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724B1 - 표시 장치 및 휴대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휴대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724B1
KR100574724B1 KR1020030049100A KR20030049100A KR100574724B1 KR 100574724 B1 KR100574724 B1 KR 100574724B1 KR 1020030049100 A KR1020030049100 A KR 1020030049100A KR 20030049100 A KR20030049100 A KR 20030049100A KR 100574724 B1 KR100574724 B1 KR 100574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electrode
display device
lay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245A (ko
Inventor
간베마꼬또
쯔다가즈히꼬
후지와라사유리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매체층과, 이 표시 매체층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제1 전극은 제1 도전층과, 이 제1 도전층을 덮고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1 고분자막을 갖는다. 제2 전극은 제2 도전층과, 이 제2 도전층을 덮고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2 고분자막을 갖는다. 적어도 제1 도전층의 일부의 일함수는 제2 도전층의 일함수와 다르다. 제1 고분자막 및 제2 고분자막의 각각은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4이하이다.
표시 매체층, 고분자막, 도전층, 벤젠 링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휴대 기기{DISPLAY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APPLIANCE WITH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반사 도전층 및 투명 도전층의, 각각의 에너지 준위 및 일함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을 광조사한 경우의,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전극 전위차의 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전극 전위차와 조사 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5는 배향막의 투과율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전극 전위차와 배향막의 벤젠 링 밀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투과율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깜박임 검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2개의 대향전극 간의 전극 전위차의 발생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 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액정층
4 :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6 : 대향 기판
8 : 투명 기판
10 : 화소 전극
12 : 반사 도전층
12R : 반사 도전층
12T : 투명 도전층
14 : 배향막
16 : 층간 절연막
18 : 접속 전극
22 : 대향 전극
24 : 투명 도전층
26 : 배향막
28 : 컨택트홀
30 :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42 : 광 검출기
44 :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50 :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매체층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전극이 일함수가 서로 다른 도전층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양한 종류의 OA(Office Automation) 기기가 급속도로 경량화, 소형화되어, 원하는 곳에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소형 경량화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제조 비용은 성공적으로 저감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하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절박한 과제의 하나는 표시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다.
통상,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특성을 갖는 표시 매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한쌍의 전극이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그러한 표시 장치는 (즉, 전극 간에 전위차를 생성하는) 표시 매개층에 전압을 인가됨으로써 표시 동작을 행한다. 표시 매체층으로서는, 예를들면, 액정 재료,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재료, 플라즈마, 일렉트로크로믹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 표시 매체층에 액정 재료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LCD)는, 비교적 낮은 소비 전력으로 표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고, 다른 종류의 표시 장치보다 고가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LCD의 보다 저소비 전력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통상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대신에,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개발이 왕성히 행해지고 있다.
특히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휴대 전화를 비롯한 대부분의 휴대 통신 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어떠한 환경에서도 표시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가능하도록, 보조 광원을 구비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보조 광원을 구비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이하의 2개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제1 구성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 상에 측면을 따라 입사된 입사광을 도광 부재를 통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로 균일하게 유도하는 프론트 라이트 방법을 이용한 구성이다. 상술하면, 이 구성에서, 도광 부재는 액정 표시 장치의 최전면(즉, 관찰자에 가장 가까운 측)에 배치되고, 액정 표시 장치의 좌우 양측에, 통상 백라이트로서 이용되고 있는, 냉음극관, LED 어레이 등의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제2 구성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다수의 화소 전극의 각각에 투과 영역을 형성하고, 또한 그 표시 장치의 이면(즉, 관찰자에 대향하는 표시 장치의 다른 측)에 백라이트를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반사형 표시와 투과형 표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반투과"형이라고 한다.
