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064B1 - 체인블록완구 - Google Patents

체인블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064B1
KR100571064B1 KR1020030047089A KR20030047089A KR100571064B1 KR 100571064 B1 KR100571064 B1 KR 100571064B1 KR 1020030047089 A KR1020030047089 A KR 1020030047089A KR 20030047089 A KR20030047089 A KR 20030047089A KR 100571064 B1 KR100571064 B1 KR 10057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portion
assembly
female coupling
ma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051A (ko
Inventor
김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링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링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링고
Priority to KR102003004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064B1/ko
Priority to PCT/KR2004/001724 priority patent/WO2005005008A1/en
Publication of KR2005000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체인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3가지의 기본적인 평면 상태의 블록만으로 다방향으로의 결합방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입체 블록 조립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체인블록은 암 결합부와 수 결합부가 결합되어 X, Y축의 조립방향만을 갖도록 됨으로서 X, Y, Z축을 갖는 입체형태로의 블록조립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입체형태로의 블록 조립을 위해서는 X, Y, Z 축을 갖는 3방향으로의 조립방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암 결합부와 수 결합부가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되어진 다양한 형태의 블록이 모두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블록의 성형을 위해서는 블록의 형태에 따라 각각 별개의 금형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한 개의 조립방향을 갖는 암 결합부의 양측 결합편에 또 다른 암 결합부 또는 수 결합부와의 조립수단을 강구하여 암 결합부와 수 결합부가 X, Y, Z 축을 갖는 입체형태로의 블록 조립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블록 제작을 위한 금형의 수량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블록완구.

Description

체인블록완구{Toy chain bl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암 결합부와 수 결합부를 갖는 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암 결합부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수 결합부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 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블록을 "ㄴ"자 형태로 조립시키는 상태의 참고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블록을 "T"자 형태로 조립시키는 상태의 참고 사시도.
도 7은 "T"자 형태로의 또 다른 블록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블록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블록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종래 블록의 조립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5에 해당되는 종래 블록의 사시도.
도 12는 도 6에 해당되는 종래 블록의 사시도.
도 13은 도 7에 해당되는 종래 블록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10a: 수 결합부 11: 회동돌출테
20, 20a: 암 결합부 21: 걸림턱
22: 조립개구면 23: 결합편
30: 조립부재 31: 돌출면
본 발명은 암 결합부와 수 결합부의 조립에 의하여 체인식으로 연결토록 된 체인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일자형태의 블록만으로 다방향으로의 결합방향을 갖는 입체형태의 블록 조립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종래의 체인블록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으로 회동홈(101)을 갖는 수 결합부(100)의 양측단으로 수 결합부(100)가 삽입되어 회동홈(101)에 끼워지는 회동돌기(201a)(202a)가 내측면에 형성된 2개의 결합편(201)(202)이 수직되게 형성되어 수 결합부(100)의 반대편으로 암 결합부(200)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블록은 암 결합부(200)의 결합편(201)(202) 사이로 수 결합부(100)가 삽입되어 맞물림 방식에 의해서만 조립되어지고, 조립된 상태에서 180°범위 내에서의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토록 됨으로서 X, Y 축을 갖는 평면상태로의 블록 조립만이 가능하고 X, Y, Z축을 갖는 입체형태로의 블록 조립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X, Y, Z축을 갖는 입체형태로의 블록 조립을 위해서는 X, Y축의 결합방향을 갖는 일자형태의 기본적인 블록은 물론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X, Y, Z 축의 결합방향을 가지면서 결합방향마다 수 결합부(100)와 암 결합부(200)가 각각 다른 방향에 형성되어진 다양한 형태의 블록들이 모두 제공되어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블록 제공을 위해서는 블록의 형태마다 금형의 출입 방향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각 별도의 금형이 구비되어야 했고, 이러한 금형의 구비 조건은 제조단가의 상승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암 결합부를 형성하는 양측 결합편에 또 다른 암 결합부 또는 수 결합부를 수직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수단을 강구하여 암 결합부와 수 결합부가 X, Y, Z 축을 갖는 입체형태로의 블록 조립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단지 3가지 형태의 블록만으로도 종래의 다양한 입체형태의 블록을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각각 대칭되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은 양면으로 중앙부에 회동돌출테(11)가 형성된 수 결합부(10)의 양측단으로 수 결합부(10)의 회동돌출테(11)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주면에 결합되어지는 걸림턱(21)이 내측면 에 형성된 조립개구면(22)을 갖는 결합편(23)이 수직으로 결합된 암 결합부(20)가 형성되어, 암 결합부(20)의 결합편(23) 외측에서 조립개구면(22)에 결합되는 돌출면(31)을 갖는 조립부재(30)가 형성된 암 결합부(20a)와 수 결합부(10a)가 X, Y, Z의 결합방향을 갖도록 조립토록 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걸림턱(21)은 조립개구면(22)의 네 측 모서리부에 절곡면(21a)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 결합부(10)가 결합될 경우 회동돌출테(11)의 외주면에 가압되는 힘이 네 방향에서 작용토록 됨으로서 암 결합부(20)와 수 결합부(10)의 결합력 증진으로 임의 빠짐이 방지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수 결합부(1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걸림턱(21)의 절곡면(21a)에 의하여 조립개구면(22)은 십자형의 형태가 되어 조립개구면(22)에 결합되는 조립부재(30)와의 결합면이 증진토록 됨으로서 결합력이 증진토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때 조립개구면(22)에 결합되어지는 조립부재(30)의 돌출면(31)은 조립개구면(22)과 동일한 십자형으로 형성시켜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토록 하거나 또는 일자형으로 형성시켜 양측만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암 결합부(20)와 수 결합부(10)는 수 결합부(10)에 형성되어진 V홈(11a)과 암 결합부(20)의 결합편(23)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3a)에 의하여 결합 및 해체가 용이토록 됨은 물론 결합된 상태에서의 회동 각도를 제어토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은 수 결합부(10)를 암 결합부(20)의 결합편(23) 사 이로 삽입시키면 수 결합부(10)에 형성된 회동돌출테(11)가 암 결합부(20)의 조립개구면(22)에 형성된 걸림턱(21)에 의하여 끼워져 조립되어지고, 조립된 상태에서는 수 결합부(10)의 회동돌출테(11)에 형성된 V홈(11a)을 통하여 암 결합부(20)의 걸림턱(21a)을 빼 내면 해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암 결합부(2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편(23)의 외측으로는 결합편(23)의 조립개구면(22)으로 또 다른 암 결합부(20a) 또는 수 결합부(10a)의 조립부재(32)를 삽입시키면 조립부재(30)의 돌출면(31)이 조립개구면(22)에 끼워져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조립시키면 도 11과 같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블록과 동일한 형태의 블록 조립이 가능하고, 도 6과 같이 조립시키면 도 12과 같이 "T"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블록과 동일한 형태의 블록 조립이 가능하고 도 7과 같이 조립시키면 도 13과 동일한 형태의 블록 조립이 가능하여 종래에 제공되었던 어떠한 형태의 블록 조립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은 단지 3가지 형태의 블록만으로 X, Y, Z 축의 입체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져야 했던 종래 블록의 모든 형태의 조립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이에 따른 금형의 구비 수량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수결합부가 끼워질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진 상태에서 결합편을 형성하는 암결합부로 이루어진 체인블록완구에 있어서, 상기 암결합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편의 측면 중앙부에 조립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개구면의 내벽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개구면에는 그와 맞물리도록 돌출면을 갖는 조립부재로 조립되어 다양한 조립방향을 갖는 블록으로 임의적인 구현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일방으로 만 돌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완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조립개구면의 네 측 모서리부에 탄성을 갖는 절곡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완구.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사방으로 돌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완구.
KR1020030047089A 2003-07-11 2003-07-11 체인블록완구 KR10057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089A KR100571064B1 (ko) 2003-07-11 2003-07-11 체인블록완구
PCT/KR2004/001724 WO2005005008A1 (en) 2003-07-11 2004-07-12 An assembling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089A KR100571064B1 (ko) 2003-07-11 2003-07-11 체인블록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051A KR20050007051A (ko) 2005-01-17
KR100571064B1 true KR100571064B1 (ko) 2006-04-17

