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840B1 -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840B1
KR100575840B1 KR1020040022707A KR20040022707A KR100575840B1 KR 100575840 B1 KR100575840 B1 KR 100575840B1 KR 1020040022707 A KR1020040022707 A KR 1020040022707A KR 20040022707 A KR20040022707 A KR 20040022707A KR 100575840 B1 KR100575840 B1 KR 100575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ypass
rotary compressor
hole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347A (ko
Inventor
홍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8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04C28/2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using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28/2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바이패스밸브 조립체를 모듈화 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압축되는 냉매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체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내부공간 일측에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는 장착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회전식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시키는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압력차에 의해 유동되며 상기 바이패스홀을 개폐시키는 밸브판과; 상기 바이패스홀과 장착공간부의 경계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판이 그 두께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밸브판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밸브가이드와;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는 가스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판 및 밸브가이드와 함께 모듈화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가이드 선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상기 바이패스홀과 장착공간부의 경계면에는 상기 밸브판이 밀착될 수 있도록 접촉면을 형성하는 밸브접촉부가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회전식 압축기, 용량 가변, 바이패스홀,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모듈화, 밸브접촉부, 고정부재, 탄성돌기부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BYPASS VALVE ASSEMBLY FOR CAPACITY VARIABLE TYPE ROTARY COMPRESSOR}
도 1은 종래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로서, 바이패스밸브 조립체가 구비된 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도 2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종래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로서, 냉매가스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밸브 조립체가 구비된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실린더 24c : 바이패스홀
24d : 장착공간부 24e : 밸브접촉부
24f : 단턱 31 : 연결관
34 :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35 : 고정부재
35a : 가스통과공 35b : 탄성돌기부
35c : 걸림돌기부 35d : 돌기
36 : 밸브판 37 : 밸브가이드
37a : 몸체 37b : 가이드부재
37d : 가스통공 37e : 결합돌기
37f : 돌기홈 38 : 밸브스프링
38a : 스프링홈
본 발명은 회전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매 가스 등의 유체를 압축하는 기기로서, 상기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회전식 압축기, 왕복동식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등으로 분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한 개의 케이싱 내부에 전동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함께 구비하고, 전동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한 개의 회전축 양단에 각각 결합 하여 전동기구부의 회전력을 압축기구부에 전달함으로써 압축기구부에서 냉매에 대한 압축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식 압축기는 대부분 에어콘과 같은 공기조화기에 적용하는데, 최근 에어콘의 다기능화에 부응하여 소비전력 감소 및 압축기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압축기 용량을 가변하는 방식이 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복잡한 제어기(예를 들어, 인버터(Inverter) 시스템) 등을 구비하여야 했던 바,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바이패스밸브 조립체를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안전성 있게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가 제시된 바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로서, 바이패스밸브 조립체가 구비된 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4는 도 2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종래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로서, 냉매가스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종래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는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기구부와,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기구부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기구부는, 케이싱(10)의 내부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자(11)와, 상기 고정자(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12)와, 상기 회전자(12)의 축심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영역에 편심부가 형성된 회전축(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구부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14)와, 상기 실린더(14)의 좌우 양측을 복개하여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메인베어링(15) 및 서브베어링(16)과, 상기 회전자(12)에 압입되고 메인베어링(15)과 서브베어링(16)에 지지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3)의 편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린더(14)의 내부공간에서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롤링피스톤(17)과, 상기 메인베어링(15)의 중앙부근에 구비한 토출포트(15a)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제한하는 토출밸브(19)와, 상기 토출밸브(19)를 수용하도록 공명실을 구비하여 메인베어링(15)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머플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린더(14)의 내부 일측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및 철회 가능하게 배치되며 롤링피스톤(17)의 외경면에 접촉되어 내부 공간을 흡입실(S)과 압축실(C)로 구획하는 베인(18)이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인수용부(1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베인수용부(18a)의 내부에는 상기 베인(18)이 롤링피스톤(17)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스프링(18b)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4)의 내부 일측에는 냉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베인수용부(18a)를 사이에 두고 흡입구(14a)의 타측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1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4a)에는 케이싱(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는 가스흡입관(21)이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10)의 상측에는 압축된 가스가 외부로 토출되는 가스토출관(22)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14)의 흡입구(14a)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홀(14c)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바이패스홀(14c)의 출구측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장착공간부(14d)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바이패스밸브 조립체(24)가 장착되는 바,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상기 가스토출관(22)과 가스흡입관(21)에는 제 1바이패스관(22a)과 제 2바이패스관(21a)이 각각 분관되어 있고, 상기 각 바이패스관(21a,22a)은 3방밸브(3 way valve)(30)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홀(14c)과 연결되는 연결관(31)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3방밸브(30)는 제어부(3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연결관(31)이 제 1바이패스관(22a) 또는 제 2바이패스관(21a)과 연통될 수 있게 조절된다.
