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699B1 -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 Google Patents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699B1
KR100573699B1 KR1020040022822A KR20040022822A KR100573699B1 KR 100573699 B1 KR100573699 B1 KR 100573699B1 KR 1020040022822 A KR1020040022822 A KR 1020040022822A KR 20040022822 A KR20040022822 A KR 20040022822A KR 100573699 B1 KR100573699 B1 KR 100573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ver member
rolled steel
adhesive sheet
adh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635A (ko
Inventor
조규남
석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to KR1020040022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6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04B1/944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covered with fire-proof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2Protecting metallic construction elements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용 압연강재를 감싸는 커버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는 구조용 압연강재의 표면에 입혀진 내화피복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피복이 입혀진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를 감싸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화피복의 표면에 점착되는 점착시트와, 상기 점착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되는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에 적층되는 박형 알루미늄시트 및 상기 알루미늄시트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알루미늄시트에 코팅되는 보호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Shape steel cover}
도 1은 종래의 압연강재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연강재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재의 커버부재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연강재의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부재를 압연강재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압연강재의 커버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재의 커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압연강재의 커버부재들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커버부재 2 ... 압연강재
3 ... 내화피복 10 ... 점착시트
20 ... 지지시트 30 ... 알루미늄시트
40 ... 보호재 50 ... 노출부
70 ... 이음시트 80 ... 양면테이프
본 발명은 구조용 압연강재를 감싸는 커버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구조용 압연강재를 감쌀 수 있는 커버부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이나 연구하는 실험실 등에서는 미세 먼지나 분진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야만 반도체의 품질이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의 생산이나 연구는 미세먼지나 분진이 최소화된 소위 클린룸(clean room)이라고 부르는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린룸은 다양한 건축방식에 의하여 설계 및 시공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철골구조로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 철골구조건물은 소위 I형강 또는 H형강 등의 형강(形鋼)이라고 하는 구조용 압연강재를 이용하여 골조(骨組)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용 압연강재는 열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화재시의 건축물의 안전을 위하여 이 구조용 압연강재 표면에 퍼라이트(perlite)계 소재 등의 내화피복을 입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퍼라이트계 내화피복은 내화성, 내연성이 뛰어나지만 경도가 약해 충격에 쉽게 부스러지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나 분진을 최소화하여야 되는 클린룸에서는 구조용 압연강재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내화피복이 이탈되어 클린룸으로 유입되게 되면 반도체의 품질관리에 매우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클린룸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용 압연강재의 둘레를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감싸서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가 클린룸에 노출되지 않게 차단시킴으로써, 클린룸 내부에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커버부재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길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용 압연강재(2)가 클린룸으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종래의 커버부재(1)는 알루미늄이나 함석판을 덕트형태로 만들어서 내화피복(3)이 코팅되어 있는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2)를 감싸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알루미늄, 스틸이나 함석판 등 고가의 재료가 사용되며, 또한 이 알루미늄판이나 함석판을 'ㄷ'자형태로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공의 효율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금속을 덕트형태로 구성하는 방식으로는 클린룸의 모서리나 구석진 부분에 있는 구조용 압연강재를 감싸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비용과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는 구조용 압연강재의 표면에 입혀진 내화피복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피복이 입혀진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를 감싸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화피복의 표면에 점착되는 점착시트와, 상기 점착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되는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에 적층되는 박형 알루미늄시트 및 상기 알루미늄시트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알루미늄시트에 코팅되는 보호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착시트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시트, 알루미늄시트 및 보호재가 적층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착시트는 부틸고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시트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재는 폴리에틸렌 소재이며, 상기 지지시트는 PVC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시트는 올록볼록 해지도록 엠보싱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상기 커버부재를 상호 이어주기 위하여, 그 일단부는 상기 점착시트의 타단부에 