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157B1 -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157B1
KR100576157B1 KR1020040025876A KR20040025876A KR100576157B1 KR 100576157 B1 KR100576157 B1 KR 100576157B1 KR 1020040025876 A KR1020040025876 A KR 1020040025876A KR 20040025876 A KR20040025876 A KR 20040025876A KR 100576157 B1 KR100576157 B1 KR 10057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tipraz
obesity
treatm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dipocy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787A (ko
Inventor
김상건
배은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4002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15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5Non-condensed pyrazines
    • A61K31/497Non-condensed py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티프라즈,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및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올티프라즈, 비만증 치료, 약학 조성물

Description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도 1은 올티프라즈의 화학구조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3T3-L1 preadipocytes(지방전구세포)에서 올티프라즈에 의한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C/EBP)β-LIP(liver-enriched inhibitory protein)의 선택적 유도발현 및 활성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지방전구세포에서 올티프라즈에 의한 C/EBP의존성 프로모터 유전자 발현분석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올티프라즈에 의한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지방세포에서 올티프라즈에 의한 C/EBP-DNA 결합능 증가(LIP단백질-DNA 결합강도의 증가) 및 올티프라즈에 의한 C/EBPβ, C/EBPα 및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PPAR)γ의 발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비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올티프라즈[oltipraz: 5-(2-피라지닐)-4-메틸-1,2-디티올-3-티온],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에너지 섭취와 소모의 불균형에 의한 결과이며 그 원인은 몇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째, 음식물의 과잉섭취에서 비롯된 경우로서 식사량, 식사내용 및 섭취방법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심리적 장애로 발생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음식물을 과잉 섭취하는 경우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둘째, 정상적인 에너지를 섭취하더라도 활동량이 적어 에너지 소모가 적으면 과잉 에너지가 누적되어 비만이 될 수 있다. 셋째, 중추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에너지 섭취의 조절(포만감, 공복감을 느끼는 중추) 이상이 생김으로써 비만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내분비 질환으로 인해서 비만이 동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한 비만을 들 수 있다.
비만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및 지질이상혈증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사망이 유도될 수 있는 심각한 위험요인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물론이고 국내에도 비만은 심각한 건강 및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예컨대 미국에서는 총 건강관련 지출의 약 6%를 비만치료비용으로 지불하고 있으며, 국내의 비만치료시장규모도 1조원을 육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비만치료제는 발기부전치료제 및 탈모증 치료제와 함께 대표적인 QOL(Quality of Life:삶의 질) 개선제로 꼽힌다.
현재 비만치료방법으로는 운동을 통하여 지방형태로 저장되는 과잉 에너지를 소비하는 비약물 요법이 있으며, 약물에 의한 비만치료 방법으로는 식욕을 억제하여 칼로리 섭취량을 제한하는 식욕억제제, lipase inhibitors (리파아제 억제제), 팽창사하제(bulk-forming agents), thermogenic agents (열발생촉진제)등의 방법이 있다. 식욕억제 약물인 sibutramine은 원래 항우울제로 사용된 약물로서 시냅스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포만감을 빨리 느끼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약물은 심혈관작용, 중추작용, 간장장애 및 신장장애 등 여러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Orlistat는 지방을 분해하여 체내흡수를 돕는 소화효소인 리파아제의 기능을 억제하여 지방을 체외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지만 부작용으로 실변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탄수화물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식습관에는 효과가 불분명한 약물이다.
지방세포는 줄기세포가 지방전구세포로 분화한 후 지방전구세포가 다시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만들어진다. 지방세포는 지방을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형태로 저장하여 운동이나 금식 등으로 체내 이용할 수 있는 당원이 고갈되었을 때 저장하고 있던 중성지방을 분해하여 에너지생성을 자극하므로써 혈당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세포이다. 그러나 반대로 지방세포의 증식과 분화촉진은 과잉에너지 섭취와 함께 체내 저장지방량을 증가시켜 비만의 직접적 원인이 된다.
