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488B1 -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488B1
KR100571488B1 KR1020040021070A KR20040021070A KR100571488B1 KR 100571488 B1 KR100571488 B1 KR 100571488B1 KR 1020040021070 A KR1020040021070 A KR 1020040021070A KR 20040021070 A KR20040021070 A KR 20040021070A KR 100571488 B1 KR100571488 B1 KR 10057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home network
home
top box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221A (ko
Inventor
주재훈
나종욱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4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서 아이피 셋톱박스에 피엘씨 게이트웨이를 접목함과 동시에 범용 내지 겸용 기기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텔레비전을 인터페이스로 하여 리모콘 조작으로 사용이 쉽고, 각종 무료 서비스와 함께 소정의 유료 서비스를 아파트에서 제공하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은 접속구와 홈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되 겸용 기기의 화면상에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고, 정보서비스 구동모듈과 엔터테인먼트 구동모듈과 피엘씨 게이트웨이가 장착되어 있는 아이피 셋톱박스(Internet Protocol set top box)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아이피 셋톱박스를 리모콘으로 조작하여서, 복수개의 서비스 디바이스 - 여기서, 서비스 디바이스는 홈네트워크의 대상이 되고 댁내에 설치되는 제품으로서 피엘씨용 전력선, 동축케이블, 랜(LAN)케이블, 전화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선을 통해서 제어되는 기기와 설비를 의미함 - 에 관련된 선택 메뉴를 겸용 기기의 화면상에 OSD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네트워크, 미디어, 리모콘, 텔레비전, 아이피, 셋톱박스, 피엘씨

Description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A ALIVE SERVICE USING HOME-NETWOR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의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단 거주시설내의 홈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아이피 셋톱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에서 쿨 미디어 항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세부 사항에 관한 블록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에서 시스템 온 항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세부 사항에 관한 블록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에서 이지 투 이지 항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세부 사항에 관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터넷망 46 : PLC 게이트웨이
100, 101, 102 : 로컬 네트워크 110 : 제반 네트워크 설비
111 : 로컬 서버 112 : 파이어 월
113 : 메인 백본 114 : 네트워크 라인
115 : 게이트웨이 서버 116 : 인벤터리 서버
117, 118 : 백본 119 : 홈스위치
120 : 컨트롤 네트워크 설비 121 : 디지털 홈오토메이션
122 : 홈게이트웨이 130 : 디지털 기기
140 : 미디어 네트워크 설비 141 : 접속구
142 : 아이피 셋톱박스 143 : TV
144 : 인터넷 TV 145 : 원격 의료 장치
146 : 입주민 PC 200 : 호스트 네트워크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이하, 'TV'라 함) 등과 같은 범용 내지 겸용 디스플레이 기기와 그의 리모트 콘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 함)를 사용하여 미디어 생활 서비스를 인텔리전트 아파트 등과 같은 집단 거주시설에 제공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네트워크는 주택, 사무실, 오피스텔, 아파트 등의 세대 내에 각종 통신장비 및 제어/감시장비를 설치한 후, 이들을 댁내/외에 있는 디지털 기기 내지 장비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한 것이다.
이런 홈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나 편의시설물들에 최첨단 디지털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집안 내에서 뿐만이 아니라 외부의 어떤 곳에서도 자가의 시설물들을 쉽게 관리하고, 또한 그러한 기기나 시설물들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이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의 안전문제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방범 시스템, 방재 시스템, 출입관리 시스템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전화선 통신, 전력선 통신(PLC), 랜케이블 통신, 동축케이블 통신,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모든 정보를 통합 관리함과 동시에, 유/무선인터넷과 연동되어 동작되며, 그럼으로써 외부에서도 집안의 모든 시스템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가전기기 제어 및 원격검침과 같은 기능도 지원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서비스 디바이스(service device)와, 코어 디바이 스(core device)와, 휴먼 디바이스(human device)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디바이스는 홈네트워크의 대상이 되는 제품으로 실질적 가치를 이루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런 서비스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제품에는 가스, 난방, 조명, 커튼, 환기, 방범 기기 등과 같은 생활설비와, 에어컨, 세탁기, 청정기, TV, 홈시어터(home theater), 냉장고, 전자렌지 등과 같은 정보 가전이 있다.
