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369B1 - 배드민턴 라켓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369B1
KR100573369B1 KR1020040010086A KR20040010086A KR100573369B1 KR 100573369 B1 KR100573369 B1 KR 100573369B1 KR 1020040010086 A KR1020040010086 A KR 1020040010086A KR 20040010086 A KR20040010086 A KR 20040010086A KR 100573369 B1 KR100573369 B1 KR 10057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rame
racket
head
badminton racket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723A (ko
Inventor
김원창
Original Assignee
김원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창 filed Critical 김원창
Priority to KR102004001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36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22String guides on frames, e.g. gromm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2049/0205Frames comprising at least two similar parts assembled with the interface plane parallel to the string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 임팩트시 라켓의 충격흡수력을 증가시키고 스윙시 라켓 헤드의 움직임이 공기흐름에 최적화되도록 하여 셔틀콕의 정확한 컨트롤 및 빠르고 부드러운 스윙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드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한 배드민턴 라켓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주연 안쪽에서 스트링(20)이 교차배열되도록 둘레를 따라 스트링이 매어지는 타원형의 헤드프레임(10)과, 이 헤드프레임의 하부 중앙에서 네크(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샤프트(40)와, 손에 쥘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끝단부에 마련된 그립(50)으로 이루어진 배드민턴 라켓에 있어서, 상기 네크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프레임 하부의 양측에는 대나무 마디형태의 마디(11)가 다수 돌출형성되고, 이들 마디는 상기 헤드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그 형성범위가 상기 헤드프레임 높이의 1/2을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을 제공한다.
배드민턴, 라켓, 헤드

Description

배드민턴 라켓{Badminton Racket}
도 1은 종래의 배드민턴 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B-B, C-C, D-D, E-E, F-F, G-G, H-H 선을 따라 절개한 헤드프레임의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헤드 1a, 10: 헤드프레임
1b, 20: 스트링 2, 30: 네크
3, 40: 샤프트 4, 50: 그립
11: 마디 12: 굴곡부
13: 돌부 14: 그로멧
본 발명은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셔틀콕 임팩트시 라켓의 충격흡수력을 증가시키고 스윙시 라켓 헤드의 움직임이 공기흐름에 최적화되도록 하여 셔틀콕의 정확한 컨트롤 및 빠르고 부드러운 스윙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드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한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프 라켓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Head)(1), 샤프트(Shaft)(2), 헤드와 샤프트를 연결하는 네크(Neck)(3) 그리고 손에 쥐어진 라켓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천이나 가죽이 감아지는 그립(Grip)(4)으로 이루어지며, 헤드는 다시 셔틀콕이 임팩트되는 부분인 스트링(String)(또는 거트)(1b)과 중공의 프레임구조를 갖지며 스트링이 매어지는 헤드프레임(Head Frame)(1a)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드민턴 라켓의 스윙스피드는 라켓을 순간적으로 채어주는 손목의 스냅놀림으로부터 나오는데, 스냅놀림을 통하여 파워를 동반하는 정확한 컨트롤을 구사하고 부드러운 타구감을 위하여 부드럽고 가는 샤프트(2)와 슬림형의 헤드프레임(1a)으로 이루어진 라켓이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그러나, 슬림형의 유연한 샤프트와 헤드프레임을 갖는 라켓은, 탄력이 좋으며 빠른 동작과 미묘한 라켓움직임의 컨트롤이 가능한 잇점이 있는 반면에 라켓의 충격흡수력은 약화되어 셔틀콕 임팩트시 라켓이 떨리거나 충격으로 인하여 셔틀콕이 임팩트되는 방향으로 라켓이 돌아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따라서 슬림형 라켓의 경우 스매쉬, 드라이브 등과 같이 빠른 스윙에 의해 셔틀콕을 쳐내고자 할 때 면안정성(스트링의)이 떨어져 정확한 컨트롤이 오히려 어려워지거나 파워가 실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헤드헤비(Head Heavy) 타입이나 딱딱한(Stiff) 샤프트로 이루어진 라켓을 사용하는 경우에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셔틀콕 임팩트시의 안정성 향상을 일정정도 기대할 수 있으나, 신속한 공수대응을 위하여 가볍고 가는 프레임으로 제조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특성상 라켓의 떨림이나 임팩트시 충격으로 인한 불안정성은 마찬가지로 해결되어야 하는 공통적인 문제점이다.