지방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핵심 전사인자로는 leucine zipper 단백질인 C/EBPβ와 δ, α 및 핵수용체인 PPARα가 있다. C/EBPβ와 δ는 지방세포의 분화 초기에 발현되는 반면에 C/EBPα와 PPARα는 분화과정의 후반에 발현된다. C/EBPβ는 다른 단백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C/EBPβ mRNA로부터 단백질합성과정을 거쳐 생성되나, 이 과정 중 서로 다른 분자량의 C/EBPβ-LAP (liver-enriched activator protein)과 C/EBPβ-LIP (liver-enriched inhibitory protein)의 4 종류 단백질이 생성되는 독특한 생합성경로를 갖는다 (Ossipow et al., 1993; Timchenko et al., 1999). C/EBPβ 단백질의 활성형인 LAP 과는 달리 C/EBPβ-LIP은 전구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Jonathan et al., 2001). 또한 인체에서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방조직에서 LIP 발현이 증가되고 이것이 지방조직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인정된다 (Karagiannides et al., 2001). 따라서 약물에 의하여 C/EBPβ-LIP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면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학적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C/EBPβ는 지방세포 분화 초기에 발현되다가 후반에는 소멸하는 전사인자인 반면, C/EBPα 및 PPARγ는 분화한 지방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한다. 따라서 분화한 지방세포에서 C/EBPα 및 PPARγ의 활성화를 억제할 경우 이들 전사인자에 의존적인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켜 결국 분화 지방세포에서 지방축적기능이 감소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전구지방세포에서 C/EBPβ-LIP 발현억제, 분화지방세포에서 C/EBPα 및 PPARγ 활성억제 효능을 갖는 약물을 개발할 경우 비만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물요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류에 천연으로 존재하는 황함유화합물인 dithiolthione의 몇몇 치환체들은 간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Ansher et al., 1983), 이 중 올티프라즈는 1980년대 초에 주혈흡충(schistosomiasis) 치료제로 사용된 약으로 다음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112004015471107-pat00001
이 약물은 생체의 여러 조직에서 세포내 thiol 함량을 증가시키고 글루타치온(GSH) pool의 유지에 관련된 효소외에 친전자성 물질의 해독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발현을 유도 및 증가시킨다. 올티프라즈에 의하여 그 활성이 증가하는 효소로서는 NAD(P)H : quinone reductase,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및 UDP-GT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 GST는 사염화탄소나 acetaminophen과 같은 독성물질에 의한 간독성을 방어하는 효소이다.
올티프라즈는 생체 대부분의 조직에서 GSH 수준을 증가시켜 방사선이나 xenobiotics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리 라디칼을 제거하거나 방사선 손상에 대한 생체 적응반응으로써 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여 방사선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작용을 갖는 올티프라즈는 실제 중국에서 수행된 간암발생억제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약한 보호효과가 나타났으며, 독성물질에 의한 간 독성을 중등도 이상 억제하는 효과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올티프라즈를 인체에 고용량으로 투여할 때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1980년대 초에 12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올티프라즈의 schistosomiasis(주혈흡충병) 치료 효과에 대한 광범위한 임상시험에서 1일 내지 5일 동안 전체용량 1.25-7.5 g을 투여하였다. 이때 90% 이상의 환자가 높은 구충 치료효과를 보였으나, 10% 이상의 환자에게 높은 부작용이 나타났다. 상기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계에 관한 부작용 및 두통, 현기증이 대부분이었다. 손가락 끝의 통증 등 paraesthesia(감각이상)과 자주색 또는 검은색의 반점이 생성되는 부작용은 햇빛에 노출된 후에 더욱 악화되기도 하였다. 이는 올티프라즈 투여 후 위장관 조직에 약물이 축적되고 혈액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올티프라즈를 60 mg/kg/day의 고용량으로 랫드, 개 등에 1년 이상 투여한 동물실험의 경우, 간 무게의 증가 등 독성이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작용의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시토크롬 P450 효소계 중 CYP3A4의 억제가 원인 중의 하나로 추정된다. 상기와 같은 부작용은 올티프라즈를 투여하고 며칠 지난 후에 약화되거나 소실되지만 약물의 compliance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올티프라즈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역적이지만 잠재적 부작용 발현을 줄일 수 있는 적절한 약물용량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또 다른 연구를 통하여 올티프라즈가 당대사 이상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규명하기 위해 올티프라즈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을 제2형 당뇨병치료약물로도 연구를 계속 수행하고 있으며, 그 보다 더 선행적 연구를 통하여 이 약물이 간경변증을 치료하고 조직의 섬유화를 치료하는 항섬유화 효능, 세포보호작용 및 줄기세포의 재생촉진작용을 발견하여 이에 근거한 간경변증 치료 약학 조성 물을 발명한 바 있다(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2000-18134호 및 대한민국특허번호 0377789). 