상술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어느 것이나 대향 기판의 액정층측 표면에 대향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 전극은 통상 IT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 전층과 배향막을 갖고 있다. 한편, TFT 등의 스위칭 소자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상에, 적어도 Al등을 포함하는 반사 기능을 구비한 반사 도전층과 배향막이 액정층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대향 기판 및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형성된 배향막은 모두 관련된 도전층을 덮으며, 또한 액정층에 접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전층 및 고분자막을 포함하며 표시 매체층에 직접 접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 요소를 「전극」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러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대향 기판과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일함수가 서로 다른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대향 기판과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일함수가 서로 다른 도전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함수의 차이로 인해 2개의 도전층 사이에 전극 전위차가 발생한다. 그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전위차에 의해 생긴 직류 전압 성분이 액정층에 인가되지 않도록, 통상 액정층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에 오프셋 전압을 부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향 기판과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서로 다른 일함수를 갖는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경우에, 상술한 오프셋 전압을 부가하여도,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중에 액정층에 직류 전압 성분이 인가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이 직류 전압 성분의 발생은, 배향막이 광에 의해 변질되는 것에 기인함을 알았다. 즉,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 상의 배향막이 광 열화됨으로써, 화소 전극의 외관상의 전극 전위 및 대향 전극의 외관상의 전극 전 위가 모두 변화하여, 이들 전극 전위 사이에 차가 생긴다. 그 결과, 액정층에 직류 전압 성분이 인가된다. 이 현상은, 대향하는 2개의 도전층이 서로 다른 일함수를 갖고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극 전위차가 생김으로 인해, 액정층에 직류 전압 성분이 인가되면, 짧은 시간간격에서 휘도 변화가 생기어, 깜박임이 발생함으로써, 표시 품위가 상당히 저하된다. 또한, 직류 전압 성분이 장시간동안 액정층에 인가되면, 액정재료의 신뢰성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현상을 전극 전위의 차로서 파악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는, 도전층 및 배향막을 포함하는 부재를을 「전극」으로 칭하기로 한다. 대향하는 2개의 관련 전극 사이의 전극 전위차는, 후술하는 깜박임 최소화법(flicker minimization method)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전층의 "전극 전위"는 도전층의 재료에 고유한 전극 전위를 의미하는 것에 주목하길 바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 매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전극이 일함수가 서로 다른 도전층을 구비하여, 광 조사시에도 표시 품위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표시 매체층과, 상기 표시 매체층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제1 도전층과, 상기 제1 도전층을 덮고 상기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1 고분자막을 갖는다. 상기 제2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을 덮고 상기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2 고분자막을 갖는다. 적어도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도전층의 일함수와 다른 일함수를 갖는다.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의 각각은,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바람직하게는 0.4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바람직하게는, 약 400nm∼500nm의 파장 범위를 갖는 입사광에 대하여 약 97% 이상의 투과율을 보인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도전층은 바람직하게는 반사 도전층이고, 상기 제2 도전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 도전층이다.
이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극에 제3 도전층으로서 투명 도전층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서는, 상기 표시 매체층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바람직하게는 배향막이어도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 매체층에 인가되는 표시용 전압은 바람직하게는 약 45Hz 이하의 주파수로 재기입되어도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 도전층은 바람직하게는 ITO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 도전층은 바람직하게는 Al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 매체층에, 소 정의 오프셋 전압이 부가된, 주기적으로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조사 후에, 상기 제1 전극의 전극 전위와 상기 제2 전극 전위 사이의 전위차의 변화량은 바람직하게는, 중간조를 표시하기 위한 인가 전압의 약 1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실시예 중의 어느 것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표시 매체층과, 상기 표시 매체층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제1 도전층과, 상기 제1 도전층을 덮고 상기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1 고분자막을 갖고, 상기 제2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을 덮고 상기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2 고분자막을 갖는다.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1 도전층의 일함수는 상기 제2 도전층의 일함수와 다르고, 광조사 후에, 상기 제1 전극의 전극 전위와 상기 제2 전극의 전극 전위 사이의 전위차의 변화량은 바람직하게는 중간조를 표시하기 위한 인가 전압의 약 1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이 액정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전위차 변화량의 절대값이 약 250mV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위차 변화량의 절대값이 약 30mV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의 각각은,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400nm부터 500nm의 파장 범위를 갖는 입사광에 대하여 투과율이 약 9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반사 도전층이고, 상기 제2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극이 제3 도전층으로서 다른 투명 도전층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바람직하게는 배향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에 인가되는 표시용 전압은 약 45Hz 이하의 주파수로 재기입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은 바람직하게는 ITO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반사 도전층은 바람직하게는 Al을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에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오프셋 전압이 부가된, 주기적으로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압이 인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실시예중의 어느 것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도전층의 일부의 일함수가 제2 도전층의 일함수와 다르기 때문에,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 사이에 전극 전위차가 생긴다. 표시 장치에 광이 조사되기 전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극 전위차는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 사이의 전극 전위차와 같다.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에 광이 입사되면, 제1 고분자막 및 제2 고분자막이 광 변질되어, 광조사 전후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극 전위차가 변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광조사전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극 전위차를 캔슬하도록 설정된 오프셋 전압을 광조사후에 계속 인가하면, 광조사후에 새로운 전극 전위차가 생겨 표시 품위의 저하가 문제로 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고분자막 및 제2 고분자막의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4 이하이기 때문에, 표시 장치에 광이 입사되어도, 제1 고분자막 및 제2 고분자막이 광 변질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광조사 전후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가 충분히 작다. 그 결과, 양호한 표시 품위와 신뢰성을 겸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 형태1)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1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의 단면도이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는 복수의 화소를 갖지만, 이하에서는 1 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는, 액정층(2)과, 액정층(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4) 및 대향 기판(6)을 갖고 있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4)은 투명 기판(8)을 갖고 있다. 이 투명 기판(8) 상의 액정층(2)측 표면에는, 접속 전극(18), 층간 절연막(16) 및 화소 전극(10)(제1 전극으로서 기능함)이 순서대로 적층외어 있다. 화소 전극(10)은, 반사 도전층(12)과, 이 반사 도전층(12)을 덮고 또한 액정층(2)에 접하는 배향막(14)을 갖고 있다. 반사 도전층(12)은 반사성을 갖고, 예를 들면 Al로 형성되어 있다. 그 대안으로서, 반사 도전층(12)은 Al 이외에도, 은, 구리, 크롬 등의 반사성을 갖는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도 형성할 수 있다. 배향막(14)은, 액정층(2)의 액정 분자를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에는 컨택트홀(28)이 형성되고 있고, 이 컨택트홀(28)을 통하여 반사 도전층(12)과 접속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16)의 상면에는, 광 확산용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을 반영한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반사 도전층(12)이 외광을 확산 반사한다.
