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751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751B1
KR100575751B1 KR1020030083749A KR20030083749A KR100575751B1 KR 100575751 B1 KR100575751 B1 KR 100575751B1 KR 1020030083749 A KR1020030083749 A KR 1020030083749A KR 20030083749 A KR20030083749 A KR 20030083749A KR 100575751 B1 KR100575751 B1 KR 100575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lash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969A (ko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7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플래시 장착공간부에 내장되는 플래시;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플래시에서 발광된 빛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조절하는 조사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카메라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플래시가 조사하는 빛의 방향을 다양화할 수 있다.
삭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를 따라 취한 개폐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단말기 3 : 플래시
4 : 플래시 장착공간부 5a,5b,5c : 개구부
6a,6b,6c : 안내홈 7a,7b,7c : 개폐판
8a,8b,8c : 돌기부 9 : 단말기 덮개
10a,10b,10c : 투광창 11a,11b,11c : 도피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의 회전에 따라 플래시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피디에이(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성능 향상 또는 외관 향상을 위한 각종 악세서리에 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 그 중 최근에는 사진 및 영상 등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크게 유행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플래시 기능이 구비되어야 하는 바,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플래시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플래시의 경우 크게 단말기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내장형 플래시와 단말기 외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장형 플래시로 나누어 지는데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플래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장형 플래시의 경우에는 이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로 플래시를 구입하여 단말기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외장형 플래시는 사진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해야 하고, 사용하고 난 후에는 이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의 어려움과 분실의 우려가 있었으며, 상기 외장형 플래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한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뿐 아니라, 탈거시 플래시의 파손이나 분실의 위험도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 외장형 플래시의 문제점을 보안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 일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내장형 플래시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회전수단을 통해 일정한 각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카메라가 각광 받고 있는 바, 상기 회전형 카메라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형 플래시가 설치된 경우,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회전수단을 통해 다양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지만, 플래시의 경우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그 적용되는 범위가 일방향으로 한정되었다.
따라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촬영시 피사체의 촬영방향에 따라 카메라를 움직이면 카메라의 방향과 플래시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게 되어 피사체의 화상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어두운 장소에서 또는 야간 촬영시 카메라 촬영의 방향성 제약을 받게 되어 카메라 및 플래시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회전하는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따라 플래시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플래시 장착공간부에 내장되는 플래시;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플래시에서 발광된 빛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조절하는 조사조절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를 따라 취한 개폐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회전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등 그 형태에 무관하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2)와, 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30)와, 단말기 본체(2)에 설치되는 플래시(3)와, 플래시(30)가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조사조절부를 포함한다.
삭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2)는 복수의 입력키(2a')가 전면에 장착된 본체부(2a)와, 본체부(2a)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들어 액정화면표시장치(LCD)인 디스플레이(2b')가 장착된 덮개부(2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2)의 힌지에 장착되는 카메라(30)는 회전수단을 통해 일정한 각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형 카메라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플래시(3)는 단말기 본체(2)의 덮개부(2b) 상부 일측에 소정 공간부(4) 내에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단말기 본체(2)의 덮개부(2b)의 상부 일측에는 전후면이 개구된 중공 형상의 공간부(이하, '플래시 장착공간부'라 지칭한다)(4)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래시 장착공간부(4) 내부의 하단에는 플래시(3)가 장착된다.
삭제
조자조절부는 플래시 장착공간부(4)를 한정하는 덮개부(2b)에 형성된 복수의 조사통로와, 이러한 조사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조사통로는 상기 플래시(3)가 발광시 이 플래시(3)에서 발광된 빛이 플래시 장착공간부(4)의 외부로 조사되도록 플래시 장착공간부(4)를 한정하는 덮개부(2b)에 개구된 부분(이하, '개구부'라 지칭한다)(5a,5b)이다. 이러한 개구부(5a,5b)는 빛이 조사되는 통로가 됨으로써 조사 통로라고도 지칭된 것이다. 나아가, 개폐수단은 상기 각 개구부(5a,5b)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각 개구부(5a,5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투광성 재질의 개폐판(7a,7b)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각 개구부(5a,5b)에는 상기 각 개폐판(7a,7b)이 삽입되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홈(6a,6b)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각 개폐판(7a,7b)은 상기 각 개구부(5a,5b)에 형성된 안내홈(6a,6b)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선택적으로 각 개구부(5a,5b)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각 개구부(5a,5b)를 한정하는 덮개부(2b)의 일측에는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된 개폐판(7a,7b)이 도피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개구부(5a,5b)가 연장되는 방식으로 도피홈(11a,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피홈(11a,11b)에도 상기 안내홈(6a,6b)이 걸쳐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개폐판(7a,7b)의 외면 일단에는 소정크기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8a,8b)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각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8a,8b)는 상기 각 개폐판(7a,7b)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상기 각 개폐판(7a,7b)을 손쉽게 슬라이딩 조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 및 상기 각 개폐판(7a,7b)의 내면은 빛을 반사 시킬 수 있는 유리 또는 금속 등과 같은 반사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조사조절부로서, 플래시 장착공간부(4) 전후면 뿐만 아니라 상단면에도 개구부(5c) 및 안내홈(6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5c)는 개폐판(7c)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개폐판(7a,7b,7c)의 저면에는 유리 또는 투명판 등과 같이 빛을 통과시킴은 물론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를 밀폐시킬 수 있는 투광창(10a,10b,10c)이 설치되는 바, 이를 통해 상기 각 개폐판(7a,7b,7c)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이물질 등에 의해 플래시(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a, 도 3b, 도 3c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장착된 플래시 및 개폐판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의 