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728B1 -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한 전자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한 전자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728B1
KR100880728B1 KR1020070058499A KR20070058499A KR100880728B1 KR 100880728 B1 KR100880728 B1 KR 100880728B1 KR 1020070058499 A KR1020070058499 A KR 1020070058499A KR 20070058499 A KR20070058499 A KR 20070058499A KR 100880728 B1 KR100880728 B1 KR 100880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multifunction module
dynamic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562A (ko
Inventor
에사-사카리 매애태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11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다기능 모듈에 대한 것으로, 주 몸체 부분,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 동적 다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부분들은 서로 슬라이드형 접촉으로 연결되며,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하나의 가장자리가 주 몸체 부분에 관절(articulation)로 연결되고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에 링크되어 연결되며,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이 닫혀진 상태일 때는 제1 위치에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이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관절 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통신 장치의 이미지 포착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동적 다기능 모듈, 전자 장치

Description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한 전자 통신 장치{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ynamic multifunctional module}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종래의 이동 전화기를 도시하며;
도2a와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통신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3a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통신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4는 도2a와 도2b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적 다기능 모듈을 더 정확하게 도시하며;
도5는 도3a와 도3b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적 다기능 모듈을 더 정확하게 도시한다.
본 발명은 동적 다기능 모듈 및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통신 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통신 장치의 이미지 포착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동 전화기 산업에 있어서, 더 얇은(slimmer) 이동 전화기들을 제조하는 것 이 요구된다. 더 얇은 이동 전화기에 대하여 가장 제한적인 부분 중의 하나는 카메라이다. 특히, 이동 전화기가 슬라이드형(sliding) 커버 부분과 카메라를 가질 때, 전화기는 예를 들어 일체형 이동 전화기의 해결책들과 비교하여 매우 두꺼워지는(15㎜ 보다 크게)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의 모든 필요한 부분들을 서로의 상부에 적층할 경우(종래 전화기에서 행해진 방식) 및 이동 전화기가 슬라이드형 메커니즘을 가지는 경우는, 매우 얇은(slim) 이동전화기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종래 전화기들에 남겨진 유일한 가능성은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새로운 부품들을 더 얇도록 디자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과 이미지 포착 장치에 대한 종래 모듈들을 사용하는 이미지 포착 장치 및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을 구비하는 얇은 전자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것은 이동 전화기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동적 다기능 모듈로 달성된다. 이러한 동적 다기능 모듈은 이미지 포착 장치, 안테나와 스피커들과 같은 오디오 요소들, 오디오 챔버들, 및/또는 스피커 그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과 이미지 포착 장치로 더 얇은 이동 전화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동적 다기능 모듈로 달성되는데,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슬라이더(slider) 전화기가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위치에 있고, 전화기의 슬라이드형 커버가 개방될 때 슬라이드형 커버가 동시에 동적 다기능 모듈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이동은 동적 다기능 모듈과 이동 전화기의 주 몸체 부분 사이에 위치된 관절을 중심으로 일 어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적층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전화기의 두께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와 카메라 모듈의 두께의 합에 의해서가 아니라 카메라 모듈의 두께에 의해서 주로 특정지워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줌을 구비한 카메라로 얇은 전자 통신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전자 통신 장치의 이미지 포착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이동 전화기(101)를 도시한다. 이동 전화기(101)는 주 몸체 부분(102)과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103)의 두 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슬라이드형 결합으로 서로 연결된다. 주 몸체 부분(102)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카메라 모듈(104)을 포함하고,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103)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5)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04)은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103)이 열려있거나 또는 닫혀있는 커버 부분(103)의 위치들 모두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제조사의 디자인에 따라 예를 들어 카메라의 초상화 모드 또는 풍경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두 개의 주요 부분들(102, 103)이 모든 필요한 구성요소들(카메라 모듈(104)과 디스플레이 모듈(105))과 함께 적층될 때, 슬라이더 이동 전화기(101)의 두께는 카메라를 구비한 정교한 형태의 슬라이더 이동 전화기의 경우에 불가피하게 너무 커지게 된다.
