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462A -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462A
KR20100034462A KR1020080093616A KR20080093616A KR20100034462A KR 20100034462 A KR20100034462 A KR 20100034462A KR 1020080093616 A KR1020080093616 A KR 1020080093616A KR 20080093616 A KR20080093616 A KR 20080093616A KR 20100034462 A KR20100034462 A KR 20100034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video
user
unit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111B1 (ko
Inventor
이용한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1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고, 댁내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현관 장치와, 적어도 한명 이상의 제2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고, 댁내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통신 기기와, 상기 제1 방문자 또는 제2 방문자의 영상을 분할된 화면 각각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방문자와의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세대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시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가 세대 기기를 통해 동시에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대 기기의 화면을 통해 다수의 상대방의 영상을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방문자와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 image in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가 세대 기기를 통해 동시에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대 기기의 화면을 통해 다수의 상대방의 영상을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방문자와 영상 통화가 가능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가정내에 각종 통신장비 및 제어/감시 장비를 설치한 후, 이들을 댁내/외에 있는 디지털 기기 내지 장비와 네트워크로 연결한 것이다.
이런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가정내외에서 댁내의 전자기기들을 쉽게 관리하고 동작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 가정내 방범/방재/출입관리 등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화선 통신,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랜 케이블 통신, 동축 케이블 통신,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모든 정보를 통합 관리함과 동시에 유/무선 인터넷과 연동되어 동작됨으로써 외부에서도 가정내의 모든 시스템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비스 디바이스(Service Device), 코어 디바이스(Core Device) 및 휴먼 디바이스(Human Device)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의 대상이 되는 제품으로 실질적 가치를 이루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런 서비스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제품에는 가스, 난방, 조명, 커튼, 환기, 방범 기기 등과 같은 생활 설비와 에어컨, 세탁기, 청정기, TV, 홈시어터, 냉장고, 전자 렌지 등과 같은 정보 가전이 있다.
코어 디바이스는 서비스 디바이스를 휴먼 디바이스에 인터페이스 시키는 홈 네트워크의 기반설비로 고가의 필수 기기나 사용자 가치가 약한 제품을 의미한다. 이런 코어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제품에는 게이트웨이, 홈 서버, 블록킹 필터, 허브 등과 같은 세대장비와 웹 서버, 메일 서버, DHCP서버(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 등과 같은 공용장비가 있다.
휴먼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런 휴먼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웹 패드, 웹 비디오폰, 월 패드, 홈 오토 등과 같은 전용 기기와 개인 PC,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data] assistant), 노트북 등과 같은 겸용 기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는 세대 기기(wall pad)를 통해 현관 또는 공동 현관으로 방문한 방문객과 영상 통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세대 기기를 통해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상태에서 다른 통화 요청, 즉 호출이 있으면,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세대 기기를 통해 영상 통화 상태이면, 다른 호출이 있음을 세대 기기를 통해 알리거나, 세대 기기 이외의 디바이스를 통해 호출이 있음을 알린다.
사용자는 영상 통화 상태에서 호출이 있음을 인지하고, 다른 호출에 대한 응답 여부를 결정한다.
2)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세대 기기를 통해 영상 통화 상태이면, 현관 또는 공동 현관에서 호출한 방문자에게 통화 상태(busy)임을 알리고, 방문자가 차후에 또 다시 호출하도록 한다.
즉,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세대 기기를 통해 하나의 영상 통화만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전자 기술을 발전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LCD)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디바이스가 디지털화되므로, 여러 디바이스 또는 기기로부터 영상 통신 및 영상 통화의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를 통해 동시 영상 통화가 가능한 방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가 세대 기기를 통해 동시에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가 세대 기기의 화면을 통해 다수의 상대방의 영상을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방문자와 영상 통화가 가능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고, 댁내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현관 장치와, 적어도 한명 이상의 제2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고, 댁내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통신 기기와, 상기 제1 방문자 또는 제2 방문자의 영상을 분할된 화면 각각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방문자와의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세대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세대 기기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 이외의 방문자의 영상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외부 통신 기기와 접속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현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코덱 처리하는 코덱부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통신 기기와 교환되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1 버퍼와, 상기 현관 장치와 교환되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2 버퍼와, 댁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 통신 기기 또는 현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와, 상기 댁내 사용자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외부 통신 기기 또는 현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처리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드라이버부로 고속 데이터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코덱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상기 분할된 화면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방문자가 호출하는 상기 현관 장치 또는 외부 통신 기기와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교환하여 영상 통화 처리하는 통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퍼 또는 제2 버퍼와 메모리 버스로 연결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외부 통신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RTP(real time protocol) 방식으로 실시간 교환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적어도 한 종류의 이상의 디바이스와 영상 및 음성 정보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 방식으로 전송한다.