상기 바이패스밸브 조립체(24)는, 상기 바이패스홀(14c)과 장착공간부(14d)의 경계면에 밀착되어 누설을 차단하는 가스켓(25)과, 상기 가스켓(25)에 밀착되어 밸브면을 형성하는 밸브시트(26)와, 상기 밸브시트(26)의 밸브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며 상기 바이패스홀(14c)을 개방 또는 차단시켜 냉매가스의 바이패스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판(27)과, 상기 밸브판(27)을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밸브판(27)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밸브가이드(28)와, 상기 밸브가이드(28)를 탄력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밸브스프링(29)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켓(25)과 밸브시트(26)는 상기 장착공간부(14d)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바이패스홀(14c)과 연통되도록 각각 관통공(25a,2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가이드(28)는, 상기 바이패스홀(14c)과 연통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밸브판(27)이 안착될 수 있게 안착면이 형성되는 몸체(28a)와, 상기 몸체(28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몸체(28)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28b)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밸브판(27)은 상기 각 가이드부재(28b)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두께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가이드부재(28b)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홈(28c)을 통해 실린더(14)의 압축실(C)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는 연결관(3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8a) 중앙부에 형성된 가스통공(28d)을 통해 연결관(3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통과되며 상기 밸브판(27)을 밸브시트(26)에 밀착되게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밸브스프링(29)은 압축스프링으로 형성하되 상기 장착공간부(14d) 내주면에 형성된 스프링홈(29a)을 통해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밸브가이드(28)를 탄력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바, 이때 상기 스프링홈(29a)에 결합되는 밸브스프링(29)의 단부는 다른 부위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감겨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회전식 압축기는, 상기 전동기구부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축(13)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13)에 연결된 롤링피스톤(17)이 실린더(14) 내부공간에서 편심 회전하며 냉매가스를 압축시키고, 이와 같이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스는 케이싱(10) 내부를 거쳐 가스토출관(22)을 통해 냉동싸이클장치로 배출된다.
여기서, 압축기의 초기 기동시에는 즉, 상대적으로 큰 냉동능력이 요구되는 경우(파워운전모드)에는 도 5와 같이,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가스흡입관(21)에서 분관된 제 2바이패스관(21a)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 1바이패스관(22a)과 연결관(31)이 연통되도록 3방밸브(30)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토출파이프(22)를 통해 배출되는 고압의 냉매가스 중 일부는 상기 제 1바이패스관(22a)을 통해 다시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바, 상기 제 1바이패스관(22a)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냉매가스는 바이패스밸브 조립체(24)의 밸브판(27)을 가압하게 되고, 이와 같은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판(27)은 밸브시트(26)의 밸브면에 밀착되며 바이패스홀(14c)을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4)의 압축실(C)에서 압축되는 냉매가스는 상기 바이패스밸브 조립체(24)를 통해 배출됨이 없이 그 전체가 토출포트(15a) 및 케이싱(10) 내부를 거쳐 토출파이프(22)를 통해 냉동싸이클장치로 배출된다.
