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080B1 - 전자식 록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식 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080B1
KR100577080B1 KR1019990027069A KR19990027069A KR100577080B1 KR 100577080 B1 KR100577080 B1 KR 100577080B1 KR 1019990027069 A KR1019990027069 A KR 1019990027069A KR 19990027069 A KR19990027069 A KR 19990027069A KR 100577080 B1 KR100577080 B1 KR 10057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rom
key
circular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963A (ko
Inventor
김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패스
Priority to KR101999002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0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connected means, e.g. mechanical contacts, plugs, conne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ROM이 내장되며, 최소한 일부 면은 반구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ROM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원 형상의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ROM의 제2 단자에 접촉되는 제2 도전체로 구성되는 전자식 키 및 이 전자 키와 함게 사용되는 입력단자는 .최소한 일부 면은 반구면 형성되어 있는 홈을 이루며, 상기 홈 가운데는 원 형상의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원형상의 제3 도전체가 형성되며, 또,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홈의 반구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4 도전체로 구성된 입력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록 구조{Electronic key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식 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전자 록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c는 그랜드 마스터 키의 기능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최초의 시스템에 오너키 및 그랜드 마스터 키를 등록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내지 도 8은 설정된 기능 또는 등록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는 그랜드 마스터 키로 오프닝 키를 등록하거나 삭제하는 동작을, 도 6은 비밀번호를 입려기키는 동작을, 도 7은 등록된 ROM의 번호를 보여주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기능모드를 수행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자식 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ROM 키를 사용하는 전자 록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각이 유일한 전자코드를 내장하고 있는 키에 응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록 시스템이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1983. 7. 5. 룬드그렌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392,133호는 콘트롤 키의 도음을 받아 사용자가 부분적으로 재프로그램할 수 있는 전자 록이다.
룬드그렌의 콘트롤 키들 각각과 소위 오프닝 키라고 하는 각각의 키들은 전자코드를 내장하고 있다. 특정 오프닝 키에 응답하여 록이 열리도록 프로그램하기 위해서는, 그 록에 콘트롤 키와 오프닝 키로 만들고자 하는 키가 동시에 등장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콘트롤 키는 전자 코드를 갖는 키를 그 록을 열 수 있는 오프닝 키로 유효하게 할 수도 있고, 그 록을 열 수 있는 오프닝 키를 그 다음부터는 유효하지 않은 키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자 코드를 갖는 키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코드를 록에 기억시킴으로써 오프닝 키로 유효하게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현대 반도체 기술은 서로 다른 즉, 각각이 유일한 전자코드를 갖는 키를 무한한 개수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달라스 반도체 주식회사에서 만든 ROM은 64비트의 이진 코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약 10조개의 서로 다른 전자코드를 갖는 키를 만들 수 있는데, 이 숫자는 지구상의 사람들 수보다 많다.
이러한 ROM을 사용하는 전자식 록을 사용하는 전자식 록 시스템은 입력단자를 통해 전자식 록과 접촉하여 전자식 키의 ROM에 저장된 전자코드를 읽어들인다. 전자식 록 시스템의 입력단자에 접촉되는 전자식 록의 구조가 닐 제이 캐틀만과 로저 린스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5,322,992호에 개시되어 있다. 닐 제이 캐틀만 등의 록의 구조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입력단자 역시 이를 수용하도록 원 통형의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그 사용상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예를 들면 입력단자에 오물이 들어가 쌓이게 되어 이를 접촉 불량을 일으키거나, 입력단자에 키를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하지 않으면 접촉불량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자식 키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촉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자식 키 구조에 함께 사용되는 입력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 구조는 내부에 ROM이 내장되며, 최소한 일부 면은 반구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ROM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원 형상의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ROM의 제2 단자에 접촉되는 제2 도전체로 구성된다.
또 전자식 키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입력단자는, 내부에 ROM이 내장되며, 최소한 일부 면은 반구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ROM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원 형상의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ROM의 제2 단자에 접촉되는 제2 도전체로 구성되는 전자식 키와 함게 사용되는 입력단자는 .최소한 일부 면은 반구면 형성되어 있는 홈을 이루며, 상기 홈 가운데는 원 형상의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원형상의 제3 도전체가 형성되며, 또,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홈의 반구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4 도전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의 전자식 키는 어떠한 각도에서도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또 입력단자의 홈의 깊이가 얇으므로 그 내부에 오물이 쌓이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식 키의 단면도이고, 도1B는 전자식 키를 아래에서 본 모양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식 키와 접촉하는 입력단자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입력단자를 정면에서 본 모양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단자에 전자식 키가 접촉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바디부(11) 내에는 ROM(21)이 내장되는데, ROM(21)은 두 개의 단자(23, 25)를 갖는다. 바디부(11)의 외부 한쪽은 대략 반구형태를 이루는데, 이 반구형태의 가운데에는 ROM의 제1 단자(23)과 전기적으로 접 촉하는 제1 도전체(13)이 원형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도전체(13)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링모양을 이루며 ROM의 제2 단자(25)와 연결되는 제2 도전체(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입력단자는 입력단자 바디부(31)에 반구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는데, 이 홈 가운데에는 원 형상의 제3 도전체(33)가 형성되어, 전자식 키의 제1 도전체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제3 도전체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링형상의 제4 도전체(35)가 형성되어, 전자식 키의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제3 도전체와 제4 도전체는 전자식 록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단자에 전자식 키가 접촉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인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단자에 비스듬하게 전자식 키가 입력되더라도, 제1 도전체와 제3 도전체가, 제2 도전체와 제4 도전체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입력단자의 홈은 얇은 홈이기 때문에 오물이 쌓이는 일이 없고, 오물이 들어가더라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Claims (2)

