GFPΔ2BC; 68 내지 175에 해당하는 C-말단 부위, BH1 및 BH2 도메인이 결실된 GFPΔ12BC 발현벡터들을 제조하였다 (도 6 참조)
이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에 형질감염시켜 세포사멸 유도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GFPΔBC, GFPΔ2BC 및 GFPΔ12BC 발현벡터로 형질감염된 HEK 293T 세포에서는 세포사멸이 유 도되지 않았으나, GFPΔN, GFPΔN1 및 GFP-BC 발현벡터로 형질감염시킨 세포의 경우에는 결실이 일어나지 않은 GFP-Bfl-1 발현벡터로 형질감염시킨 세포에 비해서 월등하게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N-말단 부위, BH1 및 BH2 도메인이 결실된 GFP-BC 발현벡터가 형질감염된 세포에서는 90% 이상의 세포사멸이 유도되었는데, 이는 친-세포사멸 단백질로 알려진 GFP-Bax (Li X, et al., Cancer Res. 61(1): 186-191, 2001)보다 더욱 높은 것이다 (도 7 참조). 이로부터, Bfl-1의 C-말단 부위는 GFP-Bfl-1 융합단백질의 친-세포사멸 활성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Bfl-1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감염시킨 HEK 293T 세포 추출물을 전기영동한 결과, GFP-Bfl-1, GFP-BC 및 GFP-Bax 발현벡터로 형질감염시킨 세포의 경우에는 유사한 염색체 분절이 관찰되었는데 (도 8 참조), 이는 상기 세포의 죽음이 괴사 (necrosis)가 아니라 세포사멸 (apoptosis)에 의한 것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GFP와 Bfl-1의 융합단백질은 친-세포사멸 활성을 가지며, 특히 GFP가 Bfl-1의 C-말단에 결합하는 경우보다 N-말단에 융합된 경우에 더욱 높은 친-세포사멸 활성을 갖는다. 또한, GFP-Bfl-1 융합단백질의 친-세포사멸 활성을 위해서 Bfl-1의 C-말단 부위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GFP와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약학적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약학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전자는 유전자 운반체에 삽입된 형 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유전자 운반체로서는 아데노바이러스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아데노바이러스는 높은 역가 (약 109 cfu/㎖)를 얻기가 용이하고, 감염시킬 수 있는 세포에 제한이 없으며, 바이러스 게놈이 세포의 염색체에 삽입되지 않고 목적하는 유전자를 발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GFP와 Bfl-1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3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가지며, 상기 Bfl-1의 N-말단 부위가 결실된 서열번호: 24로 기재되는 염기서열, Bfl-1의 N-말단 부위와 BH1 도메인이 결실된 서열번호: 25로 기재되는 염기서열, Bfl-1의 N-말단, BH1 및 BH2 도메인이 결실된 서열번호: 26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서열번호: 23 내지 26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유전자로부터 코딩되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서열번호: 27 내지 30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상기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 (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 (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 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정맥내, 근육내 등의 경로를 통해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융합단백질 또는 유전자는 하루에 체중 1 ㎏당 0.0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의 양을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및 배설, 그리고 약제 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의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의 예시로서, 물론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투여량 범위를 갖는 개별적인 예도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GFP 융합 발현벡터의 제조
<1-1> GFP-Bfl-1 발현벡터 및 Bfl-1-GFP 발현벡터의 제조
인간의 혈액 시료 (서울대 병원으로부터 입수)에서 전체 RNA를 분리한 후, 서열번호: 3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발체 쌍으로 이용하여 RT-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RT-PCR 반응은 원-스텝 RT-PCT 킷트 (one-step RT-PCR kit, Promega사)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는데, RT 반응조건은 48℃에서 45분간이고, PCR 반응조건은 94℃ 30초, 60℃ 1분 및 68℃ 2분간 40회 반응시키고 68℃에서 7분간 연장 (extension)시켜서 반응을 종결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양쪽 말단에 염기 A를 갖는 증폭된 Bfl-1 유전자 산물을 제한효소 처리 없이 벡터 TOPO 2.1 T (Invitrogen사)에 클로닝하였다. 