또한, 대향 기판(6)은 투명 기판(8)을 갖고 있다. 이 투명 기판(8)의 액정층(2)측 표면에, 대향 전극(22)(제2 전극으로서 기능함)을 갖고 있다. 대향 전극(22)은, 투명 도전층(24)과, 이 투명 도전층(24)을 덮고 또한 액정층(2)에 접하는 배향막(26)을 갖고 있다. 투명 도전층(24)은 예를 들면, 산화 인듐 및 산화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ITO로 이루어져도 되지만, 이 ITO 이외에, 투명성을 갖는 다른 도전성막을 이용할 수 있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에서는, 투명 도전층(24)과 반사 도전층(12)이 서로 다른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도전 재료는 일함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전극 전위차가 생긴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는, 배향막(14, 26)이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4 이하인 고분자막인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배향막(14, 26)이 그러한 특징을 갖는 고분자막이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30)에 광이 계속해서 조사되어도 배향막(14, 26)의 변질이 최소화된다. 이에 의해,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가 광조사 전후로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광조사에 의한 표시 품위의 열화를 상당히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시 품위의 열화를 극복할 수 있는 최대 광량은, 조도 약 10만룩스 이하 및 조사 시간 8 시간 이하의 백색광의 조사를 말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를,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지만, 각 배향막이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4를 상회하는 고분자막이라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와 서로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는, 화소 전극(10)이 구비하는 반사 도전층(12)과, 대향 전극(22)이 구비하는 투명 도전층(24)이 서로 다른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 도전층(12)과 투명 도전층(24)을 서로 대향시킨 경우, 반사 도전층(12)과 투명 도전층(24) 사이에 전극 전위차가 생긴다. 이것은, 반사 도전층(12)을 구성하는 도전 재료의 일함수와, 투명 도전층(24)을 구성하는 도전 재료의 일함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도 2는 반사 도전층(12) 및 투명 도전층(24) 각각의 에너지 준위(즉, 전극 전위) 및 일함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T= 0K일 때, 금속은, 페르미 준위보다도 낮은 모든 에너지 준위가 전자로 채워져 있고, 페르미 준위보다도 높은 모든 에너지 준위는 비어 있다. "일함수"는 전자를 금속 내부에서 밖으로 인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이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준위와 금속의 페르미 준위와의 에너지 차에 대응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투명 도전층(24)의 일함수는 일반적으로 반사 도전층(12)의 일함수보다 크다.
상술한 반사 도전층(12)과 투명 도전층(24) 사이의 일함수의 차로부터 생기는 전극 전위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는, 액정층(2)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에, 직류 성분의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종래, 이 오프셋 전압이 인가된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광이 입사되면, 화소 전극(10) 및 대향 전극(22)이 각각 구비하는 배향막이 변질하여, 이에 의해,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새로운 전극 전위차가 생겼다. 이하, 이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 명한다.
도 3은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을 광조사한 경우의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전극 전위차의 크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전극 전위차 A는, 광조사 전의 화소 전극의 전극 전위와 대향 전극의 전극 전위와의 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전극 전위차 B는, 광조사 후의 화소 전극의 전극 전위와 대향 전극의 전극 전위와의 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광이 입사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전극 전위차는 A로부터 B로 변동된다. 이것은, 광조사에 의해, 화소 전극이 구비하는 배향막과 대향 전극이 구비하는 배향막의 변질에 의한 것이다. 광조사에 의한 상기 전극 전위차의 변화는, 화소 전극이 구비하는 반사 도전층과 대향 전극이 구비하는 투명 도전층이 서로 다른 일함수를 갖는 경우에 생긴다.