이러한 선행연구결과에서 발굴된 일련의 전사인자들의 활성화를 근거로, 본 발명자들은 올티프라즈와 비만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를 거듭하여 수행한 결과, 올티프라즈가 비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올티프라즈,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올티프라즈와 더불어, 다른 비만치료물질(예, sibutramine, orlistat)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올티프라즈,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은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저밀도지질의 혈중농도 상승에 기인한 질병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는 올티프라즈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염으로서는 산 부가염이나 제4급 암모 늄 염 등을 들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으로서는 예컨대, 염산 염, 브롬화수소산 염, 요오드화수소산 염, 황산 염, 인산 염 등의 무기산 염이나 옥살산 염, 말레인산 염, 푸마르산 염, 유산 염, 말산 염, 숙산산 염, 주석산 염, 안신향산 염, 메탄설폰산 염 등의 유기산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제4급 암노늄 염으로서는 예컨대, 메틸요오다이드, 메틸브로마이드, 에틸요오다이드, 에틸브로마이드 등의 저급 알킬할로게니드; 메틸메탄설포네이트, 에틸메탄설포네이트 등의 저급 알킬설포네이트; 메틸-p-톨루엔설포네이트 등의 저급 알킬아릴설포네이트 등의 제4급 암모늄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올티프라즈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로서 존재하는 것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이들의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올티프라즈와 함께 유효성분으로서 다른 비만치료물질(예, sibutramine, orlistat)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올티프라즈 및 비만치료물질은 1-25 : 1-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1-1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 조성물이 경구 투여용 제제 및 주사제로 제형화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는 캅셀제, 정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산제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올티프라즈,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은 이들 자체를 환자에 투여하여도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들의 유효성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조제하여 투여하거나, 다른 유용한 비만 억제약물과 혼합하여 복합제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투여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약제학적인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경구투여에 적합한 단위투여형의 제제로 제형화시켜 투여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경구투여용 제형에는 경질 및 연질캅셀제, 정제, 산제, 현탁제, 시럽제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경구투여용 제제에는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의 약물학적 활성 성분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불활성인 통상적인 담체, 예를 들면 전분, 락토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카올린 등의 부형제, 물, 젤라틴, 알코올, 글루코즈,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칸타 고무 등의 결합제, 전분, 덱스트린,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의 붕해제,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유동 파라핀 등의 활탁제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용해를 위한 용해보조제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미만 진행 정도, 발병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조합된 조성물 1 내지 500 mg/k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mg/kg을 1일 1 내지 2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비만의 정도가 심한 환자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치료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약물을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대용량까지 증량하여 투 여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올티프라즈 25 내지 50 mg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체 1-2개를 1일 1회 내지 2회 경구투여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험예 및 경질 및 연질캅셀제, 정제, 산제 등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실험예 1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올티프라즈에 의한 C/EBPβ-LIP의 발현증가 및 C/EBPβ-LIP단백질-DNA 결합효능의 증가 >
