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200B1 -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200B1
KR100574200B1 KR20040035716A KR20040035716A KR100574200B1 KR 100574200 B1 KR100574200 B1 KR 100574200B1 KR 20040035716 A KR20040035716 A KR 20040035716A KR 20040035716 A KR20040035716 A KR 20040035716A KR 100574200 B1 KR100574200 B1 KR 10057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time
search word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709A (ko
Inventor
최재걸
문상준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2004003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2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2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관리 기준 수치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입력 회수와 상기 관리 기준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은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시각까지의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상기 제2 시각은 상기 제1 시각으로부터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한 시각임),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제2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회수가 소정의 기간 동안 일정 범 위 내에 존재하는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강화하고, 그에 따른 맞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검색어 관리, 관리 기준 수치, 입력 회수 정보, 관리 정보, 급상승 검색어

Description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EARCH TERMS TO PROVIDE INTERNET SEARCH SERVIC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급상승 검색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급상승 검색어를 검출하기 위한 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기준 수치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 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0 : 검색어 관리 시스템
801 : 데이터베이스 802 : 평균치/표준편차 정보 생성 수단
803 :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
804 : 검색어 입력 수단 805 : 카운터 수단
806 : 비교 수단 807 : 관리 정보 생성 수단
본 발명은 검색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관리 기준 수치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입력 회수와 상기 관리 기준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예를 들면, 상기 검색어를 포 함하는 웹 사이트,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기사,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파일명을 갖는 이미지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어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회수에 따른 상위 검색어가 전체 검색 요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고, 나머지 검색어가 전체 검색 요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이는, 검색 요청 회수가 높은 상위 검색어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소위 맞춤(Customization)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더 높은 수준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위 검색어를 분석해 보면, 1) 상시적으로 상위에 랭크되는 검색어(예를 들면, "게임", "고스톱", "연예인" 등)가 있고, 2) 일정한 기간에 순위가 급상승하여 상위 검색어에 속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1)에 해당하는 검색어의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검색 요청 회수가 낮은 하위 검색어를 관리하는 정도와 비교해서 높은 정도로 검색어를 관리하여, 지속적으로 최적화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맞춤 서비스를 통하여 최적화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노력이 소요하기 마련이므로, 상기 2)에 해당하는 검색어의 경우 일시적으로 순위가 급상승하여 상위 검색어에 속하게 되었으나 상시적으로 상위에 랭크되는 검색어는 아닌 바, 사용자의 관심도가 하락하는 적절한 시점에서 상기 2)에 해당하는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하향 조정함으로써,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경감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 검색 서비스 제공 업체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는 이른바 급상승 검색어를 인식하여 검출하지도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된 검색어의 검출 이후 입력 회수에 따라 그에 대한 관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인터넷 검색 서비스 제공 업체는 인기 검색어에 대해서는 최적화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고 있으나, 상기 인기 검색어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단지 검색어 입력 순위만을 고려함으로써, 절대 입력 회수로는 높은 순위 내에 진입하지 못했지만, 일정 정도의 지속적 입력 회수를 유지하고 있는 검색어에 대한 맞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일정 순위 내의 인기 검색어가 아닌 검색어에 대해서는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검색어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회수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탄력적으로 결정하여, 더욱 질 높은 맞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 검색어 별 입력 회수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관리 기준 수치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기준 수치와 새로 측정된 입력 회수를 비교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검색어에 대한 맞춤 서비스의 제공 여부 또 는 맞춤 서비스의 제공 정도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의 검색 요청 회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검색어와 그렇지 못한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차등화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검색 요청 회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검색어일 수록 사용자에게 더 높은 수준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분야에 걸쳐 누적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분야에 걸친 검색어에 대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일시적으로 순위가 급상승하여 상위 검색어에 속하게 된 이른바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하락하는 시점을 정확히 감지하고 그 관리 정도를 하향 조정함으로써, 검색 서비스 제공자가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들이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경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낮은 검색어를 감지하여 그 관리 정도를 하향 조정하고, 그에 따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은 검색어에 대한 관리를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은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시각까지의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상기 제2 시각은 상기 제1 시각으로부터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한 시각임),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제2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은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의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각부터 제3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2 시각부터 상기 제3 시각까 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 및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 및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간 차이값을 소정의 시간 간격과 연관된 수로 나눈 값에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기(110a 또는 110b)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검색어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검색어를 입력한다. 검색어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결정된 관리 정도에 따라 검색어 별로 맞춤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맞춤 서비스의 제공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100)은 인터넷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 상기 결정된 관리 정도에 따라 검색어에 대한 최적화된 검색 정보 또는 일반 검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은 소정의 검색어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된다.