한편, 라켓 스윙시 헤드에 걸리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고 빠른 스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헤드프레임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셔틀콕 임팩트시 라켓의 충격흡수력을 증가시켜 파워를 동반한 셔틀콕의 정확한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헤드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한 배드민턴 라켓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헤드프레임의 구조개선을 통하여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헤드프레임의 변형 및 뒤틀림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윙시 라켓 헤드의 움직임이 공기흐름에 최적화되도록 하여 빠르고 부드러운 스윙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헤드프레임의 탄성을 증가시켜 셔틀콕 임팩트시의 셔틀콕 반발력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은, 내주연 안쪽에서 스트링이 교차배열되도록 둘레를 따라 스트링이 매어지는 타원형의 헤드프레임과, 이 헤드프레임의 하부 중앙에서 네크를 매개로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샤프트와, 손에 쥘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끝단부에 마련된 그립으로 이루어진 배드민턴 라켓에 있어서, 상기 네크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프레임 하부의 양측에는 대나무 마디형태의 마디가 다수 돌출형성되고, 이들 마디는 상기 헤드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그 형성범위가 상기 헤드프레임 높이의 1/2을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디들 각각은, 상기 헤드프레임의 둘레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설명에서, 상측은 헤드측 방향 그리고 하측은 그립측 방향인 것으로 하며, 좌우 대칭형상을 하는 헤드프레임의 좌우구분은 네크 또는 샤프트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헤드프레임의 둘레"는 헤드프레임을 이루는 타원형의 곡선을 지칭하며, 헤드프레임의 두께(또는 단면)방향의 둘레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헤드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또는 "헤드프레임 둘레방향"은 "타원형의 곡선을 따라" 또는 "타원형 곡선을 그리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드미턴 라켓에 대하여 살펴본다. 별도의 구분이 없는 한, 동일한 명칭은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또한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은 스트링(20)이 교차배열되어 내주면 안쪽에서 면을 형성하도록 둘레를 따라 스트링이 매어지는 타원형의 헤드프레임(10)과, 헤드프레임의 하부 중앙에서 네크(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샤프트(40)와, 손에 쥘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끝단부에 마련되며 손에 쥐어진 라켓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천이나 가죽이 감아지는 그립(50)으로 구성된다.
라켓 경량화를 위해 중공의 프레임구조로 설계되며 좌우 대칭구조를 하는 헤드프레임(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프레임의 하부에는 대나무 마디(Bamboo Joint) 형태의 마디(11)가 다수 돌출형성된다. 이들 마디(11)는 라켓 스윙시의 공기저항을 줄이고 마디(11)로 인한 헤드프레임 두께방향으로의 강성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프레임(10)의 둘레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네크(30)를 중심으로 양측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열된다.
따라서, 이들 마디는 대략, 네크(30) 부근에서는 기울기가 수평에 가까우며 헤드프레임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수직에 가까워지는 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이들 마디가 형성되는 범위는, 헤드의 탄력과 강성을 고려하되, 헤드프레임(10)의 최하부(네크부근)로부터 헤드프레임 높이의 1/2을 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헤드프레임(10)의 하부는 헤드프레임(10)의 상부 보다 굵으며, 네크(30)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양측으로 올라갈 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구조를 하고 있다. 도 3 은 이러한 헤드프레임의 단면형상을 각 부위별(도 2의 A∼H)로 도시한 것으로, 교차배열되는 스트링이 이루는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두께 t1(도 3에서 a1, b1 , c1, d1, e1, f1, g1, h1으로 각각 표시된 헤드프레임의 전면두께)과,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두께 t2(도 3에서 a2, b2, c2, d2, e2 , f2, g2, h2으로 각각 표시된 헤드프레임의 측면두께)를 표로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도면에서 b3, c3는 돌부(13)가 포함된 두께를 나타낸 것으로 b3 = c3 = 6.80 이다.