도2a와 도2b는 주 몸체 부분(202)과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203)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통신 장치(201)을 도시한다. 전자 통신 장 치(201)의 주 몸체 부분(202)의 상위 단부(204)는 힌지(205)로 동적 다기능 모듈(206)에 연결된다. 즉, 모듈은 관절 또는 관절 수단으로 하나의 가장자리가 주 몸체 부분에 결합된다. 이러한 동적 다기능 모듈(206)은 카메라 모듈(이미지 포착 장치)을 포함하고, 또한 예를 들어 안테나 및 여러 오디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도2a와 도2b에 도시되지 않았다). 카메라의 렌즈들(207)(및 동시에 사진 촬영 방향)은 도2a(제1 위치)에서 화살표(208)의 방향을 향한다. 도2b에서, 카메라의 렌즈는 화살표(209)(제2 위치)의 방향으로 향한다. 카메라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203)이 닫혀졌을 때, 카메라 모듈이 도1의 종래 기술의 전화기와 비교하여 90도로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 촬영 방향에 대하여 카메라 모듈의 두께가 전자 통신 장치의 총 두께를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기술 유형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더 얇은 전자 통신 장치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전자 통신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카메라를 추가하는 것은 전자 통신 장치의 폭 또는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카메라가 광줌을 구비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길이가 불가피하게 증가하더라도, 그것은 그렇게 상당한 크기는 아니다.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203)이 밖으로 미끄러질 때, 그것은 동시에 동적 다기능 모듈(206)을 제1 위치(도2a)에서 제2 위치(도2b)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주 몸체 부분(202)에 대하여 모듈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수단들을 포함한다. 회전은 주 몸체 부분(202)의 상부이면서 바깥쪽 코너(210)에 위치된 힌지(205)를 중심으로 일어난다. 도2b의 제2 위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방향(및 동시에 전 동적 다기능 모 듈(206)의 방향)은 필요하다면 90도를 넘어 회전할 수도 있다. 도2a와 도2b에 도시된 해결책에 있어서, 회전각(211)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약 45도이다. 회전각(211)은 동적 다기능 모듈(206)의 힌지(205)의 인접 코너(212)에 상이한 크기의 돌기들을 배치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도2a와 도2b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3a와 도3b에서 카메라 모듈은 동적 다기능 모듈(306)의 더 두꺼운 부분(종단 부분:far end part)(312)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카메라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적층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카메라의 렌즈들(307)(및 사진 촬영 방향)은 도3a(제1 위치)에서의 화살표(308)의 방향으로 향한다. 도3b에서, 카메라의 렌즈들(307)은 화살표(309)(제2 위치)의 방향을 향한다. 카메라는 양 위치들에서 동작될 수 있다. 카메라의 회전각(311)은 단지 몇 도에 지나지 않지만, 이러한 구성은 종래 기술의 슬라이더 전화기들보다도 더 얇은 전자 통신 장치를 만들 수 있게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더 명확하게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동적 다기능 모듈의 내부의 부분들이 더 잘 보이도록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식으로 도시되었다. 동적 다기능 모듈(406)은 장치의 주 몸체 부분(402)에 대하여 기울어져 위치하며,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403)은 동적 다기능 모듈(406)을 넘어 연장된다.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403)은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의 양 측에 안내로들(413)을 가진다. 동적 다기능 모듈(406)의 앞 코너(410)에 힌지(405)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4)은 동적 다기능 모듈(406)의 중앙에 위치된다. 카메라 모듈의 양 측면에는 스피커들(414), 오디오 챔버들(415) 및 스피커 그릴들(416)이 있 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더 명확하게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동적 다기능 모듈(506) 내부의 부분들을 더 잘 보이도록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식으로 도시되었다. 동적 다기능 모듈(506)은 장치의 주 몸체 부분(502)에 대하여 기울어져 위치하며,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503)은 동적 다기능 모듈(506)을 넘어 연장된다.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503)은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의 양 측에 안내로들(513)을 가진다. 동적 다기능 모듈(506)의 앞 코너(510)에 힌지(505)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카메라 모듈(504)은 동적 다기능 모듈(506)의 중앙에 위치된다. 카메라 모듈(504)의 양 측면에는 스피커들(514), 오디오 챔버들(515) 및 스피커 그릴들(516)이 있다. 또한 안테나 라디에이터(517)가 동적 다기능 모듈(506)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장점 중의 하나는 카메라가 오디오 챔버 및 안테나 반사경(reflector)에 대하여 이용가능한 공간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2a와 도2b 및 도3a와 도3b에서 예를 들어 도시된 전자 통신 장치의 이미지 포착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203)은 전자 통신 장치(201)가 열리는 동안에 안내로들을 따라서 주 몸체 부분(202)에 대하여 이동하고, 동시에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은 동적 다기능 모듈(206)을 회전시키며, 동적 다기능 모듈은 하나의 가장자리(210)가 주 몸체 부분에 관절로 연결되며 관절(205)을 중심으로 제1 이미지 포착 방향(208)에서 제2 이미지 포착 방향(209)까지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에 링크된다.