상기 코덱부는, 상기 현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영상 정보를 코덱 처리하여, CCIR(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 de Radio-communition) 방식으로 제2 버퍼를 통해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방식으로 상기 드라이버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바둑판 타입 또는 비대칭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분할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각 분할된 화면에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방문자 중 영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방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필드와, 영상 통화를 종료할 수 있는 종료 필드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은, 세대 기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외부 통신 기기 또는 현관 장치로부터 방문자의 호출이 있으면, 상기 방문자의 영상을 상기 분할된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화면으로 출력되는 방문자 영상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영상에 상응하는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세대 기기가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디바이스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방문자 이외의 방문자의 영상 정보만을 해당 분할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가 세대 기기를 통해 동시에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대 기기의 화면을 통해 다수의 상대방의 영상을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방문자와 영상 통화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설명하며, 본 발명의 주된 기술 요지를 흐리거나, 주지된 기술 내용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내에 구축되는 세대 기기(100)와,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321~32n)와, 현관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영상을 촬상하여 세대 기기로 제공하고, 방문자의 음성과 사용자의 음성을 교환하는 현관 장치(310)를 포함하고, 세대 기기(100)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LAN)를 다른 가정의 세대 기기(210), 공동 현관 장치(220) 및 경비실의 경비 단말(330)과 연결된다.
디바이스(321~32n)는 서비스 디바이스, 코어 디바이스 및 휴먼 디바이스들을 의미한다.
현관 장치(310)는 방문자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세대 기기(100)로 전송하는 마이크와, 세대 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RF 카드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카드 리더기와, 방문자가 세대 기기(100)를 호출하는 호출 버튼, 외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외출 버튼 등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현관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부로 구성될 수 있다.
타 세대 기기(210)는 다른 댁내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 세대 기기(100)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고, 공동 현관 장치(220)는 공동 현관에 방문한 방문자가 세대 기기(100)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고, 경비 단말(230)은 경비실에 설치되어, 경비원이 세대 기기(230)를 호출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타 세대 기기(210), 공동 현관 장치(220) 및 경비 단말(230)은 외부 상대방이 세대 기기(100)가 구비된 댁내 사용자와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영상 및 음성 정보를 교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외부 상대방이 댁내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가능하도록 하는 기기를 "외부 통신 기기(200)"로 통칭하기로 하고, 현관 장치(310)를 통해 사용자를 호출하는 방문자를 "제1 방문자"라 칭하고, 외부 통신 기기(200)를 통해 사용자를 호출하는 상대방을 "제2 방문자"라 칭한다.
세대 기기(100)는 현관 장치(310) 또는 외부 통신 기기(200)로부터 호출이 있으면, 댁내의 사용자를 호출하고, 현관 장치(310) 또는 외부 통신 기기(200)와 영상 및 음성 정보를 교환하여 댁내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대 기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통신 기기(200)와 접속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와, 현관 장치(3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코덱 처리하는 코덱부(130)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를 통해 외부 통신 기기(200)와 교환되는 데이터(영상 및 음성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제1 버퍼(121)와, 현관 장치(310)와 교환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2 버퍼(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대 기기(100)는 댁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 제어부(150)로 제공하고, 외부 통신 기기(200) 또는 현관 장치(3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190)와, 댁내 사용자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부(180)와, 세대 기기(100)의 운영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또한 세대 기기(100)는 외부 통신 기기(200) 또는 현관 장치(3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디스플레이부(140)의 구동 처리하는 드라이버부(131)와, 중앙 제어부(150)가 영상 데이터를 드라이버부(131)로 전송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대 기기(100)는 세대 기기(10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문자로부터 호출이 있으면,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음성 입/출력부(190)를 통해 댁내 사용자를 호출하고, 댁내 디바이스(321~32n)와 홈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중앙 제어부(150)는 외부 통신 기기(200) 및 현관 장치(310)와 세대 기기(100)가 영상 통화를 제어하는 통화 처리부(151)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네트워크 기능, 홈 오토메이션 기능 등에 대한 기술을 주지된 내용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세대 기기(100)는 사용자가 세대 기기(100)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거나, 세대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세대 기기(100)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LAN으로 세대 기기(100)가 외부 통신 기기(200)에 연결되기 때문에 이더넷 컨트롤러에 해당하며, 외부 통신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1 버퍼(121)에 저장하고, 제1 버퍼(1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통신 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세대 기기(100)와 외부 통신 기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RTP(real time protocol) 방식으로 실시간 교환한다.
