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653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653B1
KR100570653B1 KR1020030085483A KR20030085483A KR100570653B1 KR 100570653 B1 KR100570653 B1 KR 100570653B1 KR 1020030085483 A KR1020030085483 A KR 1020030085483A KR 20030085483 A KR20030085483 A KR 20030085483A KR 100570653 B1 KR100570653 B1 KR 10057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gap
substrate
electrodes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826A (ko
Inventor
우석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653B1/ko
Priority to CNB2004100974151A priority patent/CN100349248C/zh
Priority to US10/999,226 priority patent/US7109656B2/en
Publication of KR2005005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각각의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제1 기판에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각 방전셀에 한 쌍씩 대응되게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돌출전극을 포함하는 방전유지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방전셀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들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돌출전극들간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1 간격(G1)과 제2 간격(G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간격(G1)보다 상기 제2 간격(G2)이 더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 폭을 2α라고 하고, 상기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 폭을 β라고 할 때, 1.5 ≤ α/β ≤ 4 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즈마, 방전유지전극, 방전갭, 방전효율, 방전전압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방전셀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돌출전극과 매트릭스형 격벽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 기판 사이의 각 방전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표시방전을 일으키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이 한 쪽 기판에 형성되는 전극구조를 갖는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은 기체방전으로 생성된 자외선으로 형광체를 여기시켜 소정의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장치로서, 고해상도의 대화면 구성이 가능하여 차세대 박형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PDP 구조는 배면기판(110) 상에 일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어드레스전극(112)이 형성되고 이 어드레스전극(112)을 덮으면서 배면기판(110)의 전면에 유전층(113)이 형성된다. 이 유전층(113) 위로 각 어드레스전극(112)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격벽(115)이 형성되며 각각의 격벽(115) 사이에 적(R), 녹(G), 청(B)색의 형광체층(117)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면기판(110)에 대향하는 전면기판(100)의 일면에는 어드레스전극(112)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투명전극(102a, 103a)과 버스전극(102b, 103b)으로 구성되는 방전유지전극(102, 103)이 형성되고 이 방전유지전극을 덮으면서 전면기판(100) 전체에 유전층(106)과 MgO 보호막(108)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기판(110) 상의 어드레스전극(112)과 전면기판(100) 상의 방전유지전극(102, 103)이 교차하는 지점이 방전셀을 구성하는 부분이 된다.
어드레스전극(112)과 방전유지전극(102, 103) 사이에 어드레스전압(Va)을 인가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행하고 다시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102, 103) 사이에 유지전압(Vs)을 인가하여 유지 방전시킨다. 이 때 발생하는 진공 자외선이 해당 형광 체를 여기시켜 투명한 전면기판(100)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면서 PDP의 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방전유지전극(102, 103)과 스트라이프형의 격벽(115)을 갖는 PDP 구조에서는 격벽(115)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방전셀들 간에도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격벽(115)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방전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 방전셀들 간에 오방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한 화소에 대응되는 방전유지전극(102, 103)간의 거리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해야 하는데, 이는 효율의 개선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선된 전극 및 격벽구조를 갖는 PDP가 제안되었다.