따라서, 전극 전위차 A를 캔슬하기 위하여 직류 전압 성분의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광이 입사하면, 전극 전위차 C(=|A-B│)의 크기에 대응하는 다른 직류 전압 성분이 액정층에 인가되게 된다. 액정층에 직류 전압 성분이 인가됨으로써,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짧은 시간간격에서 휘도 변화(즉, 깜박임)가 발생하여 표시 품위가 저하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향막(14, 26)이,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4 이하인 고분자막이다. 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에 의하면, 광조사에 의한 배향막(14, 26)의 변질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가 상당히 저감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전극 전위차의 변화분 C가 충분히 작다.
따라서, 광조사 전에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를 캔슬하도록 설정된 오프셋 전압을, 광조사 후에 계속 인가한 경우에도,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새로운 전극 전위차가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직류 전압 성분이 액정층에 새로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 품위의 열화가 최소화된다.
다음으로, 배향막의 벤젠 링 밀도를 상기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표시 품위의 열화가 최소화되는 이유에 대하여,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어떤 파장의 광이 액정 표시 장치에 입사함으로써 배향막이 변질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다. 상술하면, 액정 표시 장치가 약 470nm 파장의 청색광, 약 535nm 파장의 녹색광 및 약 655nm 파장의 적생광의 광원에 조사된다. 도 4는 액정 표시 장치가 이들 광원에 별도로 조사되었을 때,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검출한 것을 도시한다. 도 4의 그래프의 종축은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를 나타내며, 횡축은 각 광원의 조사 시간을 나타낸다. 전극 전위차의 변화의 검출에는, 후술하는 깜박임 최소화법을 이용하였다. 광원에는, (Nichia Corp.에 의해 제조된) 청색: NSPB500S, ψ=5, 녹색: NSPG500S, ψ=5 및 (Stanley Electric Co.Ltd에 의해 제조된) 적색: H-3000L의 LED를 이용하였다.
도 4에 도시하는 결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가 가시광(특히, 비교적 단파장 영역의 광)에 조사된 경우에, 전극 전위차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알았다. 이것으로부터, 전극 전위차의 변화를 충분히 작게 하기 위해서는, 가시광(또는, 다른 것들 중에서 비교적 단파장의 광)의 흡수를 최소화한 배향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벤젠 링 밀도를 변화시킨 각 배향막 재료를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스펙트럼 특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벤젠 링 밀도"란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를 의미한다. 도 5에 그 결과를 도시한다. 도 5의 그래프에서, 종축은 배향막의 투과율을 나타내고, 횡축은 파장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광이 가시광 영역의 단파장 부분에 속하는 경우, 그 입사광의 흡수 정도는 벤젠 링 밀도에 따라 상당히 변한다. 상술하면, 단파장 영역에서, 벤젠 링 밀도를 작게 할수록 비교적 단파장의 입사광의 흡수 정도가 낮아진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결과는 배향막의 두께가 약 1000Å인 경우에 얻어진 것임을 주목하길 바란다.
또한, 배향막의 벤젠 링 밀도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 광조사 전후의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과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를 검출하였다. 이 전극 전위차의 변화는, 후술하는 깜박임 최소화법에 의해서 검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배향막의 벤젠 링 밀도를 비교적 작게 한 경우, 전극 전위차의 변화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험에 의해, 깜박임이 시인되는 전극 전위차의 최소 변화의 값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주파수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았다.
상술하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의 구동 주파수를 약3∼70Hz의 범위에 서 변화시켜, 깜박임이 시인되는 전극 전위차의 최소 변화량을 검출하였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의 구동 주파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에 전압을 인가하여, 임의의 파형 발생 장치의 출력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켰다.
구동 주파수를 약 60Hz 이상으로 설정한 경우,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가 약 250mV를 초과하여 변화하여, 깜박임이 시인되었다. 한편, 구동 주파수를 약 45Hz 이하로 설정한 경우,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가 약 30mV를 초과하여 변화하여, 깜박임이 시인되었다. 구동 주파수를 약 70Hz부터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가면, 깜박임이 시인되는 상기 전극 전위차의 최소 변화량이 단계적으로 작아진다. 그리고, 구동 주파수가 45Hz 부근에 이르러, 깜박임이 시인되는 전극 전위차의 최소 변화량이 급격하고 연속적으로 변화하였다.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주파수가 작을수록, 전극 전위차의 최소 변화량이 작더라도 깜박임이 시인됨을 알았다.