코어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 디바이스를 하기의 휴먼 디바이스에 인터페이스 시키는 홈네트워크의 기반설비로서, 고가의 필수기기이나, 사용자 가치가 약한 제품을 의미한다. 이런 코어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제품에는 게이트웨이, 홈서버, 블록킹필터, 허브 등과 같은 세대 장비와, 웹서버, 메일서버, DHCP서버(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 등과 같은 공용 장비가 있다.
휴먼 디바이스는 홈네트워크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런 휴먼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웹패드, 웹비디오폰, 월패드, 홈오토(HAS : Home-Automation System) 등과 같은 전용 기기와, 개인 컴퓨터 단말(이하, 'PC'라 함), 이동통신 단말(이하, '휴대폰'이라 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등과 같은 겸용 기기를 의미한다.
그런데,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은 집단 거주시설에서는 댁내의 홈네트워크의 복잡하고 다양한 서비스, 코어 등을 제어 및 사용하기 위해서 대부분 전용 기기가 사용되고 있어서, 예컨대 TV 시청 중 홈네트워크의 일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전용 기기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홈네트워크는 전용 기기나 홈네트워크 설비를 설치하는 것에 국한되어, 미디어 등과 같은 유료 서비스를 접목한 서비스 내지 사업 창출이 어려운 환경에 직면되어서 활발한 사업 확장이 어려운 상황이다.
즉, 사용자의 측면에서 볼 때, 한번의 비용을 들어 고가의 홈네트워크를 설치한 후 무료로 이들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나, 사업 구조상 고품질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받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보면, 마땅히 무료 서비스와 유료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함과 함께 사용이 편리하고 간편하여 사용자들을 유료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가입시킴과 동시에 무료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사업 구상에 고민중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홈네트워크에서 아이피 셋톱박스(Internet protocol set top box)에 피엘씨 게이트웨이(PLC gateway)를 접목함과 동시에 범용 내지 겸용 기기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텔레비전을 인터페이스로 하여 리모콘 조작으로 사용이 쉽고, 각종 무료 서비스와 함께 소정의 유료 서비스를 아파트 등과 같은 집단 거주시설에서 제공하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구와 홈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홈네트워크에 연 결되어 있되 겸용 기기의 화면상에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고, 정보서비스 구동모듈과 엔터테인먼트 구동모듈과 피엘씨 게이트웨이가 장착되어 있는 아이피 셋톱박스(Internet Protocol set top box)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아이피 셋톱박스를 리모콘으로 조작하여서, 복수개의 서비스 디바이스 - 여기서, 서비스 디바이스는 홈네트워크의 대상이 되고 댁내에 설치되는 제품으로서 피엘씨(PLC : Power line communication)용 전력선, 동축케이블, 랜(LAN)케이블, 전화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선을 통해서 제어되는 기기와 설비를 의미함 - 에 관련된 선택 메뉴를 상기 겸용 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의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단 거주시설내의 홈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아이피 셋톱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에서 쿨 미디어 항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세부 사항에 관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에서 시스템 온 항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세부 사항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에서 이지 투 이지 항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세부 사항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마디로 정의하면 TV를 기반으로 하는 홈콘트롤 서비스 제공방법과 그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런 본 발명에서는 홈네트워크의 휴먼 인터페이스를 아이피 셋톱박스로 활용하여 일반적인 아날로그 내지 디지털 중 어느 하나의 TV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서, 