즉, 도 5에 나타낸 PDP 구조는 방전유지전극(123)을 구성하는 투명전극(123a)이 각 방전셀마다 한 쌍씩 서로 마주보도록 버스전극(123b)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인접 방전셀간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고 형광체 도포면적을 넓혀 발광효율을 더 높게 할 목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세로격벽(125a)과 가로격벽(125b)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matrix)형의 격벽(125)구조를 갖는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일본국 특개평10-149771호에 개시된 PDP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PDP에서도 실제 발광이 일어나는 유지 구간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123) 사이공간으로부터 시작되어 방전셀의 외곽부를 향해 확산된 후 소멸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방전셀을 구 성하는 부재들의 형상 특성이 유지 방전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방전셀의 형상을 결정하는 격벽(125)과,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유지전극(123)의 형상이 유지 방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상기한 방전유지전극(123) 형상에서는 방전갭에서 강한 초기 방전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초기 방전이 국부적으로 발생하면 방전셀 내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효율적으로 확산되지 못하여 방전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극의 효과적인 배치 및 설계를 통해서 방전전압을 낮추고 중앙 국부방전을 개선하여 주방전이 방전셀의 넓은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각각의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제1 기판에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각 방전셀에 한 쌍씩 대응되게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돌출전극을 포함하는 방전유지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방전셀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들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돌출전극들간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1 간격(G1)과 제2 간격(G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간격(G1)보다 상기 제2 간격(G2)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 폭을 2α라고 하고, 상기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 폭을 β라고 할 때,
1.5 ≤ α/β ≤ 4
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간격(G2)은 상기 돌출전극들의 대향하는 끝단 중심부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전극 각각은 상기 버스전극에 인접한 후단부가 상기 방전셀의 중심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버스전극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간격(G2)이 돌출전극들의 대향하는 끝단 중심부간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끝단 중심부 양쪽으로 각각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끝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끝단부 폭을 각각 α라고 할 때,
1.5 ≤ α/β ≤ 4
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와 상기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간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상기 D의 값은 10 내지 30㎛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전극은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격벽은 복수의 방전셀들 외에 비방전영역을 구획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방전영역은 상기 각 방전셀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과 세로축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방전 영역은 상기 격벽에 의하여 각각 독립된 셀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전셀은 상기 어드레스전극 방향으로 위치하는 양쪽 끝단부의 폭이 상기 방전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 한다)은 기본적으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고, 양 기판(10, 20)의 사이공간에는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방전셀(27R, 27G, 27B)들이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에는 방전유지전극(12, 13)과 어드레스전극(21)이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2 기판(20) 중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 상에 이 제2 기판(20)의 일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어드레스전극(21)이 형성된다. 어드레스전극(21)은 스트라이프형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어드레스전극(21)과 소정 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어드레스전극(21)이 형성되는 제2 기판(20) 상에는 유전층(23)이 또한 형성된다. 유전층(23)은 어드레스전극(21)을 덮으면서 기판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라이프형 어드레스전극(21)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적용되는 어드레스전극의 형상은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사이공간에는 격벽(25)이 배치되어 복수의 방전셀(27R, 27G, 27B)과 비방전 영역(26)을 구획한다. 이러한 격벽(25)은 제2 기판(20)에 형성되는 유전체(23)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전셀(27R, 27G, 27B)은 내부에 방전가스를 포함하고 있어서 어드레스 전압 또는 방전유지 전압이 인가되면서 내부에서 가스 방전이 일어나도록 예정된 공간이고, 비방전 영역(26)은 내부로 별도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따라서 방전 또는 발광이 예정되지 않는 영역 또는 공간이다. 이러한 비방전 영역(26)은 적어도 상기 각 격벽(25)의 상단 폭보다는 더 큰 영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벽(25)에 의해 구획되는 비방전 영역(26)은 상기 각 방전셀(27R, 27G, 27B)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가로축(H)과 세로축(V)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각 방전셀(27R, 27G, 27B)의 중심을 각각 지나는 가로축(H)들과 세로축(V)들 사이를 지나는 선상에서, 이들 선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가로 세로로 이웃하는 두 쌍의 방전셀들의 사이에 공통된 비방전 영역(26)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비방전 영역(26)은 상기 격벽(25)들에 의하여 각각 독립된 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방전셀(27R, 27G, 27B)은 상기 방전유지전극(12, 13) 방향으로 이웃하고 있는 것끼리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공유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드레스전극(21)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양쪽 끝단부의 (방전유지전극 방향, 즉 도면의 y축 방향의)폭이 각 방전셀(27R, 27G, 27B)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즉, 도 1을 참조할 때, 방전셀(27R, 27G, 27B)의 중심부에서의 폭(Wc)이 끝단부에서의 폭(We)보다 더 크며, 이 끝단부에서의 폭(We)은 방전셀(27R, 27G, 27B)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셀(27R, 27G, 27B)의 어드레스전극(21) 방향으로 위치하는 양쪽 끝단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각 방전셀(27R, 27G, 27B)의 전체적인 평면 형상은 팔각형을 이루게 된다.
