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231B1 -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 공법 - Google Patents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231B1
KR100570231B1 KR1020050061966A KR20050061966A KR100570231B1 KR 100570231 B1 KR100570231 B1 KR 100570231B1 KR 1020050061966 A KR1020050061966 A KR 1020050061966A KR 20050061966 A KR20050061966 A KR 20050061966A KR 100570231 B1 KR100570231 B1 KR 100570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iron plate
cross
section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근
노실근
노옥근
Original Assignee
우경건설 주식회사
노윤근
노실근
노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건설 주식회사, 노윤근, 노실근, 노옥근 filed Critical 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과 인장력이 도입된 PS강재에 의해 구속되는 콘크리트로 교각 등 구조물의 단면을 확대 보강하여 기존 구조물의 단면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 및 증설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는 대상구조물에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다수 개를 천공하여 형성된 앵커공과; 대상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종횡으로 고정 부착되는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과; 상기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의 표면에 고정 부착되는 철판과; 상기 철판 내에 주입 충전되는 에폭시수지와; 상기 앵커공에 삽입되어 수직 및 수평보강철근과 철판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철판의 표면에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디비네이터와; 상기 디비네이터에 고정 설치되는 PS강재와; 상기 철판의 표면과 PS강재를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단면 확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공법은 대상구조물에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다수 개를 천공하여 앵커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과 철판을 앵커볼트를 관통하여 앵커공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 내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상기 철판의 표면에 디비네이터를 다수 개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디비네이터에 PS강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의 표면과 PS강재를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단면 확대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PS강재, 철판, 구조물, 단면 증설

Description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 및 증설공법{Structure section extension equipment and an extension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PS steel materials and a steel pl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로 구조물의 단면을 증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로 구조물의 단면을 증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의 무공 평철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의 유공 평철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의 무공 파형철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의 유공 파형철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조물 12: 앵커공
14: 수직철근 16: 수평철근
18: 철판 20: 에폭시수지
22: 앵커볼트 24: 디비네이터
26: PS강재 28: 단면 확대부
30: 스터드 볼트
본 발명은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 및 증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터드 볼트가 용접된 철판과 인장력이 도입된 PS강재에 의해 구속되는 콘크리트로서 교각 등의 구조물 단면을 확대 보강하도록 한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 및 증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을 이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교각에 앵커공을 설치하고, 이 앵커공에 에폭시를 주입 충전하여 앵커볼트로 고정한 후, 소요철근을 교각 둘레로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앵커볼트를 기존의 구조물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만큼의 앵커로 천공홀이 형성되기 때문에 앵커천공수의 증가는 기존 구조물에 손행을 주게 되며, 앵커공을 일일이 에폭시수지를 주입하고,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닐 많은 작업량을 필요로 한다.
또한, 철근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보강구조물은 충분한 소요 구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규모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며, 도심지의 고가교와 같이 용지상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철판과 인장력이 도입된 PS강재에 의해 구속되는 콘크리트로 교각 등 구조물의 단면을 확대 보강하여 기존 구조물의 단면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 및 증설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는 대상구조물에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다수 개를 천공하여 형성된 앵커공과; 대상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종횡으로 고정 부착되는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과; 상기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의 표면에 고정 부착되는 철판과; 상기 철판 내에 주입 충전되는 에폭시수지와; 상기 앵커공에 삽입되어 수직 및 수평보강철근과 철판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철판의 표면에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디비네이터와; 상기 디비네이터에 고정 설치되는 PS강재와; 상기 철판의 표면과 PS강재를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단면 확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공법은 대상 구조물에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다수 개를 천공하여 