반면에, 압축기의 운전이 안정될 시에는 즉, 상대적으로 작은 냉동능력이 요구되는 경우(세이빙운전모드)에는 도 6과 같이,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가스토 출관(22)에서 분관된 제 1바이패스관(22a)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 2바이패스관(21a)과 연결관(31)이 연통되도록 3방밸브(30)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실린더(14)의 압축실(C)에서 압축되던 냉매가스의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밸브 조립체(24)를 통해 제 2바이패스관(21a)으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14)의 압축실(C)에서 케이싱(10)으로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양이 감소하여 냉동싸이클장치의 냉방능력이 감소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가스흡입관(21)을 통해 유입되는 저압의 냉매가스는 가스흡입관(21)에서 분관된 제 2바이패스관(21a)으로 유입되어, 상기 바이패스밸브 조립체(24)의 밸브판(27)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으나, 이 밸브판(27)을 가압하는 압력은 압축실(C)의 압력보다 낮아 밸브판(27)이 밸브가이드(28) 쪽으로 밀리면서 바이패스홀(14c)이 개방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24)는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부품이 낱개로 조립되도록 되어 있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24)는 밸브판(27)이 밸브시트(26)의 밸브면에 면접촉하면서 바이패스홀(14c)을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냉매가스가 누설 또는 유실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시트(26) 및 가스켓(25)만큼 사체적이 발생하여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바이패스밸브 조립체를 모듈화 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압축되는 냉매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체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내부공간 일측에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는 장착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회전식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시키는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압력차에 의해 유동되며 상기 바이패스홀을 개폐시키는 밸브판과; 상기 바이패스홀과 장착공간부의 경계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판이 그 두께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밸브판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밸브가이드와;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는 가스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판 및 밸브가이드와 함께 모듈화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가이드 선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바이패스홀과 장착공간부의 경계면에는 상기 밸브판이 밀착될 수 있도록 접촉면을 형성하는 밸브접촉부가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밸브접촉부는 상기 밸브판과 선접촉될 수 있게 그 접촉면이 곡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밸브접촉부와의 높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이 상기 밸브접촉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밸브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스통과공의 내주면에 그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밸브가이드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면에 그 결합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밸브가이드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돌기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개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밸브가이드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가 걸림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돌기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부 내주면에 형성된 스프링홈을 통해 고정설치되어 상기 밸브가이드를 탄력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밸브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스프링이 상기 밸브가이드와 함께 모듈화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가이드 후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밸브스프링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밸브 조립체가 구비된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7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밸브 조립체가 구비된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24)는, 그 내부 일측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및 철회 가능하게 배치되며 롤링피스톤(27)의 외경면에 접촉되어 내부 공간을 흡입실(S)과 압축실(C)로 구획하는 베인(28)이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인수용부(2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베인수용부(28a)의 내부에는 상기 베인(28)이 롤링피스톤(27)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스프링(28b)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24)의 내부 일측에는 냉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베인수용부(28a)를 사이에 두고 흡입구(24a)의 타측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2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24a)에는 케이싱(도시하지 않음)의 측부에 설치되는 어큐 뮬레이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는 가스흡입관(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는 압축된 가스가 외부로 토출되는 가스토출관(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24)의 흡입구(24a)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홀(24c)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바이패스홀(24c)의 출구측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장착공간부(24d)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밸브 조립체(34)가 장착되는 바,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상기 가스토출관과 