방전셀(27R, 27G, 27B)의 내부에는 각각 적(R), 녹(G), 청(B)색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광체층(29R, 29G, 29B)을 이루고 있다.
제1 기판(10)에 형성되는 방전유지전극(12, 13)은 상기 어드레스전극(21)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각각의 방전셀(27R, 27G, 27B)에 한 쌍씩 짝을 지어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버스전극(12b, 13b)과 이 버스전극(12b, 13b)으로부터 상기 각 방전셀(27R, 27G, 27B)의 내부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이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돌출전극(12a, 1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돌출전극(12a, 13a)은 방전셀(27R, 27G, 27B) 내부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휘도 확보를 위해 투명전극인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전극 등의 불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각 방전셀(27R, 27G, 27B)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들(12, 13)은, 서로 마주보는 돌출전극들(12a, 13a)간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1 간격(G1)과 제2 간격(G2)을 가지며, 이 때, 상기 제1 간격(G1)보다 제2 간격(G2)이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전극(12a, 13a)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끝단 중심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양쪽으로 볼록부가 형성됨으로써, 마주보는 한 쌍의 돌출전극들(12a, 13a)에서 볼록부가 마주보는 부분에는 숏갭(short gap)인 제1 간격(G1)이 형성되고, 오목부가 마주보는 부분에는 롱갭(long gap)인 제2 간격(G2)이 형성된다. 주방전(main discharge)은 최초 제1 간격(G1)에서 시작되어 제2 간격(G2)으로 퍼져나가게 되면서 방전이 방전셀(27R, 27G, 27B) 전체로 확산된다.
상기 돌출전극(12a, 13a)의 제1 간격(G1)은 개구율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 서로 마주보는 돌출전극들(12a, 13a)의 끝단과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어 방전에 소요되는 전압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2 간격(G2)은 방전을 가운데로 모아서 안정적인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돌출전극(12a, 13a) 각각은 상기 버스전극(12b, 13b)에 인접한 후단부가 상기 방전셀(27R, 27G, 27B)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버스전극(12b, 13b)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전극(12a, 13a)이 상기 버스전극(12b, 13b)과 연결되는 이 부분 또한 방전의 기여가 작은 부분으로 방전효율을 향상시키고 개구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끝단보다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최적의 전극 설계치의 범위를 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간격(G1)은 상기 각 돌출전극(12a, 13a)의 끝단부 좌우에 한 쌍이 형성되고 이러한 각각의 제1 간격(G1)에 대응되는 끝단부 폭을 α라고 할 때,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12a, 13a)의 끝단부 전체 폭은 2α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12a, 13a)의 끝단부 폭을 β라고 할 때, A=α/β로 정의한다.
또한 각각의 돌출전극(12a, 13a)에서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끝단부와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끝단부 간의 거리를 D라고 정의한다.
방전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α, β, D를 위와 같이 정의하고, 이들 값을 42인치 패널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방전효율과 함께 오방전 횟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특히 표 1은 D=10㎛인 경우, 표 2는 D=20㎛인 경우, 표 3은 D=30㎛인 경우에 A값의 변화에 따른 방전효율과 오방전 횟수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방전효율은 A값이 2.5일 때 2가 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대적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오방전 횟수는 8×8개의 방전셀에서 60 프레임(frame) 동안 일어나는 오방전의 횟수를 평균한 것이다. A값은 0.3부터 10까지 변화시켜 실험하였다.