아이피 셋톱박스용 리모콘으로 모든 서비스 제어가 가능하며, 집단 거주시설과 같은 아파트 단지(동) 내의 관리비 분석 등의 서비스, 즉 세대별 관리비 분석 시스템을 통한 TV 정보 제공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과 동시에, VOD(Video On Demand), MOD(Music On Demand) 등의 엔터테인먼트 및 교육 서비스가 유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웨어적 서비스 제공 형식은 TV 화면상에 스크린 오버레이 디스플레잉과 같은 OSD(On-Screen Display) 디스플레잉 제어, 즉 TV 화면상에 선택 메뉴 내지 팝업창을 반투명 오버레이 형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TV 시청 도중 화면 절체 없이 가스, 난방, 조명, 가전 등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런 본 발명은 TV와 아이피 셋톱박스에 의한 홈네트워크 컨트롤과 제어 서 비스 및 단지 정보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과 동시에, MOD, VOD 등과 같은 유료 컨텐츠 수익 사업을 모델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인텔리전트 아파트의 로컬 네트워크(100, 101, 102)들이 인터넷망(10)을 통해서 서비스 운영자의 호스트 네트워크(200)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트 네트워크(200)는 일종의 IPC(Information, Processing Center)로서, 본 발명의 유료 및 무료 서비스의 가입, 신청, 과금, 유지, 보수, 해지, 사후 관리 등을 통상의 정보처리방법에 따라 총괄 관리함과 동시에, 각각의 집단 거주시설에 해당하는 로컬 네트워크(100, 101, 102) 및 그의 하위 레벨인 홈네트워크와 통합적으로 연동되도록 통상의 정보처리 네트워크 구성 방법으로 구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집단 거주시설의 로컬 네트워크(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넷망을 통해 호스트 네트워크(200)에 과금 정보, 정보 사용량, 정보 사용시간, 접속로그, 아이피 주소, DNS 주소 등과 같은 통상의 통신 네트워킹용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서 홈네트워크를 위한 제반 네트워크 설비(110)와, 컨트롤 네트워크 설비(120)와, 디지털 기기(130)와, 미디어 네트워크 설비(140)를 구비하고 있다.
홈네트워크를 위한 제반 네트워크 설비(110)는 호스트 네트워크(200)와 연동하는 통상의 로컬 서버(111), 파이어 월(112 : firewall), 메인 백본(113 : main back bone)의 네트워크 라인(114)에 각각 게이트웨이 서버(115 : gateway server)와 인벤터리 서버(116 : inventory server)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라인(114)은 해당 아파트의 동에 기 설치된 백본(117, 118)에 접속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백본(118)은 복수개의 세대 광전변환기 내지 홈스위치(119)에 접속된다. 각각의 홈스위치(119)는 댁내의 컨트롤 네트워크 설비(120)에 접속된다.
컨트롤 네트워크 설비(120)는 예컨대, 도어카메라와 그의 도어 인터폰 장치와 같은 전용 기기나, 디지털 홈오토메이션(121 : digital H/A)과 그의 홈게이트웨이(122 : H/G)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홈오토메이션(121)에는 동체 감지 센서, 비상 버튼, 가스 센서, 화재 예측 장치, 주방 TV, 서브 폰, 자동문, 관리 단말 등이 통상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홈게이트웨이(122)에 PLC 난방, PLC 가전 제품(옵션), PLC 조명 제어, 가스 제어 등의 제어 장치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기기(130)는 앞서 언급한 게이트웨이 서버(115) 및 인벤터리 서버(116)를 통해서 제반 네트워크 설비(110)와 접속된다. 이때, 디지털 기기(130)에는 주차 관제, CCTV, 원격검침 설비와, 출입 통제 설비와, 키오스크, 알에프 카드(Radio Frequency card)를 이용한 공동 현관기, 자동문, 관리 단말 등이 포함된다.
특히, 미디어 네트워크 설비(140)는 홈스위치(119)와, 벽면 등에 설치된 접속구(141 : outlet)를 통해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네트워크 설비(140)는 접속구(141)의 연결선을 통해 접속되는 아이피 셋톱박스(142)와, 이런 아이피 셋톱박스(142)에 접속되는 일반적인 TV(143)를 의미한다.
여기서, 통상의 인터넷 TV(144), 원격 의료 장치(145), 입주민 PC(146) 중 어느 하나는 역시, 접속구(141)와 홈스위치(119)를 통해서 홈네트워크를 위한 제반 네트워크 설비(11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피 셋톱박스(142)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43)의 내부에서 전기, 전자 회로를 이용한 마더보드(mother board)에 기본적으로 정보서비스 구동모듈(44)과 엔터테인먼트 구동모듈(45)과 리모컨용 RF 송수신 모듈(도시 안됨)과 가정용 전원공급모듈(도시 안됨) 및 겸용 기기의 연결선 접속용 인터페이스 모듈(TV 연결용 포트 등)을 장착하고 있다.