점착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이음시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 노출된 타단부가 다른 커버부재의 점착시트 에 점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재의 커버부재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연강재의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부재를 압연강재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압연강재의 커버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강재의 커버부재(100)는 점착시트(10), 지지시트(20), 박형 알루미늄시트(30) 및 보호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점착시트(10)는 표면에 내화피복(3)이 코팅되어 있는 압연강재(2)에 점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시트(10)는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로서 0.5mm 내지 1.5mm정도의 두께의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화피복(3)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퍼라이트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며, 이 퍼라이트계 소재는 그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요철로 거칠고 울퉁불퉁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틸고무 소재의 점착시트(10)는 연성이므로, 경성의 소재에 비하여, 상기 요철이 있는 퍼라이트계 내화피복(3)에 용이하게 점착될 뿐만 아니라 쉽게 접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점착시트(10)는 이 점착시트에 의하여 감싸지는 구조용 압연강재(2) 및 내화피복(3)을 보호될 수 있도록 난연 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시트(20)는 상기 점착시트(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층된다. 이 지지시트(20)는 본 발명인 커버부재(100)의 강도를 유지하여 원하지 않는 외력 등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재(10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층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시트(20)는 PVC(polyvinyl chloride)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두께는 100μm 내지 200μm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시트(20)는 상기 점착시트(10)의 상면 전체에 적층되지 않으며, 일부분에만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점착시트(10)의 일부분은 상기 지지시트(20)가 적층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50)가 형성된다. 이 노출부(50)는 두 개의 커버부재(100)가 상호 점착되어 연결될 때, 상기 두 개의 커버부재(100)가 상호 점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점착시트(10)가 연장된 부분이므로 역시 부틸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박형의 알루미늄(30)은 상기 지지시트(20)위에 적층된다. 이 알루미늄시트(30)는 상기 지지시트(20)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100)가 원하지 않는 외력 등에 의하여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알루미늄시트(30)의 두께는 20μm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시트(30)에 입사된 빛이 정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알루미늄시트(30)는 소위 엠보싱가공되어 있어 그 표면이 올록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재(40)는, 상기 알루미늄시트(30)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알루미늄시트(30)에 코팅된다. 본 실시예에 서 상기 보호재(4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압연강재(2)의 커버부재(100)의 제조 및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00)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알루미늄시트(30)의 상면에 우레탄(urethane)계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한 후 상기 폴리에틸렌소재의 보호재(40)를 부착시키고 대략 48시간 정도 경화시킨다. 그 후, 상기 보호재(40)가 코팅되지 않은 알루미늄시트(30)의 하면에 다시 우레탄계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이 알루미늄시트(30)의 하면을 상기 PVC소재의 지지시트(20)의 상면에 접착시키고 마찬가지로 대략 48시간 정도 경화시킨다. 이후, 상기 지지시트(20)의 하면을 상기 부틸고무소재의 점착시트(10)의 상면에 점착시키며, 이 점착시트(10)는 그 자체로서 점착력이 있으므로 별도의 프라이머를 도포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00)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시트(10)가 상기 지지시트(20)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시트(20)를 상기 점착시트(10)에 적층시키면, 상기 지지시트(20)는 상기 점착시트(10)의 일부분에만 적층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되며 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노출부(50)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커버부재(100)에서, 상기 점착시트(10)는 연성이며, 상기 지지시트(20), 알루미늄시트(30) 및 보호재(40)는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재(100)는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연강재의 커버부재(100)는 종래의 알루미늄판이나 함석판 등 고가의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에 비하여 그 생산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적이다.
이렇게 제조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재(100)는 연성이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00)를 'ㄷ'자형으로 접어서 상기 내화피복(3)이 코팅되어 있는 H형강 또는 I형강(2)을 감싸며 점착시킨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00)는 연성이므로 예컨대 구조용 압연강재이 서로 직교하여 만나는 모서리 등 구석진 부분도 구부려서 쉽게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H형강 또는 I형강(2)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10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2)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경우, 먼저 커버부재(100)들로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2)를 감싸서 점착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커버부재(100)의 노출부(50)와 이 커버부재(100)에 인접해 있는 다른 커버부재(100)의 점착시트 중 일부를 서로 겹쳐서 점착시킨다. 