본 발명은 그것의 사상 및 실질적인 특성들과 분리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 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두 제한적으로서가 아니라 단지 예시적 으로 고려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에 의하기 보다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 표시된다. 청구항들의 수단 및 동등 범위에서의 모든 변화들이 그것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됨으로써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이 도시되고, 설명되고, 지적되는 동안에, 상술한 장치들 및 방법들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 여러 가지 생략, 대체, 및 변화들이 본 발명의 사상과 분리되지 않고 당해 기술의 숙련된 자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들 구성 요소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의 모든 조합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을 명백히 의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어떤 개시된 형태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및/또는 설명된, 구조들 및/또는 구성 요소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은, 디자인 선택의 일반적 문제로서 어떤 다른 개시되거나 설명되거나 제안된 형태 또는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원에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 표시되는 것으로서 단지 제한될 것을 의도한다. 더욱이, 청구항들에서 기능식(means-plus-function) 절들은 인용된 기능을 수행하는 상술한 구조들을 포함하며, 구조적으로 동등물들 뿐만 아니라 동등한 구조들도 포함한다. 따라서 못과 나사는, 못은 목제 부분들을 고정하기 위해서 원통의 표면을 사용하고, 반면에 나사는 나사 표면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구조상 동등물은 아닐 수 있으나, 목제 부분들을 고정하는 환경에서 못과 나사는 동등한 구조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슬라이드형 커버 부분과 이미지 포착 장치로 더 얇은 이동 전화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동적 다기능 모듈로 달성되는데,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슬라이더(slider) 전화기가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위치에 있고, 전화기의 슬라이드형 커버가 개방될 때 슬라이드형 커버가 동시에 동적 다기능 모듈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이동은 동적 다기능 모듈과 이동 전화기의 주 몸체 부분 사이에 위치된 관절을 중심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적층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전화기의 두께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와 카메라 모듈의 두께의 합에 의해서가 아니라 카메라 모듈의 두께에 의해서 주로 특정지워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줌을 구비한 카메라로 얇은 전자 통신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3)

  1. 동적 다기능 모듈의 하나의 가장자리가 전자 통신 장치의 주 몸체 부분에 관절로 연결되고,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이미지 포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다기능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안테나, 스피커, 오디오 챔버 또는 스피커 그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동적 다기능 모듈.