예컨대, 겸용 기기인 TV는 그의 안테나 포트 S-VHS 단자, 비디오/오디오 단자에 연결선의 일측 끝단을 접속시킨 후, 연결선의 타측 끝단을 아이피 셋톱박스(142)의 연결선 접속용 인터페이스 모듈에 접속시켜서, 결국 아이피 셋톱박스(14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마더보드에는 소켓, 플러그, 전선 연결잭, 범용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형식을 취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서비스 디바이스[여기서, 서비스 디바이스는 홈네트워크의 대상이 되는 제품으로서 전력선, 동축케이블, 랜(LAN)케이블, 전화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선을 통해서 제어되는 기기와 설비를 의미함], 예컨대 홈네트워크, 홈게이트웨이, 가스 제어, 난방 제어, 원격 제어, 생활가전을 접속시키기 위해 하기의 구동모듈(50∼56)을 갖는 PLC 게이트웨이(46)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PLC 게이트웨이(46)의 구동모듈(50∼56)은 홈네트워크 구동모듈(50), 홈게이트웨이용 구동모듈(51), 가스 제어용 구동모듈(52), 난방 제 어용 구동모듈(53), PC 내지 휴대폰(일반전화기 포함)을 사용한 원격 제어용 구동모듈(54), 생활가전 제어 구동모듈(55), 기타 옵션(키오스크, 공동 현관기, 자동문, 화재, 방범 등)용 구동모듈(56)을 의미한다.
PLC 게이트웨이(46)는 메인보드에 일체형 또는 도터보드(daughter board)와 같이 분리형으로 구동모듈(50∼56)을 구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앞서 언급한 시스템 구성을 바탕으로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내용은 정보서비스(150)와, 엔터테인먼트(교육 포함) 서비스(160)와, 홈매니져 서비스(170)로 크게 구분된다.
정보서비스(150)는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정보 제공, 즉 단지 정보, 관리비 비교, 분석, 뉴스, 날씨 등의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서비스 가입자를 유치시키도록 해준다.
엔터테인먼트(160)는 본 발명 서비스 운영자의 실질적인 수익 사업 부분의 유료 서비스로서, 고화질 영화(VOD), 인터넷 노래방, 드라마, 음악 서비스(MOD)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와, 어린이 교육용 동영상 컨텐츠 등과 같은 어린이 교육 분야를 포함한다.
홈매니져 서비스(170)는 가스, 밸브, 난방, 휴대폰, 인터넷 제어, 세탁기, 냉장고, 전기밥솥 등의 정보가전 제어 서비스 등을 무료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록 엔터테인먼트(160)가 유료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필요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가 스스로 원하는 컨텐츠를 유료로 선택 가능함과 동시에, 생활에 유익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똑똑하며 방대한 정보와 제어기능을 제공하는 정보서비스(150) 및 홈매니져 서비스(170)가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 유치 및 회원 확보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남다른 수익 사업적 이점이 제공된다.
만일, 정보서비스(150)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160)와, 홈매니져 서비스(170)가 집단 거주시설인 인텔리전트 아파트에 적용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예측 가능한 미래형 생활 공간이 아닌, 실재 현실에 반영되어 바로 사용 가능한 컨셉의 편리한 생활 환경을 구현하게 된다.
