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346B1 - 배관재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재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346B1
KR100570346B1 KR1020030072178A KR20030072178A KR100570346B1 KR 100570346 B1 KR100570346 B1 KR 100570346B1 KR 1020030072178 A KR1020030072178 A KR 1020030072178A KR 20030072178 A KR20030072178 A KR 20030072178A KR 100570346 B1 KR100570346 B1 KR 10057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ping material
coupling device
leakage preven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881A (ko
Inventor
황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몬
Priority to KR102003007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4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의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재의 양측단부에 보조압출기로 압출 융착하여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내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안내부를 구성하고, 상기 안내부의 안내돌기 사이에 장착되는 누수방지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를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안내부를 수용하여 배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성함으로서, 숙련공이 없어도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조립공정을 간소화하고 우천시에도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 후, 누수의 발생을 차단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관재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재, 결합장치

Description

배관재의 결합장치{device for join of pipe}
도 1은 종래의 배관재를 전기융착시트에 의해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관재를 소켓밴드접합에 의해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배관재의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관재의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내부 110: 안내돌기
200: 누수안내부재 210: 고무링
220: 고무밴드 300: 지지부재
310: 요철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배관재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배관재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재는, 철금속에 부식 단점을 보완한 도금형관과 비철금속재관 및 콘크리트관이 있고, 최근에는 석유화학공업이 발달되어 개발된 플라스틱관을 사용하여 각 가정과 공장 등의 식수배관인 상수도 뿐만 아니라, 오.폐수 및 우수 배관인 하수도와 독극성이 강한 유체 등의 공업용 배관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모든 산업분야와 일상생활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그러나 철금속도금형관이나 비철금속 배관재는, 제조원가가 고가인 점과 부식되는 점을 감안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배관완료 이후의 관리적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배관재로서, 플라스틱(plastics)배관재가 대체품으로 등장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배관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과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PP)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 배관재를 연결하는 방법은, 전기융착시트(electronic fusion sheet) 및 소켓밴드접합(socket bend connection), 열수축 슬리브(heat shrink sleeve)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방법중 전기융착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재(10)(10')를 맞대어 수평으로 정렬시키고, 접합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열선(21)이 내장된 전기융착연결관(20)으로 접합부위를 감고 단부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고정된 전기융착연결관(20)의 열선(21)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21)에서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에 의해 전기융착연결관(20)의 내면과 배관재(10)(10')의 외면을 녹이면서 융착시키는 방법으로, 이는 전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전기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전기융착연결관이 겹쳐서 포개지는 부분의 융착력이 약해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기융착시트 방법은, 우천시에 공사가 어렵고, 다수개의 배관재를 연결하는 공사에서는 동시 시공이 어려워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작업 공정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방법중 소켓밴드접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재(10)(10')를 맞대어 수평으로 정렬시키고, 접합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열수축시트(30)를 감고 토치램프로 열수축시트(30)의 단부를 가열하여 부착시킨다.
이렇게 부착된 열수축시트(30)를 토치램프로 양단이 밀려나올 정도로 가열한 후, 열수축시트(30)를 스테인리스 밴드(40)로 감싸 앵글(41)을 대향하게 위치시키고, 이 앵글(41)을 보강대(42)로 지지하여 볼트(43)와 너트(44)로 고정시키면 된 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접합하는 소켓밴드접합 방법은, 열수축시트에 토치램프로 고르게 가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여 숙련된 배관공이 필요하며, 가열이 고르지 못하면 밀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열수축시트가 시공불량의 원인을 제공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조립 공정이 복잡하므로 공사기간이 늘어나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숙련공이 없어도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조립공정을 간소화하고 우천시에도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 후, 누수의 발생을 차단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관재의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의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재의 양측단부에 보조압출기로 압출 융착하여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내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안내돌기 사이에 장착되는 누수방지부재와;
상기 누수방지부재를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안내부를 수용하여 배관재를 지지 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배관재의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관재의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10)(10')의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재(10)(10')의 양측단부에 보조압출기로 압출 융착하여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내돌기(110)를 일체로 형성한 안내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100)의 안내돌기(110) 사이에 장착되는 누수방지부재(200)가 구성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200)를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안내부(100)를 수용하여 배관재(10)(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누수방지부재(200)는, 고무링(210)으로 형성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200)는, 상기 안내돌기(110) 사이에 장착되는 결합돌기(221)가 내주면에 돌출된 고무밴드(220)가 상기 배관재(10)(10')의 안내부(1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경사진 요철(310)이 형성되어 상기 누수방지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폴리에틸렌 원료를 호퍼에 주입한 후, 고온에 의해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10)를 성형하고, 이 배관재(10)를 냉각시킨 후, 일정한 규격의 길이로 절단시킨다.
이렇게 성형된 배관재(10)의 단부에 보조압출기로 압출 융착하여 배관재(10)의 외주면에 안내돌기(110)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110)는, 배관재(10)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내돌기(110)의 사이에 누수방지부재(200)의 고무링(210)을 장착한 배관재(10)를 지지부재(300)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삽입하고, 다른 배관재(10')를 타측에서 내측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누수방지부재(200)는, 지지부재(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310)에 의해 삽입은 용이하나 이탈은 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관재를 연결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재(10)(1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안내부(100)의 안내돌기(110)를 수용하도록 누수방지부재(200)의 고무밴드(220)를 장착하고, 이 고무밴드(220)를 수용하도록 지지부재(300)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 부가 관통된 배관재(10)(10')의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재(10)(10')의 단부를 각각 감싸도록 내측에 열선(411)이 내장된 안내판(410)이 구비되고, 이 안내판(410)에 외측에 안내돌기(420)가 돌출된 부착형 안내부(400)가 구성되며, 상기 부착형 안내부(400)의 안내돌기(420) 사이에 장착되는 누수방지부재(200)가 구성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200)를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부착형 안내부(400)를 수용하여 배관재(10)(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실시예의 제작과정은, 열선(411)을 내장한 안내판(410)의 외측에 안내돌기(420)가 돌출 되도록 부착형 안내부(400)를 성형한다.
또한, 폴리에틸렌 원료를 호퍼에 주입한 후, 고온에 의해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10)를 성형하고, 이 배관재(10)를 냉각시킨 후, 일정한 규격의 길이로 절단시킨다.
이렇게 성형된 배관재(10)의 단부에 부착형 안내부(400)를 밀착시키고, 열선(411)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배관재(10)의 외면과 부착형 안내부(400)의 내면을 융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부착형 안내부(400)의 안내돌기(420)에 누수방지부재(200)의 고무링(410)을 장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로 고정시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10)(10')의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재(10)(10') 의 외주면 단부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2개 이상 각각 설치되도록 열선(510)이 내장된 안내돌기(500)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돌기(500)의 사이에 장착되는 누수방지부재(200)가 구성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200)를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안내돌기(500)를 수용하여 배관재(10)(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실시예의 제작과정은, 폴리에틸렌 원료를 호퍼에 주입한 후, 고온에 의해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10)를 성형하고, 이 배관재(10)를 냉각시켜, 일정한 규격의 길이로 절단시킨 후, 상기 배관재(10)의 외주면 단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안내돌기(500)를 위치시킨 다음 열선(51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배관재(10)의 외면과 안내돌기(500)의 내면을 융착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안내돌기(500)를 형성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500)의 사이에 누수방지부재(200)의 고무링(410)을 장착하고, 지지부재(300)로 고정시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사용되는 배관재는, 내부가 관통된 일체형으로 형성된 관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중벽관, 삼중벽관, 다층벽관, 적층관, 우오수분류식하수관, 일반평활하수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배관재의 결합장치는, 숙련공이 없어도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조립공정을 간소화하고 우천시에도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 후, 누수의 발생을 차단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10)(10')의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재(10)(10')의 단부를 각각 감싸도록 내측에 열선(411)이 내장된 안내판(410)이 구비되고, 이 안내판(410)에 외측에 안내돌기(420)가 돌출된 부착형 안내부(400)와;
    상기 부착형 안내부(400)의 안내돌기(420) 사이에 장착되는 누수방지부재(200)와;
    상기 누수방지부재(200)를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부착형 안내부(400)를 수용하여 배관재(10)(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의 결합장치.
  6. 내부가 관통된 배관재(10)(10')의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재(10)(10')의 외주면 단부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2개 이상 각각 설치되도록 열선(510)이 내장된 안내돌기(500)와;
    상기 안내돌기(500)의 사이에 장착되는 누수방지부재(200)와;
    상기 누수방지부재(200)를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안내돌기(500)를 수용하여 배관재(10)(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의 결합장치.
KR1020030072178A 2003-10-16 2003-10-16 배관재의 결합장치 KR10057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178A KR100570346B1 (ko) 2003-10-16 2003-10-16 배관재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178A KR100570346B1 (ko) 2003-10-16 2003-10-16 배관재의 결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46U Division KR200337783Y1 (ko) 2003-10-16 2003-10-16 배관재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881A KR20030084881A (ko) 2003-11-01
KR100570346B1 true KR100570346B1 (ko) 2006-04-17