상기 벡터를 제한효소 EcoRI/BamHI으로 절단한 후, 잘려져 나온 Bfl-1 유전자 절편 570 bp를 상기와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된 발현벡터 pcDNA3.1myc/his(-)B (Invitrogen사)에 클로닝하여 Bfl-1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Bfl-1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3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발체 쌍으로, 상기에서 제조된 Bfl-1 발현벡터를 주형으로 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조건은, DNA 중합효소 (Taq polymerase, Takara사)를 사용하여 상기에 기재된 시발체 쌍과 주형을 94℃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4℃에서 1분, 55℃에서 1분 및 72℃에서 1분간 30회 반응시키고, 72℃에서 10분간 연장시켜 반응 을 종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PCR 반응물을 제한효소 EcoRI/BamHI으로 절단한 후, 이를 전기영동하여 525 bp 크기의 절편을 분리하였고, 이를 상기와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된 벡터 pEGFP-C1 및 pEGFP-N1 (Clontech사)에 각각 클로닝하여 Bfl-1의 C-말단에 GFP가 융합된 Bfl-1-GFP 발현벡터 및 Bfl-1의 N-말단에 GFP가 융합된 GFP-Bfl-1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GFP-Bfl-1 발현벡터는 GFP가 Bfl-1의 N-말단에 융합되어 있는 서열번호: 23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2> GFP-Bcl-xL 발현벡터의 제조
한편, GFP에 Bcl-xL 유전자가 융합된 융합단백질 발현벡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5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발체 쌍으로 하고, Bcl-xL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pcDNA3-Bcl-xL (카톨릭 의대 김 홍태 박사로부터 입수)를 주형으로 한 PCR 반응을 통해 Bcl-xL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이때, PCR 반응조건은, DNA 중합효소 (Takara사)를 사용하여 상기에 기재된 시발체 쌍과 주형을 94℃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4℃에서 1분, 55℃에서 1분 및 72℃에서 1분간 30회 반응시키고, 72℃에서 10분간 연장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PCR 반응물을 제한효소 XhoI/EcoRI으로 절단한 후, 이를 전기영동하여 700 bp 크기의 절편을 분리하였고 이를 상기와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된 벡터 pEGFP-C1 (Clontech사)에 클로닝하여 GFP-Bcl-xL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GFP-Bfl-1 융합단백질의 세포사멸 활성
먼저, 아데노바이러스 단백질과 SV40 거대 T 항원으로 형질전환시킨 인간 태아 신장 (Human embryonic kidney, HEK) 293T 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10% 소 태아 혈청, 100 U/㎖ 페니실린 및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F-12 배지 (Life Technology사)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이를 랩 테크 Ⅱ 챔버 슬라이드 (Nalge Nunc International Naperville, IL)에 깔고 한 웰당 5 × 104의 밀도로 도말하였다. 그런 다음, 리포펙타민 방법 (Life Technology사)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fl-1, GFP-Bfl-1 및 GFP-Bcl-xL 발현벡터 각각으로 HEK 293T 세포를 형질감염시켰다.
구체적으로, GFP 발현벡터와 Bcl-xL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fl-1 발현벡터; GFP-Bcl-xL 발현벡터; 및 GFP-Bfl-1 발현벡터 1 ㎍씩을 각각 HEK 293T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시키고 18시간 경과 후에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한 후, 악시오베르트 100 역 에피 형광 현미경 (Carl Zeiss사)으로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도 1).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FP-Bfl-1 발현벡터로 형질감염시킨 세포의 경우에만 세포사멸을 겪는 세포에서 나타나는 여러 형태학적인 특징, 즉 세포 찌그러짐, 세포질의 응축, 세포질에 기포 형성, 세포판으로부터의 분리가 관찰되었다 (도 1의 d). 그러나, GFP 발현벡터와 Bcl-xL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fl-1 발현벡터; 및 GFP-Bcl-xL 발현벡터로 각각 형질감염된 경우에는 이러한 세포사멸의 형태학적인 특징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1의 a 내지 c).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Bfl-1에 GFP가 융합된 GFP-Bfl-1 융합단백질이 발현된 경우에만 세포사멸 활성이 나타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질감염시키고 48시간 경과 후에 세포를 긁어낸 후,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 침전물을 분리한 후 이를 0.2 ㎎/㎖의 단백질 분해효소 K (Gibco BRL사)가 포함된 완충용액 (100 mM Tris-Cl, pH 8.5, 5 mM EDTA, 200 mM NaCl, 0.2% SDS) 500 ㎕에 넣어 55℃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로부터 추출된 DNA를 동일한 부피의 이소프레놀로 침전시키고, 그 침전물을 0.1 ㎎/㎖의 RNase A로 처리한 후, 2%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하고 브롬화에티듐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도 2). 그 결과, GFP-Bfl-1 발현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의 추출물을 로딩한 레인에서만 세포사멸 (apoptosis)의 증거인 염색체 분절 현상이 관찰되었다.