중앙 제어부(150)는 제1 버퍼(121)와 메모리 버스로 연결되어, 댁내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제1 버퍼(121)에 저장하고, 제1 버퍼(121)에 저장된 데 이터를 읽어들인다.
저장부(170)는 예를 들어, 차동 DDR(double data rate)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앙 제어부(150)와 메모리 버스로 연결된다.
중앙 제어부(150)는 디바이스(321~32n)와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예를 들어,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 방식으로 디바이스(321~32n)로 전송한다.
이때, 중앙 제어부(150)는 디바이스(321~32n) 중 영상 및 음성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바이스, 예를 들어, TV, 개인 PC,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data] assistant), 노트북 등에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코덱부(130)는 현관 장치(310)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영상 정보를 코덱 처리하고, CCIR(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 de Radio-communition) 방식으로 영상 정보를 제2 버퍼(122)를 통해 중앙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12)는 중앙 제어부(150)가 고속으로 데이터를 드라이버부(131)로 전송되도록 하며,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방식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통화 처리부(15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을 분할하고, 외부 통신 기기(200) 또는 현관 장치(310)로부터 다수의 호출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분할된 각 화면에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면서 사용자가 응답하는 호출에 대한 영상 통화를 처리한다.
즉, 통화 처리부(151)는 다수의 호출이 동시에 발생하면, 각 호출에 대한 방문자의 영상을 분할된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영상을 통해 선택하는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 기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사용자가 방문자와 영상 통화시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도시한 것으로, 세대 기기(100)는 하나의 호출만이 있는 상태이면, 디스플레이부(140)의 전체 화면을 통해 방문자의 영상을 출력한다.
도 3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을 분할 설정하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다양한 세대 기기(100)의 기능 중 화면 분할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c는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분할 방식을 예시한 것으로, 화면 분할 방식은 크게 바둑판 타입 또는 비대칭 타입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화면을 다양한 타입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도 3d는 바축판 타입의 화면 분할시에 각 분할 화면에 출력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예시한 것이고, 도 3e는 비대칭 타입의 화면 분할시에 각 분할 화면에 출력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예시한 것이다.
도 3d 및 도 3e를 참조하면, 각 분할 화면에는 사용자가 다수의 방문자 중 영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방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필드(a)와, 영상 통화를 종료할 수 있는 종료 필드(b)가 포함된다.
즉, 중앙 제어부(150)는 현관 장치(310) 및 외부 통신 기기(200)로부터 동시 에 호출되는 경우, 현관 장치(310) 및 외부 통신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각 분할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분할 화면에 상응하는 현관 장치(310) 또는 외부 통신 기기(200)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교환하여 사용자가 방문자와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분할 화면의 종료 필드(b)를 선택하면, 영상 통화를 종료하고, 사용자가 선택 필드(a)를 현재 영상 통화 중인 분할 화면 이외의 분할 화면에 선택하면, 해당 분할 화면의 방문자와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중앙 제어부(150)는 각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각 분할 화면으로 출력하고, 영상 및 음성 정보의 교환은 사용자가 선택한 분할 화면의 방문자만 처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분할 화면에 출력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한 이후에 우선 순위를 할당하여 영상 통화를 하거나, 방문자와 영상 통화 중에도 다른 방문자의 호출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세대 기기(100)는 분할 화면에 각각의 방문자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에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화면 처리 수단(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150)는 현관 장치(310) 또는 외부 통신 기기(200)로부터 동시에 영상 정보가 수신되므로, 각 영상 정보를 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 포트로 처리하여 다수의 영상 정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40)의 각 분할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대 기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한다(S 100).
세대 기기(100)는 현관 장치(310) 또는 외부 통신 기기(200)를 통해 방문자로부터 호출이 있는지 확인한다(S 110).
세대 기기(100)는 현관 장치(310) 또는 외부 통신 기기(200)로부터 호출이 있으면, 음성 입/출력부(190) 또는 디바이스(321~32n)를 통해 댁내 사용자를 호출한다(S 120).
이때, 세대 기기(100)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 방식으로 디바이스(321~32n)로 전송한다.
이때, 세대 기기(100)는 하나의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 4a와 같이, 전체 화면에 방문자의 영상을 출력한다.
새대 기기(100)는 현관 장치(310) 또는 외부 통신 기기(200)로부터 호출이 하나 이상 동시에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의 분할된 화면에 방문자 각각의 영상을 출력한다(S 130).