도 6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된 아파트 등과 같은 집단 거주시설에서는 서비스 가입자가, 일반적인 TV와 PLC 게이트웨이를 갖춘 아이피 셋톱박스와 리모콘만으로 TV 시청 도중 화면 절체 없이 미디어 생활 서비스(media alive service)인 시스템 온 항목(159 : system on), 쿨 미디어 항목(169 : cool media), 이지 투 이지 항목(179 : easy to easy)과 같은 컨셉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 미디어 항목(169)은 엔터테인먼트와 교육서비스에 관련된 것으로서, 인터넷 기반의 연예, 문화, 예술, 영화, 성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 영화방, 인터넷 노래방, 인터넷 음악, 어린이 교육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온 항목(159)은 실시간 뉴스, 날씨, 증권, 여행, 요리 등과 같은 실시간 인터넷 정보와, 관리사무소, 입주자 대표회, 부녀회, 지역 정보 등과 같은 단지 정보와, 전월 대비 비교, 평형별 평균 비교, 에너지별 상세 비교와 같은 관리비 분석과, 가스, 난방 등과 같은 홈매니져 서비스와, 휴대폰, 인터넷 제어와, 정보가전 제어 서비스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지 투 이지 항목(179)은 리모콘만으로 작동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OSD(On-Screen Display) 디스플레잉 제어를 구현하여 TV 시청 도중에 홈매니져, 가스/난방 제어 화면 표시 서비스를 포함한다.
즉, 서비스 가입자는 서비스 가입시에 설치한 아이피 셋톱박스와 무선 통신하는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버튼, 네비게이션 버튼, 선택 버튼, 취소 버튼, 키패드, 종료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은 서비스 가입자로 하여금 TV와 IP 셋톱박스 및 리모콘만으로 댁내 홈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 내지 설비의 작동 상태, 작동 제어, 정보 검색 등을 수행케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사용이 간편한 홈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서비스 가입자인 사용자의 입장에서, TV 시청 도중 홈네트워크 전용 기 기로 이동할 필요 없이 TV 시청에 사용하던 본 발명 관련 리모콘을 조작하여 홈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기능을 엔터네인먼트/교육 분야를 제외하고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면, 서비스 제공자인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자의 입장에서 보면, 무료 서비스와 함께 엔터테인먼트/교육 분야의 컨텐츠를 유료화 함으로써, 수익 사업을 자연스럽고 쉽게 넓혀 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거의 누구나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는 TV를 아이피 셋톱박스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용하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나 서비스 장치 단가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접속구와 홈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되 겸용 기기의 화면상에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고, 정보서비스 구동모듈과 엔터테인먼트 구동모듈과 피엘씨 게이트웨이가 장착되어 있는 아이피 셋톱박스(Internet Protocol set top box)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아이피 셋톱박스를 리모콘으로 조작하여서, 복수개의 서비스 디바이스 - 여기서, 서비스 디바이스는 홈네트워크의 대상이 되고 댁내에 설치되는 제품으로서 피엘씨(PLC : Power line communication)용 전력선, 동축케이블, 랜(LAN)케이블, 전화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선을 통해서 제어되는 기기와 설비를 의미함 - 에 관련된 선택 메뉴를 상기 겸용 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는 상기 겸용 기기와 상기 아이피 셋톱박스를 통해서, 집단 거주시설 정보, 관리비 비교, 분석, 뉴스, 날씨 정보와 같은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 가입자에게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는 상기 겸용 기기와 상기 아이피 셋톱박스를 통해서, 고화질 영화(VOD), 인터넷 노래방, 드라마, 음악 서비스(MOD)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와, 어린이 교육용 동영상 컨텐츠 등과 같은 어린이 교육 분야의 컨텐츠를 서비스 가입자에게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는 상기 겸용 기기와 상기 아이피 셋톱박스를 통해서, 가스, 밸브, 난방, 휴대폰, 인터넷 제어, 세탁기, 냉장고, 전기밥솥 등의 정보가전 제어에 관련된 홈매니져 서비스를 서비스 가입자에게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5. 인텔리전트 아파트의 로컬 네트워크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서비스 운영자의 호스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시스템 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아이피 셋톱박스를 리모콘으로 조작하여서, 복수개의 서비스 디바이스에 관련된 선택 메뉴를 상기 겸용 기기의 화면상에 오세스디(OSD : On-Screen Display) 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홈네트워크를 위한 제반 네트워크 설비와, 컨트롤 네트워크 설비와,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 네트워크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네트워크 설비 중 하나인 상기 아이피 셋톱박스는 정보서비스 구동모듈과, 엔터테인먼트 구동모듈과, 리모컨용 알에프(Radio Frequency) 송수신 모듈과, 가정용 전원공급모듈과, 상기 겸용 기기의 연결선 접속용 인터페이스 모듈을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셋톱박스는 홈네트워크 구동모듈, 홈게이트웨이용 구동모듈, 가스 제어용 구동모듈, 난방 제어용 구동모듈, 개인 컴퓨터 단말 내지 휴대폰(일반전화기 포함함)을 사용한 원격 제어용 구동모듈, 생활가전 제어 구동모듈, 기타 옵션(키오스크, 공동 현관기, 자동문, 화재, 방범 등을 포함함)용 구동모듈(5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피엘씨 게이트웨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시스템.