상기한 실험 결과로부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의 구동 주파수가 일반적인 값인 약 60Hz일 경우(즉,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의 액정층(2)에 인가되는 표시용 전압이 약 60Hz의 주파수로 재기입되는 경우),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을 ±250mV 이하로 설정하면, 깜박임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화소 전극(10) 및 대향 전극(22)이 각각 구비하는 배향막의 벤젠 링 밀도를 약 0.4 이하로 함으로써, 깜박임이 없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벤젠 링 밀도가 약 0.4 이하인 배향막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광의 파장이 약 400nm∼약 500nm인 범위에서, 약 97% 이상의 투과율을 갖고 있다. 따라서, 화소 전극(10) 및 대향 전극(22)이 각각 구비하는 배향막은, 막 두께가 약 500∼약 1500Å의 범위에 있을 때에, 투과율이 약 9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상기한 실험 결과로부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의 구동 주파수가, 저주파 구동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약 45Hz인 경우(즉,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의 액정층(2)에 인가되는 표시용 전압이 약 60Hz의 주파수로 재기입되는 경우),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을 ±30mV 이하로 하면, 깜박임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화소 전극(10) 및 대향 전극(22)이 각각 구비하는 배향막의 벤젠 링 밀도를 약 0.4 이하로 하면 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벤젠 링 밀도가 약 0.4 이하인 배향막은, 약 400nm∼약 500nm의 파장 범위의 입사광에 대하여 약 97% 이상의 투과율을 갖고 있다.
또, 상술한 구동 주파수와 깜박임의 시인성과의 관계는, 화소의 배열 방법에 의존한다. 전술한 특정 예에서, 구동 주파수와 깜박임의 시인성의 관계는 화소의 배열이 스트라이프 형상인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델타 배열 패턴이나 그 밖의 깜박임을 시인하기 어려운 배열 패턴에서는,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이 전술한 값보다도 큰 경우에도, 깜박임이 시인되지 않는 경 우가 있다. 따라서, 배향막의 벤젠 링 밀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화소의 배열 방법에 의존하여 변동된다.
화소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깜박임의 시인성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주파수를 낮춤에 따라,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이 작더라도) 깜박임이 쉽게 시인되는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 주파수와 깜박임의 시인성과의 관계는 개개인의 시력에 의존한다. 즉, 깜박임이 보이는,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사람의 시력에 따라 약간 다르다. 그 때문에, 시력이 좋은 사람은 비교적 적은 변화량으로도 깜박임을 시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깜박임의 시인성은, 액정 표시 장치의 투과율에도 의존한다. 전술한 특정예에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주파수가 약 60Hz일 때에,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가 약 ±250mV 이상 변화하면,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깜박임이 관찰될 수 있다. 한편, 구동 주파수가 약 45Hz일 때에,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가 약 ±30mV 이상 변화하면,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깜박임이 관찰될 수 있다. 이들 결과는 모두 액정 표시 장치의 중간조 표시에서 얻어진 결과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투과율과 깜박임의 시인성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전압-투과율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전압을 나타내며 종축은 투과율(밝기)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액정 패널이 밝은 상태를 V 100%, 그 어두운 상태를 V 0%로 정의한다.
중간조를 나타내는 V 50% 상태에서, 휘도 변화로서의 깜박임을 확인하면, V 100%나 V 0% 부근보다도 깜박임을 시인하기 쉽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표시 장치에 비대칭 전압이 인가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V 0% 또는 V 100% 부근의 비대칭성의 전압차 E이 V 50%부근의 비대칭성의 전압차 D와 동일한 경우라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V 50%부근의 휘도 변화(도 7의 휘도 변화 F)가 V 0% 또는 V 100% 부근의 휘도 변화보다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중간조(즉, V 50% 상태)에서 깜박임을 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V 50% 상태의 중간조에서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도 6은, 반사형 액정 장치(30)의 밝기가 V 50%가 되도록 전압을 인가하고, 반사형 액정 장치(30)에 광이 입사했을 때에 배향막이 변질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을, 후술하는 깜박임 최소화법에 의해 산출한 결과이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구동 진동수가 약 60Hz일 때, 깜박임이 시인되는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의 임계치는 약 250mV이다. 한편, 구동 진동수가 약 45Hz일 때, 깜박임이 시인되는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의 임계치는 약 30mV이었다. 또한, 이 표시 장치의 중간조 전압(즉, V 50% 상태를 나타냄)은 약 2.5V이었다. 따라서, 구동 진동수가 약 60Hz일 때의 변화량 임계치는 중간조 전압에 대하여 약 10%이고, 구동 진동수가 약 45Hz 일 때의 변화량 임계치는 중간조 전압에 대하여 약 1.2%이었다. 깜박임이 시인되는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의 임계치는, 표시 장치 특유의 전압-투과율 특성(도 7 참조)에 의존하여 변동가능하다. 일 반적으로, 구동 진동수가 약 60Hz일 때는 임계치는 중간조 전압의 약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 진동수가 약 45Hz일 때는 임계치는 중간조 전압의 약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깜박임 최소화법을 설명한다. 도 8은 깜박임 검출 장치(4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우선, 포토멀티미터 등의 광 검출기(42)를 이용하여, 검출광인 깜박임을 전압으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전압으로 변환된 광학 파형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44) 등의 기기에 입력하여 표시 장치상에 가시 파형으로서 묘화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 변화인 깜박임은, 톱니파 형상의 광학 파형으로 묘화된다. 이러한 파형으로부터 비대칭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표시를 위해 인가하는 교류 전압에 오프셋 전압인 직류 전압을 부가한다. 이 오프셋 전압은,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등에 묘화되는 광학 파형의 상하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설정된 것이다. 오프셋 전압을 부가함으로써,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를 나타내는 비대칭 성분을 제거한다.