앵커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과 철판을 앵커볼트를 관통하여 앵커공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 내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상기 철판의 표면에 디비네이터를 다수 개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디비네이터에 PS강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의 표면과 PS강재를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단면 확대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로 구조물의 단면을 증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로 구조물의 단면을 증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의 무공 평철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의 유공 평철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의 무공 파형철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의 유공 파형철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는 대상구조물(10)에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다수 개를 천공하 여 형성된 앵커공(12)과; 대상구조물(10)의 표면을 따라 종횡으로 고정 부착되는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14, 16)과; 상기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14, 16)의 표면에 고정 부착되는 철판(18)과; 상기 철판(18)내에 주입 충전되는 에폭시수지(20)와; 상기 앵커공(12)에 삽입되어 수직 및 수평보강철근(14, 16)과 철판(18)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앵커볼트(22)와; 상기 철판(18)의 표면에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디비네이터(24)와; 상기 디비네이터(24)에 고정 설치되는 PS강재(26)와; 상기 철판(18)의 표면과 PS강재(26)를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단면 확대부(2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철판(18)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엇갈리게 스터드 볼트(30)가 용접 부착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스터드 볼트(30)는 철판(18)의 내외면에 에폭시수지(20) 및 콘크리트 타설시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철판(18)은 필요에 따라 유공 또는 무공으로 이루어진 평철판으로 구성되거나 유공 또는 무공으로 이루어진 파형철판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는 교각 등 기존 구조물(10)의 단면을 확대 보강하여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보강 대상구조물(10)의 외주면에 앵커볼트(22)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는 수직 및 수평철근(14, 16), 철판(18)과 상기 철판(18)에 디비네이터(24)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인장력이 도입되는 PS강재(26)와 상기 철판(18)내에 주입되는 에폭시수지(20) 및 상기 철판(18) 및 PS강재(26)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대상구조 물(10)의 단면을 확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공법은 대상구조물(10)에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다수 개를 천공하여 앵커공(1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구조물(10)의 표면을 따라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14, 16)과 철판(18)을 앵커볼트(22)를 관통하여 앵커공(12)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18)내에 에폭시수지(20)를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상기 철판(18)의 표면에 디비네이터(24)를 다수 개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디비네이터(24)에 PS강재(26)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18)의 표면과 PS강재(26)를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단면 확대부(28)를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구조물의 단면을 증설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공법은 대상구조물(10)을 천공하여 앵커공(12)을 형성한 후, 그 대상구조물(10)의 표면에 수직 및 수평철근(14, 16)과 철판(18)을 앵커볼트(22)로 고정한 후, 상기 철판(18)내를 고강도 모르타르 등으로 이루어진 에폭시수지(20)를 충전한 후, 상기 철판(18)의 표면에 디비네이터(24)를 설치하고, 이 디비네이터(24)에 PS강재(26)를 고정 설치한 후,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하고, 그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대상구조물(10)의 단면이 증설된 단면 확대부(28)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장치 및 증설공법은 철판과 PS강재에 의해 구속되는 콘크리트로써 교각 등 구조물의 단면을 증설함으로써, 내하력, 인성 및 연성, 변형성능 등의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확대 단면을 크게 하지 않고도, 소요 구조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도심지의 고가교와 같이 하부 공간이 제한되는 구조물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대상구조물(10)에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다수 개를 천공하여 앵커공(1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구조물(10)의 표면을 따라 수직 및 수평 보강철근(14, 16)과 철판(18)을 앵커볼트(22)를 관통하여 앵커공(12)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18)내에 에폭시수지(20)를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상기 철판(18)의 표면에 디비네이터(24)를 다수 개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디비네이터(24)에 PS강재(26)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18)의 표면과 PS강재(26)를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단면 확대부(28)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공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8)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엇갈리게 스터드 볼트(30)를 용접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공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8)은 유공 또는 무공으로 이루어진 평철판으로 구성하거나 유공 또는 무공으로 이루어진 파형철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공법.