  3. 주 몸체 부분,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 및 동적 다기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들은 슬라이드형 접촉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하나의 가장자리가 상기 주 몸체 부분에 관절로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과 링크되어 연결되며,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이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위치에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이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에 의해서 제2 위치로 관절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이미지 포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안테나, 스피커, 오디오 챔버 또는 스피커 그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을 중심으로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의 회전 각도는 5도 내지 120도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통신 장치는 이동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8. 전자 통신 장치가 열리는 동안에 안내로들을 따라 주 몸체 부분에 대하여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전자 통신 장치의 이미지 포착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은 동적 다기능 모듈을 회전시키고,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하나의 가장자리가 상기 주 몸체 부분에 관절로 연결되고 상기 관절을 중심으로 제1 이미지 포착 방향으로부터 제2 이미지 포착 방향까지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장치가 열리는 동안에 안내로들을 따라 주 몸체 부분에 대하여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장치의 이미지 포착 방향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은, 하나의 가장자리가 상기 주 몸체의 부분에 관절로 연결된 동적 다기능 모듈을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에 링크되어 제1 이미지 포착 방향에서 제2 이미지 포착 방향까지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주 몸체 부분,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들은 슬라이드형 접촉으로 서로 연결되고, 동적 다기능 모듈은 하나의 가장자리가 상기 주 몸체 부분에 관절로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에 링크되며,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이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제1 위치에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이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드형 몸체 부분에 의해서 제2 위치로 상기 관절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이미지 포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은 안테나, 스피커, 오디오 챔버 또는 스피커 그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을 중심으로 상기 동적 다기능 모듈의 회전 각도는 30도 내지 90도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KR1020070058499A 2006-06-15 2007-06-14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한 전자 통신 장치 KR100880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24,276 2006-06-15
US11/424,276 US20070291534A1 (en) 2006-06-15 2006-06-15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ynamic Multifunctiona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562A KR20070119562A (ko) 2007-12-20
KR100880728B1 true KR100880728B1 (ko) 2009-02-02

Family

ID=3856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499A KR100880728B1 (ko) 2006-06-15 2007-06-14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한 전자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91534A1 (ko)
EP (1) EP1868356A1 (ko)
KR (1) KR100880728B1 (ko)
CN (1) CN1011023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6008B (zh) * 2008-01-22 2013-02-11 Asustek Comp Inc 可攜式電子裝置
US7992773B1 (en) * 2010-09-15 2011-08-09 Reagan Inven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218A (ko) * 2003-06-17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71747A (ko) * 2004-01-02 2005-07-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12737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팬택 회전형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5478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10170U1 (de) * 1995-06-22 1995-11-30 Siemens Ag Stiftorientierter Kleinrechner in Notizblockform
GB2368992B (en) * 2000-11-10 2005-03-30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Imaging
US7106357B2 (en) * 2001-08-27 2006-09-12 Olympus Optical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aving camera feature
KR100449451B1 (ko) * 2001-12-08 2004-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US7154526B2 (en) * 2003-07-11 2006-12-26 Fuji Xerox Co., Ltd. Telepresence system and method for video teleconferencing
KR100551426B1 (ko) * 2003-08-27 2006-02-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연동장치를 갖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3544B1 (ko) * 2004-01-09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자동 개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30098B1 (ko) * 2004-02-20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218A (ko) * 2003-06-17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71747A (ko) * 2004-01-02 2005-07-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12737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팬택 회전형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5478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2346A (zh) 2008-01-09
EP1868356A1 (en) 2007-12-19
KR20070119562A (ko) 2007-12-20
US20070291534A1 (en)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8817B2 (ja) 移動端末
KR100605842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회전 장치
EP3525433B1 (en) Mobile terminal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7587225B2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EP1805903B1 (en) Camera rotating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KR100642771B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US20040203535A1 (en) Mobile phone having a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JP2008507936A (ja) 光学ズーム機能が可能な携帯用端末器カメラモジュール
CN1622560A (zh) 滑盖式/折叠式便携式数字通信设备
JP2007116361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撮像装置
KR100640342B1 (ko)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100880728B1 (ko)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한 전자 통신 장치
JP2007006146A (ja) 撮像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20050075561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557067B1 (ko) 수직 방향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슬라이딩-업 타입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486745Y1 (ko) 힌지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JP2007074583A (ja) 撮像機能付き携帯電子機器
KR20040102483A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516562B1 (ko) 조명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375907Y1 (ko) 고정형 렌즈가 부가된 카메라를 갖는 슬라이드형 모바일단말기
KR2005001123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개폐 장치
JP2005143000A (ja) スライド式携帯電子機器
JP2005124127A (ja) 携帯機器
KR100469703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