  1. 내부에 ROM이 내장되며, 최소한 일부 면은 반구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ROM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원 형상의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ROM의 제2 단자에 접촉되는 제2 도전체로 구성된 전자식 키 구조
  2. 내부에 ROM이 내장되며, 최소한 일부 면은 반구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ROM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원 형상의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디부의 반구면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ROM의 제2 단자에 접촉되는 제2 도전체로 구성되는 전자식 키와 함게 사용되는 입력단자는 .최소한 일부 면은 반구면 형성되어 있는 홈을 이루며, 상기 홈 가운데는 원 형상의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원형상의 제3 도전체가 형성되며, 또,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홈의 반구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4 도전체로 구성된 입력단자 구조
KR1019990027069A 1999-07-06 1999-07-06 전자식 록 구조 KR10057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069A KR100577080B1 (ko) 1999-07-06 1999-07-06 전자식 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069A KR100577080B1 (ko) 1999-07-06 1999-07-06 전자식 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963A KR20010008963A (ko) 2001-02-05
KR100577080B1 true KR100577080B1 (ko) 2006-05-04

Family

ID=1959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069A KR100577080B1 (ko) 1999-07-06 1999-07-06 전자식 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4128A1 (en) * 1983-04-15 1984-10-25 Maurice Bloch Key controlled electrical circuits
KR870009097A (ko) * 1986-03-21 1987-10-23 존 디. 델폰티 전자 록킹시스템 및 이의 키 시스템
EP0490008A1 (fr) * 1990-12-11 1992-06-17 DéNY Dispositif de serrure inviolable comportant une clé dont le fonctionnement est à la fois mécanique et électronique
JPH06173510A (ja) * 1992-12-04 1994-06-21 Kansei Corp キ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4128A1 (en) * 1983-04-15 1984-10-25 Maurice Bloch Key controlled electrical circuits
KR870009097A (ko) * 1986-03-21 1987-10-23 존 디. 델폰티 전자 록킹시스템 및 이의 키 시스템
EP0490008A1 (fr) * 1990-12-11 1992-06-17 DéNY Dispositif de serrure inviolable comportant une clé dont le fonctionnement est à la fois mécanique et électronique
JPH06173510A (ja) * 1992-12-04 1994-06-21 Kansei Corp キ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963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8968C (fi) Näppäimistö ja näppäin
JP391180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EP0840251A3 (en) Smartcard and method of making
ES2189461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tarjetas sin contacto.
EP0821407A3 (en)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rotruding contact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03085752A3 (en) Molehole embedded 3-d crossbar architecture used in electrochemical molecular memory device
US6512827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RU2002104923A (ru) Экранированная штепсельная вилка для средств связи
US5791178A (en) Electrical transmission path for electrical and electro-mechanical locks
KR101136180B1 (ko) 정전기 방지 부품 및 그 제작방법
KR100577080B1 (ko) 전자식 록 구조
EP1244183A3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ransmission line
US6958551B2 (en) Vehicle coded ignition lock using a magnetic sensor
US6369330B2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pushbutton and air corridors
US4450324A (en) Encoded keyboard switch
EP0869547A3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BG109752A (bg) Универсален клавишен блок
EP0153263B1 (fr) Serrure à codeurs optoélectroniques
US20200296866A1 (en) Keyboard for secure data entry
EP3286742A1 (en) Point of sale terminal having enhanced security
EP1100069A1 (en) Keyboard having multi-bit key switches
EP2313947B1 (en) Electrical device with contact assembly
KR200209646Y1 (ko) 장신구형 전자 정보 키 시스템
JP3129145B2 (ja) ジョイステイック装置
KR100606492B1 (ko)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