본 실험예에서는 올티프라즈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의 지표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전사인자의 발현과 DNA결합 활성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DMEM 배지에 배양하면서 80-90% confluency 시점에 올티프라즈(Olt) 30μM을 처치한 후 48시간까지 C/EBPβ의 발현을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고 밴드강도를 scanning densitometry하여 정량화 하였다. 또한 세포를 올티프라즈 처치한 후 세포핵분획을 분리하여 gel shift 분석 및 선택적인 항체를 활용한 supershift 분석을 실시하여 올티프라즈에 의한 C/EBP-DNA 결합효능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자료의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N=3, *p<0.05, vs. Control, Olt=올티프라즈, veh=vehicle을 처치한 대조군(약물비처치군))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올티프라즈의 처리군에서 C/EBPβ-LIP 단백질 발현 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지방전구세포를 올티프라즈로 처치한 후 세포의 핵분획을 분리하여 핵분획 중 C/EBPβ 단백질과 C/EBP 결합특이적 DNA조각(consensus C/EBP response element)의 결합효능을 gel shift 분석, 항체를 활용한 supershift 분석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또한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올티프라즈는 지방전구세포에서 C/EBPβ 단백질-DNA의 결합효능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C/EBPβ-LIP 단백질과 C/EBP 결합특이적 DNA와의 결합효능이 증가하였다.
실험예 2 <지방전구세포에서 C/EBP-프로모터 전사활성화에 미치는 올티프라즈의 영향>
유전자 프로모터 부위에 C/EBP 결합 DNA부위를 함유하는 pGL1651 reporter 유전자 프라즈미드를 3T3-L1 지방전구세포에 transfection한 후 이들 세포를 올티프라즈 30 μM으로 24시간 처치하여 약물에 의한 C/EBP활성화에 따른 유전자 전사활성화의 변화를 루시퍼라제(luciferase) 유전자 발현의 강도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자료의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N=5, **p<0.01, vs. Control, Olt=올티프라즈).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올티프라즈는 지방전구세포에서 루시퍼라제 발현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올티프라즈가 지방전구세포에 서 C/EBPβ-LIP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므로써 C/EBPβ-LAP의존적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유전자 전사활성화의 변화는 지방세포 분화억제와 관련될 것으로 예측된다.
실험예 3 <올티프라즈에 의한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
세포배양모델에서 전구지방세포를 0.5 mM isobutylmethylxanthine (IBMX), 1μM dexamethasone 및 1μg/ml 인슐린(이상 MDI)으로 수일간 처치할 때 전구지방세포는 지방세포로 증식하고 분화된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상기한 세가지 호르몬 즉 MDI로 수일간 처치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킨 후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10일째에 지방세포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DMEM 배지에 배양하여 confluency에 이르고 2일 후 MDI(IBMX, dexamethasone, insulin) 호르몬 혼합물을 2일간 처치하였다. 이어서 2일은 인슐린을 단독으로 처치하였다. 이후에는 다시 혈청(FBS)을 함유한 DMEM 배지에 배양하면서 분화시작 후 8-10일경에 Oil red O stain을 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정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로부터 Oil red O stain 염색약을 추출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염색강도를 정량화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자료의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N=5, *p<0.05, **p<0.01 vs. Control, Veh=vehicle을 처치한 대조군(약물비처치군), Olt=올티프라즈, Rosi=Rosiglitazone 10 μM).
도 4와 같이, 올티프라즈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억제하였다. 즉, 섬유세포모양의 지방전구세포는 분화된 후 둥글고 세포질 내에 많은 지방입자를 함유한 지방세포로 변환되므로 중성지방을 Oil red O색소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할 때 호르몬에 의한 지방세포분화의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었으나, 세포배양과정 중 올티프라즈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세포의 Oil red O 염색강도가 현저히 약화되었다. 나아가 Oil red O로 염색된 중성지방에서 색소를 추출하여 정량하였을 때에도 올티프라즈는 색소 추출율을 감소시켰다.