단계(201)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도 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각각의 검색어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검색어 식별자(301)를 사용하였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도면 부호(30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스노보드"와 연관된 검색어 식별자 "s54095"와 함께 "스노보드"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입력 회수 정보 "500", "400", "50" 등이 기록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시간 간격이 "하루"인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시간 간격은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서 "하루", "이틀", "일주일", "12시간" 등과 같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운영자는 기존의 시간 간격을 다른 시간 간격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검색어는 소정의 검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는 이른바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 검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검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검출 방법은 소정의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단계(401)에서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검색어 식별자 및 상기 검색어 식별자와 연관된 제1 검색어에 대한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검색어 별로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간격은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서 "1달", "2달", "3달" 등과 같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 운영자는 기존의 시간 간격을 다른 시간 간격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임의의 시점에서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단계(402)에서 검색어 별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급상승 검색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점에서의 데이터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후술하듯이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검색어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검색어가 급상승 검색어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제2 검색어의 입력 회수에 관한 데이터는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급상승 검색어에 해당하는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는 종전 데이터에 비해 현격히 클 것이므로, 이를 고려할 경우 상기 제2 검색어의 입력 회수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가 매우 커짐으로 인하여, 현재 시점에서 상기 제2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단계(403)에서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색어 별로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는 특정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수치가 될 수 있다.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단계(403)에서 상기 표준편차 정보에 소정의 수를 곱한 값과 상기 평균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수는 3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는 "평균 + (3*표준편차)"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단계(404)에서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검색어를 입력 받고, 단계(405)에서 상기 제2 검색어 별로 상기 시간 간격 당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여, 단계(406)에서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단계(407)에서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 중 상기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제3 입력 회수 정보와 연관된 제3 검색어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404) 내지 단계(407)에서 수행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각 검색어 별 종전 자료를 근거로 한 기준 수치와 상기 각 검색어 별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를 비교함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가 급격히 상승함으로 인해 상기 기준 수치 이상을 기록하는 검색어를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급상승 검색어를 검출하기 위한 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검색어에 대한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가 도면 부호(501)에 해당하는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 정보가 도면 부호(502)에 해당하는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 부호(503)에 해당하는 시점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 정보가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를 상회하게 되며, 상기 급상승 검색어 검출 시스템은 상기 시점에서 상기 검색어를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검출 방법은 급상승 검색어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일 뿐이며,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검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급상승 검색어는 일시적으로 입력 회수가 급등하여 인기 검색어에 해당하게 되었으나, 상시적으로 상위 입력 순위에 랭크되는 검색어는 아닌 바, 사용자의 관심도가 하락하는 적절한 시점에서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하향 조정함 으로써, 질 높은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적, 경제적 노력을 경감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된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상기 관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가 기준 수치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계속적인 집중 관리를 통해 질 높은 맞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입력 회수가 기준 수치 미만으로 하락한 경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집중 관리를 해제하고 일반 검색어와 마찬가지의 정도로 관리함으로써, 집중 관리의 필요성이 낮은 검색어를 집중 관리하는 데 들이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급상승 검색어를 애초에 검출하기 위한 급상승 기준 수치 보다 지속적인 집중 관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관리 기준 수치를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된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가 등락을 반복하는 경우,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되어 집중 관리를 하기 시작한지 얼마 후 바로 집중 관리를 해제하게 되고, 얼마 후 다시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됨으로써 그에 대한 집중 관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기준 수치를 급상승 기준 수치 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급상승 기준 수치는 입력 회수의 "평균치+(3*표준편차)"와 같이 결정되고, 관리 기준 수치는 입력 회수의 "평균치+(1*표준편차)"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202)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단계(201)에서 유지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시각까지의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1 시각은 날짜, 요일, 또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각은 2004년 5월 13일, 2004년 5월 13일 목요일, 2004년 5월 13일 18시 정각, 2004년 5월 13일 0시 정각, 2004년 5월 13일 23시 50분 등과 같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단계(202)에서 상기 제1 시각까지의 데이터만을 고려하여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하고,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하는 시점에서의 데이터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후술하듯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어를 입력 받아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집중 관리 여부 또는 관리 정도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 때의 상기 검색어의 입력 회수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 수합된 데이터로서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의 생성과는 무관하다. 이 경우, 제2 시각은 상기 제1 시각으로부터 단계(201)에서의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한 시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이 "1일"인 경우, 상기 제1 시각이 "2004년 5월 13일 0시 정각"이라면, 상기 제2 시각은 "2004년 5월 14일 0시 정각"일 수 있다. 상기 예에 따르면,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2004년 5월 13일 0시 정각"까지의 입력 회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치, 표준편차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후술 할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어에 대한 "2004년 5월 13일 0시 정각"부터 "2004년 5월 14일 0시 정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측정하여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집중 관리 여부 또는 관리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검색어에 대한 관리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는 종전 데이터에 비해 현격히 작을 수 있으므로, 이를 평균치 및 표준편차 정보 생성 과정에서 고려할 경우 관리 기준 수치 정보가 매우 낮게 생성되어, 상기 결정 시점에서의 상기 검색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입력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정확한 검색어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제2 시간 간격마다 생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서 "2일", "1주일", "2주일", "1달" 등과 같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 운영자는 기존의 제2 시간 간격을 다른 시간 간격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단계(201)에서의 소정의 시간 간격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201)에서의 소정의 시간 간격이 "1일"인 경우 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1주일"로 결정될 수 있고, 단계(201)에서의 소정의 시간 간격이 "1주일"인 경우 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2주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시간 간격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다수의 데이터를 이 용하여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로써 보다 정확한 통계치가 도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203)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특정 검색어에 대한 집중 관리 여부 또는 관리 정도를 결정하는 기준 수치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단계(203)에서 상기 표준편차 정보에 소정의 수를 곱한 값과 상기 평균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수는 1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평균 + (1*표준편차)"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평균적으로 입력되는 회수보다 일정 회수만큼 더 입력되는 검색어의 경우에만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에 해당하게 되어, 집중 관리를 통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검색어가 과도하게 존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과도한 수의 검색어를 집중 관리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메모리의 소요를 줄이고, 또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처리속도 향상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 수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회수가 많은 검색어의 경우 상기 수를 작게 결정하고, 입력 회수가 적은 검색어의 경우 상기 수를 비교적 크게 결정함으로써, 입력 회수가 많은 검색어의 경우 그 입력 회수가 다소 하락하였다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집중 관리 대상에 남아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가 소정의 기준 수치 이상인 경우 제1 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기준 수치 미만인 경우 제2 수를 생성하며, 이 때 상기 제1 수를 상기 제2 수보다 작게 생성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2 시각은 상기 제1 시각으로부터 단계(201)에서의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한 시각이다. 상기 제1 시각 및 상기 제2 시각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205)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제2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고, 단계(206)에서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단계(207a)에서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단계(207b)에서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관리 정보"라는 용어는 검색어에 대한 맞춤 서비스를 위한 집중 관리 여부, 집중 관리를 하는 경우 상기 집중 관리의 정도, 집중 관리의 해제 여부, 집중 관리가 해제된 경우 일반 관리의 정도 등 검색어 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204) 내지 단계(207)에서 수행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각 검색어 별 종전 자료를 근거로 한 기준 수치와 상기 각 검색어 별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를 비교함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가 하락함으로 인해 상기 기준 수치 미만을 기록한 검색어를 식별하고, 그에 대한 관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기준 수치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특정 검색어에 대한 관리 기준 수치 정보가 도면 부호(601)에 해당하는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 정보가 도면 부호(602)에 해당하는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 부호(602)에 해당하는 입력 회수 정보가 도면 부호(601)에 해당하는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2004년 3월 13일경에 넘어선 후, 지속적으로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집중 관리를 통해 맞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은 소정의 검색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 된다.