한편, GFP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cl-xL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fl-1 발현벡터; GFP-Bcl-xL 발현벡터; 및 GFP-Bfl-1 발현벡터로 HEK 293T 세포를 각각 형질감염시키고 12, 24, 36 및 48시간이 경과한 때, 각각의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1 ㎍/㎖의 DAPI (4'6-Diamidino-2-Phenylindole, Carl Biochem사)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염색한 후, 물결 모양과 응축된 염색질을 나타내는 세포의 사멸된 핵의 수를 세었다 (도 3). 그 결과, GFP-Bfl-1 발현벡터로 형질감염된 경우에만 현저한 세포사멸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 경우에는 형질감염 24시간 후에 50% 이상, 48시간 후에 90% 이상의 세포가 사멸 하였다. 그러나, GFP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cl-xL 발현벡터; GFP 발현벡터와 Bfl-1 발현벡터; 및 GFP-Bcl-xL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감염된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도 세포사멸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실시예 3> Bfl-1에 융합되는 GFP의 위치에 따른 세포사멸 활성의 변화
GFP가 Bfl-1에 융합되는 위치에 따라 세포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GFP를 Bfl-1의 C-말단 및 N-말단에 융합시켜 세포사멸을 관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fl-1의 C-말단에 GFP가 융합된 Bfl-1-GFP 발현벡터 및 Bfl-1의 N-말단에 GFP가 융합된 GFP-Bfl-1의 발현벡터 각각 1 ㎍씩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HEK 293T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시키고 12시간이 경과한 때, 각각의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1 ㎍/㎖의 DAPI (Carl Biochem사)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염색한 후, 물결 모양과 응축된 염색질을 나타내는 세포의 사멸된 핵의 수를 세어서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GFP가 Bfl-1의 N-말단에 융합된 GFP-Bfl-1 융합단백질이 GFP가 Bfl-1의 C-말단에 융합된 경우에 비해 약 2.5배 높은 비율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4).
<실시예 4> Bfl-1에 융합되는 단백질의 종류에 따른 세포사멸 활성의 변화
Bfl-1의 N-말단에 GFP가 아닌 다른 단백질이 융합되는 경우에도 Bfl-1이 친- 세포사멸 활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GFP 대신 β-갈락토시다제 (β-galactosidase, Gal)를 이용하여 Bfl-1 융합단백질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먼저 Gal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7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발체 쌍으로 하고, pCMV beta-Gal 벡터 (Invitrogen사)를 주형으로 PCR 반응을 수행하여 β-갈락토시다제의 1 내지 147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편을 증폭하였다. 이때, PCR 반응조건은, DNA 중합효소 (Takara사)를 사용하여 상기에 기재된 시발체 쌍과 주형을 94℃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4℃에서 1분, 55℃에서 1분 및 72℃에서 1분간 30회 반응시키고, 72℃에서 10분간 연장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PCR 반응물을 제한효소 XhoI/EcoRI으로 절단한 후, 이를 전기영동하여 441 bp 크기의 절편을 분리하였고 이를 상기와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된 벡터 pcDNA3.1myc/his(-)B에 클로닝하여 GalF-Bfl-1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GFP 발현벡터, GFP-Bfl-1 발현벡터; β-갈락토시다제 발현벡터; 및 GalF-Bfl-1 발현벡터 1.0 ㎍을 각각 HEK 293T 세포에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질감염시킨 후 세포사멸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β-갈락토시다제가 융합된 Bfl-1이 발현된 세포에서는 GFP가 융합된 Bfl-1이 발현된 세포에서 유도된 세포사멸 활성의 5% 수준에 미치는 세포사멸 활성만이 유도되었다. (도 5).
이로부터, 다른 단백질이 융합된 경우에 비해 GFP가 Bfl-1에 융합된 경우에 Bfl-1의 친-세포사멸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Bfl-1의 일부 도메인이 결실된 GFP-Bfl-1 융합단백질에서의 세포사멸 활성의 변화
<5-1> Bfl-1의 일부 도메인이 결실된 GFP-Bfl-1 융합단백질 발현벡터의 제조
Bfl-1의 일부 도메인이 결실되어도 GFP-Bfl-1 융합단백질의 세포사멸 유도 활성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Bfl-1의 일부분이 제거된 결실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Bfl-1의 N-말단 부위가 결실된 발현벡터 (GFPΔN), N-말단 부위 및 BH1 도메인이 결실된 발현벡터 (GFPΔN1), 및 N-말단 부위, BH1 및 BH2 도메인이 결실된 발현벡터 (GFP-BC)를 제조하기 위하여, 각각 서열번호: 910, 서열번호: 1112, 및 서열번호: 131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발체 쌍으로 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fl-1 발현벡터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조건은, DNA 중합효소 (Takara사)를 사용하여 상기에 기재된 시발체 쌍과 주형을 94℃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4℃에서 1분, 55℃에서 1분 및 72℃에서 1분간 30회 반응시키고, 72℃에서 10분간 연장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PCR 반응물을 각각 제한효소 EcoRI/BamHI으로 절단한 후, 이를 전기영동하여 각각 330, 231 및 90 bp 크기의 절편을 분리하였고 이를 상기와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된 벡터 pEGFP-C1에 클로닝하여 GFPΔN, GFPΔN1 및 GFP-BC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도 6).