이 같은 결과는 올티프라즈가 전구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며 이로 인하여 세포에 지방축적이 억제됨을 보여준다.
실험예 4 <분화한 지방세포에서 C/EBPβ, C/EBPα 및 PPARγ 발현에 대한 올티프라즈의 억제>
C/EBPβ는 지방세포 분화 초기에 발현되다가 후반에는 소멸하는 전사인자인 반면, C/EBPα 및 PPARγ는 분화한 지방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한다. 지방세포 분화유도와 동시에 올티프라즈 30 μM을 처치한 후 2일, 5일 및 10일에 지방세포 분화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인 C/EBPβ, C/EBPα 및 PPARγ의 발현을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실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분화시킨 후 올티프라즈(Olt) 30 μM을 처치하고 핵분획을 분리하여 gel shift 분석 및 면역항체를 활용한 supershift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호르몬혼합물 처치에 의해 분화 시키면서 2일, 5일 및 10일째에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있어서 핵심전사인자인 C/EBPβ, C/EBPα 및 PPARγ의 발현변화를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와 같이, C/EBPβ-LIP 발현은 올티프라즈에 의하여 증가한 반면 C/EBPα 및 PPARγ 발현은 약물에 의하여 각각 감소하였다. 또한 분화된 지방세포에 올티프라즈를 처치한 후 10시간에 세포핵분획을 분리하여 C/EBP 단백질-DNA의 결합능을 gel shift 분석으로 관찰한 결과 배양액 중 혈청 또는 MDI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올티프라즈는 C/EBPβ 단백질-DNA의 결합효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올티프라즈는 분화한 지방세포에서 C/EBPα 및 PPARγ에 의존적인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이로 인하여 세포의 지방축적 기능을 억제할 것 예측한다.
실시예 1
올티프라즈 25mg
유당 50mg
전분 1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올티프라즈 100mg
유당 50mg
전분 1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올티프라즈 250mg
유당 50mg
전분 1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전분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올티프라즈 25mg
유당 30mg
전분 28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경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올티프라즈 100mg
유당 30mg
전분 28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경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올티프라즈 250mg
이성화당 10g
설탕 30mg
나트륨 CMC 100mg
레몬향 적량
정제수적량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현탁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현탁제를 제조하고, 100ml용량의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하여 현탁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올티프라즈 500mg
이성화당 20g
설탕 20g
나트륨 알지네이트 100mg
오렌지향 적량
정제수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현탁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현탁제를 제조하고 100ml용량의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하여 현탁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올티프라즈 250mg
유당 30mg
전분 2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긴밀히 혼합하고 폴리에틸린이 코팅된 포에 충진하고 씰링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연질캅셀제 1정중 함량
올티프라즈 100m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400mg
농글리세린 55mg
정제수 35mg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농글리세린을 혼합한다음 정제수를 투입하고 이 혼합물을 약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올티프라즈를 넣고 교반기로 약 1,500rpm으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한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기포를 제거하고 연질캅셀의 내용물로 하였다. 연질캅셀의 피막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젤란틴, 가소제의 소프트 처방으로 하여 1캅셀당 젤라틴 132mg, 농글리세린 52mg, 디솔비톨액 70% 6mg 및 착향제로 에틸바닐린 적량, 코팅기제로 카르나우바납을 사용하여 통상의 조제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지방 세포의 분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세포에 지방의 축적을 억제함으로서 부작용이 거의 없이 미만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올티프라즈[5-(2-피라지닐)-4-메틸-1,2-디티올-3-티온],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비만의 예방 및 치료는 C/EBPβ-LIP의 증가발현에 기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비만의 예방 및 치료는 C/EBPβ-LIP의 발현증가와 함께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C/EBPα 및 PPARγ 유전자 발현억제에 기인한 지방세포의 지방축적 억제효능에 기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 제제 또는 주사제로 제형화되는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 제제가 캅셀제, 정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산제에서 선택되는 제제인 약학 조성물.