또한 상기 다른 커버부재(100)중 겹쳐지지 않은 부분의 점착시트는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2)를 감싸며 그 구조용 압연강재에 점착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커버부재(100)들을 서로 연결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의 전 부분을 매우 간단하게 감쌀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2)를 상기 커버부재(100)로 감싸게 되면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2)의 표면에 코팅된 내화피복(3)으로부터 일부의 파티클(particle)이 떨어져 나가더라도 이 파티클은 커버부재(100)에 의하여 실내공간 등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실내공간 등에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매우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100)는 종래의 덕트형의 종래의 커버부재에 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00)를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2)에 점착시킨 후 이 커버부재(100)를 나사 등 일정한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천정(미도시)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 상기 커버부재(100)에는 노출부(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출부(5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100)의 점착시트와 그 커버부재(100)에 인접하여 있는 커버부재(100)의 보호재(40)를 상호 점착시킴으로써 양 커버부재(100)를 서로 점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0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그 연결부위에 상기 점착시트(10)가 노출되는 경우, 미감을 위하여, 상기 지지시트(20)와 알루미늄시트(30) 및 보호재(40)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트를 프라이머 등 일정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시트(10)가 노출되어 있는 연결부위를 다시 감쌀 수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 압연강재의 커버부재의 점착시트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시트, 알루미늄시트 및 보호재가 적층되지 않고 노출부가 마련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노출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노출부가 없이 단지 동일한 면적과 모양을 가지는 상기 점착시트, 지지시트, 알루미늄시트 및 보호재가 차례차례 적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개의 커버부재를 연결할 때 이음시트(70)를 이용하면된다. 상기 이음시트(70)의 일단부는 상기 점착시트(10)의 뒷면 타단부에 점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시트(70)의 타단부는 상기 점착시트(10)의 뒷면에 점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다른 커버부재의 점착시트(10)의 일단부가 이 이음시트(70)의 타단부에 점착됨으로써 두 개의 커버부재(10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압연강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이음시트(70)는 그 폭이 3mm내지 10mm의 철제 혹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위와 같이 두 개의 커버부재(100)가 서로 연결된 부분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80)등을 부착하여 결합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연강재의 커버부재는, 종래의 덕트형으로 되어 있는 커버부재와 달리, 생산비용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여, 경제적이며 시공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구조용 압연강재의 표면에 입혀진 내화피복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피복이 입혀진 상기 구조용 압연강재를 감싸는 커버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화피복의 표면에 점착되는 점착시트;
    상기 점착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되는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에 적층되는 박형 알루미늄시트; 및
    상기 알루미늄시트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알루미늄시트에 코팅되는 보호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시트, 알루미늄시트 및 보호재가 적층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부틸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시트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재는 폴리에틸렌 소재이며, 상기 지지시트는 PVC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시트는 올록볼록 해지도록 엠보싱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커버부재를 상호 이어주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점착시트의 타단부에 점착되어 있고, 타단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이음시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 노출된 타단부가 다른 커버부재의 점착시트에 점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KR1020040022822A 2004-04-02 2004-04-02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KR10057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822A KR100573699B1 (ko) 2004-04-02 2004-04-02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822A KR100573699B1 (ko) 2004-04-02 2004-04-02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211U Division KR200354379Y1 (ko) 2004-04-02 2004-04-02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635A KR20050097635A (ko) 2005-10-10
KR100573699B1 true KR100573699B1 (ko) 2006-04-27

Family

ID=3727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822A KR100573699B1 (ko) 2004-04-02 2004-04-02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6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635A (ko) 2005-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1527B2 (en) Wall gap fire block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90000247A1 (en) Glass Wall
JPH10317548A (ja) 壁構造体
US8161703B2 (en) Compressible insulation element with reduced friction
KR100573699B1 (ko)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KR200354379Y1 (ko) 구조용 압연강재의 커버부재
US11028290B2 (en) Heat-applied gap finishing tape
TWM481951U (zh) 用於隱框玻璃幕牆的與安全膜配合使用的連接件
US20030172600A1 (en) Sound insulating device for buildings
JP4789519B2 (ja) 気密耐火被覆材及び気密耐火被覆構造
FI20022157A0 (fi) Parannettu pontti kevyissä rakennuspaneeleissa
JPH06229036A (ja) 建物の耐火構造
CN216740177U (zh) 扩散体装配机构
CN212897296U (zh) 一种耐腐蚀的铝单板
AU2019261740B2 (en) An improved cladding panel
KR20180003649U (ko) 코너 마감재
JP3138346U (ja) 補助胴縁
JP3161568B2 (ja) 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パネルの接合方法
JP2898274B2 (ja) 建築用パッキン、これを用いたパネル材、パネル材の製造方法、および、パネル材の取り付け方法
KR200264158Y1 (ko) 마루바닥재
JPH10252179A (ja) ユニット式建物の耐火構造および耐火被覆方法
KR20090012441A (ko) 경량화된 덕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덕트
JPH08120803A (ja) 鋼材の耐火被覆方法と耐火被覆構造
KR20230131664A (ko) 도어
JP2023028495A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