또한, Bfl-1의 C-말단 부위가 결실된 발현벡터 (GFPΔBC), C-말단 부위 및 BH2 도메인이 결실된 발현벡터 (GFPΔ2BC), 및 C-말단 부위, BH1 및 BH2 도메인이 결실된 발현벡터 (GFPΔ12BC)를 제조하기 위하여, 각각 서열번호: 1516, 서열 번호: 1718, 및 서열번호: 192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발체 쌍으로 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fl-1 발현벡터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조건은, DNA 중합효소 (Takara사)를 사용하여 상기에 기재된 시발체 쌍과 주형을 94℃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4℃에서 1분, 55℃에서 1분 및 72℃에서 1분간 30회 반응시키고, 72℃에서 10분간 연장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PCR 반응물 각각을 제한효소 EcoRI/XbaI으로 절단한 후, 이를 전기영동하여 각각 474, 354 및 288 bp 크기의 절편을 분리하였고 이를 상기와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된 벡터 pEGFP-C1에 클로닝하여 GFPΔBC, GFPΔ2BC 및 GFPΔ12BC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도 6).
도 6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Bfl-1의 일부 도메인이 제거된 결실 돌연변이들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 1은 BH1 도메인을, 2는 BH2 도메인을, BC는 Bfl-1의 C-말단 부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양성 대조군으로 친-세포사멸 단백질로 알려진 Bax 유전자의 GFP 융합단백질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먼저, Bax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212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발체 쌍으로 하고, Bax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pcDNA3-Bax (카톨릭 의대 김 홍태 박사로부터 입수)를 주형으로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조건은, DNA 중합효소 (Takara사)를 사용하여 상기에 기재된 시발체 쌍과 주형을 94℃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4℃에서 1분, 55℃에서 1분 및 72℃에서 1분간 30회 반응시키고, 72℃에서 10분간 연장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PCR 반응물을 제한효소 BglⅡ/HindⅢ로 절단하여 분리한 후, 이를 상기와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된 벡터 pEGFP-C1 (Clontech사)에 클로닝하여 GFP-Bax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5-2> GFP-Bfl-1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의 세포사멸 활성의 변화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된 GFPΔBC, GFPΔ2BC, GFPΔ12BC, GFPΔN, GFPΔN1, 및 GFP-BC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GFP-Bcl-xL 및 GFP-Bfl-1 발현벡터, 및 양성 대조군인 GFP-Bax 발현벡터와 음성 대조군인 GFP 발현벡터 각각을 1.0 ㎍씩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HEK 293T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시키고 12시간 경과 후에 각각의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1 ㎍/㎖의 DAPI (Carl Biochem사)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염색한 후 물결 모양과 응축된 염색질을 나타내는 세포의 사멸된 핵의 수를 세어서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형질감염시키고 24시간 경과 후에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GFP 발현벡터는 5%, GFP-Bcl-xL 발현벡터는 3%, GFP-Bfl-1 발현벡터는 45%, GFPΔBC 발현벡터는 5%, GFPΔ2BC 발현벡터는 6%, GFPΔ12BC 발현벡터는 8%, GFPΔN 발현벡터는 91%, GFPΔN1 발현벡터는 83%, GFP-BC 발현벡터는 93%, 및 GFP-Bax 발현벡터는 85%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FPΔN, GFPΔN1 및 GFP-BC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는 GFP-Bfl-1 발현벡터에 비해서 월등하게 세포사멸을 향상시키지만, GFPΔBC, GFPΔ2BC 및 GFPΔ12BC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는 HEK 239T 세포상에서 세포사멸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N-말단 부위, BH1 및/또는 BH2와 같이 Bfl-1의 일부 도메인이 결실된 경우에도 세포사멸 활성이 유도되지만, GFP-Bfl-1 융합단백질이 친-세포사멸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Bfl-1의 C-말단 도메인을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상기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로 형질감염된 HEK 293T 세포로부터 추출한 각각의 세포 추출물을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결과, GFP-Bfl-1 및 GFP-BC 발현벡터로 형질감염시킨 세포에서 GFP-Bax 발현벡터로 형질감염시킨 세포와 유사한 염색체 분절 현상이 관찰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상기 세포의 죽음이 괴사가 아니라 세포사멸에 의한 것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친-세포사멸 활성을 나타내는 결실 돌연변이 발현벡터 GFPΔN, GFPΔN1 및 GFP-BC는 염기서열 분석 결과, 각각 서열번호: 24 내지 26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GFP-Bfl-1 결실 돌연변이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FP가 융합된 Bfl-1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세포사멸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항암제 또는 세포 증식증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6)