KR1020040025876A 2004-04-14 2004-04-14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7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876A KR100576157B1 (ko) 2004-04-14 2004-04-14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876A KR100576157B1 (ko) 2004-04-14 2004-04-14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87A KR20050100787A (ko) 2005-10-20
KR100576157B1 true KR100576157B1 (ko) 2006-05-03

Family

ID=3727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876A KR100576157B1 (ko) 2004-04-14 2004-04-14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1065C2 (ru) * 2008-08-04 2013-08-27 СНУ Р энд ДБ ФАУНДЕЙШН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производное 1,2-дитиолтион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я, обусловленного повышенной экспрессией lxr-альф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818B1 (ko) * 2004-10-11 2006-06-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소분자 유기화합물의 직접적 p90 리보솜 S6 키나제 1(RSK1)의 활성증진에 의한 당뇨병, 비만 및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도
KR101715592B1 (ko) * 2015-01-21 2017-03-1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아일란토이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1065C2 (ru) * 2008-08-04 2013-08-27 СНУ Р энд ДБ ФАУНДЕЙШН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производное 1,2-дитиолтион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я, обусловленного повышенной экспрессией lxr-альфа
US9370504B2 (en) 2008-08-04 2016-06-21 Snu R&Db Found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1,2-dithiolthione deriva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 caused by overexpression of LXR-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87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3919B2 (e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activator, and drugs, supplements, functional foods and food additives using the same
US5532268A (en) Potentiation of drug response
US10420744B2 (en) Composition of chlorogenic aci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in treating serum lipid levels
CN101141964B (zh) 治疗糖尿病、代谢综合症和其它病症的组合物及方法
JP7175272B2 (ja) 筋萎縮の治療におけるトリプトファン代謝物質の使用
US20070196435A1 (en) Drug and food or drink for improving hyperglycemia
KR100404303B1 (ko) 올티프라즈의 간섬유화 및 간경화 진행의 예방 및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올티프라즈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제약 조성물
US10695333B2 (en) Pharmaceutical combination comprising LSZ102 and alpelisib
KR100576157B1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57485B1 (ko) 1,2-디티올티온 유도체를 함유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1315378A (zh) 包含lsz102和瑞博西尼的药物组合
Tong et al. Effects of Ba-Wei-Die-Huang-Wan on the cholinergic function and protein expression of M2 muscarinic receptor of the urinary bladder in diabetic rats
TWI634889B (zh) 亞丁基苯酞之應用
KR101068686B1 (ko) 메타독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8047A (ko)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phingosine-1-phosphat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3127291A1 (en) Method for enhancing .beta.-adrenergic response
KR100697097B1 (ko)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06030306A2 (en) Pindolol for treating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RU2250768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рогрессирующего фиброза и цирроза печени
TW200533366A (en) Agonist to human beta3 adrenaline receptor
Gitay et al. Metabolic and Behavioral Effects of Serotonergic Antidepressants in Rats Exposed to Swim Endurance Stress
KR20030083348A (ko) 지방세포 분화 저해 활성을 가지는 프로토베르베린알칼로이드 화합물인 베르베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비만예방 및 치료
KR100590818B1 (ko) 소분자 유기화합물의 직접적 p90 리보솜 S6 키나제 1(RSK1)의 활성증진에 의한 당뇨병, 비만 및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도
WO2023244591A1 (en) Phloroglucino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TWI446913B (zh) 南瓜活性成分(22E,24R)-24-甲基-6β-甲氧基-5α-膽甾醇-7,22-二烯-3β,5-二醇及(22E,24R)-3β-羥基麥角固醇-5,8,22-三烯-7-酮之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