도 6의 결과는, 이 깜박임 최소화법을 이용하여 아래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먼저, 다양한 벤젠 링 밀도를 갖는 배향막(14 및 26)을 구비한 복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를 준비하여, 이 액정 표시 장치(30)를 광조사하기 전에, 그에 부가될 오프셋 전압을 깜박임 최소화법으로 결정한다. 그후, 결정된 오프셋 전압을, 액정 표시 장치(30)에 인가될 표시용 전압에 부가한다. 이 오프셋 전압은, 반사 도전층(12) 및 투명 도전층(24)의 일함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생기는 전극 전위차에 대응한다. 그 때문에, 오프셋 전압의 인가에 의해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에 인가될 전압으로부터 비대칭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30)에 조사량 및 조사 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광을 조사한다. 광조사에 의해,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새롭게 전극 전위차가 생긴다. 이 전극 전위차는, 배향막의 벤젠 링 밀도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르다. 따라서, 이 전극 전위차를 캔슬하도록, 재차, 상술한 깜박임 최소화법에 의해 다른 오프셋 전압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 오프셋 전압은, 도 6의 그래프의 종축에 플로팅한 바와 같이, 광에 의한 전극 전위차의 변화량에 대응한다.
이들 실험에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광조사로서는, 예를 들면, 옥외에서 맑은 날에 태양광이 액정 표시 장치에 입사되는 환경 조건을 상정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태양이 조사된 액정 표시 장치의 조도는 약 10만룩스이다. 또한 이들 실험에서는, 태양 시뮬레이션 실험을 행하기 위해서, 외광의 파장 특성과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갖는 형광등을 이용하였다. 형광등으로 3파장 형광등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램프(FPL27EX-N:25와트)의 (Sharp Corp.에 의해 제조된) 데스크탑 형광 스탠드 LS-U228을 이용하였다.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조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광원과 액정 표시 장치와의 거리 및/또는 광원의 광 강도를 (램프를 교환함으로써) 조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조도를, 액정 표시 장치에 태양광을 직접 조사한 경우의 조도에 가깝게 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형광등을 이용하였지만, 이 밖에도 외광의 파장 특성과 유사한 파장 특성을 갖는 임의의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 형태2)
실시 형태1에서는, 본 발명을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실시 형태2에서는 본 발명을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실시 형태2에서,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30)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실시 형태2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5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50)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101992호 공보에 설명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50)는, 액정층(2)과, 액정층(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4) 및 대향 기판(6)을 갖는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4)은 화소 전극(10)을 갖는다. 화소 전극(10)은, 반사 도전층(12R)과, 투명 도전층(12T)과, 이들 반사 도전층(12R) 및 투명 도전층(12T)을 덮고 액정층(2)에 접하는 배향막(14)을 갖고 있다. 화소 전극(10)이 반사 도전층(12R) 및 투명 도전층(12T)을 구비하기 때문에,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50)는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서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12T)은 예 를 들면 ITO로 형성되어도 된다. 투명 도전층(12T)이 형성된 영역은 투과 모드로 표시가 행해진다. 반사 도전층(12R)은 예를 들면 Al로 형성되어도 되고, 반사 도전층(12R)이 형성된 영역은 반사 모드로 표시가 행해진다.
한편, 대향 기판(6)은 대향 전극(22)을 갖고, 대향 전극(22)은, 투명 도전층(24)과, 투명 도전층(24)을 덮고 액정층(2)에 접하는 배향막(26)을 갖고 있다. 투명 도전층(24)은 예를 들면 ITO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 투명 도전층 및 반사 도전층은, 실시 형태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외의 여러가지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50)에서는, 반사 도전층(12R)과 투명 도전층(24)이, 서로 다른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며, 이들 도전 재료는 일함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전극 전위차가 생긴다.