  1. 서열번호: 2의 Bfl-1 단백질 또는 서열번호: 2의 147 내지 175번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Bfl-1 단백질의 단편에 녹색 형광 단백질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이 융합된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녹색 형광 단백질이 Bfl-1 단백질 또는 그의 단편의 N-말단에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Bfl-1 단백질의 단편이 서열번호: 2의 62번 내지 175번 아미노산; 서열번호: 2의 98번 내지 175번 아미노산; 및 서열번호: 2의 147번 내지 175번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융합단백질이 서열번호: 27 내지 30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유전자가 서열번호: 23 내지 26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삭제
KR1020040034598A 2003-06-16 2004-05-17 녹색 형광 단백질과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약학 조성물 KR100577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70 2003-06-16
KR20030038670 2003-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553A KR20040108553A (ko) 2004-12-24
KR100577512B1 true KR100577512B1 (ko) 2006-05-10

Family

ID=3355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598A KR100577512B1 (ko) 2003-06-16 2004-05-17 녹색 형광 단백질과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66518A1 (ko)
EP (1) EP1633386A1 (ko)
KR (1) KR100577512B1 (ko)
WO (1) WO2004110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5821B2 (en) * 2006-10-03 2016-11-29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TAP peptides, nucleic acids enco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413A (ko) * 1995-03-24 1996-10-22 권계홍 아폽토시스 조절 유전자
US5874304A (en) * 1996-01-18 1999-02-23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Humanized green fluorescent protein gen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66518A1 (en) 2007-03-22
KR20040108553A (ko) 2004-12-24
WO2004110474A1 (en) 2004-12-23
EP1633386A1 (en)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1016A1 (en) Rna guided eradication of human jc virus and other polyomaviruses
JP7176737B2 (ja) レトロウイルス核酸配列の切除
US8658611B2 (en) Apoptosis-inducing agent for prostate cancer cells
Poenisch et al. Protein X of Borna disease virus inhibits apoptosis and promotes viral persistenc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s of newborn-infected rats
JP2002531113A (ja) 蛋白質の形質導入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法
US2011021731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Apoptosis
Lagacé et al. Genomic organization of the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testis-specific transcript
US10829523B2 (en) Anti-tumor peptides and use thereof
JP2020536582A (ja) 遺伝子発現抑制剤
JP2002501371A (ja) Flip遺伝子およびflipタンパク質
CN100451115C (zh) 胞内发炎、细胞死亡和细胞存活通道的调节剂
KR100577512B1 (ko) 녹색 형광 단백질과 Bfl-1의 융합단백질 또는 이를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한약학 조성물
EP1223970A1 (en) Short segments of dap-kinase
EP1243595B1 (en) Bh4-fused polypeptides
Lin et al. An anti-apoptosis gene of the Bcl-2 family from Marine Birnavirus inhibiting apoptosis of insect cells infected with baculovirus
US20050220781A1 (en) IFIX, a novel HIN-200 protein, for cancer therapy
JP6994714B2 (ja) 抗ウイルス性ペプチドおよびその利用
KR101697771B1 (ko) Itm2a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용 조성물
CA2227508A1 (en) Paip, a novel human protein which bridges the 3&#39; and 5&#39; end of mrna, and use thereof as a target for translational modulation to treat human disease
Lagace Genomic Organization of the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Testis-specific Homologue
WO2002049662A2 (en) Use of the prion protein (prp) for suppression of bax-mediated apoptosis
Estanbouli Mutational Analysis of the Molluscum Contagiosum Virus MC160 protein
KR101036854B1 (ko)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를 코딩하는 dna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사멸 유도용 약학 조성물
US20040175813A1 (en) Mutant P53 proteins and uses thereof
Boya et al. NEW EMBO MEMBERS'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