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024B1 -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024B1
KR100571024B1 KR1020050122823A KR20050122823A KR100571024B1 KR 100571024 B1 KR100571024 B1 KR 100571024B1 KR 1020050122823 A KR1020050122823 A KR 1020050122823A KR 20050122823 A KR20050122823 A KR 20050122823A KR 100571024 B1 KR100571024 B1 KR 10057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sheath pipe
transmitter
tens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헌
Original Assignee
(주)동림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림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동림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5012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을 시공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Prestressed concrete beam; P.S.C 빔)과 같은 교량빔에 매설된 쉬스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강선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긴장시킬 수 있어서 교량빔의 중앙부에서 쉬스관과 강선의 내부 마찰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교량빔의 내부에 무리를 주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빔(10)의 내부에 전체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정착구(20)가 설치된 쉬스관(30)이 매설되고, 이 쉬스관(30)의 내부에는 쉬스관(30)의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강선(40)을 순차적으로 긴장시키기 위해 외부의 송신기(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60)(70)이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교량 상판, 쉬스관, 강선,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

Description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Sheath pipe steel wire tension device for carrying out bridge ground plate}
도 1은 종래 쉬스관의 내부에 강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쉬스관의 내부에 강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을 긴장하기 시작하여 긴장 완료시까지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교량빔 20; 정착구
30; 쉬스관 40; 강선
50; 송신기 52; 작동기기 선택 변경버튼
54; 바퀴 조절부 56; 강선 물림 조정부
60; 1차 강선 긴장수단 62; 몸체
64; 강선 삽입공 66; 강선 체결구
68; 체결구 작동용 모터 70; 2차 강선 긴장수단
72; 이동 바퀴 74; 지지대
76; 수신기 78; 동력 제어부
80; 팽창 몰탈
본 발명은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을 시공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과 같은 교량빔에 매설된 쉬스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강선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을 시공시 교각들의 상부에 교량 상판들의 양단부들을 단순하게 올려놓아서 지지시키는 단순보의 형태로서 교량 상판을 시공하는 경우, 교량 상판은 각 경간간에 신축이음부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시에 덜컹거리는 충격이 발생하므로 주행성이 좋지 못하며, 또한 신축 장치의 잦은 파손으로 보수가 필요하게 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고 이용자들의 불편이 많이 따랐다.
이에 반하여, 교량 상판들의 양단부들을 강선을 배치하여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 슬래브의 형태로 교량 상판을 시공하는 경우, 발생되는 휨 모멘트를 상기 강선이 지지하게 되므로써 경제적인 구조 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 이음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교량 상판의 노면이 균일하게 되므로 주행성이 좋게 되며, 파손이 없으므로 경제성과 관리시 편리성의 장점을 가지는 교량을 건설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량 상판을 시공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과 같은 교량빔(1)에 매설된 쉬스관(3)의 내부에 강선(4)을 삽입시킨 후, 이 강선(4)을 긴장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쉬스관(3)의 양단부에 설치된 정착구(2)에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강선(4)을 양쪽에서 인장시키게 되는 데, 상기한 방식에 의해 강선(4)이 긴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장시킬 경우에는 상기 교량빔(1)의 중앙부(C)에서 쉬스관(3)과 강선(4)의 내부 마찰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인해 교량빔(1)의 내부에 무리를 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교량 상판을 시공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과 같은 교량빔에 매설된 쉬스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강선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교량빔의 중앙부에서 쉬스관과 강선의 내부 마찰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교량빔의 내부에 무리를 주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량빔의 내부에 전체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정착구가 설치된 쉬스관이 매설되고, 이 쉬스관의 내부에는 쉬스관의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강선을 순차적으로 긴장시키기 위해 외부의 송신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이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은 각각의 몸체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강선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강선 삽입공과, 상기 각각의 몸체 중앙에 형성된 강선 삽입공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중앙의 강선 외주면을 밀착 및 밀착 해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강선 체결구와, 상기 강선 체결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강선 체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체결구 작동용 모터와, 상기 각각의 몸체 양측의 상부 및 하부에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강선의 긴장시 쉬스관의 내주면을 따라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기 위해 톱니 형상을 갖는 이동 바퀴와, 상기 각각의 몸체 일측에 부착되어 송신기의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기와, 상기 각각의 몸체 타측에 