KR1020040021070A 2004-03-29 2004-03-29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KR10057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070A KR100571488B1 (ko) 2004-03-29 2004-03-29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070A KR100571488B1 (ko) 2004-03-29 2004-03-29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221A KR20050096221A (ko) 2005-10-05
KR100571488B1 true KR100571488B1 (ko) 2006-04-17

Family

ID=3727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070A KR100571488B1 (ko) 2004-03-29 2004-03-29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4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300B1 (ko) 2009-01-22 2011-04-18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051270B1 (ko) * 2009-05-20 2011-07-22 필컴퍼니주식회사 저압전자식 전력량계용 피엘씨(plc)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63B1 (ko) * 2004-08-31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는 연동형 방송서비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핸스드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0739734B1 (ko) * 2005-09-16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iptv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33960B1 (ko) * 2005-10-13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방송과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7608B1 (ko) * 2005-12-01 2007-03-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아파트 단지에서 홈네트워크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의기상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상 알림 시스템
KR100728035B1 (ko) * 2006-02-1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14446B1 (ko) * 2006-06-27 2008-03-17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폰을 이용한 지식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CN101977292B (zh) * 2010-11-18 2012-06-06 广州广联数字家庭产业技术研究院 多电视选台的方法
KR101235606B1 (ko) * 2011-02-17 2013-02-21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의 보조용 서브단말기
KR101275589B1 (ko) * 2011-12-28 2013-06-17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용 시청범위 측정 방법
CN105516774B (zh) * 2015-11-30 2019-03-29 北京四达时代软件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网关及电视播放控制系统
CN108214497A (zh) * 2016-12-12 2018-06-29 深圳正谱教育技术有限公司 一种家庭助教智能机器人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604A (ko) * 2000-09-15 2000-12-05 이재학 홈오토메이션 에치디티브이 셋탑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604A (ko) * 2000-09-15 2000-12-05 이재학 홈오토메이션 에치디티브이 셋탑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300B1 (ko) 2009-01-22 2011-04-18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051270B1 (ko) * 2009-05-20 2011-07-22 필컴퍼니주식회사 저압전자식 전력량계용 피엘씨(plc)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221A (ko)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28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video data over an electrical power line
US8516087B2 (en)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KR100571488B1 (ko)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US7668990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o perform an activity-based or an experience-based operation
US20060017324A1 (en)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installed electrical power lines
US8042049B2 (en) User interface for multi-device control
KR1004471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CN1759386B (zh) 用于管理受控居住或非住宅环境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CN104936036A (zh) 家庭智能家居整合系统中的智能电视显示方法及其系统
CN104426726A (zh) 一种保护用户隐私和信息安全的智能家居系统
JP6958998B2 (ja) 住宅
Sinopoli Smart buildings
CN108322372A (zh) 智能家居无线连接硬件桥设备
KR100637559B1 (ko) 홈 모니터링 알림 서비스방법
KR100627725B1 (ko)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
JP2001203744A (ja) 通信装置
JP2007265048A (ja) 料理支援システム
CN216871028U (zh) 一种Android语音中控屏
CN208285328U (zh) 智能家居无线连接硬件桥设备
KR20010100582A (ko) 아파트 단지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Boyce The Set-Top Box Home Gateway
KR20040049565A (ko) 비디오 폰을 이용한 홈 서버 시스템
TWI377486B (en) Remote-controlling and communicating system for cluster housing
KR20100034462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186691B1 (ko) 인터넷 tv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