Family

ID=3238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178A KR100570346B1 (ko) 2003-10-16 2003-10-16 배관재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08B1 (ko) 2010-06-01 2010-11-30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08B1 (ko) 2010-06-01 2010-11-30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881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621A (en) Method of and joint for electrofusion coupling of thermoplastic pipes
US6131954A (en) Weldable couple for electrofusion coupling of profile wall thermoplastic pipes without a separate coupler
KR200399453Y1 (ko) 신축편수관 연결장치
KR200337783Y1 (ko) 배관재의 결합장치
KR100570346B1 (ko) 배관재의 결합장치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KR20010095378A (ko) 이중 피이시이트 피복 파형강관 연결용 플랜지 접합구조
KR200245603Y1 (ko) 배관재의 연결장치
KR100445528B1 (ko) 배관재의 연결장치
CN210336936U (zh) 一种塑料管道接合辅助装置
KR20090092590A (ko) 이음관의 이탈방지용 전기융착식 연결장치
KR100730035B1 (ko) 상수도용 신축편수관 융착연결구
KR100540211B1 (ko) 요철관을 이용한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CN203641722U (zh) 直插式塑料接头
KR101046181B1 (ko) 파이프 이음관
EP1534490B1 (en) equipment for manufacturing pipe-couplings and pipe couplings
KR100437503B1 (ko)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연결방법
KR200187809Y1 (ko) 이음새를 포함한 구조형 합성수지관
KR100688430B1 (ko) 끼움 결합식 배관재
KR200292306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장치
KR100529463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장치 및 그 이음방법
KR200327860Y1 (ko)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200399517Y1 (ko) 임플란트 방식 배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