설치되는 동력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기는 송신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강선의 긴장시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작동기기 선택 변경버튼과, 상기 송신기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 바퀴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바퀴 조절부와, 상기 송신기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강선 체결구의 물림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강선 물림 조정부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강선의 긴장이 완료된 쉬스관의 내부에는 강선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팽창 몰탈이 충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쉬스관의 내부에 강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 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을 긴장하기 시작하여 긴장 완료시까지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는 교량 상판을 시공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과 같은 교량빔(10)의 내부에 전체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정착구(20)가 설치된 쉬스관(30)이 매설되고, 이 쉬스관(30)의 내부에는 쉬스관(30)의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강선(40)을 순차적으로 긴장시키기 위해 외부의 송신기(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60)(70)이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60)(70)은 각각의 몸체(62)에 상기 복수개의 강선(40)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강선 삽입공(64)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몸체(62) 중앙에 형성된 강선 삽입공(64) 외주면에는 중앙의 강선(40) 외주면을 밀착 및 밀착 해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강선 체결구(66)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선 체결구(66)의 일측에는 강선 체결구(66)를 작동시키기 위한 체결구 작동용 모터(6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몸체(62) 양측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강선(40)의 긴장시 쉬스관(30)의 내주면을 따라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기 위해 톱니 형상을 갖는 이동 바퀴(72)가 지지대(74)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몸체(62) 일측에는 상기 송신기(50)의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기(76)가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몸체(62) 타측에는 동력 제어부(78)가 설치된 다.
또한, 상기 송신기(50)의 상부 일측에는 강선(40)의 긴장시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60)(70)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작동기기 선택 변경버튼(52)이 설치되고, 상기 송신기(5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이동 바퀴(72)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바퀴 조절부(54)가 설치되며, 상기 송신기(5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강선 체결구(66)의 물림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강선 물림 조정부(5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강선(40)의 긴장이 완료된 쉬스관(30)의 내부에는 강선(40)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팽창 몰탈(80)이 충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을 시공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과 같은 교량빔(10)의 내부에 전체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정착구(20)가 설치된 쉬스관(30)이 매설되고, 이 쉬스관(30)의 내부에 복수개의 강선(40)을 삽입시킨 후 이 강선(40)을 최적의 상태로 긴장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도 4a와 같이 상기 쉬스관(30)의 일단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강선(40)이 복수개의 강선 삽입공(64)에 삽입된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60)(70)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송신기(50)의 작동기기 선택 변경버튼(52)을 눌러 1차 강선 긴장수단(60)을 선택한다.
그 다음, 상기 송신기(50)의 강선 물림 조정부(56)를 조정하여 상기 몸체(62) 중앙에 형성된 강선 삽입공(64)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강선 체결구(66) 일측의 체결구 작동용 모터(68)를 구동시켜 상기 강선 체결구(66)가 오므라들면서 강선(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송신기(50)의 바퀴 조절부(54) 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62)에 내장된 모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몸체(62) 양측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지지대(74)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형상을 갖는 이동 바퀴(72)가 회전하면서 상기 쉬스관(30)의 타단을 향해 일정 거리를 이동시킨 다음 정지시키게 되므로 상기 강선(40)을 1차로 긴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한 1차 강선 긴장수단(60)과 동일한 방식으로 송신기(50)를 사용하여 상기 2차 강선 긴장수단(70)을 상기 쉬스관(30)의 타단을 향해 일정 거리 이동시킨 다음 정지시키는 방식을 반복하여 도 4a에서 도 4c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1차 강선 긴장수단(60)은 상기 쉬스관(30)의 타단을 빠져 나가고 상기 2차 강선 긴장수단(60)은 도 4d와 같이 상기 쉬스관(30) 내부의 타단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선(40)의 긴장이 완료된 쉬스관(30)의 내부에 강선(40)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팽창 몰탈(80)을 충진시키므로써 상기 강선(40)이 항상 최적의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교량빔(10)의 중앙부에서 쉬스관(30)과 강선(40)의 내부 마찰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교량빔(10)의 내부에 무리를 주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을 시공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과 같은 교량빔에 매설된 쉬스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강선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긴장시킬 수 있으므로써 교량빔의 중앙부에서 쉬스관과 강선의 내부 마찰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교량빔의 