A(=α/β) 방전효율 오방전 횟수
0.3 1.30 8
0.5 1.33 9
0.7 1.32 8
0.8 1.37 8
1 1.41 7
1.2 1.43 3
1.4 1.46 2
1.5 1.71 1
1.7 1.73 2
1.9 1.76 0
2 1.80 0
2.1 1.84 0
2.2 1.90 0
2.3 1.94 0
2.4 1.96 0
2.5 2 0
2.6 2.15 0
2.7 2.22 0
2.8 2.24 0
2.9 2.22 0
3 2.22 0
3.1 2.21 0
3.2 2.21 0
3.3 2.12 0
3.4 2.07 0
3.5 1.96 0
3.6 1.95 0
3.7 1.93 0
3.8 1.90 0
3.9 1.87 0
4 1.87 0
4.1 1.86 0
4.2 1.53 0
4.3 1.53 0
4.4 1.51 0
4.5 1.53 0
4.6 1.52 0
4.7 1.49 0
4.8 1.50 0
4.9 1.52 0
5 1.49 0
A(=α/β) 방전효율 오방전 횟수
0.3 1.31 9
0.5 1.32 10
0.7 1.31 8
0.8 1.34 8
1 1.39 10
1.2 1.42 7
1.4 1.66 3
1.5 1.68 2
1.7 1.72 2
1.9 1.75 1
2 1.79 1
2.1 1.83 0
2.2 1.89 0
2.3 1.92 0
2.4 1.95 0
2.5 2 0
2.6 2.2 0
2.7 2.23 0
2.8 2.24 0
2.9 2.23 0
3 2.22 0
3.1 2.23 0
3.2 2.21 0
3.3 2.1 0
3.4 2.06 0
3.5 1.95 0
3.6 1.96 0
3.7 1.91 0
3.8 1.86 0
3.9 1.87 0
4 1.86 0
4.1 1.85 0
4.2 1.54 0
4.3 1.54 0
4.4 1.52 0
4.5 1.53 0
4.6 1.53 0
4.7 1.49 0
4.8 1.51 0
4.9 1.52 0
5 1.48 0
A(=α/β) 방전효율 오방전 횟수
0.3 1.29 10
0.5 1.31 11
0.7 1.32 9
0.8 1.35 8
1 1.38 7
1.2 1.61 3
1.4 1.63 2
1.5 1.66 3
1.7 1.70 2
1.9 1.76 2
2 1.80 1
2.1 1.85 0
2.2 1.88 0
2.3 1.96 0
2.4 1.97 0
2.5 2 0
2.6 2.09 0
2.7 2.17 0
2.8 2.22 0
2.9 2.26 0
3 2.26 0
3.1 2.27 0
3.2 2.23 0
3.3 2.20 0
3.4 2.06 0
3.5 1.95 0
3.6 1.94 0
3.7 1.92 0
3.8 1.88 0
3.9 1.87 0
4 1.85 0
4.1 1.65 0
4.2 1.56 0
4.3 1.52 0
4.4 1.52 0
4.5 1.54 0
4.6 1.53 0
4.7 1.48 0
4.8 1.50 0
4.9 1.53 0
5 1.43 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D값이 10㎛일 경우에는 대략 1.5 ≤ A ≤ 4.1 의 범위에서 적정한 방전효율을 나타내면서 오방전 횟수도 드물게 나타났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D값이 20㎛일 경우에는 대략 1.4 ≤ A ≤ 4.1 의 범위에서 적정한 방전효율을 나타내면서 오방전 횟수도 드물게 나타났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D값이 30㎛일 경우에는 대략 1.2 ≤ A ≤ 4 의 범위에서 적정한 방전효율을 나타내면서 오방전 횟수도 드물게 나타났다.