Family

ID=3722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089A KR100571064B1 (ko) 2003-07-11 2003-07-11 체인블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411B1 (ko) * 2006-08-28 2013-11-01 주식회사 아이링고 체인조립블록
WO2019050351A1 (ko) * 2017-09-08 2019-03-14 주식회사 아이링고 결합이 용이하고 마모를 방지한 일자조립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411B1 (ko) * 2006-08-28 2013-11-01 주식회사 아이링고 체인조립블록
WO2019050351A1 (ko) * 2017-09-08 2019-03-14 주식회사 아이링고 결합이 용이하고 마모를 방지한 일자조립블록
US11592047B2 (en) 2017-09-08 2023-02-28 Iringo Co., Ltd. Straightly assembled block that is easily coupled and resistant to 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051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983B2 (en) Construction kit
KR100587499B1 (ko) 클린룸 체인
US20070077854A1 (en) Sectional three-dimensional model
KR200401684Y1 (ko) 조립식 완구
US5826394A (en) Basic building blocks for constructing complex building structure
US5518434A (en) Snap fit and twistable toy construction modules
JPH04206371A (ja) 嵌合操作用カム部材付きコネクタ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US20170274295A1 (en) Toy assembling apparatus
KR20020029388A (ko) 장난감 조립 세트
US6948998B2 (en) Interconnectable model construction elements
US20140270934A1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a comb connector
US11020683B2 (en) Building block and building block kit
KR100571064B1 (ko) 체인블록완구
KR101764358B1 (ko) 조립형 연결부재
KR20070066182A (ko) 조각블럭으로 조립되는 일자블록완구
KR100712423B1 (ko) 체인블록완구
US9612406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102338057B1 (ko) 관절 블럭완구용 연결블럭
KR101924453B1 (ko) 완구용 조립 블록
WO2005005008A1 (en) An assembling block
KR101995996B1 (ko) 완구 조립부품
CN101310811A (zh) 一种玩具的连接元件
JP2000315546A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の組立方法
RU2690057C1 (ru) Блок конструктора и конструктор, содержащий набор этих бло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