구분 A B C D E F G H
t1 (mm) 6.00 6.00 6.00 6.04 6.50 8.48 9.93 ø7.10
t2 (mm) 10.70 10.75 10.91 11.21 11.30 11.30 9.72
위의 표 1과 도 2,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보아 하부 보다 상부가 가는 헤드프레임 구조는 후술하는 굴곡부(12)(도 3에서는 굴곡부를 나타내지 않았다)로 인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만, 굴곡부(12)에서의 헤드프레임의 굵기변화(A, B, C, D 참조)는 상당히 작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마디(11)들 부근에서의 두께 또는 형상의 변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헤드프레임 하부에 돌출형성된 상기 마디(11)들의 각 마디사이(마디와 마디의 사이)는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점차 가늘어지는 각 마디사이의 상단부에서 불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는 마디와 이 마디 상측에 위치한 마디사이의 하단부는 서로의 연결이 연속적이며 완만한 기울기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헤드프레임의 하부를 대나무 스타일로 하고 헤드프레임 상부의 두께를 헤드프레임 하부의 두께 보다 가늘게 설계한 헤드프레임(10)의 특징적인 구조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은 종래의 배드맨턴 라켓에 비하여 헤드프레임 하부에서의 강성이 향상되며, 라켓 스윙시 헤드프레임에서의 공기흐름이 원활해진다. 따라서, 셔틀콕 임팩트시 라켓의 떨림이 적어지며, 정확한 셔틀콕 컨트롤과 부드럽고 빠른 스윙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샤프트(40)와 헤드프레임(10)의 슬림화가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드맨튼 라켓의 헤드프레임(10) 상부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마디형태의 마디(11)가 형성된 헤드프레임 하부를 제외한 헤드프레임(10)의 외주연(外周緣)에는, 연속되는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진 굴곡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굴곡부(12)가 형성됨으로써 헤드프레임(10) 상부는 더욱 슬림화되며, 라켓 헤드의 유연성과 탄성력이 증가된다. 결국, 타구시 셔틀콕의 반발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굴곡부(12) 각각의 요(凹)부에는 헤드프레임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이들 홀에는 스트링(20)의 안내 및 지지를 위한 통상의 그로멧(Grommet)(14)이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홀과 그로멧은 굴곡부의 요(凹)부에 만이 아니라 헤드프레임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부호 15는 헤드프레임(10) 상부의 슬림화시키고, 매어진 스트링에 의한 공기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헤드프레임(10)의 둘레를 따라 그 외주연에 형성되는 통 상의 요홈을 나타낸다. 이러한 요홈(15)은 헤드프레임(10)의 상부와 중간부, 즉 굴곡부(12)에만 형성되며, 다수의 마디(11)가 배열되는 헤드프레임 하부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A, B-B, C-C, D-D 단면에서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 요홈(15)이다.
한편,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프레임(10) 상부의 내주연(內周緣)에는 굴곡부(12)의 요(凹)부에 대응하여 내주연 안쪽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부(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들 돌부는 헤드프레임(10)의 최상측 부분을 기준으로 헤드프레임 상부의 양측에서 상호대칭되도록 배열되며, 돌부(13)가 형성된 범위는 굴곡부(12)가 형성된 범위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헤드프레임의 10∼11시와 1∼2시 방향에 형성되도록 한다. 돌부(13)는 헤드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되며, 돌부(13)의 중심부에는 앞서 설명한 그로멧(1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굴곡부(12) 형성된 헤드프레임 상부의 일부에 다수의 돌부(13)를 형성함으로써, 헤드프레임 상부의 탄력향상과 아울러 강성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헤드프레임 이외의, 네크와 샤프트 그리고 그립은 통상적인 공지기술을 사용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각 구성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례로, 헤드프레임의 외주면에 요홈을 형성하지 않거나, 굴곡부 및 돌부의 형성위치 및 형상을 달리하거나, 마디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마디의 형상은, 공기저항성이 떨어지기는 하나, 띠나 환대와 같이 헤 드프레임에 마디만이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마디는 이러한 마디의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면안정성과 탄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헤드프레임에 메쉬(예: 티타늄 메쉬)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드민턴 라켓은, 헤드프레임의 하부가 상부 보다 굵으며 하부에는 대나무 마디형태의 마디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헤드프레임의 충격흡수 및 분산능력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셔틀콕 임팩트시의 라켓 떨림현상과 같은 불안정성이 저감되어 파워를 동반한 정확한 셔틀콕 컨트롤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나무 마디형태의 마디가 형성되어 헤드프레임의 변형 및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가속도에 따른 공기저항이 큰 헤드프레임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대나무 마디형태의 마디가 헤드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어, 라켓 스윙시 공기저항이 저감되며 스윙의 안정감 및 스피드가 향상된다.