KR1020050061966A 2005-07-09 2005-07-09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 공법 KR10057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966A KR100570231B1 (ko) 2005-07-09 2005-07-09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966A KR100570231B1 (ko) 2005-07-09 2005-07-09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231B1 true KR100570231B1 (ko) 2006-04-11

Family

ID=3718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966A KR100570231B1 (ko) 2005-07-09 2005-07-09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2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125A (zh) * 2012-06-26 2012-10-10 天津城市建设学院 钢管上带有孔眼的钢管混凝土桥墩
CN103882803A (zh) * 2014-03-19 2014-06-25 北京工业大学 一种可更换横向配置预应力筋自复位耗能桥墩
CN106351113A (zh) * 2016-08-28 2017-01-25 防灾科技学院 一种高速铁路桥梁地震损伤控制体系
CN106869011A (zh) * 2017-02-28 2017-06-20 长安大学 一种抗剪型自复位桥墩接头
CN113818334A (zh) * 2021-09-22 2021-12-21 湖南大学 一种含骨架的预制uhpc模壳填芯混凝土桥墩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817A (ko) * 2000-11-15 2002-05-23 박은진 비접착 피에스 강연선정착장치가 설치된 상부콘크리트슬래브 연속화에 의한 연속교 및 연속슬래브교가설공법
KR100370714B1 (ko) * 2000-07-05 2003-02-11 (주) 정도엔지니어링 교량 우물통 기초부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구조
KR100480867B1 (ko) * 2002-01-04 2005-04-07 근형기업 주식회사 섬유래핑 및 섬유보강 수지판넬을 이용한 교각 구조물의내진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714B1 (ko) * 2000-07-05 2003-02-11 (주) 정도엔지니어링 교량 우물통 기초부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구조
KR20020037817A (ko) * 2000-11-15 2002-05-23 박은진 비접착 피에스 강연선정착장치가 설치된 상부콘크리트슬래브 연속화에 의한 연속교 및 연속슬래브교가설공법
KR100480867B1 (ko) * 2002-01-04 2005-04-07 근형기업 주식회사 섬유래핑 및 섬유보강 수지판넬을 이용한 교각 구조물의내진보강공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707140000
1004808670000
1020020037817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125A (zh) * 2012-06-26 2012-10-10 天津城市建设学院 钢管上带有孔眼的钢管混凝土桥墩
CN103882803A (zh) * 2014-03-19 2014-06-25 北京工业大学 一种可更换横向配置预应力筋自复位耗能桥墩
CN106351113A (zh) * 2016-08-28 2017-01-25 防灾科技学院 一种高速铁路桥梁地震损伤控制体系
CN106351113B (zh) * 2016-08-28 2018-04-17 防灾科技学院 一种高速铁路桥梁地震损伤控制体系
CN106869011A (zh) * 2017-02-28 2017-06-20 长安大学 一种抗剪型自复位桥墩接头
CN113818334A (zh) * 2021-09-22 2021-12-21 湖南大学 一种含骨架的预制uhpc模壳填芯混凝土桥墩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438B1 (ko)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570231B1 (ko)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 공법
KR100635137B1 (ko)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래티스바아데크형 피씨플레이트
JP200727060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間の間詰め部に対する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JP2011184859A (ja) 複数微細ひび割れ型繊維補強セメント複合材料を用いたライニング方法および構造体
JP6552863B2 (ja) 外壁の増打ち方法
CN114045750B (zh) 高墩柱系梁的施工方法
JP2008144459A (ja) スラブ型枠、および合成床版の構築方法
JP5922993B2 (ja) 複数微細ひび割れ型繊維補強セメント複合材料を用いた構造体およびライニング方法
KR101319509B1 (ko)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CN112177217B (zh) 一种预应力混凝土桁架叠合板及其制作方法
JP7241050B2 (ja)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76865B1 (ko) 역 t형 주형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의 무지보 시공 방법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KR10069482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Patel et al. Development of a precast concrete barrier wall system for bridge decks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JP2000303703A (ja) 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の拡幅工法及び橋梁における仮受架台の構築工法並びに橋梁の補強工法
KR100573371B1 (ko) 유공강관을 적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JP7016106B2 (ja) 軽量盛土構造、および軽量盛土の構築方法
CN111411625A (zh) 一种锚杆的后张预应力施加装置
WO2008145806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lumn attachment
KR20090003933A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06681A (ko) 단면확대를 통한 구조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100530025B1 (ko) 확대된 단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단면 확대 보수보강장치 및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