단계(701)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의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일례로서, 상기 제1 시각은 "2004년 3월 23일 0시 정각", 상기 제2 시각은 "2004년 3월 24일 0시 정각", 하기 제3 시각은 "2004년 3월 25일 0시 정각", 하기 제4 시각은 "2004년 3월 26일 0시 정각"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일례에 의하면,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는 3월 23일 하루 동안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입력된 회수를 카운팅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3월 24일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2 시각부터 제3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고, 단계(703)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2 시각부터 상기 제3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일례에 의하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3월 24일 하루 동안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입력된 회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 및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일례에 의하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3월 24일 하루 동안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입력된 회수를 카운팅하여 생성된 입력 회수 정보와 3월 24일에서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3월 25일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인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제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가 오늘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연쇄적 생성 방법에 의하면, 최초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최초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각 검색어에 대한 일정 시간 간격 당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초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평균치+3*(표준편차)"와 같은 수식 또는 그 외 소정의 값을 표준편차에 곱하고 평균치와 합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특히, 급상승 검색어의 경우, 앞서 설명한 급상승 검색어 검출 방법에서 사용한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를 그대로 최초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단계(704)에서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간 차이값을 소정의 시간 간격과 연관된 수로 나눈 값에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 다.
예를 들어, 3월 25일이 오늘이고, 3월 24일이 어제라고 하면,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오늘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의미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이 "7일"이라고 하면, 오늘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4021177398-pat00001
<수식 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수식의 일례>
수식 1에서, 오늘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가 어제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와 어제 하루 동안의 검색어 입력 회수(제2 입력 회수 정보)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식 1은, 특정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가 7일간 동일하게 지속될 경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에 해당되게 되어, 상기 특정 검색어에 대한 집중 관리를 해제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식이다. 수식 1에서 뒤에 나누어주는 값을 변경하면 집중 관리 대상에서 제외되는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값을 작게 설정할 경우 짧은 기간 내 검색어의 입력 회수 증가가 없는 검색어는 집중 관리 대상에서 쉽게 제외시킬 수 있고, 반대로 상기 값을 크게 설정할 경우 비교적 긴 기간 내 검색어의 입력 회수 증가가 없는 검색어를 집중 관리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수식 1은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수식에 불과하며, 그 외 다양한 수식이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705)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3 시각부터 제4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고, 단계(706)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3 시각부터 상기 제4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3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일례에 의하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3월 25일 하루 동안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입력된 회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707)에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단계(708a)에서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단계(708b)에서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하다.
단계(705) 내지 단계(708)에서 수행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은 각 검색어 별 종전 자료를 근거로 한 기준 수치와 상기 각 검색어 별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를 비교함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가 하락함으로 인해 상기 기준 수치 미만을 기록한 검색어를 식별하고, 그에 대한 관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검색어는 소정의 검출 방 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는 이른바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검출 방법과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 도 4, 도 5 등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800)은 데이터베이스(801), 평균치/표준편차 정보 생성 수단(80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803), 검색어 입력 수단(804), 카운터 수단(805), 비교 수단(806), 및 관리 정보 생성 수단(807)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801)는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검색어는 소정의 검출 방 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는 이른바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시스템(800)이 제공된다. 상기 검출 방법과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 도 4, 도 5 등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평균치/표준편차 정보 생성 수단(802)은 데이터베이스(801)를 참조하여 제1 시각까지의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1 시각은 날짜, 요일, 또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각은 2004년 5월 13일, 2004년 5월 13일 목요일, 2004년 5월 13일 18시 정각, 2004년 5월 13일 0시 정각, 2004년 5월 13일 23시 50분 등과 같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803)은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특정 검색어에 대한 집중 관리 여부 또는 관리 정도를 결정하는 기준 수치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803)은 상기 표준편차 정보에 소정의 수를 곱한 값과 상기 평균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수는 1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는 "평균 + (1*표준편차)"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검색어 입력 수단(804)은 상기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810)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2 시각은 상기 제1 시각으 로부터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한 시각이다.
카운터 수단(805)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제2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고, 비교 수단(806)은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한다.