이때,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분할은 상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타입 또는 비대칭 타입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화면을 다양한 타입으로 분할 할 수 있다
그리고, 세대 기기(100)는 사용자가 분할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 면에 상응하는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처리한다(S 140).
이때, 세대 기기(100)는 각 분할된 화면을 통해 호출한 다수의 방문자의 영상을 출력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방문자와의 영상 통화를 처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 기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세대 기기 11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12 :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 121, 122 : 버퍼
130 : 코덱부 131 : 드리이버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중앙 제어부
151 : 통화 처리부 170 : 저장부
180 : 카메라부 190 : 음성 입/출력부
200 : 외부 통신 기기 210 : 타 세대 기기
220 : 공동 현관 장치 230 : 경비 단말
310 : 현관 장치 321~32n : 디바이스

Claims (14)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고, 댁내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현관 장치와,
    적어도 한명 이상의 제2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고, 댁내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통신 기기와,
    상기 제1 방문자 또는 제2 방문자의 영상을 분할된 화면 각각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방문자와의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세대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기기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 이외의 방문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3.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외부 통신 기기와 접속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현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코덱 처리하는 코덱부 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통신 기기와 교환되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1 버퍼와,
    상기 현관 장치와 교환되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2 버퍼와,
    댁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 통신 기기 또는 현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와,
    상기 댁내 사용자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외부 통신 기기 또는 현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처리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드라이버부로 고속 데이터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코덱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방문자의 영상 정보를 상기 분할된 화면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방문자가 호출하는 상기 현관 장치 또는 외부 통신 기기와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교환하여 영상 통화 처리하는 통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퍼 또는 제2 버퍼와 메모리 버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외부 통신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RTP(real time protocol) 방식으로 실시간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적어도 한 종류의 이상의 디바이스와 영상 및 음성 정보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부는,
    상기 현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영상 정보를 코덱 처리하여, CCIR(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 de Radio-communition) 방식으로 제2 버퍼를 통해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방식으로 상기 드라이버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바둑판 타입 또는 비대칭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각 분할된 화면에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방문자 중 영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방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필드와, 영상 통화를 종료할 수 있는 종료 필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대 기기.
  12.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세대 기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외부 통신 기기 또는 현관 장치로부터 방문자의 호출이 있으면, 상기 방문자의 영상을 상기 분할된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화면으로 출력되는 방문자 영상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영상에 상응하는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기기가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디바이스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방문자 이외의 방문자의 영상 정보만을 해당 분할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0080093616A 2008-09-24 2008-09-24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984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616A KR100984111B1 (ko) 2008-09-24 2008-09-24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616A KR100984111B1 (ko) 2008-09-24 2008-09-24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462A true KR20100034462A (ko) 2010-04-01
KR100984111B1 KR100984111B1 (ko) 2010-09-28

Family

ID=4221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616A KR100984111B1 (ko) 2008-09-24 2008-09-24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08B1 (ko) 2013-07-26 2014-04-10 (주) 코콤 스마트기기 기반 가정 주변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15B1 (ko) 2006-09-29 2007-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서버에 장착되고, 서비스 모드별로 홈서버 및홈오토메이션과 연동하여 다자간 화상통화 및 방문자확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111B1 (ko) 201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1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WO2015064812A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CN103905929B (zh) 一种基于高速无线网络的楼宇对讲系统
KR101458368B1 (ko) 모바일단말의 중계서버 능동 접속을 이용한 통신로 개설방법
TWI521825B (zh) Wisdom home control server
TWI523458B (zh) 閘道裝置
CN204795312U (zh) 一种摄像机、电视盒一体化电子设备
JP5587742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対応型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080037579A1 (en) Network adapter
KR100984111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3716592A (zh) 一种智能家居的远程监控系统及其通信方法
JP2008135935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テレビ電話システム
EP3160107B1 (en) Intercom system, server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637559B1 (ko) 홈 모니터링 알림 서비스방법
CN100527801C (zh) 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家用网络系统
KR100580923B1 (ko) 홈 네트워킹 기반의 화상 전화 시스템
KR101241736B1 (ko)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CN103222238A (zh) 提供基于广告观看的外部网络服务的方法和装置
CN104796656A (zh) 一种实现点对多点可视对讲的方法
CN111918017A (zh) 一种基于视频会议系统中的离线语音控制终端
KR20010070789A (ko) 홈 텔레메이션 네트웍 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텔레메이션네트웍 시스템
JP201710843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721851B1 (ko) 공동주택의 댁내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Matsuda et al. Dynamic Display Method in User Interface Based on Routing Information on Ad-hoc Wireless Communication
JP4429837B2 (ja) 遠隔監視用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