전면쪽으로 형성된 개구부(5a)에 장착된 개폐판은 제 1 개폐판(7a)으로 지칭하고,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의 후면쪽으로 형성된 개구부(5b)에 장착된 개폐판은 제 2 개폐판(7b)으로 지칭하며,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의 상면쪽으로 형성된 개구부(5c)에 장착된 개폐판은 제 3 개폐판(7c)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밝은 곳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즉, 플래시(3)의 작동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의 각 개구부(5a,5b,5c)를 상기 제 1, 제 2, 제 3 개폐판(7a,7b,7c)을 이용하여 차단시킨 상태에서 카메라(30)의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즉, 플래시(3)의 작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의 각 개구부(5a,5b,5c)를 막고 있는 상기 제 1, 제 2, 제 3 개폐판(7a,7b,7c)을 개방시켜 플래시(3) 빛의 조사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바, 상기 각 개폐판(7a,7b,7c)은 피사체의 촬영방향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첨부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2)를 기준으로 피사체가 전방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플래시 장착공간부(4) 전면쪽으로 형성된 개구부(5a)에 장착된 제 1 개폐판(7a)을 안내홈(6a)을 따라 도피홈(11a)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개방시켜 플래시(3)의 빛을 전방으로 조사시킬 수 있으며, 첨부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사체가 후방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플래시 장착공간부(4) 후면쪽으로 형성된 개구부(5b)에 장착된 제 2 개폐판(7b)을 안내홈(6b)을 따라 도피홈(11b)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개방시켜 플래시(3)의 빛을 후방으로 조사시킬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 장착공간부(4) 상면쪽으로 형성된 개구부(5c)에 장착된 제 3 개폐판(7c)은 피사체가 상방향 부근에 위치해 있을 경우나 간접조명을 필요로 할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플래시 장착공간부(4) 상단쪽으로 형성된 개구부(5c)에 장착된 제 3 개폐판(7c)을 안내홈(6c)을 따라 도피홈(11c)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개방시켜 플래시(3)의 빛을 상방으로 조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각 개폐판(7a,7b,7c)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씩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개폐판을 동시에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두운 장소에서 플래시(3)를 켜서 사물을 식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든 개폐판(7a,7b,7c)을 개방하여 전 방향으로 플래시(3)의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 개폐판(7a,7b,7c) 저면에는 투광창(10a,10b,10c)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각 개폐판(7a,7b,7c)이 개방되더라도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래시 장착공간부(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개폐판(7a,7b,7c) 중 하나만을 개방시켜 플래시(3)의 빛을 조사시킬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4) 및 각 개폐판(7a,7b,7c) 내면이 반사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반사체를 통해 플래시 장착공간부(4) 내부에서 다방향으로 발광되는 플래시(3)의 빛이 한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어, 결국 플래시(3)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30)의 촬영방향에 따라 플래시(3)의 방향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어 야간에도 피사체의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선명한 촬영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한 카메라와 플래시를 장착하고, 카메라의 방향과 동일 방향 또는 그와 무관한 복수의 방향 등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플래시에서 발광된 빛의 조사통로를 개폐수단으로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카메라의 회전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면서도 그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플래시의 빛을 조사할 수 있고, 나아가 필요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플래시의 빛을 조사하여 어우운 공간을 보다 밝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플래시 장착공간부에 내장되는 플래시;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플래시에서 발광된 빛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조절하는 조사조절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조절부는,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를 한정하는 단말기 본체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플래시에서 발생한 빛이 통과하는 복수의 조사통로;
    상기 단말기 본체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조사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통로는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를 한정하는 단말기 본체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래시에서 발생된 빛이 복수의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투광성 개폐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개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때 슬라이딩되어 수납될 수 있는 도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도피홈을 한정하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개폐판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장착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장착공간부의 내면은 반사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내면은 반사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 내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83749A 2003-11-24 2003-11-24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75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49A KR100575751B1 (ko) 2003-11-24 2003-11-24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49A KR100575751B1 (ko) 2003-11-24 2003-11-24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969A KR20050049969A (ko) 2005-05-27
KR100575751B1 true KR100575751B1 (ko) 2006-05-03

Family

ID=3866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749A KR100575751B1 (ko) 2003-11-24 2003-11-24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71B1 (ko) * 2005-10-17 2007-06-08 구재림 휴대폰용 플래쉬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969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42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회전 장치
US8576549B2 (en) Two-axis hinge and mobile device
KR1006060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CN102109739A (zh) 用于电子设备的防水盒
KR1006525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CN107580099B (zh) 用于移动终端设备的外壳和移动终端设备
KR200486453Y1 (ko)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US20100239242A1 (en) Safeguard apparatus for covering camera lens
KR1005757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564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KR100649734B1 (ko)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KR100494652B1 (ko) 카메라 덮개가 장착된 휴대폰
US5819127A (en) Lens cover that slides along front surface of a camera body
US5892996A (en) Lens cover that slides along front surface of a camera body
KR200367840Y1 (ko) 휴대폰의 카메라렌즈 보호장치
KR102337746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0690826B1 (ko) 카메라 개폐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5565942A (en) Camera with built-in flash
KR20031998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개폐 장치
JP4014427B2 (ja) 接写用凸レンズを具えた撮像機器
US5845167A (en) Camera with a barrier
KR100880728B1 (ko)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한 전자 통신 장치
KR20040107690A (ko) 발광 램프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060083352A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59B1 (ko) 광학필터를 구비한 카메라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