배향막(14, 26)은, 실시 형태1과 마찬가지로,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4 이하인 고분자막이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50)에 광이 조사되어도 배향막(14, 26)의 변질이 최소화된다. 이에 의해,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광에 의한 전극 전위차가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광조사 전에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의 전극 전위차를 캔슬하도록 설정된 오프셋 전압을, 광조사 후에 계속 인가한 경우에도, 화소 전극(10)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새로운 전극 전위차가 생기는 것이 거의 없다. 따라서, 직류 전압 성분이 액정층에 새로이 인가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표시 품위 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1 및 실시 형태2에서는 각각,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및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전극이 각각, 서로 일함수가 다른 도전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이면, 어떠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대향하는 2개의 전극 중, 한쪽 전극이 구비하는 배향막의 고분자막과, 다른쪽 전극이 구비하는 배향막의 고분자막은, 벤젠 링 밀도가 상술한 범위 내에 있으면, 동일한 것을 이용하여도 되고 다른 것을 이용하여도 되지만, 배향막이 다르면, 불순물이 흡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동일 재료의 고분자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한하지 않고, 표시 매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전극층이 각각, 서로 일함수가 다른 도전층을 갖는 표시 장치이면, 전기 영동 표시 장치나 토너 표시 장치 등의 임의의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이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간단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서 나타낸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매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전극이 각각, 일함수가 서로 다른 도전층을 구비하여도, 광을 조사해도 표시 품위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2)

  1. 표시 매체층과,
    상기 표시 매체층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도전층과 상기 제1 도전층을 덮고 상기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1 고분자막을 갖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을 덮고 상기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2 고분자막을 갖고,
    적어도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부의 일함수는, 상기 제2 도전층의 일함수와 다르며,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 초과 0.4 이하인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파장 범위가 400nm∼500nm인 입사광에 대하여 투과율이 97% 이상인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반사 도전층이고,
    상기 제2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인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3 도전층을 더 갖고, 상기 제3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인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은 액정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모두 배향막인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에 인가되는 표시용 전압은 3Hz 이상 45Hz 이하의 주파수로 재기입되는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은 ITO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도전층은 Al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에는, 소정의 오프셋 전압이 부가된, 주기적으로 극성이 변 화하는 교류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광조사 후에, 상기 제1 전극의 전극 전위와 상기 제2 전극 전위 사이의 전위차의 변화량은, 중간조를 표시하기 위해 인가된 전압의 10% 이하인 표시 장치.
  10. 제1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 기기.
  11. 표시 매체층과,
    상기 표시 매체층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도전층과 상기 제1 도전층을 덮고 상기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1 고분자막을 갖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을 덮고 상기 표시 매체층에 접하는 제2 고분자막을 갖고,
    적어도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부의 일함수는 상기 제2 도전층의 일함수와 다르며,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의 벤젠 링의 수의 조절에 의해, 광조사 후의 상기 제1 전극의 전극 전위와 상기 제2 전극의 전극 전위 사이의 전위차의 변화량은 중간조를 표시하기 위해 인가된 전압의 10% 이하인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은 액정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량의 절대값은 250mV 이하인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의 절대값은 30mV 이하인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의 각각은 분자량 100당의 벤젠 링의 수가 0 초과 0.4 이하인 표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파장 범위가 400nm∼500nm인 입사광에 대하여 투과율이 97% 이상인 표시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반사 도전층이고,
    상기 제2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인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3 도전층을 더 갖고, 상기 제3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인 표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막 및 상기 제2 고분자막은 모두 배향막인 표시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에 인가되는 표시용 전압은 3Hz 이상 45Hz 이하의 주파수로 재기입되는 표시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은 ITO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도전층은 Al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층에는, 소정의 오프셋 전압이 부가된, 주기적으로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표시 장치.