관리 정보 생성 수단(807)은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이 때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관리 정보는 검색어에 대한 맞춤 서비스를 위한 집중 관리 여부, 집중 관리를 하는 경우 상기 집중 관리의 정도, 집중 관리의 해제 여부, 집중 관리가 해제된 경우 일반 관리의 정도 등 검색어 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800)은 각 검색어 별 종전 자료를 근거로 한 기준 수치와 상기 각 검색어 별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를 비교함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가 하락함으로 인해 상기 기준 수치 미만을 기록한 검색어를 식별하고, 그에 대한 관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기준 수치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900)은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901), 검색어 입력 수단(902), 카운터 수단(903),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904), 비교 수단(905), 및 관리 정보 생성 수단(906)을 포함한다.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901)은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의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검색어는 소정의 검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는 이른바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시스템(900)이 제공된다. 상기 검출 방법과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 도 4, 도 5 등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검색어 입력 수단(902)은 사용자 단말기(910)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다.
카운터 수단(903)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2 시각부터 제3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3 시각부터 제4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3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한다.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904)은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 및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904)은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간 차이값을 소정의 시간 간격과 연관된 수로 나눈 값에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수식의 일례에 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수식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비교 수단(905)은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한다.
관리 정보 생성 수단(906)은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며, 이 때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관리 시스템(900)은 각 검색어 별 종전 자료를 근거로 한 기준 수치와 상기 각 검색어 별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를 비교함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입력 회수가 하락함으로 인해 상기 기준 수치 미만을 기록한 검색어를 식별하고, 그에 대한 관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급상승 검색어에 대하여 적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급상승 검색어를 검출하는 기준 수치인 급상승 기준 수치 정보 및 검색어에 대한 집중 관리 여부 또는 관리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관리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회수가 급상승하여 급상승 검색어로 검출되나, 얼마 후 그 입력 회수가 급하락하여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을 기록하게 되는 검색어들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검색어들을 1년 동안 누적 기록하면, 월별 특성이나, 계절별 특성을 나타내는 검색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검색어는 매년 5월 1일 즈음에 그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고, 얼마 후 크게 하락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에 기초하여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운영자는 "A"라는 검색어는 5월에 등장하는 월별 검색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회수가 최초로 크게 상승한 시각과 그 입력 회수가 유지되는 기간, 및 그 입력 회수가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으로 하락한 시각을 정확히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월별 또는 계절별 검색어들을 식별해 낼 수 있다.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인터넷 검색 엔진 운영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식별한 월별 키워드 또는 계절별 키워드를 적절한 시점에 고비용으로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 유용한 목적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 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10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1020)과 롬(ROM: Read Only Memory)(10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10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10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1020) 및 롬(10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10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10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10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10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0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0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각 검색어 별 입력 회수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관리 기준 수치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기준 수치와 새로 측정된 입력 회수를 비교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검색어에 대한 맞춤 서비스의 제공 여부 또는 맞춤 서비스의 제공 정도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검색 요청 회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검색어와 그렇지 못한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차등화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검색 요청 회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검색어일 수록 사용자에게 더 높은 수준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일정 기간 동 안 모든 분야에 걸쳐 누적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검색어에 대한 관리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분야에 걸친 검색어에 대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일시적으로 순위가 급상승하여 상위 검색어에 속하게 된 이른바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하락하는 시점을 정확히 감지하고 그 관리 정도를 하향 조정함으로써, 검색 서비스 제공자가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들이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경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낮은 검색어를 감지하여 그 관리 정도를 하향 조정하고, 그에 따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은 검색어에 대한 관리를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소정의 검색어 관리 시스템에 의해 검색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가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평균치/표준편차 정보 생성 수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시각까지의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이 상기 표준편차 정보에 소정의 수를 곱한 값과 상기 평균치 정보를 합산하여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검색어 입력 수단이 상기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 - 상기 제2 시각은 상기 제1 시각으로부터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한 시각임 -;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카운터 수단이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제2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비교 수단이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관리 정보 생성 수단이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수는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평균치/표준편차 정보 생성 수단이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제2 시간 간격마다 생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
  4. 삭제
  5. 소정의 검색어 관리 시스템에 의해 검색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이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의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검색어 입력 수단이 상기 제2 시각부터 제3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카운터 수단이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2 시각부터 상기 제3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이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 및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입력 수단이 상기 제3 시각부터 제4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카운터 수단이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3 시각부터 상기 제4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3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비교 수단이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 관리 시스템의 관리 정보 생성 수단이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하며,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이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간 차이값을 소정의 시간 간격과 연관된 수로 나눈 값에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
  6. 삭제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검색어는 소정의 검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는 검색어로 검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방법.