가스흡입관에는 제 1바이패스관과 제 2바이패스관(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분관되어 있고, 상기 각 바이패스관은 3방밸브(3 way valve)(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홀(24c)과 연결되는 연결관(31)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3방밸브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연결관(31)이 제 1바이패스관 또는 제 2바이패스관과 연통될 수 있게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밸브 조립체(34)는, 압력차에 의해 유동되며 상기 바이패스홀(24c)을 개폐시키는 밸브판(36)과; 상기 바이패스홀(24c)과 장착공간부(24d)의 경계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판(36)이 그 두께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밸브판(36)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밸브가이드(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홀(24c)과 장착공간부(24d)의 경계면에는 상기 밸브판(36)이 밀착될 수 있도록 접촉면을 형성하는 밸브접촉부(24e)가 상기 바이패스홀(24c)과 연통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가이드(37)는, 상기 바이패스홀(24c)과 연통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밸브판(36)이 안착될 수 있게 안착면이 형성되는 몸체(37a)와, 상기 몸체(37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몸체(37a)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7b)로 구성되어 있는 바, 소정 직경을 갖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판(36)은 상기 각 가이드부재(37b)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두께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가이드부재(37b)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실린더의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는 바이패스홀(24c)을 거쳐 연결관(3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가이드(37)의 몸체(37a) 중앙부에 형성된 가스통공(37d)을 통해 연결관(3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통과되며 상기 밸브판(36)을 바이패스홀(24c)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가이드(37) 선단에는 밸브판(36)과 함께 모듈화를 이룰 수 있도록 고정부재(35)가 결합되는 바,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바이패스홀(24c)과 연통되는 가스통과공(35a)이 구비되어 있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가이드(37) 선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이를 통해 상기 밸브가이드(37) 내부에 수용되는 밸브판(36) 및 밸브가이드(37)와 함께 모듈화를 이루게 되어, 부품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게 함은 물론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5)의 결합에 따른 밸브접촉부(24e)와의 높이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접촉부(24e)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단턱(24f)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밸브판(36)은 간섭없이 밸브접촉부(24e)에 접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밸브접촉부(24e)는 상기 밸브판(36)과 선접촉될 수 있게 그 접촉면이 곡면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통과공(35a)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소정 폭을 갖는 걸림돌기부(35c)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걸림돌기부(35c)를 통해 상기 가스통과공(35a)은 상기 밸브판(3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밸브판(36)은 상기 걸림돌기부(35c)에 걸려지며 고정부재(35)가 밸브가이드(37)에 결합된 후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5)에는 상기 밸브가이드(37)와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성돌기부(35b)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탄성돌기부(35b)는 상기 고정부재(35)의 둘레면에 그 결합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밸브가이드(37)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하며 고정부재(35)가 밸브가이드(37)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돌기부(35b)는 상기 고정부재(35)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개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35)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돌기부(35b)는 그 결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가이드(37)의 외주면에 그 둘레방향을 따 라 전면적으로 감쌀 수 있게 스냅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탄성돌기부(35b)가 구비된 고정부재(35)에는 탄성돌기부(35b)와 함께 고정부재(35)의 결합상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돌기(35d) 및 돌기홈(37f)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35)의 내주면과 상기 밸브가이드(37)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35d)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35d)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돌기홈(37f)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돌기(35d) 또는 돌기홈(37f)은 상기 고정부재(35)의 내주면 대신 탄성돌기부(35b)의 내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접촉부(24e)는 상기와 같이 모듈화를 이룬 바이패스밸브 조립체(34)가 장착된 후에 상기 고정부재(35)와의 높이 간섭없이 밸브가이드(37)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력차에 따라 유동되는 밸브판(36)은 상기 밸브접촉부(24e)에 선접촉되며 바이패스홀(24c)을 개폐하게 되는 바, 종래 가스켓 및 밸브시트의 사용으로 인한 사체적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압축되는 냉매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가이드(37)의 일단에는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밸브스프링(38)이 장착되는 바, 상기 밸브스프링(38)은 압축스프링으로 형성하되 상기 장착공간부(24d) 내주면에 형성된 스프링홈(38a)을 통해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 기 밸브가이드(37)를 탄력적으로 지지 고정하며, 이때 상기 스프링홈(38a)에 결합되는 밸브스프링(38)의 단부는 다른 부위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감겨져 있다.