  22. 제11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030049100A 2002-07-19 2003-07-18 표시 장치 및 휴대 기기 KR100574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0969 2002-07-19
JP2002210969A JP2004053896A (ja) 2002-07-19 2002-07-19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245A KR20040010245A (ko) 2004-01-31
KR100574724B1 true KR100574724B1 (ko) 2006-04-28

Family

ID=3043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100A KR100574724B1 (ko) 2002-07-19 2003-07-18 표시 장치 및 휴대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972815B2 (ko)
JP (1) JP2004053896A (ko)
KR (1) KR100574724B1 (ko)
CN (1) CN1249491C (ko)
TW (1) TWI272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9745B2 (en) * 2003-03-05 2007-08-2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riving electrophoresis display apparatus
JP2007206680A (ja) * 2006-01-06 2007-08-16 Canon Inc 液晶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2154A (ko) * 1995-05-31 1996-12-21 엄길용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9980019205A (ko) * 1996-08-30 1998-06-05 가네꼬 히사시 늘어난 개구수를 갖는 인플레인형 액정표시장치(in-plan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increased numerical aperture)
KR19980023053A (ko) * 1996-09-25 1998-07-06 엄길용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제조방법
JPH10282906A (ja) * 1997-04-10 1998-10-23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用電極基板
KR19990033386A (ko) * 1997-10-24 1999-05-15 손욱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4576A (en) * 1994-09-21 1997-10-07 Nec Corporation Liquid crystalline optical device operable at a low drive voltage
JPH09185063A (ja) 1995-12-28 1997-07-15 Shin Etsu Chem Co Ltd 液晶表示素子
US5764324A (en) 1997-01-22 1998-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icker-free reflective liquid crystal cell
KR19980078124A (ko) * 1997-04-25 1998-11-16 손욱 광중합형 액정 배향재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JP2955277B2 (ja) 1997-07-28 1999-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195140B1 (en) 1997-07-28 2001-02-27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in which at least one pixel includes both a transmissive region and a reflective region
CN1113886C (zh) * 1997-07-31 2003-07-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化学吸附物质以及它们的制备方法
US6236440B1 (en) * 1998-07-22 2001-05-22 U.S. Philips Corporation Display device in which one of the two electrodes of a pixel is coated with a dipole material to equalize the electrode work functions
JP2001042335A (ja) 1999-07-29 2001-02-16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
EP1296174B1 (en) 2000-04-28 2016-03-0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unit, drive method for display unit, electronic apparatus mounting display unit thereon
JP4815659B2 (ja) 2000-06-09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178920B2 (ja) * 2001-12-03 2008-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配向膜、配向膜の形成方法、液晶装置、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JP2003186046A (ja) * 2001-12-18 2003-07-03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3953320B2 (ja) * 2001-12-28 2007-08-08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59683B1 (ko) * 2001-12-28 2010-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3995476B2 (ja) * 2001-12-28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230304B (en) * 2002-03-04 2005-04-01 Sanyo Electric Co Display device with reflecting layer
US20030206256A1 (en) * 2002-05-06 2003-11-06 Drain Kieran F. Display device with backlight
CN100474058C (zh) * 2002-05-07 2009-04-01 中佛罗里达大学 应用线栅偏振器的透反型液晶显示器及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2154A (ko) * 1995-05-31 1996-12-21 엄길용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9980019205A (ko) * 1996-08-30 1998-06-05 가네꼬 히사시 늘어난 개구수를 갖는 인플레인형 액정표시장치(in-plan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increased numerical aperture)
KR19980023053A (ko) * 1996-09-25 1998-07-06 엄길용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제조방법
JPH10282906A (ja) * 1997-04-10 1998-10-23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用電極基板
KR19990033386A (ko) * 1997-10-24 1999-05-15 손욱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53896A (ja) 2004-02-19
US20040013822A1 (en) 2004-01-22
TW200408863A (en) 2004-06-01
CN1475835A (zh) 2004-02-18
US6972815B2 (en) 2005-12-06
TWI272420B (en) 2007-02-01
KR20040010245A (ko) 2004-01-31
US20060007377A1 (en) 2006-01-12
CN1249491C (zh) 2006-04-05
US7440057B2 (en)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6191B2 (ja) 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TWI527015B (zh) 顯示裝置及電子機器
Lee et al. High ambient-contrast-ratio display using tandem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11775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900273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38281B2 (en) Display device
US2007029667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5899213U (zh) 一种显示装置
US20210325737A1 (en)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anti-peeping method
US20130229594A1 (en) Manufacturing and testing techniques for electronic displays
WO2011121687A1 (ja) 表示装置、液晶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18341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60209004A1 (en) LCD device having a homogeneous LC layer
US881700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JP2000047208A (ja) 液晶表示装置
KR100983731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0574724B1 (ko) 표시 장치 및 휴대 기기
KR20060133905A (ko) 조명 장치 및 액정 디스플레이
US7656481B2 (en) Electrode structure and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111701A (ko) 액정 조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19245904U (zh) 显示装置
Aoki et al. Advanced IPS technology for mobile applications
Hsiang et al. High Dynamic Range Mini-LED and Dual-Cell LCDs
JP2010145811A (ja) 液晶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液晶装置の駆動方法
KR20100130058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