  8. 제3항 또는 제5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검색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시간 간격 당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시각까지의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관한 평균치 정보 및 표준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평균치/표준편차 정보 생성 수단;
    상기 표준편차 정보에 소정의 수를 곱한 값과 상기 평균치 정보를 합산하여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
    상기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 검색어 입력 수단 - 상기 제2 시각은 상기 제1 시각으로부터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한 시각임 -;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제2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는 카운터 수단;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수단 -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함 - 을 포함하고,
    상기 평균치/표준편차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평균치 정보 및 상기 표준편차 정보를 제2 시간 간격마다 생성하고,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수를 상기 제1 입력 회수 정보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시스템.
  10. 검색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검색어에 대한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의 제1 입력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 받는 검색어 입력 수단;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2 시각부터 제3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2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3 시각부터 제4 시각까지의 입력 회수를 카운팅하여 제3 입력 회수 정보를 생성하는 카운터 수단;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 및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1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입력 회수 정보가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미만인 경우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제2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상이하며,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제2 입력 회수 정보와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 간 차이값을 소정의 시간 간격과 연관된 수로 나눈 값에 상기 제1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관리 기준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검색어는 소정의 검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 회수가 급상승하는 검색어로 검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관리 시스템.
KR20040035716A 2004-05-19 2004-05-19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7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5716A KR100574200B1 (ko) 2004-05-19 2004-05-19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5716A KR100574200B1 (ko) 2004-05-19 2004-05-19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733A Division KR101126498B1 (ko) 2004-05-19 2004-05-19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709A KR20060029709A (ko) 2006-04-07
KR100574200B1 true KR100574200B1 (ko) 2006-04-27

Family

ID=3713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5716A KR100574200B1 (ko) 2004-05-19 2004-05-19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949B1 (ko) * 2010-08-02 2012-10-29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051B1 (ko) * 2007-09-18 2009-08-20 엔에이치엔(주) 연관 급상승어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90289B1 (ko) * 2008-08-01 2010-10-26 엔에이치엔(주) 동의어 필터링을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75357B1 (ko) 2019-04-16 2020-02-10 김철호 픽셀 기반 검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949B1 (ko) * 2010-08-02 2012-10-29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709A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029B1 (ko)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검출 방법 및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검출 시스템
Miao et al. Proximity-based rocchio's model for pseudo relevance
US8898153B1 (en) Modifying scoring data based on historical changes
US82447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esenting method of related items
US8041721B2 (en) Attribute extrac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20221563A1 (en) Social Weight of Social Media Content
JP2009211211A (ja) 分析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アクティビティ分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U2010274127B2 (en) Fuzzy proximity boosting and influence kernels
WO2005069173A1 (en) Search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keyword input frequency by category and method thereof
US88385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eyword ranking using common affix
JP4375626B2 (ja) カテゴリ別のキーワードの入力順位を提供するための検索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443483B1 (ko) 급상승 검색어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0574200B1 (ko)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3173352A (ja) 検索ログ解析方法および装置、文書情報検索方法および装置、検索ログ解析プログラム、文書情報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215877B2 (ja) 地域特性辞書生成方法及び装置
KR20110053185A (ko) 사용자의 배경정보에 따른 컨텐츠의 트렌드 분석/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991560B1 (ko)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6498B1 (ko)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5321258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情報収集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6789755B2 (ja) 抽出装置、抽出方法および抽出プログラム
KR101093989B1 (ko) 급상승 검색어 검출 방법 및 시스템
JP2006092023A (ja) 文書管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ならびに文書管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574201B1 (ko) 시기별 검색어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096285B1 (ko) 연관 검색 쿼리 추출 방법 및 시스템
JP5727846B2 (ja) シリーズアイテム群抽出システム、シリーズアイテム群抽出方法、およびシリーズアイテム群抽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106

Effective date: 200603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