각각의 경우에서, A값이 적정범위보다 작으면 숏갭(short gap)인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끝단부가 줄어들어서 면방전의 균일한 방전을 하지 못하며 오방전 횟수가 증가하고, A값이 적정범위보다 크면 롱갭(long gap)인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끝단부가 줄어들어서 롱갭에 의한 방전이 어려워지면서 방전효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표 1 내지 표 3에서 공통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최적의 A값의 범위는 1.5 ≤ A ≤ 4 이며, A 값이 이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경우 D값에 관계없이 고효율과 오방전 감소에 유리한 설계치를 갖는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각 방전셀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의 돌출전극들이 서로 다른 간격 G1, G2를 갖도록 형성하고, 이들 간격들에 대응되는 돌출전극 끝단부의 설계를 최적화함으로서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각각의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제1 기판에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각 방전셀에 한 쌍씩 대응되게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돌출전극을 포함하는 방전유지전극들
    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방전셀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들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돌출전극들간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1 간격(G1)과 제2 간격(G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간격(G1)보다 상기 제2 간격(G2)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 폭을 2α라고 하고, 상기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 폭을 β라고 할 때,
    1.5 ≤ α/β ≤ 4
    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격(G2)은 상기 돌출전극들의 대향하는 끝단 중심부간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전극들의 대향하는 끝단 중심부 양쪽으로 각각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끝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끝단부 폭을 각각 α라고 할 때,
    1.5 ≤ α/β ≤ 4
    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전극 각각은 상기 버스전극에 인접한 후단부가 상기 방전셀의 중심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버스전극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와 상기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간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상기 D의 값은 10 내지 30㎛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 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전극은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방전셀들과 비방전영역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각각의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제1 기판에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각 방전셀에 한 쌍씩 대응되게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돌출전극을 포함하는 방전유지전극들
    을 포함하고,
    상기 비방전영역은 상기 각 방전셀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과 세로축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각 방전셀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들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돌출전극들간에 제1 간격(G1)과 이보다 더 큰 제2 간격(G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 폭을 2α라고 하고, 상기 제2 간격(G2)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전극의 끝단부 폭을 β라고 할 때,
    1.5 ≤ α/β ≤ 4
    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방전 영역은 상기 격벽에 의하여 각각 독립된 셀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은 상기 어드레스전극 방향으로 위치하는 양쪽 끝단부의 폭이 상기 방전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격(G2)은 상기 돌출전극들의 대향하는 끝단 중심부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전극들의 대향하는 끝단 중심부 양쪽으로 각각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끝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간격(G1)을 형성하는 끝단부 폭을 각각 α라 고 할 때,
    1.5 ≤ α/β ≤ 4
    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전극 각각은 상기 버스전극에 인접한 후단부가 상기 방전셀의 중심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버스전극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30085483A 2003-11-28 2003-11-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483A KR100570653B1 (ko) 2003-11-28 2003-11-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B2004100974151A CN100349248C (zh) 2003-11-28 2004-11-29 等离子显示板
US10/999,226 US7109656B2 (en) 2003-11-28 2004-11-29 Plasma display panel having extension electrode with specific shape to increase discharge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483A KR100570653B1 (ko) 2003-11-28 2003-11-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826A KR20050051826A (ko) 2005-06-02
KR100570653B1 true KR100570653B1 (ko) 2006-04-12

Family

ID=3463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483A KR100570653B1 (ko) 2003-11-28 2003-11-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09656B2 (ko)
KR (1) KR100570653B1 (ko)
CN (1) CN10034924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4166A (ja) * 2003-01-02 2004-07-29 Samsung Sdi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6019136A (ja) * 2004-07-01 2006-01-19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69469B1 (ko) * 2005-11-2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5403623B2 (ja) * 2010-03-10 2014-01-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2画面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771A (ja) 1996-11-18 1998-06-02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281628B1 (en) * 1998-02-13 2001-08-28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N1218353C (zh) * 2001-01-23 2005-09-0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显示器的电极结构
JP2003092063A (ja) * 2001-09-18 2003-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323818B2 (en) * 2002-12-27 2008-01-29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JP2004214166A (ja) * 2003-01-02 2004-07-29 Samsung Sdi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425797B2 (en) * 2003-07-04 2008-09-16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protrusion electrode with indentation and aperture
KR100536215B1 (ko) * 2003-08-05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406B1 (ko) * 2003-11-2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826A (ko) 2005-06-02
CN1622258A (zh) 2005-06-01
US7109656B2 (en) 2006-09-19
CN100349248C (zh) 2007-11-14
US20050122046A1 (en)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3099B2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421416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893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53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89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06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89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84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53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29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89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29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06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509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8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53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72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89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68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35B1 (ko) 배기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14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53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5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92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