내부에 무리를 주는 현상을 효율적 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해 장치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교량빔(10)의 내부에 전체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정착구(20)가 설치된 쉬스관(30)이 매설되고, 이 쉬스관(30)의 내부에는 쉬스관(30)의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강선(40)을 순차적으로 긴장시키기 위해 외부의 송신기(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60)(70)이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60)(70)은 각각의 몸체(62)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강선(40)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강선 삽입공(64)과, 상기 각각의 몸체(62) 중앙에 형성된 강선 삽입공(64)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중앙의 강선(40) 외주면을 밀착 및 밀착 해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강선 체결구(66)와, 상기 강선 체결구(66)의 일측에 설치되어 강선 체결구(66)를 작동시키기 위한 체결구 작동용 모터(68)와, 상기 각각의 몸체(62) 양측의 상부 및 하부에 지지대(74)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강선(40)의 긴장시 쉬스관(30)의 내주면을 따라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기 위해 톱니 형상을 갖는 이동 바퀴(72)와, 상기 각각의 몸체(62) 일측에 부착되어 송신기(50)의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기(76)와, 상기 각각의 몸체(62) 타측에 설치되는 동력 제어부(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50)는 송신기(5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강선(40)의 긴장시 1차 및 2차 강선 긴장수단(60)(70)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작동기기 선택 변경버튼(52)과, 상기 송신기(5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 바퀴(72)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바퀴 조절부(54)와, 상기 송신기(50)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강선 체결구(66)의 물림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강선 물림 조정부(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40)의 긴장이 완료된 쉬스관(30)의 내부에는 강선(40)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팽창 몰탈(80)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KR1020050122823A 2005-12-14 2005-12-14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KR10057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823A KR100571024B1 (ko) 2005-12-14 2005-12-14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823A KR100571024B1 (ko) 2005-12-14 2005-12-14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024B1 true KR100571024B1 (ko) 2006-04-13

Family

ID=371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823A KR100571024B1 (ko) 2005-12-14 2005-12-14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0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54B1 (ko) * 2013-11-05 2015-03-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어식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그 방법
KR101778002B1 (ko) 2015-09-08 2017-09-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표면매립 frp 긴장재용 압착형 슬리브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성도 향상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54B1 (ko) * 2013-11-05 2015-03-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어식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그 방법
KR101778002B1 (ko) 2015-09-08 2017-09-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표면매립 frp 긴장재용 압착형 슬리브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성도 향상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1177C (en) Tendon alignment assembly and method for externally reinforcing a load bearing beam
US8978340B2 (en) Method for fire-proofing composite slab using wire rope
KR101855194B1 (ko) 탄성체 인장 클램프와 그에 의한 레일 고정장치
KR100571024B1 (ko) 교량 상판 시공용 쉬스관의 강선 긴장장치
CN102628242B (zh) 一种板式无砟轨道混凝土轨道板、制造方法及其张拉装置
WO2008062949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recast deck slab with a beam on a bridg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lab with the beam using the same
CN110306688B (zh) 一种柔性连接的装配式墙体
CN110396945A (zh) 混凝土桥梁腹板体外竖向预应力的加固装置和加固方法
JP4122641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耐凍上定着構造
CN210507177U (zh) 混凝土桥梁腹板体外竖向预应力的加固装置
JP2010265689A (ja) 床形成方法
CN207537885U (zh) 斜拉索张拉阶段的锚固机构
KR100734169B1 (ko)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유지관리용 정착구가 구비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CN202936675U (zh) 一种无砟轨道先张预应力结构道岔板
KR100696646B1 (ko) 조립식 가로보에 정착 및 지지된 긴장재에 의한 ps 콘크리트 합성거더 교량의 외부긴장 공법
CN112144426B (zh) 一种公路涵洞结构及施工方法
KR100516769B1 (ko) 강연선 케미칼앵카링 및 텐셔닝에 의한 슬래브 또는 보보강 공법
CN211815509U (zh) 一种楔形的预应力筋用低回缩锚固装置
JP4948142B2 (ja) 地下道の構築方法
CN102477787A (zh) 应用于土木工程后张预应力纤维增强聚合材料筋锚固装置
KR200446167Y1 (ko)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20030012831A (ko)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허니컴 거더형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KR20090003595A (ko) 교량의 콘크리트빔 손상 방지 외장재 설치구조
CN117005544B (zh) 大跨桁架的自感知双向预应力调控系统、大跨桁架及安装方法
CN102995503B (zh) 一种无砟轨道先张预应力结构道岔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