또한, 헤드프레임 상부에 굴곡부와 다수의 돌부를 형성함으로써, 헤드프레임 상부의 탄력향상과 함께 강성유지가 가능해진다.

Claims (4)

  1. 내주연 안쪽에서 스트링(20)이 교차배열되도록 둘레를 따라 스트링이 매어지는 타원형의 헤드프레임(10)과, 이 헤드프레임의 하부 중앙에서 네크(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샤프트(40)와, 손에 쥘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끝단부에 마련된 그립(50)으로 이루어진 배드민턴 라켓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10)은 하부가 상부 보다 굵으며, 네크(30)를 기준으로 헤드프레임의 양측에 그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마디(11)가 다수 돌출형성되되, 각 마디사이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디(11)는 그 형성범위가 헤드프레임 높이의 1/2을 넘지 않으며, 각 마디는 헤드프레임의 둘레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11)들이 형성된 상기 헤드프레임 하부를 제외한 상기 헤드프레임(10)의 외주연에는, 연속되는 요철(凹凸)형상의 굴곡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 상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굴곡부(12)의 요(凹)부에 대응하여 돌출된 돌부(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부(13)들은, 상기 헤드프레임의 10∼11시와 1∼2시 방향에 좌우대칭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4. 삭제
KR1020040010086A 2004-02-16 2004-02-16 배드민턴 라켓 KR10057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086A KR100573369B1 (ko) 2004-02-16 2004-02-16 배드민턴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086A KR100573369B1 (ko) 2004-02-16 2004-02-16 배드민턴 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723A KR20050081723A (ko) 2005-08-19
KR100573369B1 true KR100573369B1 (ko) 2006-04-25

Family

ID=3726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086A KR100573369B1 (ko) 2004-02-16 2004-02-16 배드민턴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3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723A (ko) 200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8821T3 (es) Raqueta de deporte con aberturas de marco
JP5174342B2 (ja) ストリングを固定するための挿入部材を有するスポーツラケット
US5944624A (en) Notched, slotted grommet for sports racquet
US3986716A (en) Composite racquet structure
EP3185974B1 (en) A bat for playing ball games
EP2774658B1 (en) Racket
US5060944A (en) Tennis racket with split frame
US5110125A (en) Sport racket
KR100573369B1 (ko) 배드민턴 라켓
US7044869B2 (en) Racket for ball games and production process
US6319158B1 (en) Game racket with elongated slot in yoke portion
US20220134191A1 (en) Grommet and racket
JPS63164967A (ja) スポ−ツラケツト
CN202366404U (zh) 一种羽毛球拍
JP6525745B2 (ja) ラケット
US20080102995A1 (en) Racket
JPH05501810A (ja) フレームの硬さのための孔を有するラケットフレーム
KR102225915B1 (ko) 배드민턴 라켓
EP1060767A2 (en) Improved games racket
JP3090850U (ja) ラケット
JP3068047U (ja) ラケット
GB2186804A (en) A racket
JP5103026B2 (ja) ラケット
JP4049631B2 (ja) ラケットフレーム
JP6155126B2 (ja) 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