아울러, 상기 밸브가이드(37) 후단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결합돌기(37e)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를 통해 결합되는 상기 밸브스프링(38)은 상기 밸브가이드(37)와 함께 모듈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바이패스밸브 조립체(34)를 통한 회전식 압축기의 운전방법은 종래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에 의하면 바이패스밸브 조립체를 모듈화 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압축되는 냉매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체적을 저감시켜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내부공간 일측에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는 장착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회전식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시키는 바이패스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압력차에 의해 유동되며 상기 바이패스홀을 개폐시키는 밸브판과; 상기 바이패스홀과 장착공간부의 경계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판이 그 두께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밸브판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밸브가이드와;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는 가스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판 및 밸브가이드와 함께 모듈화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가이드 선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바이패스홀과 장착공간부의 경계면에는 상기 밸브판이 밀착될 수 있도록 접촉면을 형성하는 밸브접촉부가 상기 바이패스홀과 연통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접촉부는 상기 밸브판과 선접촉될 수 있게 그 접촉면이 곡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밸브접촉부와의 높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이 상기 밸브접촉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스통과공의 내주면에 그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밸브가이드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면에 그 결합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밸브가이드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개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밸브가이드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가 걸림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돌기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부 내주면에 형성된 스프링홈을 통해 고정설치되어 상기 밸브가이드를 탄력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밸브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프링이 상기 밸브가이드와 함께 모듈화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가이드 후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밸브스프링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 브 조립체.
KR1020040022707A 2004-04-01 2004-04-01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KR100575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707A KR100575840B1 (ko) 2004-04-01 2004-04-01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707A KR100575840B1 (ko) 2004-04-01 2004-04-01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347A KR20050097347A (ko) 2005-10-07
KR100575840B1 true KR100575840B1 (ko) 2006-05-03

Family

ID=3727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707A KR100575840B1 (ko) 2004-04-01 2004-04-01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8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2762U (ko) * 1979-03-30 1980-10-13
JPS6432492U (ko) * 1987-08-18 1989-03-01
KR0136478Y1 (ko) * 1994-07-15 1999-03-20 김광호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
KR100413319B1 (ko) * 2000-04-20 2003-12-31 주식회사 만도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코일조립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2762U (ko) * 1979-03-30 1980-10-13
JPS6432492U (ko) * 1987-08-18 1989-03-01
KR0136478Y1 (ko) * 1994-07-15 1999-03-20 김광호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
KR100413319B1 (ko) * 2000-04-20 2003-12-31 주식회사 만도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코일조립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347A (ko) 200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910B1 (ko) 방출밸브를 갖춘 스크롤 머신
KR101673739B1 (ko) 전동 압축기
US9435342B2 (en) Horizontal type scroll compressor
KR101083218B1 (ko) 압축 시스템, 다기통 회전 압축기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장치
JP4796073B2 (ja) 容量可変型ロータリ圧縮機
US20090148325A1 (en) Rotary type compressor
US9441630B2 (en) Horizontal type scroll compressor having discharge guide between a main scroll and a motor housing
JP2008509326A (ja) ロータリ圧縮機の容量可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アコンデショナの運転方法
US10982674B2 (en) Scroll compressor with back pressure chamber and back pressure passages
EP2990649A1 (en)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and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device provided with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KR100793001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519341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724452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JP3963740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KR100575838B1 (ko)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KR100575840B1 (ko)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KR100539826B1 (ko)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KR100539827B1 (ko)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KR100575839B1 (ko)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KR100539828B1 (ko) 용량 가변형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WO2021128905A1 (zh) 泵体组件及变容压缩机
KR100621026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CN100394033C (zh) 可变容量型旋转式压缩机的旁通阀组件
KR100677527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641243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